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저작권 간접침해행위의 규제 - 판례·학설 및 입법적 동향을 중심으로 -

        전성태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1 지식재산연구 Vol.6 No.3

        In the research field of the copyright, great attention has been shown to the question, not only the behavior which infringes copyrighted materials directly without authorization but also the liability of the particular group providing the consistent expedient of the copyright's direct infringement and leading to the copyright's infringement. Especially, the OSP's liability which is a sort of copyright's indirect infringement calls attention to the central problem in Korea. As to the OSP's liability, our case law states the views that the Clause 760, Article 3 of the Korean civil law is at the basis of the written law in respect of the OSP's liability. On this wise, the theory is of the same opinion with these case law to construct the joint tort for the abetment and backing theory. Nevertheless, in Japan having similarities of the legislative system toward copyrights with Korea, a variety of the legal principles is used as the solution of copyright’s indirect infringement via the case law. Above all, the Karaoke theory is a good example of this solution. This principle of law expands the central using body of copyrighted materials and requires to the 'control' and 'benefits' conditions. If this principle of law expands consecutively and fulfils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control' and 'benefits', despite the fact that infringed copyrights directly, this is used in the legal principles deeming a copyright's infringement. In addition, the legal principles of aiding and abetting are universally applicable as the legal theory of solution into the copyright’s indirect infringement.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the civil case, although an illegal act by abetting generally does not presume the injunctive relief, the copyright’s indirect infringement is presumed the injunctive relief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s of abetting in nature. However it is criticized continually because the legal principles of the case law can not make sure of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For this reason, the legislative reviews implements unceasingly to secure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about the copyright’s indirect infringement in Japan. In this respect, the legal principles of abetting to be commonly accepted have much to contend with the uncertainty of the obligation scope among the indirect pirates in Korea.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the Japan's attempt to find the solution legislatively has great implications for us. I am convinced to reckon that it is a just time when we make greater discussions and legislative efforts of regulating the copyright’s indirect infringement to assure the legal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within the copyright law. 저작권(copyright) 분야에서는 저작물을 무단으로 직접 침해(direct infringement)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저작권 직접침해에 일정한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저작권 침해를 야기하는 자들에 대한 책임(liability)이 문제되어 왔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저작권 간접침해책임의 일종으로서 온라인서비스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이하 ‘OSP')의 책임이 논란의 중심이 되어 왔다. 이러한 OSP 책임에 대하여 우리 판례는 민법(civil law) 제760조 제3항이 OSP 책임의 성문법적 근거가 됨을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방조에 의한 공동불법행위(joint 로 이론 구성한 판례의 입장에 대하여 학설도 대개 일치된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와 저작권법제가 유사한 일본의 경우에는 판례를 통하여 다양한 법리가 저작권 간접침해문제 해결에 이용되고 있다. 우선 ‘가라오케 법리(karaoke theory)’를 들 수 있다. 이 법리는 ‘지배관리성(control)’과 ‘이익성(benefits)’을 요건으로 저작물의 이용주체를 확장하는 법리이다. 이 법리는 계속 확장되어 ‘지배관리성’ ‘이익성’을 충족한 경우에는 직접침해행위 자가 아니라도 저작권 침해로 침해로 간주하는 법리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교사ㆍ방조의 법리도 저작권 간접침해의 해결법리로서 적용되고 있다. 특히 민사영역에서 방조에 의한 불법행위의 경우에는 금지청구를 인정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임에도, 방조법리를 이용하여 저작권 간접침해에 대하여 금지청구를 긍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이러한 판례의 법리들은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비판이 계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는 저작권 간접침해에 관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하자는 관점에서 입법적 검토가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에서 통설로 여겨지는 방조 법리의 경우도 간접침해자의 책임범위에 대한 불확실성에 대한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입법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일본의 노력은 우리에게 시사 하는 바가 크다. 우리도 저작권 간접침해행위자의 규율문제를 저작권법 틀에서 법적 안정성과 예측가능성을 담보하는 관점에서 많은 논의와 입법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저작권의 간접침해의 유형별 판단기준에 관한 고찰 : 일본의 판례를 중심으로

