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선감의록>의 적장자 콤플렉스

        조광국 ( Jo Kwangkuk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8 No.-

        <창선감의록>은 종법주의가 확립되는 흐름 속에서 차세대 가부장인 적장자에 의해 발생하는 가문의 위기를 정면에 내세워 그 문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을 선보였다. 본고에서는 그 문제의 발생과 해소 과정을 적장자 콤플렉스 차원에서 해명하고자 했다. 화춘의 적장자 콤플렉스는 카인 콤플렉스, 특히 카인의 장남 콤플렉스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바 보편성을 지니며, 한편으로 시대적·작품적으로 적장자 콤플렉스라는 특수성을 띤다. 화춘의 적장자 콤플렉스는 화춘 개인을 넘어서 심부인의 종부 콤플렉스 그리고 조월향의 총부 콤플렉스와 결합하면서 확대·심화되어 마침내 가문 차원의 콤플렉스로 자리를 잡는 일련의 과정을 밟는다. 이에 <창선감의록>은 우리 문학사에서 적장자 콤플렉스를 노련하게 다룬 최초의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렇게 확대 심화된 적장자 콤플렉스는 차남 화진에게 전가되어 그가 짊어지고 해소해야 할 것이 되는데, 화진은 지극한 효제로 가문 차원에서 자리를 잡은 적장자 콤플렉스를 해소하기에 이른다. 화진의 효제는 심부인·화춘 모자에 대한 효제를 넘어서서 가문에 대한 효제로 수렴된다. 그 가문에 대한 효제라는 것이 일정 부분 종법질서에 흠결이 없는 가문에 대한 효제의 성향을 띠는바, 종법주의 실현의 요체로 작동한다. 그와 관련하여 효제는 그 자체를 위하는 무조건성과 그 자체에 복이 내재되어 있는 필연적 보상성을 띰으로써 종법주의 이념에 당위성과 필연성을 부여한다. 그리하여 화진의 효제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화욱(가부장)-화춘(적장자)-화천린(입후자)’의 종법주의를 실현하는 요체로 구현된다. 그런데 종법주의가 어떤 상황을 막론하고 절대적인 것으로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왕가의 경우에는 종법에서 벗어나는 것을 인정함으로써 다소 유연하게 구현되는 양상을 띤다. 이렇듯 적장자 콤플렉스의 해소를 통해서 종법주의가 실현되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그런데 작품 곳곳에 근원적인 죄의식과 심리적 고통이 매우 강하게 배어난다. 그런 죄의식의 고통은 적장자 콤플렉스 내지는 적장자 문제와 맞닿아 있다. 이는 종법주의가 반드시 실현해야 할 이념으로 제시될수록 그에 상응하여 언제든지 적장자 콤플렉스가 분출될 수 있음을 방증한다. 적장자 콤플렉스가 표리관계를 이루기 때문이다. In the late Joseon Dynasty, patriarchal ideology became central to the family and the clan, and once again became acutely felt with "the familism of clan rules that centered around a legitimate and eldest son." The establishment of the family-clan system, though somewhat complex, was largely aimed at the family line of "a paternalist-a legitimate and eldest son." The trend wa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family, but rather, was a historical and social trend. Changseonggameirok showed how to solve the family crisis by setting up a problem for the next generation's patriarch.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issue of Hwachun’s complex as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First, it suggests that Hwachun’s complex is as universal as the Cain complex, also known as the eldest son complex, and that Hwachun’s complex is a special instance of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in Changseonggameirok. Next this paper studies the aspects of Hwachun's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combined with Mrs. Sim's complex, as well as her daughter-in-law's complex, and eventually tracks the development of the family-clan complex. As a result, we've come to a new conclusion that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was found in Changseonggameirok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fact that when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was transferred to Hwajin, it became a family complex that Hwajin had to contend with; this paper tracks the process wherein Hwajin's filial piety solved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As a result, we realized that Hwajin's filial duty and brotherly love went beyond his feelings for Mrs. Sim and Hwachun, and supported the substantiation for “the familism of a clan that is based on rules of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in the course of public opinion. However the familism of these rules was not embodied in the absolute; in the royal family, for example, it was rather flexibly implemented when the characters admitted to breaking the law. In addition, this paper provides the room for a critical reading of Changseonggameirok, reflecting back on the underlying guilt and psychological pain of the characters who are affected by the particular rules, and concluding that guilt and suffering are fundamentally insoluble. This is because the two ideas, “the legitimate and eldest son complex” and “the familism of a clan rules centered on a legitimate and eldest son”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 KCI등재

