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가팔곡(田家八曲)>의 성격 재론 - 내면의 변화 양상과 계기적 구성을 중심으로 -

        김혜진 ( Kim Hye-ji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4 고전문학과 교육 Vol.55 No.-

        본고는 이휘일의 <전가팔곡(田家八曲)>에 나타난 내면의 변화 양상과 이에서 비롯된 구성적 특징을 분석하여 작품의 성격을 새롭게 정립해 보고자 마련되었다. <전가팔곡>은 총 8수의 연시조로 원문에 부기된 표제에 따라 ‘원풍(願豊)’ 1수, ‘춘하추동(春夏秋冬)’ 4수, ‘신오석(晨午夕)’ 3수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며, 화자의 내면 변화와 조응하는 계기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다. ‘원풍’에서 화자는 삶의 방향성을 고민하며 견묘에서의 삶에 대한 불확실성과 불안을 원풍의식으로 전환하고, ‘춘하추동’에서는 원풍의식을 구현하는 농경 현장을 형상화하면서 이를 매개로 자기 삶의 방식 변화를 추구하게 된다. ‘신오석’에서는 ‘춘하추동’에서 얻은 깨달음을 체화하고, 적극적으로 전가의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생활에서의 만족감을 표출하고 있다. 이휘일은 일찍이 과거를 단념하고 평생동안 세거지인 영해에 살면서, 퇴계의 학통을 계승하고 본성의 수양과 도의 실천을 생활화했다. 1661년(43세)에 친부모와 양부모를 모두 봉양하기 위해 저곡으로 거처를 옮겼으며, 1664년(46세)에 <전가팔곡>을 짓고 「서전가팔곡후」를 남겼다. 이휘일의 노래에 대한 인식과 저곡에서의 행적을 고려하면 <전가팔곡>은 전가에서의 삶의 방향에 관한 진지한 고민과 모색의 과정에서 창작되었다. 곧 <전가팔곡>은 자기 삶에 대한 성찰에서 비롯하여 전가에서의 삶에 동화되는 방향으로의 전환과 그 의미를 진정성 있게 노래한 작품으로서, 이휘일이 저곡에서의 새로운 삶을 영위하면서 당면해야 했던 현실적 문제에 대응하고자 했던 의식이 반영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establish the character of Lee Hwi-il's Jeongapalgok(田家八曲)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internal change demonstrated within the work and its result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Jeongapalgok consists of eight linked verses divided into three parts according to the titles noted in the original text: one verse of Wonpung(願豊), four verses of Spring, Summer, Autumn, Winter(春夏秋冬), and three verses of Morning, Noon, Evening(晨午夕), adopting a structure that resonates with the speaker's internal changes. In Wonpung, the speaker contemplates the direction of life, transitioning the uncertainty and anxiety of living in the wilderness into a consciousness of Wonpung. In the Spring, Summer, Autumn, Winter section, the speaker visualizes the agricultural fields where the Wonpung consciousness is manifested, seeking a change in their way of life through this mediation. In Morning, Noon, Evening, the speaker embodies the enlightenment gained from the previous section, expressing satisfaction in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life. Lee Hwi-il had abandoned his past early on and lived in Yeonghae for his lifetime, succeeding the academic tradition of Toegye, integrating the cultivation of one's nature and the practice of Tao into his life. In 1661, at the age of 43, he moved to Jeogok to care for both his biological and adoptive parents. And in 1664, at the age of 46, he composed Jeongapalgok and left a postscript After Jeongapalgok. Considering Lee Hwi-il's perception of song and his actions in Jeogok, Jeongapalgok was created through a serious contemplation and exploration of life's direction in the rural community. Thus, Jeongapalgok is a work that sincerely sings about the transformation towards assimilation into the rural life stemming from self-reflection on one's life, reflecting Lee Hwi-il's consciousness in responding to the practical problems he faced while leading a new life in Jeogok.