        정태호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1 지식재산연구 Vol.6 No.2

        In Korea, studies on indirect infringement are hardly accomplished except for studies on Online Service Provider(OSP)'s responsibility. And there is also no court case related to indirect infringement except for court cases related to infringement determinations on internet online. Korean court cases have only followed steadily legal principles on contributory Infringement and vicarious Infringement established by USA's court cases. But, in Japanese copyright law, various court cases and principles of law for determination of indirect infringement of copyright have appeared not only in cases related to problems of internet online but also in various types related to offline cases. Therefore, we need to analyze and study concretely current flows of Japanese court cases and legal principles related to indirect infringemet of copyright in Japanese copyright law. This paper studied on determination standards of indirect infringement of copyright based on types' classification by analyzing Japanese court cases and the related theories concretely and simultaneously with that, I suggested a establishment of legal principles about indirect infringemet of copyright in Korean copyright law in this paper. 우리나라에서는 간접침해에 관한 연구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과 관련된 것이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또 간접침해와 관련된 판례도 온라인상의 저작권 침해판단과 관계된 것 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판례들에서는 미국의 판례상 확립된 기여침해와 대위침해의 법리를 충실하게 적용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간접침해자에 대한 저작권침해주체성의 판단에 관해 다양한 판례들과 법리들이 온라인상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골고루 나타나고 있으므로, 일본 저작권법상 간접침해에 관한 판례들의 경향의 흐름과 이와 관련된 법리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볼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저작권의 간접침해자에 대한 침해책임에 관하여 구체적인 침해형태별로 유형분류를 하여 보고, 이와 관계된 일본 판례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서 검토하여 봄으로써, 우리나라에 있어서 저작권의 간접침해법리정립에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KCI등재

        일본의 리치사이트를 둘러싼 논의의 동향* - 문화심의회저작권분과회법제·기본문제소위원회의 논의에 입각하여

        이마무라 데쓰야(Imamura, Tetsuya) 한국저작권위원회 2017 계간 저작권 Vol.30 No.3

        A leech site is not a website for uploading content but for providing link information to copyright-infringing content stored in other websites and guiding the user to it. In this paper, I discuss what kind of legislative review i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t the Commission on Legal System and Fundamental Issues of the Copyright Subdivision of the Council for Cultural Affairs on the issue of leech sites. Operating the leech site may constitute indirect infringement under current law from the viewpoint of civil and criminal remedies. However, under current interpretation of Japanese copyright law,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grant an injunction against indirect infringement of copyright. On the other hand, in Japan, we have the so-called Karaoke Doctrine that can expand injunctions to intermediaries. According to Karaoke Doctrine, if intermediaries are engaged in management of the direct copyright infringement and do so to increase operating profits, they are deemed as direct copyright infringers. As a result, this Doctrine has an effect to expand the scope of direct infringement of copyright. Therefore, some problems concerning this Doctrine have been pointed out. The Council decided to consider what types of copyright-infringing actions by a leech site or the like require urgent response, and decided to leave the discussion on the injunction against other forms of general indirect infringement to future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leech site issue, there are various stakeholders. In this paper,I summarise what types of behaviour by leech sites lead to content infringement. I explain how each participant’s action is assessed by current law, particularly in-“site”-type leech site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issue of balance between protection of copyright and freedom of expression concerning participants in leech sites. The following elements are being considered as elements of the types of actions that require urgent response: the malignancy of the act, the subject and its action, the amount of link information and its proportion in the leech site, the form of the link information, the subjective element of the action, and the nature of the link’s infringing content. It is proposed that leech sites should be regulated by “acts considered to be infringements” under Art 113 of the Copyright Act. Although copyright protection is an important issue, the problem with leech sites is concerned with the essential aspects of internet technology, that is, the linking act. It is necessary to have a careful discussion to establish a new legal system that adequately balances the protection of copyright and exploitation of copyrighted work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리치사이트란 자신의 웹사이트에는 콘텐츠를 올리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에 보관된 저작권 침해 콘텐츠로 연결되는 링크정보를 제공하여, 네티즌을 침해 콘텐츠로 유도하기 위한 웹사이트를 말한다. 본고에서는 이 리치사이트를 둘러싼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의 문화심의회저작권분과회법제· 기본문제소위원회가 현재 어떻게 입법적 검토를 하고 있는지를 소개한다. 리치사이트를 운영하는 행위는 간접침해의 일종으로 민사 및 형사의 관점에서 현행법에 따라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저작권의 간접침해에 대하여 금지청구를 인정하는 것은 현행 저작권법의 해석으로는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다. 또한 일본에는 중간게시자에게까지 금지 청구를 확대할 수 있는 이른바 ‘가라오케 법리’가 존재한다. 가라오케 법리에 의하면, 중간게시 자가 저작권의 직접침해를 관리하여 이익을 얻고 있는 경우, 직접침해자로 간주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가라오케 법리는 저작권의 직접침해의 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때문에 이 법리와 관련하여 몇몇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심의회에서는 리치사이트 등에 의한 침해 콘텐츠로의 유도행위 중 긴급히 대응할 필요성이 높은 행위유형을 추출, 검토하고, 그 밖의 간접침해 일반에 대한 금지청구에 관한 논의는 장래의 과제로 계속해서 해석에 위임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리치사이트를 둘러싸고 다양한 관계자들이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리치사이트에 의한 침해 콘텐츠로의 유도행위의 행위유형을 정리하였다. 특히 ‘사이트’형의 각 관여자의 행위에 대하여 그러한 행위들이 어떠한 법적평가를 받는지를 설명하였다. 리치사이트를 둘러싼 관계자의 보호 법익으로 권리보호와 표현의 자유의 균형 문제에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긴급히 대응할 필요성이 높은 행위유형의 요소로 악질성의 전반적 파악과 관련하여 대상 주체와 그 행위, 링크정보의 수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 링크정보의 양태, 행위의 주관적 요소, 링크페이지의 침해 콘텐츠에 대하여 검토되고 있는 내용을 설명한다. 리치사이트 등에 관한 새로운 규제를 저작권법 제113조의 ‘간주 침해’로 도입하자는 발상의 타당성이 검토되고 있다. 권리 보호도 중요한 과제이나, 링크 제공 행위라는 인터넷 기술의 본질과 결부되는 행위가 대상인 문제이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간접적 관여자에 대한 저작권침해주체성의 판단에 관한 연구