        한말 한 종가의 입후(立後)를 둘러싸고 발생한 사건들

        허원영 ( Won Young Heo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5

        성리학적 유교사회였던 조선후기 사회의 지배층은 양반 사대부집단이었다. 양반사대부들은 문중이나 종족(宗族)과 같은 친족집단을 구성함으로써 혈연과 신분에 기초한 지배질서를 유지해 나갔다. 종법은 바로 양반 사대부들의 친족집단을 구성하는 기본이 되었던 제도였다. 그리고 그 핵심에는 적장자에 의한 종통(宗統)의 계승이 놓여 있었다. 조선후기 사회에서 적장자가 한 가문의 대를 잇는다는 것은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서는 것이었다. 그것은 해당 친족집단 전체의 문제였으며, 나아가 성리학적 사회질서의 유지라는 측면에서 국가적 문제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적장자의 부재는 단지 한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었다. 적장자의 부재는 해당 친족집단 전체의 위기로 받아들여졌으며, 집단 내 해당 항렬에 속하는 자를 새로운 적장자로 입양함으로써 상황에 대처하였다. 그리고 국가에서는 입후제도를 통하여 해당 행위를 승인, 통제하였다. 이 글은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의 시기에 조선의 대표적 양반가문에서 발생한 적장자의 입후를 둘러싼 사건들을 재구성한 것이다. 이 가문은 동래정씨 정난종 종가로, 현 경기도 군포시 속달동에 세거해 왔다. 문중에서 소장해 온 다량의 고문서 등의 자료들을 통하여 해당 사건들을 상당히 치밀하게 재구성할 수 있었다. 사건은 19세기 후반 종손 학묵은 대를 이을 규석이 아들이 없이 사망하면서 발생하였다. 종손의 대를 잇기 위하여 학묵은 규석의 계후자로 덕진을 입후하였으나, 덕진역시대를 이을 아들을 낳지 못한 채 사망하고 만다. 이에 문중에서는 규선을 학묵의 새로운 적장자로 입후하였다. 이 과장에서 문종 구성원들 사이에 갈등이 발생하며, 여기에 국가가 직접 개입하였다. 그러한 와중에 규석의 처 한양조씨가 친정으로 돌려보내 지는데, 이를 둘러싸고 정씨와 조씨 양 집안에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는 이러한 구체적인 사건들의 전개를 추적함으로써 적장자 중심의 종법질서가 지배한 전통사회의 개인과 가족의 삶을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종법의 표방 이면에 존재했던 각 인물들의 실제적인 경제적, 정치적 욕구의 대립을 통하여 종법질서의 균열이 시작되는 지점을 감지할 수 있다. Yangban literati are believed to be the social ruling class of the later Choson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y kept status system based on ties of kinship by forming clans and lineage. Moreover, the agnatic principle is fundamental to form their kinsfolk, and where direct lineal descendants should fall heir to their family. In those days, the fact that direct lineal descendants carry on a family line is not just limited to a person or a family, but to a clan. Looking upon maintaining a social order based on Confucianism, it is extended to a nation. In this point, the absence of direct lineal descendants threatens not only specific family but also the whole clan. In such cases, they adopted a person belongs to degrees of kinship as their heir, and which is approvable at the national level. This article is to reorganize what happened over a direct lineal descendant`s establishing an heir of a Yangban family from the later 19th century to the earlier 20th century. This family is the most senior line of Dongrae Cheong, Cheong Nan-jong. They made a settlement in Sokdal, Gunpo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y hold a large amount of document, and which makes it possible to reorganize above incidents closely. It resulted from the death of Gyuseok who was expected to carry on a family line next to Hakmuk, lineage grandson but died without an heir. Unavoidably, Hakmuk adopted Deokjin as their heir instead of Gyuseok. Deokjin is gone without a son to carry on a family line, either. Under these circumstances, Gyuseon is adopted as their new heir. Going through the process, the kin conflicted each other, and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a dispute. Besides, Gyuseok`s wife is sent to her maiden home, and which caused a conflict between Cheong`s family and that of Cho. It is possible to give a vivid description of a person or a family`s life under the agnatic principle of the traditional times by following above mentioned incidents in the concre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atch where to disturb the order of the agnatic principle by approaching their veiled clash of political and economical wants.