      • KCI등재

        환율의 산업별 수출가격 전가도 추정

        조택희(Taek-hee Cho) 한국경제연구학회 2010 한국경제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환율의 변동이 수출재가격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가격전가도를 산업별로 추정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선행연구가 주로 환율과 수출가 격과의 직접적 관계를 살펴본 것에 비해 본 논문에서는 환율변동이 수입 중간재의 가격을 변화시켜 수출가격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를 고려하여 산업별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본 논문의 차별성이 있다. 산업별 가격전가도의 추정결과를 보면, 수출가격방정식의 경우 환율변수의 계수값이 모든 산업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국내 기업은 환율변화로 인한 비용의 변화를 수출가격에 전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중간투입비용 변화로 인한 간접적 가격전가효과를 측정하는데 필요한 중간재 비용변수의 경우도 대부분의 산업에서 중간투입비용으로 전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총전가효과는 직접전가 효과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전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몇 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출시장이 경쟁적일수록 전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원자재 수입의존도가 큰 산업에서 낮은 전가도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일부 산업에서 합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RCAI를 기준으로 한 시장점유율이 큰 일부 산업에서 높은 전가도가 추정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가격 전가요인은 경쟁도가 높은 제품, 수입의존도가 클수록, 시장점유율이 낮을수록 전가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rt price and the exchange rate by industries. The results of estimation by industries indicate, in case of the export-price equation, that the coefficients of exchange rate are significant in the whole industries. Also all the variables of intermediate-product cost have the significant coefficients, except for few industries. The paper sets up the hypothesis concerning those factors which affect the pass-through and then compared it with the estimation results of this paper. First, the power of pass-through would be weak if export market is more competitive. Second, An industry heavily dependent on the import of raw materials has relatively low degree of pass-through. Third, the higher market-share in the counterpart country is, the higher the degree of pass-through.

      • KCI등재

        원貨換率 變動의 輸出價格 轉嫁行態 分析

        최요철,김치호 한국은행 2001 經濟分析 Vol.7 No.3

        이 논문은 원화환율을 변동의 수출가격 전가행태를 분석한 것이다. 특히 국내의 기존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외화위기를 전후로 한 환율전가 행태의 변화, 환율전가의 결정요인 등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두었으며 그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화환율은 수출가격에 불완전하게 전가되고 있는데 외환위기 이전(1981년 1/4분기 ~1997년 3/4분기)에는 환율전가도가 -0.61, 외환위기 이후 기간을 포함한 전 기간(1981년 1/4분기~2000년 4/4분기)에는 -0.39로 각각 추정되어 외환위기 이후 수출기업의 환율전가도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 과도하게 상승(overshooting)하였던 환율이 위기가 수습되면서 크게 하락하였으나 여전히 수출채산성을 보장하는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어 수출가격전가 유인이 크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주종 수출상품의 국제가격 하락추세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수출기업이 가격을 인상할 수 있는 여지도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해석된다. 둘째, 환율변동의 수출가격전가도는 산업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제1차 금속, 비금속광물, 전기기계 · 장치, 펄프 · 종이제품 등에서 높게 나타나고 자동차 · 트레일러, 섬유제품, 일반기계 · 장비, 의료 · 정밀기기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한편 환율전가도가 높은 산업은 대체로 해외 수출시장점유율, 제품차별화 정도, 노동장비율 등이 높은 특성을 보인 데 반해 환율전가도가 낮은 산업은 그 반대의 특성을 나타내어 환율전가도의 크기는 이러한 산업특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부가가치세에서 세 부담의 전가 문제에 대한 고찰