        정태호 한국법제연구원 2011 법제연구 Vol.- No.40

        In Japanese Copyright Law, various court cases and principles of law for determination of a main body infringing copyright for a indirect partaker have appeared. Particularly, “Karaoke principle of law” has been set up after “Club Cats Eyes” case appeared in Japanese court. Following that principle, extention of interpretation, criticism and new opinions for that Karaoke principle of law appeared. According to that various opinions, arguments for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became to be active. Particularly, there have been conflicts between legislation theory in which this related problems can solved by making new regulations about indirect infringement and opinions in which this related problems can be solved sufficiently by the established regulations of copyright law. This paper studied on the above contents by reviewing Japanese court cases and the related theories concretely and simultaneously with that, I reviewed in detail relations between indirect partaker and determination of a main body infringing copyright, trends for determination of a main body infringing copyright and various types of indirect participations for infringement of copyright and applications of copyright law to that related cases in this paper. 일본에서는 간접적 관여자에 대한 저작권침해주체성의 판단에 관하여 다양한 판례들과 법리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클럽캣츠아이 사건” 이후에 가라오케 법리가 정립되고 그 이후에 이것에 대한 확장해석 및 비판과 새로운 견해 등이 등장하면서 본 주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존의 가라오케 법리에만 구속되지 않고 다양한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체적인 사례에 맞는 판단을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속에서 간접적 관여자의 침해주체성 판단과 관련하여 새로운 규정을 저작권법상에 만들어서 해결하자는 입법론과 기존의 법규정을 가지고 해결이 충분하다는 견해가 대립되고 있기도 하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관련 판례들이 풍부한 일본에서의 경우와는 달리 실제 판례상으로도 저작권침해행위의 간접적 관여자 등에 관한 귀책법리의 판단사례 등이 극히 미약한 상황이다. 따라서, 간접적 관여자에 대한 저작권침해주체성 판단에 관한 다양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는 일본 저작권법상 판례들의 경향과 관련 이론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우리나라에서의 향후의 판단방법과 입법론 등에 관하여 중요하게 검토하여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간접적 관여자에 대한 저작권침해주체성의 판단과 관련된 다양한 일본의 판례들과 이론들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간접적 관여자와 침해주체성판단과의 관계, 간접적 관여자의 침해주체성 판단의 경향 등에 대해서 일본 저작권법상 판단사례들을 근거로 하여 세부적으로 고찰하였다.