      • KCI등재

        玉所 權燮과 18세기 가족문화

        박영민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0

        This study examined aspects of patriarchy and family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mid-17th century to the mid-18th century through the family of the Oakso(玉所) Gwon-Seop(權燮). Currently, academia says that from the mid-17th century to the mid-18th century, when Oakso survived, the patriarchal system was harden into the legitimate child(嫡長子). However, if you look at the Oakso family,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patriarchal system of Joseon society during this period was a one-sided the legitimate child(嫡長子). Oakso had the seats of his wife in the place where he would be buried after his death, but did not have the seats of concubine. It also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to raise a family to the legitimate child. However, the direction of dealing with the concubine and child of a concubine of the Oakso family clearly discriminated against the legitimate child, but it was not driven out of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Rather, he was very active in leading the family. Therefore, in order for us to properly approach the reality of patriarchy and family culture in Joseon society from the mid-17th century to the mid-18th century, we must be able to capture and explain various cultures within each family in detail. This study attempted to open an opportunity to note that various family cultures existed at the base of the patriarchal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mid-17th century through the family relations of the Oakso family. 본 연구는 玉所 權燮(1671-1759)의 가문을 통해 17세기 중엽부터 18세기 중엽까지의 조선시대의 가부장제와 가족문화의 한 양상을 고찰하였다. 현재 학계에서는 옥소가 생존하였던 17세기 중엽부터 18세기 중엽에 가부장제가 嫡長子中心으로 硬化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옥소 가문을 살펴보면, 과연 이 시기 조선사회의 가부장제가 적장자중심 일변도였던가에 대한 의문이 든다. 옥소는 자신이 사후에 묻힐 자리에 초취부인과 재취부인의 자리는 두었으나 소실의 자리는 두지 않았다. 또 적자의 자손에게 가문을 일으킬 책임을 강조하였다. 그런데 옥소 집안에서 소실과 소실 소생들을 대하는 방향은 적장자와 분명한 차별을 두면서도 가부장제의 경계 밖으로 몰아내는 모습이 아니었다. 오히려 매우 적극적으로 가문의 일원으로 이끌었다. 옥소는 소실 이씨와 60여 년을 함께 하였고 재취부인 조씨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약 30여 년을 소실 이씨와 함께 하였다. 또 옥소는 노년에 서자인 善性과 서손인 信應에 의지하는 바가 매우 컸다. 그래서 분재를 할 때에도 선성과 신응에게 그들의 효도와 재능을 인정하며 서책, 예술품, 전답을 나누어주었다. 따라서 우리가 17세기 중엽 이후 18세기 중엽까지의 조선사회의 가부장제, 가족문화의 실상에 제대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가문 내부의 다양한 문화를 세밀하게 포착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옥소 가문의 가족 관계를 통해 17세기 중엽 이후 조선시대의 가부장제의 저변에 다양한 가족문화가 존재하였음을 주목하는 계기를 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남성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창선감의록』의 형제 다툼의 양상과 의미

        윤정안 ( Yoon Jeong-ahn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한국문학연구 Vol.- No.67