        김두형(Kim, Doo Hyung) 한국조세법학회 2019 조세논총 Vol.4 No.3

        부가가치세는 이론적으로 제조업부터 소매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의 각 사업자가 부담하여야 할 세액을 거래상대방에게 전가하여 끝내 최종소비자에게 부담시킬 것을 예정하고 있다. 다만, 부가가치세는 공급에 따른 대가의 지급을 통해서 사업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세 부담을 전가하기 때문에 거래에 대가성이 없는 경우에는 과세대상이 되지 아니한다. 문제는 과세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경우에 부가가치세를 그 공급을 받는 자로부터 징수하여야 한다는 법조항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상대방에게 전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법률상의 의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법 규정이 선언적 의미를 가질 뿐이고 실제 세 부담의 전가 여부는 거래되는 재화 등의 수요 및 공급의 탄력성과 시장 여건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부가가치세 이론과 달리 실제 거래에서 부가가치세 부담이 거래상대방에게 전가되는지 여부는 거래 당사자 간에 상호 합의에 따라 정해질 일이므로 오로지 시장경제의 원리에 맡겨진 문제이다. 과세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전가하기 위하여 거래징수 했는지 여부는 법리상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의 성립에 상관이 없으므로 과세관청은 세 부담의 전가에 특별한 관심을 가질 필요조차 없다. 따라서 국가 조세정책에 의해서 세 부담을 거래 상대방에게 전가하도록 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으며 일정한 한계가 존재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부가가치세 부담 전가와 관련된 핵심적 법조항인 부가가치세법 제31조는 지금처럼 애매한 의미로 존재하여 해석상 혼란을 초래할 것이 아니라 경제현실에 맞게 개선되어야 한다. 사업자는 거래상대방에게 부가가치세의 원활하고 적정한 전가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여야 한다는 정도로 수정하는 방향이 바람직해 보인다. 그리고 세 부담 전가와 관련하여 부가가치세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나아가 시장경제에서 영세사업자에게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정부는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고 우월한 경제적 지위의 남용을 방지하도록 하는 등 부가가치세 부담의 전가를 담보하거나 유도하는 정책과 방안을 적절히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VAT is theoretically expected to shift the tax amount that each business operator should bear from manufacturing to retail business to the trading partner and finally to the consumer. However, if there is no price for the transaction, it should not be a taxable tax. The problem is that despite the provision that the tax provider should collect VAT from the recipient of the VAT when supplying goods or services, the legal obligation does not arise that the VAT must be shifted, unlike the purpose. The reason is that the law has only declarative meaning. It is reasonable to see that the shifting of the actual tax burden depends on the market conditions. In the end, unlike the VAT theory, whether VAT is transferred to the other party in the actual transaction is a matter of the principle of the market economy. Whether the business operators have collected VAT has no relation to the legal obligation to pay VAT, so the tax office does not even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shifting of the tax burden. Therefore, it is not expected that the tax burden should be transferred by the national tax policy, and there is a certain limit. Therefore, Article 31 of VAT Act, which is a key clause related to the shifting of VAT burden, exists in the ambiguous sense as it is now, and it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reality, not causing confusion in interpretation. The business operator should revise the VAT to the extent that the transaction partner should be able to make the VAT smooth and appropriate shifting. In addition,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VAT system in relation to the shifting of tax burden,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event damage to small businesses in the market economy.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fair trade order and prevent abuse of superior economic status, and implement policies and measures to guarantee or induce the shifting of tax burden in VAT.