      • KCI등재

        중국 온라인음악시장의 현황과 음악저작권침해의 구제방법

        신병동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4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8 No.1

        20세기 후반을 거치는 동안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다향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들이 거의 끝 없이 생겨나고 있고그러한 현상은 문화컨텐츠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현상은 더 나아가 문 화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분쟁을 야기시키고있으며 그러한 분쟁은 국제적, 경제적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이논문은 중국의 인터넷 환경에서 발생하는 디지털 음악저작권의 침해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중국의 음악저작권 침해 현황은 중국 정부가 최근에 기울이고있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심각한 수준 이다. 물론 중국 저작권법에 그 구제와 책임에 관해서도 규율하고 있지만, 현재 중국 국민들의 저작권 침해 에 관한 일반적 인식이 그리 깊은 편이 아니어서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중국 정부는 저작권 법의제3차 개정을 서두르고 있고, 각계 각층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 외국법을 비교하여 개정안을 마 련하고 있다고 한다. 중국의 상황이 음악저작권의 보호에 매우 미흡한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의 저작권 침해에 관한 현행법의 대 응에는 다음의 세 가지특징이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음악저작권의 침해에 대해서는 민사적 구제로서 소 송을 통한 손해배상청구와 그 인정된 민사책임의이행을 청구하는 것이 기본이 되고 있다. 둘째는 행정기관 과 사법기관 사이의 사건의 이송이다. 중국 국무원에서 2001년 7월에 반포한 <행정기관의 범죄사건 이송에 관한 규정>에 의하면, 행정기관이 위법행위에 대한 조사, 제재 과정 중 위법사실에 관련된 금액,위법사실의 정도, 위법사실의 결과 등을 고려하여 범죄를 구성하여형사책임을 추궁해야 함을 발견한 경우에는 공안부 문에 사건을 이송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셋째는 저작권 침해행위만 있으면 일반적으로 형사처분 대상에 해 당하는 한국의 경우에 비하여 중국에서는 복제 및 발행과 판매의 경우로 한정하여, 위법소득의 규모가 크거 나 기타 특히 중대한 상황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형사처분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이다. Thr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during the late 20th century, access t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has become infinite, in turn increasing the demand and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Such has also created international conflicts and economic problems with regards to issues pertaining to copyrights. Furthermore there have recently happened some cases upon internet copyright tort in network environment, of which the internet tort to musical compositions is the most serious. This paper is to study the issues of digital music copyright protection in the network environment in China. This paper is divided into 4 parts: The first chapter is an introduction. Chapter 2 is the overview of the digital music copyright market in China and a status of infringement of the digital music copyright. Chapter 3 is a legal liability of on-line users when they infringe the copyright. There are 3 types of regulations in Chinese Copyright Law; civil, administerial and criminal liability. Chapter 4 is a conclusion. In this chapter, the author focu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civil and administerial liability, and personal prosecution system.