        이 글은 『창선감의록』을 남성성의 관점에서 해석해 본 것이다. 조선은 유교사회로 진입하면서 가부장을 중심으로 가문을 운영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맏아들을 적장자로 삼는 제도가 자리한다. 『창선감의록』의 화춘과 화진은 이로 인해 갈등을 빚게 되는데, 화춘은 생물학적인 우위를, 화진은 품성과 능력에서 우위를 보인다. 두 조건이 충족되어야 적장자로서 적합하고 가부장이 될 수 있는데, 화춘과 화진은 한 가지씩 결핍되어 있었다. 가부장인 화욱은 상춘정에서 화춘을 질책하며, 화진보다 능력과 품성이 못하다는 것을 공식화한다. 이로 인해 화춘은 적장자의 자리를 빼앗길지 모른다는 강박에 시달리게 된다. 이 강박은 화진과 그의 주변 사람들을 괴롭히는 것으로 표출된다. 그러나 화춘은 범한, 장평, 조씨에 의해 조종되는 것으로 형상화되면서 악인보다는 어리석은 인물로 묘사된다. 따라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고 뉘우친다면 다시 적장자로서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다. 한편 화진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효를 구현한다. 이로 인해 자신의 목숨도 지킬 수 없고, 아내인 남채봉과 윤옥화에게는 무책임하다. 그러나 화진을 비롯한 주변 사람들은 오로지 효를 중시함으로써 화진의 이러한 문제를 가려 버린다. 화춘과 화진은 모두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구현하는 것 같은 화욱조차도 마찬가지이다. 화춘은 뛰어난 능력과 품성을 갖춰야 한다고 강요받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화욱의 폭력을 경험하고 화진을 강박적으로 괴롭힌다. 화진은 뛰어난 능력과 품성을 갖춘 것으로 등장하지만, 실은 자신조차 돌볼 수 없을 정도로 무기력하며, 효에 경도되어 자신의 아내를 위험으로 내몬다. 두 형제는 물론 가부장인 화욱, 윤옥화, 남채봉, 심씨 역시 모두 가부장제의 억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창선감의록』의 여성 인물은 물론 남성들 역시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공모적이자 종속적이며 가부장제에 의해 억압되어 있다. 그런 점에서 『창선감의록』은 가부장제가 스스로를 유지하기 위해 두 형제를 희생시키는 서사로 규정할 수 있다. This article interprets Changseongameuirok(彰善感義錄) in perspective of masculinity. As Joseon(朝鮮) entered the Confucian society, it operated a family led by the patriarch. At the heart of it is a system in which the eldest son inherits legitimate and eldest son. This led to a conflicts between Hwachoon(花瑃) and Hwajin(花珍) in Changseongameuirok. Hwachoon has a biological advantage, and Hwajin has an advantage in personality and ability. They have to have both conditions to be patriarchal. By the way, Hwachoon and Hwajin each had one deficiency. Hwawook(花郁), the patriarch, rebukes Hwachoon at Sangchunjeong(賞春亭). And he formalizes that Hwachoon is worse at ability and personality than Hwajin. Because of this, Hwachoon suffers from an obsession that he may lose position of legitimate and eldest son. This obsession is expressed as bullying Hwajin and the people around him. However, Hwachoon is portrayed as a fool rather than a villain, being shaped as being manipulated by Beomhan(范漢), Jangpyeon(張平), and Ms Cho(趙氏). Therefore, if Hwachun realizes his mistake and repents, he can return to his position as legitimate and eldest son. Hwajin, meanwhile, embodies nearly impossible filial piety. As a result, he cannot protect his life and is irresponsible to his wife Nam Chae-bong(南彩鳳) and Yoon Ok-hwa(尹玉花). As a result, he cannot protect his life and is irresponsible to his wife Nam Chae-bong and Yoon Ok-hwa. However, Hwajin and other people around him only value filial piety, thus masking this problem. Neither Hwachun nor Hwajin are free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Even Hwawook, who seems to embody hegemony masculinity, is like them. Hwachoon is forced to possess outstanding abilities and personality, he experiences Hwawook's violence and obsessively torments Hwajin. Hwajin appears to have excellent abilities and personality, but in fact, he is so lethargic that he can't even take care of himself, and is hard-nosed by filial piety that he puts his wife at risk. Not only the two brothers, but also the patriarchs Hwa-wook, Yoon Ok-hwa, Nam Chae-bong, and Ms Shim, are not free from the oppression of patriarchy. Both the female and male characters in Changseongameuirok are complicit and subordinate to hegemony masculinity. And they are suppressed by patriarchy. In this regard, Changseongameuirok can be defined as a narrative in which patriarchy sacrifices two brothers to maintain itself.