      • KCI등재

        환율변동의 수입물가 전가효과 : 우리나라제조업의 4단위분류를 중심으로

        곽태운 한국국제통상학회 2004 국제통상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환율변동의 국내원화표시 수입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3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우리나라 제조업을 대상으로 환율이 변동할 경우 우리나라 수입품의 국내 원화표시 가격이 얼마나 변동하게 되는가를 산업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는 환율변동의 국내수입물가 전가도를 1980년대와 1990년대로 구분하여 시대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는 환율변동의 장단기 가격전가도를 추정하여 단기와 장기간에 환율변동의 가 격전가도의 유의한 차이점 여부를 규명하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가격설정행태를 규명 하고자 한다. 즉 수입가격이 외화표시 즉 공급자통화가격표시(producer currency pricing: PLC)인지 아니면 원화표시 즉 수입자통화표시(local currency pricing: LCP)인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제조업의 환율변동에 대한 수입물가전가도는 전체적으로 단기의 경우 0.3299, 장기의 경우 이보다 약간 높은 0.3866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비교적 낮은 수준의 전가도라 할 수 있다. 산업별로 보면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의 크기는 장단기 모두 산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추정계수의 분포를 보면 단기의 경우 대부분 30-40%대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계수는 단기에 비해 약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의 시대별추정은 매우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다. 즉 80년대 복수통화바스켓시대의 경우에는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의 추정치가 유의성을 보인 산업이 극히 저조했다. 반면 90년대에 들어와서는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는 80년대에 비해 장 단기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LCP가설과 PCP가설에 대한 검정에 있어서는 두 가설 모두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각 되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제조업의 경우 환율변동의 수입물가전가도는 부분전가 즉 불완전전가를 보인 산업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s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using the quarterly data during the 1980:1-2001:1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folds.. First, we estimate the elasticity of exchange rate pass-through(PT) into import prices at a 3-4digit manufacturing level of Bank of Korea's import price index series. Seco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exchange rate PT over time, we perform the empirical estimates for three different sample periods: full sample period(1980:1-20011), two subsample periods(1980:1-19901, 1990:2-2001:1). Finally, we test producer currency pricing(PCP) vs. local currency pricing (LCP) hypothesis to provide evidence partial or complete exchange rate PT. Our theoretical framework follows extensively Dornbusch(1987), Yang(1997), and Campa and Goldberg(2002) who employ monopolistic firms exercising market power and adjusting mark-ups with highly differentiated products in international market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ⅰ) the estimates of exchange rate PT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s very low at 0.3299 for the short run and 0.3866 for the long run. (ⅱ) there is a considerable variation across subindustry. (ⅲ) exchabge rate PT has increased in 90s against 80s. (ⅳ) both cf PCP and LCP hypotheses were rejected in most 3-4digit industries supporting partial PT of exchange rate changes into import prices

      • KCI등재

        환율변동과 기업의 가격설정 행동에 대한 실증연구 : 산업별 마크업 분석을 중심으로 the Mark-up Response in Industry Level

        李基東,李敏煥 한국국제경제학회 2004 국제경제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산업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율변화가 기업의 가격성정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출시장 및 국내시장에서의 마크업 변화를 평가함으로써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제조업 전체로 보아 수출마크업은 1980년대 후반 이후 국내 요소가격의 상승을 배경으로 하락추세를 보이고 있다. 환율변화의 수출가격에의 전가를 보면, 1) 환율변화의 일부가 마크업의 조정으로 흡수됨으로써 수출가격에는 불완전전가됨, 2) 원화가치 하락시의 수출가격에의 전가율이 원화가치 상승시의 전가율을 상회하는 비대칭성을 나타냄, 3) 가공조립형 산업에서의 전가율이 소재형산업에서의 전가율보다 높음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환율전가의 비대칭성은 우리 나라 제조업 기업들이 원화가치의 상승시기에 비록 수출채산성이 악화되어도 가격조정을 통해 수출시장에서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려는 경향에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환율변화는 국내마크업에 대해서는 수출마크업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체계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우리나라 기업이 시장대응형 가격설정(PTM)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욱이 원화가치 상승국면에서의 수출마크업 및 국내마크업에서의 조정폭이 하락국면에서의 조정폭보다 크다는 점은 우리 나라의 기업이 원화가치 상승국면에서 불완전 전가에 의한 수출채산성의 악화를 국내마크업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보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경제위기 이후 기업의 수출가격에의 전가율이 이전보다 낮아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ricing behavior of Korean manufacturers in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by measuring mark-up indicies in industry level. Reflecting the trend of rapid increase in input prices, the export mark-ups in aggregated industry level has been declined since late 1980. From the analysis regarding export mark-up it shows that ⅰ) incomplete pass-through is a pervasive phenomenon because a part of exchange rate changes are absorbed by export mark-ups adjustments, ⅱ) the degree of pass-through into export prices is higher in the depreciation of the won than in the appreciation (asymmetry in pass-through), and also higher in the assembly and processing industries than in the basic material manufacturing industries. Especially the asymmetry in pass-through suggests that in the phase of the strong won the Korean manufacturers have the practice to maintain the market share in export markets by adjustment export prices in spite of export profitability deterioration. And the study shows that the PTM is pervasive in most industries with a varying the relative price r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exchange rate. Furthermore the degree of export and domestic mark-ups adjustment is larger in the appreciation of the won than in the depreciation. This implies that when facing appreciation of the won firms compensate the deterioration in the export profitability by setting the domestic mark-ups high.