      • KCI등재

        온라인 저작권 침해 수익원 제공자인 광고의 책임에 대한 연구 - 미국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창화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온라인에서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는 경우를 보면, 대부분의 침해 사이트들에게 수입원이 되는 것은 광고이다. 따라서 최근 저작권자들과 국가 기관들은 저작권 침해를 막기 위하여 그 광고의 게재를 중지하거나 철회하도록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침해를 막기 위하여 손쉽고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광고 게재에 대한 중지나 철회에 대한 요청이 타당한 것인지 여부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러한 요청이 타당하기 위해서는 해당 광고가 저작권 침해에 대하여 간접침해의 행위로 인정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그에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 만일, 둘 다에 대한 근거나 이유가 없다면, 광고 게재에 대한 중지나 철회의 요청은 함부로 이루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미국의 여러 사례들을 살펴볼 때, 저작권 침해에 대한 간접책임이 인정되기 위해서는 직접침해자와의 단순한 관계 이상의 것을 요구하거나, 직접침해에 대한 실질적 기여를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광고는 저작권 직접침해자와 밀접한 관계도 실질적인 기여도 하지 않고 있어, 간접책임을 질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또한, 미국의 법안으로 제출되었던 SOPA나 PIPA에서 제기되었던 반대 의견들에 의하면, 광고의 철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검열의 문제, 사이트에 대한 지나친 부담, 과중한 저작권 보호로 인한 불균형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광고차단기 사례들을 볼 때, 광고를 임의로 제거하는 것은 적법하지 않거나 저작권 침해를 구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을 살펴볼 때, 광고의 게재를 중지하거나 철회하는 것은 그 근거나 이유가 적정하지 못하며, 이러한 이유로 그러한 요청은 보다 신중을 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hen looking at the online copyright infringement, the advertisements have served as a revenue source. Recently, copyright holders and state agencies have requested to stop and withdraw posting the ad. in order to prevent copyright infringement. This way is very easy and efficient.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quest is appropriate. For the request to be valid, posting the ad. should be a kind of indirect infringement, or if not, it must have a suitable reason. If there is no basis or reason for the two, the request should not be asked recklessly. In the US relevant cases, something more than simple relationship with direct infringers or more material contribution to the direct infringement is required to impose secondary liability for copyright infringement. However, just posting the ad. cannot be considered as the close relationship and moreover, it is not material contribution. Thus, posting the ad. is not secondarily liable for copyright infringement. In addition, the bills which was proposed in 2011, so called SOPA and PIPA, had a provision which can stop and withdraw the ads in the piracy sites. Its opponents raised the following problems: withdrawing the ad. is the censorship, gives the burdensome to the sites, and causes the imbalance due to the overload protection of copyright. Also, under the ad blocker case, to remove the ad. discretionally consists of illegal activity or copyright infringement. As a result, because the request to stop and withdraw posting the ad. is not reasonable, the request should be asked carefully.