      • KCI등재

        元宗의 追崇問題

        장세호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원종(元宗)의 추숭문제(追崇問題)

        장세호 ( Se Ho Ch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유가(儒家)가 이상적인 제도로 내세운 봉건제도는 종법(宗法)을 전제로 한다. 종법은 가족제, 가장제, 세습제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것은 존존(尊尊)의 원리에 기초한 적장자(嫡長子) 상속제도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여기서 가장은 가족을 통제하는 강력한 가장권을 가지게 된다. `가무이존(家無二尊)` `가무이주(`家無二主)` 등의 표현이 단적으로 그 권력을 말해 준다. 가무이존은 바로 정통(正統)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정통은 가통(家統)을 바르게 하고, 왕통(王統)을 바르게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가통의 측면에서는 한 가정에 두 아버지가 없는 것이며, 왕통의 측면에서는 두 임금이 없는 것이다. 유학의 본래 정신인 종법체제의 확립을 위하여서는 정통을 확립하여야 하는 것이다. 추숭문제(追崇問題)는 왕통과 가통의 문제 사이에서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왕위계승문제가 종법에서처럼 적장자가 계승을 하게 되면 애당초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왕통이라는 것은 꼭 적장자가 왕위를 승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은 제왕가(帝王家)에서는 승통(承統)을 중시하기 때문에 승통하는 것에 따라 위인후자(爲人後者)의 예법을 적용시켜, 父子의 도리를 행하면 된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대통(大統)에 입계(入繼)하기 이전의 사가(私家)의 정에 너무 얽매여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가통과 왕통을 엄연히 구별할 뿐만 아니라 왕통을 바로잡는 것이다. 그래서 인조(仁祖)의 경우도 정원군(定遠君)이 비록 선조(宣祖)의 아들이라고는 하나 인조가 선조의 왕위를 계승하였다면 당연히 정원군을 원종(元宗)으로 추숭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사계의 일관된 주장이다. Injo rised king for reforming the government. It is different to Senjo(宣祖) has succession by the Royal line. Injo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Jongwonkun that daewonkun by Park ji ke and his disciple Yi ye kil and many people`s suggestion. Therefore Jung won kun becomes Wonjong. But Sake considered 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追崇) has problem. Being Park ji ke persistents from quote no reasons and blamed. Also, Sake persistents not Jongwonkun(定遠君) was set up a mausoleum in Chusong but Nengwondaekun that Injo`s brother had to manage sacrificial rites. Sake`s blamed persistense constructs by all that Chunchu kang mock`s(春秋綱目) term. As two sun must not in the sky, two origin must must not in family is suggestion of Sake corrects tong. That is said keep in Jongtong(正統).

      • KCI등재

        조선후기 호적을 통해 본 계보와 사회적 네트워크; 17,18세기 대구월촌(大邱月村) 지역 단양(丹陽) 우씨(禹氏) 가계 형제 간 사회,경제위상의 분화

        주매 ( Mei Zh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大東文化硏究 Vol.83 No.-