      • KCI등재

        Luther on Deification

        Yang-Ho Lee(이양호)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4 신학논단 Vol.77 No.-

        핀란드의 루터 학자인 투오모 마네르마아는 루터 연구를 통해 루터 교회와 동방 정교회 사이의 에큐메니컬 대화에 큰 공헌을 하였다. 마네르마아에 의하면 루터의 득의론은 고대 동방 교부들의 신화(神化, theosis, divinization, deification) 사상과 같다는 것이다. 마네르마아에 의하면 지금까지 서양의 루터 연구가들은 루터의 득의론에 있어서 의의 전가만을 강조해 왔으나, 루터에게는 의의 전가와 함께 의에 대한 참여의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마네르마아에 반해 윌리엄 W. 가르시아는 루터의 득의론에 대한 전통적 해석에 따라 루터의 득의론은 의의 전가를 가르친 것이라고 주장했다. 본고에서는 루터의 득의론에는 의의 전가도 있고 의의 분여도 있음을 입증한다. 루터는 “두 종류의 의”라는 설교에서 죄에 두 가지, 즉 원죄와 실죄가 있듯이 의에도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외래적 의이고 다른 하나는 고유한 의라고 말하였다. 외래적 의는 그리스도의 의가 전가된 것이며, 교유한 의는 외래적 의의 영향으로 우리 안에 형성되는 의이다. 전자가 간주되는 의라고 한다면, 후자는 실제적 의이다. 또한 루터는 득의에는 두 부분이 있는데, 하나는 은총이고 다른 하나는 선물이며, 하나는 용서이고 다른 하나는 조명이라고 보았다. 또한 율법의 제 3용도에 관해서 마네르마아는 루터에게 율볍의 제 3용도가 있는 것으로 보지만, 가르시아는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알트하우스는 루터가 율법의 제 3용도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율법의 제 3용도가 있다고 주장하며, 로제도 루터에게 율법의 제 1용도와 제 2용도가 아닌 또 다른 용도가 있다고 본다. 루터의 본문을 보면 분명히 율법의 제 3용도가 나타난다. 마네르마아는 신성에 참여한다는 사상이 루터에게 있어서 중심적이라고 말하지만, 오히려 루터에게 있어서 중심적인 것은 전가이며, 참여는 주변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핀란드의 루터 학자인 투오모 마네르마아는 루터 연구를 통해 루터 교회와 동방 정교회 사이의 에큐메니컬 대화에 큰 공헌을 하였다. 마네르마아에 의하면 루터의 득의론은 고대 동방 교부들의 신화(神化, theosis, divinization, deification) 사상과 같다는 것이다. 마네르마아에 의하면 지금까지 서양의 루터 연구가들은 루터의 득의론에 있어서 의의 전가만을 강조해 왔으나, 루터에게는 의의 전가와 함께 의에 대한 참여의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마네르마아에 반해 윌리엄 W. 가르시아는 루터의 득의론에 대한 전통적 해석에 따라 루터의 득의론은 의의 전가를 가르친 것이라고 주장했다. 본고에서는 루터의 득의론에는 의의 전가도 있고 의의 분여도 있음을 입증한다. 루터는 “두 종류의 의”라는 설교에서 죄에 두 가지, 즉 원죄와 실죄가 있듯이 의에도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외래적 의이고 다른 하나는 고유한 의라고 말하였다. 외래적 의는 그리스도의 의가 전가된 것이며, 교유한 의는 외래적 의의 영향으로 우리 안에 형성되는 의이다. 전자가 간주되는 의라고 한다면, 후자는 실제적 의이다. 또한 루터는 득의에는 두 부분이 있는데, 하나는 은총이고 다른 하나는 선물이며, 하나는 용서이고 다른 하나는 조명이라고 보았다. 또한 율법의 제 3용도에 관해서 마네르마아는 루터에게 율볍의 제 3용도가 있는 것으로 보지만, 가르시아는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알트하우스는 루터가 율법의 제 3용도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사실상 율법의 제 3용도가 있다고 주장하며, 로제도 루터에게 율법의 제 1용도와 제 2용도가 아닌 또 다른 용도가 있다고 본다. 루터의 본문을 보면 분명히 율법의 제 3용도가 나타난다. 마네르마아는 신성에 참여한다는 사상이 루터에게 있어서 중심적이라고 말하지만, 오히려 루터에게 있어서 중심적인 것은 전가이며, 참여는 주변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거시경제환경의 변화가 환율전가도에 미치는 영향