      • KCI등재

        著作權法의 域外適用性에 대한 미국 법원의 입장

        김석호 법무부 2008 통상법률 Vol.- No.81

        (1) 국내법의 역외적용에 있어서, 그 빈도수나 그 적극성에 있어서 미국을 능가하는 나라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미국의 저작권법은 그 결과가 역외에서 발생하는 경우엔 자국 내에서 행해진 저작권 침해행위마저 규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매우 이채롭다 할 것이다. 미국 저작권법이 이러한 상황에 이른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 근거한다: 첫째는 저작권 관련 국제조약이 많다는 것이며, 이러한 조약들은 모두 저작권의 '속지성'을 인정하고 있는 까닭이다. 둘째는 미국의 법제상 국내법 역외적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의회의 동법에 대한 역외적용 의사가 인정되어야 하는데, 저작권법의 경우엔 유독 이러한 의회의 '명시적' 의사를 요구함으로서, 법을 개정하지 않는 한 역외적용이 불가능한 처지에 처하게 된 것이다. (2) 미국 저작권법의 역외적용이 어렵게 된 현실을 일단 인정한다 할지라도, 역내에서 행해진 무단사용허가 행위까지 규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면, 이는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는 역외적용을 하지 않는다는 문제에 그치지 않고 자국 내의 범법자조차 제재할 수 없는 무책임이 결과할 수 있는 까닭이다. 이는 미국의 불법행위책임이론이 '직접책임'과 '간접책임'으로 나누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무단사용허가' 행위가 직접침해행위인지가 논란이 되었고, Subafilms 사건에 대한 미 항소법원의 판결은 이를 간접침해행위로 봄으로써, 대외적 불법 행위에 대한 미국 저작권법의 실효성을 더욱 반감시켜버렸다. 이는 시대에도 부합하지 않는 것이고, 미국의 국내법의 역외적용의 관행에 비쳐 볼 때도 너무나 대조적이어서 불합리한 것으로 보인다. (3) 이러한 불합리한 결과는 또 다른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즉 이와 상충된 판례가 형성되게 되었기 때문이다. 동일한 문제에 대한 상이한 판례가 존재함은 물론이거니와, Update Art doctrine 이라는 새로운 논리가 형성되었다. 이는 Subafilms 판례를 극복하기 위해 역내에서의 명확한 실행행위의 존재를 요구한 것이기는 하나, 역내에서의 행위 자체가 위법행위가 되지 않는 경우에도, 역외의 확대 재생산이라는 비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을 묻게 되는 것이므로, 이 경우 역외의 불법행위에 대해 역내의 인에게 책임을 지우는 것이니 이는 subafilms 사건의 항소법원 논지와 상충될 수 있는 것이다. (4) 하나의 행위가 일시에 다발적으로 여러 국가에서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매체가 발달한 요즘엔 그 피해지보다는 그 행위지 국가가 관할권을 행사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또한 그러한 것이 최근의 경향이라고 할 때, Subafilms 판결논지는 더욱 부당하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억지로나마 행위지의 관할권을 인정하고자 노력한 □□National Football League 판결□□의 의도는 이해할 수 있으나, 이 역시 Subafilms 판결취지의 속박을 극복하지 못함으로 인해 그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종국적으로는-입법의 방법에 의하든 판례의 변경에 의하든-역내 침해행위를 규제할 수 있도록 미국 저작권법제가 수정될 필요가 있는 것이며, 그 것이 국제적 그리고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기에 이의 장래를 유의 관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1) There are few countries which applies extraterritorially their laws more frequently than the U.S. However, the reverse is the case of Copyright law, Because, in principle, American Copyright law can not regulate domestic activities which results in the infringements of copyright in foreign countries. On the one hand, It is due to the territorial character of copyright which many international copyright agreements recognize, on the other hand, to the construction that the U.S. Copyright Act is presumed to have no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2) The problem culminates in the 1994 Subafilms case. The question has been whether a violation of the authorization right results in direct or third party infringement. The Ninth Circuit Court of Appeals concluded that neither the authorizer nor the infringer is liable under the Copyright Act, when an authorization occur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authorized infringement occurs overseas. That is, the extraterritorial infringer is not liable because the Copyright Act does not extend to conduct overseas, and the U.S. authorizer is not liable because the authorizer is not considered to be a direct infringer. Such strict territoriality views are largely inconsistent with the diminishing importance of distances and time zones in the modern era. (3) The position of Update art doctrine is in contrast with the Subafilms case. The Second Circuit, in Update Art, Inc. v. Modiin Publishing, Ltd., pronounced in 1988 that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U.S. copyright law is permissible "when the type of infringement permits further reproduction abroad." (4) Nowadays, the technology of the Internet has essentially created international dissemination of copyrighted works whose ownership is arguably governed by the country of the initial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likely the U.S. courts will more frequently be required to address such issues. Such frequency, however, only emphasizes the growing need for guidance on the issues of how to address ownership in the international context and of what guidelines a court should follow in deciding whether it should entertain international disputes.

      • 원격 디지털녹화시스템 서비스의 저작권 침해 여부

        우성엽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1 Law & technology Vol.7 No.1

        인터넷이나 통신기술을 이용한 원격 디지털녹화시스템의 등장은 (i) 녹화, 전송과 같은 행위의 주체가 누구인지, (ii) 만일 이용자가 행위의 주체라고 한다면 이와 같은 행위는 저작권법상 사적복제에 해당하여 저작권법상 책임을 부담하지 않게 되는지, (iii) 이와 같이 새로운 침해유형 및 사적복제의 범위에 관한 새로운 입법이 필요한 것인지 등에 관한 검토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개별 이용자들에게 필요한 도구, 장소, 기회 또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에게 저작권 침해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미국에서는 기여침해(contributory infringement) 및 대위침해(vicarious infringement) 법리를 기반으로 하는 간접침해(indirect infringement) 법리를 적용하여 해결해 왔고, 일본에서는 소위‘가라오케 법리’에 따라 규범적인 침해자 개념을 상정하여 직접적인 침해주체로 의제하는 법리를 개발하여 적용하여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공동불법행위 법리에 기초하여 규율해 온 것으로 보인다. 원격 디지털녹화시스템을 이용한 방송프로그램의 녹화행위에 관해 각국의 판례가 다양한 입장을 보여주고 있으나, 이와 같은 행위에 관해서는 녹화, 전송 등을 구체적으로 의도하고 지시하는 이용자를 기본적인 행위주체로 보고, 서비스 제공자는 그 서비스의 목적, 구조, 관여 정도 등에 따라 공동불법행위의 법리에 의해 침해책임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향후 기술의 발전 및 새로운 영업방식의 출현에 대비하여 저작권법에서 간접침해 및 사적복제에 관한 규정을 입법적으로 새롭게 규정하거나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The introduction of remote storage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using the Internet or othercommunication technology demands examination on (i) who is direct infringer in the aboverecording system, (ii) if individual user is viewed as the direct infringer of recording andtransmitting TV program, “copy for private purpose”exception under the Copyright Act may applyto such individual’s recording activity, and (iii) whether new legislative measures on these types ofinfringing activities and relevant scope of “copy for private purpose”exception are necessary. As to whether business operator who provides customers with tools, place, opportunities orsystem necessary for infringing activity is liable for copyright infringement, it seems that U.S. courtapplies indirect infringement liability theory consisting of contributory infringement liability andvicarious infringement liability etc., Japan court develops and applies so-called “Karaoke Theory”which regards business operator as direct infringer based on normative infringer concept, andKorean court resolves this issue by applying joint tort liability theory.As to remote storage digital video recording service, court decisions of many countries varies.This article suggests that individual user who specifically intends and instructs recording andtransmitting of TV program should be viewed as direct infringer, and service provider (or businessoperator) may be liable for the user’s copyright infringement activity depending on objective ofservice, structure of system and degree of involvement with the user’s activity based on joint tortliability theory under Korean Civil Act. In addition, it would be advisable that legislation dealing withnew type of infringing activities and revision on relevant scope of “copy for private purpose”exception under the Copyright Act be made in preparation of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appearance of new business method.