        세대가 내려갈수록 자녀수가 계속 늘어나는데 비해, 가계의 전반적인 재산이 계속 확대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재산을 어떻게 상속하는가는 가계의 사회?경제위상의 유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몇 세대에 걸친 분재기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부분을, 본고에서는 17세기 말부터 18세기 후반까지의 호적에 나타나는 단양우씨 사례를 통해 부의 분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단양우씨 가계의 적장자가 제사봉행의 역할을 담당하고, 가계계승이란 중책을 맡아야 한다는 인식은 이미 17세기 말부터 공유되어 왔다. 그리고 장자우대를 통해서 장자가계의 경제력 우세를 유지하고 확대해야 한다는 인식 또한 이미 공유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장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변화가 개별 가계의 재산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가계 내 경제위상의 중심은 대부분 적장자가계에 있었다. 장자가계와 차자가계 간의 재산 격차는 18세기 후반까지 계속 유지되었다. 그러나 적장자의 경제위상의 중심적 위치 자체가 곧 가계내의 중심적 위치를 의미하지는 않았다. 단양우씨의 종손가계 및 그와 가장 가까운 가계가 사회?경제위상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하지만 장자뿐만 아니라 차자 사이에서도 적지 않은 과거급제자를 배출하여, 어떤 경우 차자가 장자보다 더 높은 사회위상을 가질 수도 있었다. The children numbers increase while the generation goes down. In the mean time, it is not easy to expand the family wealth. So the succession to a family property gives deep impact to the family`s soci-economic status. In order to figure out wealth differentiation in a generation shift, this paper will look at Danyang U family by using household register from the end of 17th century to late 18th century instead of family property division documents. The perception that eldest son has to take charge of ancestral rites and family succession had been shared among Danyang U family, as well as maintaining and expanding first son`s economic position through first son preferential succession. This perception transition influences the formation of family property. In most cases, the center of family economy lies in first son. The economic difference between first son and other sons continued in some degree to late 18th century. But the economic preferential position of first son does not mean his central position in family. The eldest grandson and his close family`s descendants totally hold higher soci-economic status in Danyang U family. But the people who pass the state examination is not only from first sons, sometimes sons with other birth orders can get higher social status than the first son.

      • KCI등재후보

        「寇萊公貞忠直節記」에 나타난 계후 갈등의 양상과 의미

        張欣(ZHANG XIN)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30 No.-

        「寇萊公貞忠直節記」는 중국 북송시대의 재상인 구준을 주인공으로 한 대장편소설이다. 본고는 「구래공정충직절기」에 나타난 계후 갈등의 양상과 서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자 한 것이다. 작품에서 계후 갈등은 정실 조씨가 아들 구준을 낳으면서부터 야기된다. 후처인 석씨는 아들 구한의 종사 지위를 지키려고 계교를 꾸며 조씨와 그 아들 구준을 모해하는 과정을 세 번에 걸쳐 실행한다. 구준의 혈통을 부정하기, 구준을 도둑으로 몰기와 구준의 부부와 부자 사이를 이간질하기 등 여러 방도로 구준을 모해하였는데 끝내 실패한다. 구준은 계후 갈등을 통해 적장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하게 되는데 계후 갈등의 서사적 의미를 다음과 세 가지로 찾을 수 있다. 하나는 계후 갈등을 통해 적장자로서의 구준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 하나는 계후 갈등을 통해 부친 구영과 대립적인 이미지를 확인함으로써 이는 구준의 적장자로서의 자격에 정당성을 부여한 것, 다른 하나는 계후 갈등을 전개하는 서사 기법에서 흥미성을 부여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Gragongjeongchungjikjeolgi〉 is a super full-length story with Gu Jun as a main character, who was a prime minister of North Song, China. The representative one among those is conflict for the position of heir. The conflict for the position of heir in this work broke out when the official wife Jo produced a son Gu Jun. The patriarch Gu Yeong insisted that the son of Jo must be the heir of Gu family saying that he was the qualified son. Seok executed her plots to do a harm to Jo and her son Gu Jun three times by devising schemes to keep her son"s position as the heir. But Gu family was to be destroyed by this third accusation. Gu Jun appeared at that time to save his father. The reason the author planed plot in this way is first, the author presents Gu family"s crisis to collapse due to Seok"s wrong pursuit of desire, and second, establishment of Gu Jun"s position as a patriarch of Gu family by his role in saving Gu family"s getting out of collapsing crisis. In the process of dealing in confliction for the position of official heir in 〈Gragongjeongchungjikjeolgi〉, how Gu Jun grew up as the official heir of the family could be confirmed. Gu Jun grew up from a baby cling to his mother with no ability to do anything to a person with outstanding judgement and filial piety which was necessity of the time. This is super full-lengh novel"s typical process of growth of main character.