        이성구 ( Sungkoo Lee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7 금융지식연구 Vol.15 No.2

        본 논문에서는 1980년부터 2016년까지 우리나라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물가수준에 대한 환율의 전가도를 추정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선진국과 유사하게 환율전가도의 감소 추세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물가지수의 선택에 따라 환율전가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등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환율전가도가 시간과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상태-공간 모형의 일종인 시간변동계수 모형을 적용하여 가변 환율전가도를 추정하였는데, 회귀계수가 무작위 보행과정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칼만 필터를 적용하여 가변적인 환율전가도의 추이를 추정한 결과 환율전가도가 2000년대 이후 다소의 등락을 보이면서도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거시경제여건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무역의존도, 환율 변동성,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 변동성, 생산 변동성 등의 주요 거시경제변수와 환율전가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환율 변동성과 인플레이션은 환율전가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무역의존도, 인플레이션 변동성, 생산 변동성은 환율전가도에 각각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extent to which exchange rate changes affect price levels is referred to as exchange rate pass-through(ERPT) in the literature and lies at the heart of various policy debates and numerous empirical studies. Using the quarterly data from 1980-2016, I employed the time varying parameter(TVP) model to capture the time varying ERPT estimates for different Korean price indices such as consumer price index, producer price index, and import price index.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macroeconomic fundamentals, such as trade openness, inflation, the volatilities of exchange rates, inflation and industrial production affect the time varying ERP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macroeconomic fundamentals significantly affect the slow adjustments of the recent ERPT in Korea.