      • KCI등재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 침해 - 방조의 법리와 입법론적 개선을 중심으로 -

        이동연,이지선,이수진,최철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9 고려법학 Vol.0 No.95

        Streaming link site OSP sets up internet links to the unauthorized works upload sites, post them to provide its users with a path to access unauthorized works, and get profits from banner advertisements, etc. These links increase users' substantive accessibility to sites that transmit unauthorized works, which are causing considerable damage to the right holders and related industries. However, since the link acts don't fulfill the components of copyright infringement in the current copyright laws, streaming link site OSP doesn't take the responsibility for direct infringement of copyright. Nevertheless, the decision of 2016나2087313 sentenced by Seoul High Court on 2017. 3. 30. ruled that the embedded link act of the streaming link site OSP was aiding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by the unauthorized works upload site OSP, contrary to precedents that have previously reacted passively to the link acts. The above decision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the first to acknowledge legal responsibility for the link acts as a new aspect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However, since the subject of decision is limited to embedded links and link acts to unauthorized works upload sites, that decision cannot be applied to both more granular, diversified forms of infringement of copyright, such as secondary link acts that re-post links to primary streaming link sites. Thus, this study presented a new opinion that the streaming link site OSP's aiding liability regarding user's infringement of right of temporary reproduction should be acknowledged, focusing on temporary reproduction that occurs when users use the streaming link site. In this way, this study try to consistently resolve related issues, covering all link acts of streaming link site. However, there is no case that the Supreme Court ruled actively regarding the matter of copyright infringement by streaming link site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the matter to be effectively sanctioned with the existing countermeasures and legal principles.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ed countermeasures to the problems related to streaming links and suggested legislative improvements to discipline copyright infringement of streaming link sites. More specifically, to address the inefficiency of the current procedures for blocking access to overseas site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rovisions as the legal basis for access blocking should be added to the provisions of Chapter 10 of the Copyright Act, based on Article 447 of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public notice of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garding the special types of OSP should be revised, so that OSP posting links on the purpose of seeking profit c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special types of OSP.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onfirming whether the streaming link site OSP is responsible for aiding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Seoul High Court and presenting legal principles, which can be applied consistently to various acts of infringement caused by the link, by discussing the user's right of temporary reproduction. Korea also needs to review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by linking in line with international trends, an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referenced in the interpretation of relevant laws.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 OSP는 불법저작물 업로드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 및 게시하여 이용자들에게 불법저작물로 접근하는 경로를 제공하고 배너광고 등을 통해 수익을 얻는다. 이는 불법저작물을 전송하는 사이트에 대한 이용자들의 실질적인 접근가능성을 제고시키는 것으로써, 권리자와 관련 산업에 저작권 침해로 인한 상당한 피해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현행 저작권법상 링크행위는 저작권 침해행위의 구성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 OSP는 저작권 직접침해에 대한 책임은 부담하지 않는다. 그러나 서울고등법원 2017. 3. 30. 선고 2016나2087313 판결에서는, 이전까지 링크행위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온 판례의 입장과 달리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 OSP의 임베디드 링크행위가 불법저작물 업로드 사이트 OSP의 전송권 침해행위에 대한 방조임을 판시하였다. 위 판결은 새롭게 대두된 저작권 침해의 양상인 링크행위에 대하여 처음으로 법적 책임을 인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판단의 대상이 임베디드 링크와 불법저작물 업로드 사이트에 대한 링크행위에만 한정되어 있어, 일차적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의 링크를 다시 게시하는 이차적 링크행위와 같은 더욱 세분화, 다양화된 저작권 침해 형태에 모두 적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가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일시적 복제를 중심으로 이용자의 일시적 복제권 침해행위에 대한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 OSP의 방조를 인정하여야 한다는 새로운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의 모든 링크행위를 포괄하여 관련된 문제를 일관되게 해결하고자 하였다. 다만,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의 저작권 침해행위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문제로서 아직 이와 관련된 대법원의 적극적인 판시도 없으며, 기존의 대응방안과 법리로써 이를 효과적으로 제재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트리밍 링크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의 저작권 침해행위를 규율하기 위한 입법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현재 시행되는 해외사이트 접속차단 절차의 비효율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현행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4조의7의 내용을 바탕으로 접속차단 조치의 법적 근거로 삼는 규정을 저작권법 제10장 보칙에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영리적 목적으로 링크행위를 하는 OSP가 특수한 유형의 OSP 범위에 포함될 수 있도록 관련 문화체육관광부 고시를 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고등법원의 판결을 바탕으로 스트리밍 링크 사이트 OSP의 방조책임 인정여부를 확인하고, 나아가 이용자의 일시적 복제권 침해에 대해 새로이 논의하여 링크로 인한 다양한 침해행위들에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법리를 제시한 데에 의의가 있다. 한국도 국제적 흐름에 맞게 링크행위의 저작권 침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이에 본 연구가 관련 법률의 해석에서 참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그락스터 판결과 간접책임