      • KCI등재

        양자제도를 통해 본 조선후기 가족구조와 가계계승: 의성김씨 호구단자 분석을 중심으로

        박수미,Park, Soo-Mi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2

        이 글은 조선후기 호적자료외 양자계승기록을 단서로 조선후기 양반가족의 가계계승 원리와 가족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의 분석자료는 1669년에서 1913년까지 의성김씨 호구단자이다. 분석 결과 조선후기의 가족형태와 조선전기나 조선중기의 가족형태 사이에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는데, 그 변화의 방향은 부계계승원리의 강화이며 그 한가운데 양자제도가 자리하고 있었다. 분석자료의 전체 호구 평균가구원수는 5.66명으로 17세기 초에 비해 가족규모가 매우 커졌으며 가족구성원의 친족 범위도 매우 넓어져, 17세기 초 양반가의 가족원이 되는 근친자 종류가 6종의 자였던 데 비해 의성김씨 호구단자에 나타난 그것은 무려 70종이었다. 조선전기 양반가 분석결과와 달리 의성김씨 집안의 가족형태는 직계가족, 방계가족의 비율이 45%를 넘을 뿐 아니라 18세기, 19세기 모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족형태는 확대가족이고 부부가족의 비중은 1/3 수준으로 약화되는 등, 가구구성의 친족범위가 더욱 확장되었다. 의성김씨 호구단자에서 입양을 통해 가계를 계승한 사례는 전체 호구 가운데 무려 33.8%에 이른다. 적장자가 호주자리를 승계할 때까지 살아 있을 확률이 낮았던 당시의 인구학적 환경 속에서 적장자가계계승 원리를 확고하게 지키는 방법으로 활용된 것이 양자제도였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종족집단은 자신의 직계혈통에게 가계를 계승하는 것보다도 입양을 통해서라도 '적장자 자리'라는 명분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했던 사회이고 이런 양반가의 소임을 다하기 위해 적임자를 찾을 때까지 호주대리인을 내세우는 등 양자제도를 보편화시켰던 것이다. 또한 제작된 믹서는 외부의 IF 발룬을 필요하지 않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 및 제작된 94 GHz MIMIC single balanced cascode믹서는 기존의 balanced 믹서와 비교하여 높은 격리 특성을 나타내었다.L 및 FPG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구현 검증되었다. 0.25um CMOS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합성하였을 때, 총 게이트 수는 37K개였으며 7.5개의 라인 메모리가 사용되었다. 추적관찰이 필요하겠다.다.참굴 D상 유생을 대상으로 먹이효과를 조사한 결과 실험구와 대조구간 유생의 성장 및 생존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C$에서 73.3%, $10^{\circ}C$에서 63.3% 및 $5^{\circ}C$에서 56.7%로 수온이 $30^{\circ}C$ 이내에서는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염분에 따른 잠입 실험 결과는 실험 개시 300분 경과 후 염분 30 psu에서 93.3%로 가장 높았고, 35 psu에서 90.0%, 25 psu에서 83.3%, 20 psu에서 60.0%, 15 psu 이하에서는 거의 잠입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적정 살포를 위한 잠입률은 치패의 크기와 상관없이 저질종류는 모래 (75%) + 뻘 (25%), 입자크기는 1 mm 모래에서 높게 나타났다. 공기 중 노출시간은 짧을수록, 수온은 $30^{\ci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principle of family succession and family patterns of yangban in the late Chosun period through an analysis of male adaptation cases found in family registration records. The primary source of analysis is th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of Uiseong Kim'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ubstantial change in the patterns of family from the early and mid Chosun period to the late Chosun period. The change is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atriarchy succession through male adoption. Looking at the data as a whol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is increased and the membership of kinship also expanded. In contrast to the family patterns of the early Chosun period, not only the patterns of Uiseong Kim's family are predominately immediate family or collateral family but also the majority is extended famil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male adoption cases recorded in Uiseong Kim's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ake up 33.8% of the male adoption cases in the entire family registration documents. This goes to show that the strengthening of the principle of primogeniture succession at a time when child mortality rate is very high resulted in the increase of male adoption. In conclusion, the late Chosun society was a society where the seat of primogeniture was much more important than immediate hereditary members in the family succession.