      • KCI등재

        죽산 박형룡의 죄의 전가에 대한 이해 고찰

        이상웅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2 No.-

        As we might know, the Bible explicitly speaks about the sinfulness of man and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sin and the gospel in various ways. In contemporary times, however, there is an abundance of psychological, social, and pathological attempts to explain sin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rather than considering it as a sin. Moreover, as theistic evolution theory prevails in evangelical theology, the claim to the imputation of Adam's sin is weakened, and explanations for the origin of sin and the universality of sin are suggested. With such a situation in mind, in this paper we examines the problem of the imputation of sin, one of the main elements of orthodox Christian sin theory, and discusses the position of Park Hyung-Nong, one of the founders of Korean Presbyterian theology. In Section II,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sin were briefly reviewed. Through this background study, we can see that Park was a theologian who properly digested the theology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Church and introduced Bavinck's Dutch Calvinism to the early Korean church and that the structure of his sin theory is also greatly influenced by Berkhof and Bavinck. In Section III, Park Hyung-Nong's theory of imputation of sin is reviewed in the order of his discussion. After discussing the general nature of mankind's fall and the universality of sin, Park dealt with the issue of the imputation of sin. In dealing with the imputation of sin, Park first presented the biblical basis and organized and introduced several related theories (realistic theory and federalistic theory, mediatie imputation, immediate imputation).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t is revealed that Park's position is taking the federalistic theory and immediate imputation theory. Through this examination, we can not only confirm Park Hyung-Nong's orthodox Reformed position on the imputation of Adam's sin but also be challenged about how to think about sin as the presupposition for the gospel. 성경은 인간의 죄성에 대해서 명시적으로 말해 주면서, 죄와 복음의 관계성에 대해서 여러 가지로 밝혀준다. 현대에는 죄를 죄로 여기지 아니하고,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심리적, 사회적, 병리학적 시도들이 범람하고 있다. 더욱이 복음주의 신학 안에도 유신 진화론이 우세해짐에 따라 아담의 죄의 전가에 관한 주장이 약화되고, 원조상 없는 죄의 기원과 죄의 보편성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본고에서는 정통 기독교 죄론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죄의 전가 문제를 고찰하되, 한국장로교 신학의 정초자 중 한 명인 죽산 박형룡의 입장을 논구해 보았다. II 절에서는 박형룡의 죄론의 구조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그의 죄론의 구조를 살펴볼 때, 벌코프와 바빙크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III 절에서는 죽산이 개진한 죄의 전가론을 그의 논의 순서대로 개관해 보았다. 죽산은 먼저 인류의 일반적 타락상과 죄의 보편성에 대해서 논의한 후에 죄의 전가 문제를 다루었다. 죄의 전가에 대해서 다루면서 죽산은 먼저 성경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관련된 여러 이론들(실재론과 언약론, 간접적 전가와 직접적 전가)을 정리하여 소개해 주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죽산의 입장은 언약적 대표이론과 직접적 전가론을 취하고 있음이 드러난다. 우리는 이러한 논구를 통해 박형룡의 정통 개혁주의 입장을 확인할 뿐 아니라, 복음의 전제로서 죄 문제를 어떻게 생각해야 할지에 대한 도전을 받을 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존 번연의 의의 전가의 교리