        김영철 한국저작권위원회 2010 계간 저작권 Vol.23 No.4

        저작권침해의 간접책임에 대한 역사는 간접책임의 이점과 폐단 사이에서 타협점을 도출하거나 타협점을 붕괴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타협점을 찾는 방법에서 불일치하였기 때문에 그락스터 판결 이전의 간접책임에 대한 판례들은 간접책임에 대한 제한적인 해석과 광범위한 해석으로 양분되었다. 또한 법원들이 과실책임과 무과실책임의 역할들에 무관심하였기 때문에 기여책임과 대위책임의 해석과 범위에 대하여 의견이 일치하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간접책임을 제한적으로 해석한 그락스터 판결은 이전의 판례들과 달리 유인책임이라는 독특한 이론을 전개하여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간접책임의 광범위한 적용이 가지는 목적을 달성하였다. 즉 무고한 피고와 상당한 비침해적 이용에 해당하는 제품들을 보호하면서도 악의적인 유인을 한 자에 대하여는 책임을 부과하여 간접책임을 광범위하게 적용하는 판결들이 추구하는 저작권의 보호도 달성하였다. 또한 이러한 해석은 법원들에게 합리적으로 일관된 방법으로 어려운 논쟁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일조하게 된다. 미국의 법원들은 과실책임주의에 근거한 그락스터 판결에 모순되지 아니하도록 기여책임과 대위책임의 적용을 제한할 것이 예상된다. 그리고 유인책임은 피고가 침해를 유인하거나 조장하려는 명백한 목적으로 행위할 때에만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고가 그의 행위가 침해를 촉진할 것이라는 상당한 확신으로 단순히 인식한 경우에는 면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락스터 판결이 우리나라에 미쳤거나 미칠 영향을 고려하면서 저작권보호와 기술보호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하에서는 P2P파일공유에 대한 가장 적합한 법규정이 방조이고 앞으로도 이런 추세가 지배적일 수 있지만 소니 판결과 이 판결을 구체화한 그락스터 판결의 의미는 우리나라의 판례와 법제에서도 반영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