      • KCI등재

        매산(梅山) 예설(禮說)에 대한 일고찰(一考察)-『매산선생예설(梅山先生禮說)』 통례(通禮)를 통해 본 매산(梅山)의 종통(宗統) 전승(傳承)에 관한 인식-

        이영준 ( Lee Young-jun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본고는 李鎭玉이 편찬한 『梅山先生禮說』 通禮의 綱 가운데에 宗法, 出後, 次養, 侍養, 攝祀 등의 항목를 통해 洪直弼의 宗統 傳承에 대한 인식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程朱性理學을 國是로 삼았던 조선조에서 종통의 전승에 관한 예법인 `종법`은 사회를 유지하는 기초 질서였는바, 이는 매산의 예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매산은 家系의 승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次子가 아닌 嫡長子로 종통을 이어가야 한다는 원칙을 강력하게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부득이한 상황에서는 옛법을 고려하여 차자에게 傳重하는 것을 인정하기도 하였다. 또 嫡庶의 구별에 있어서는 嫡子와 庶子의 구분을 엄격히 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지만, 천륜 관계를 배제하지 않아서 서자가 부친과 적자인 아우의 喪을 주관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서자가 집안의 嫡統을 계승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는 族子를 양자로 들이기보다는 핏줄이 직접 닿아 있는 서자를 후사로 세우는 것이 국법에서도 허락하는 바이고 禮經에도 근거가 있는 바이며 人情에도 부합하는 바임을 들어서 그 타당함을 밝혔다. 本生家에 대해서는 그 屬稱과 예법을 所後家와 엄격히 구별하여 차등을 두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였다. 다만 인정을 참작하여 本生父母의 墓道文字 등에서는 자신을 `不肖從子`라고 칭하여 여느 伯ㆍ叔父母와 다름을 보이면서도 본생부모에 대한 사사로운 정을 펴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次養과 侍養에 대해서는 세속에서 시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예법에 없는 것임을 밝혀 원칙적으로는 불가하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시양은 길러준 인정을 고려하여 시양손의 당대에 제사를 지내는 것까지는 허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매산은 예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판단할 사안이 발생하였을 때에 항상 `經`이라는 원칙을 우선하면서 人情과 實情을 함께 고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원칙적인 예법을 고수하는 가운데에 人情을 참작하여 `變通`의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는바, 이는 經의 범주 안에서 알맞은 길을 찾은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종통 전승에 관한 예설 저변에 일관되게 깔려 있다. This article surveys Hong Jikpil`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through his 梅山先生禮說(Theories on Rites by master Maesan) compiled by Yi Jin-ok(李鎭玉), especially focused on the items of 宗法, 出後, 次養, 侍養, 攝祀 of its 通禮(Rites in general). In Joseon dynasty which adopted Neo-Confucianism as a national policy, it was lineage system which maintained public order rightly and it was same to Hong Jikpil. Hong strongly kept the principle of succession by the eldest legitimate son(嫡長子), however he also allowed succession by the second legitimate son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accounting the old rituals. He maintained the principle of the strict distinc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lines of descent, but he, on the other hand, also admitted that a illegitimate son could hold a funeral of his father and legitimate sons which meant that he did not break moral laws of family relationships. He also regarded succession by a illegitimate son as appropriate rather than adopting a relative who had no blood relationship in respect that first, it was permitted by national law; second, it was based on Classic of Rites; and third, it was appropriate to human feelings. As to the title and rituals for the original family of adopted son(本生家), he kept the principle of rigid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family and the family he adopted(所後家). But he asserted that one should share one`s natural feeling to one`s original parents that he called himself as an `unworthy` nephew in the epitaph of his original parents which show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parents who as a result had become an uncle and aunt, and the ordinary uncle and aunt. As to the second adopted son(次養子) and an adopted son regardless of succession(侍養子), he insisted that they are in principle illegal according to ancient ritual though they were widely accepted and conducted among people. He added however, 侍養子 c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adoptive parents. He believed that this would be appropriate to human feelings. It is presumable that Hong gave priority to the principle of JIng(經) while considering human feelings and the realistic situation when a judgement on theories on Rites was needed. He on the one hand strongly kept the ideal theories on Rites, and on the other hand suggested the way of 變通(accommodating to circumstances) which was the result of consideration of human feelings. It is assumable that this standpoint which compromises the ideal with the reality underlies hi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