        안경율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4 No.2

        John Bunyan, author of The Pilgrim’s Progress and The Holy War, was a novelist regarded as the greatest prose writer, a thorough adherent of Covenant Theology, an excellent preacher and pastor, and a theologian and author who wrote several books on the truth of the Bible though he had just received an education of basic English grammar. In his religious autobiography, Grace Abounding to the Chief of Sinners, Bunyan was often caught up in a guilty conscience at the beginning of his religious life. Even after he resolved to have faith in God, he was still doubtful of his salvation and anxious about it. However as his faith grew stronger, he gradually began to mention God’s and Christ’s righteousness. After that, he experienced true freedom when he realized that he needs the perfect righteousness of God in order to obtain justification from God, that only Christ’s righteousness can be this perfect righteousness, and that Christ’s righteousness should be imputed to him through his being united with Christ so that Christ’s righteousness may be his. In The Pilgrim's Progress, Bunyan clearly shows us his Doctrine of Imputation in the scene where the main character Christian not only lost his burden but also was given a change of clothing. When Christian took his ragged clothes off and put his new clothes on, it shows that God exchanges our sins for God’s righteousness. Also Bunyan suggests the Imputation through the union of Christ and the Saints in the scene of the third angel setting a mark on the forehead of Christian, In The Holy War, Prince Emmanuel not only forgave Mansoul, but also exchanged the clothes of mourning of Will-be-will, Conscience, and Understanding, who are the leaders of Mansoul, for the clothes of praise. And he gave them jewels of gold and precious stones, loosened the ropes that were tying them up and put on golden necklaces instead, all of which show that the righteousness of Christ was imputed to them. In Justification By An Imputed Righteousness, Bunyan emphasizes more clearly that there is no way for us to become righteous before God except by Imputation which was accomplished in the person of Jesus Christ a long time ago and still belongs to Jesus Christ. In short, Bunyan’s Doctrine of Imputation was the same as that of the Reformers and also of his orthodox Puritan contemporaries. He clearly shows that justification of a sinner is only possible by Christ’s righteousness being imputed to sinners, and that this Imputation can be achieved in the union of Christ and the saints. 존 번연(John Bunyan)은 기초적인 문법교육을 받은 것이 전부였지만 『천로역정』(The Pilgrim’s Progress)과 『거룩한 전쟁』(The Holy War)의 저자로서 영국의 가장 위대한 산문작가로 평가받았던 소설가였고, ‘언약신학’(Covenant Theology)의 철저한 신봉자로서 탁월한 설교자요 목회자였을 뿐만 아니라 성경의 진리에 관해 여러 권의 저작을 남긴 신학자요 저술가였다. 번연의 신앙적 자서전인 『죄인의 괴수에게 넘치는 은혜』(Grace Abounding to the Chief of Sinners)를 살펴보면, 그는 신앙생활 초기에 병적이라고 할 정도로 자주 죄의식에 사로잡히기도 했고 믿음을 결단한 후에도 자신의 구원에 대해서 여전히 의심하고 불안해하지만 믿음이 견고해짐에 따라 차츰‘하나님의 의’와 ‘그리스도의 의’에 대해 언급하기 시작한다. 이후 그는 자신이 하나님께 의롭다고 인정을 받으려면 하나님의 완전한 의가 필요하며 이의는 오직 그리스도의 의밖에 없다는 것과 이 그리스도의 의가 자기의 것이 되기 위해서는 그리스도와 자신의 연합을 통해 그리스도의 의가 자기에게 전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깨닫고 진정한 자유를 경험하게 된다. 『천로역정』에서도 번연은 우리에게 주인공 크리스천이 십자가 앞에서 단지 그의 짐을 벗을 뿐만 아니라 옷을 갈아입는 장면을 통해서 그의‘의의 전가’의 대한 교리를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크리스천이 누더기 옷을 벗고 새 옷을 갈아입는 것은 하나님이 우리의 죄와 하나님의 의를 교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번연은 세 번째 천사가 크리스천의 이마에 표시를 하는 장면에서 그리스도와 성도의 연합을 통한‘의의 전가’도 암시하고 있다. 『거룩한 전쟁』에서는 임마누엘(Emmanuel) 왕자가 맨소울(Mansoul)을 용서할 뿐만 아니라 맨소울의 지도자인 ‘자유의지’(Will-be will), ‘양심’(Conscience), 그리고 ‘명철’(Understanding)이 입고 있던 애통의 옷을 벗기고 찬양의 옷을 입힌 후 그들에게 금과 진귀한 보석을 주고 그들을 얽매고 있던 밧줄을 풀고 대신에 금목걸이를 걸어주었는데, 이 모든 것이 그리스도의 의가 그들에게 전가된 것을 나타낸다. 번연은 『전가된 의에 의한 칭의』(Justification By An Imputed Righteousness)에서 죄인은 오래 전에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안에서 성취되었고 여전히 예수 그리스도께 귀속되어 있는 그 의의 전가에 의하지 않고서는 하나님 앞에서 의롭게 될 다른 방법이 없음을 더욱 분명하게 강조한다. 요약하면, 번연의 ‘의의 전가’의 교리는 개혁주의와 동시대 정통 청교도의 ‘의의 전가’의 교리와 동일하다. 그는 오직 그리스도의 의가 죄인에게 전가되는 것에 의해서만 죄인에 대한 칭의가 가능하고, 이‘의의 전가’는 그리스도와 성도의 연합 안에서 성취된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