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하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배영민 ( Yung Min Ba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본 논문은 쟁점 중심 사회과의 전통을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고찰한 문헌 연구다. 이 글의 목적은 현재 우리나라와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지배적인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은 네 개의 대표적인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모형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의 기본 틀과 이론적(철학적)근거 측면에서 이들을 분석한다. 또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기존의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논의한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은 서로 간에 뚜렷한 관련이 없는 역사와 사회과학의 개념, 일반화(이론), 그리고 연구방법 등을 연대기식 또는 백과사전식으로 나열하는 대신에 사회적 쟁점의 탐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지식과 경험만으로 구성된다.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학자들은 사회적 쟁점의 탐구를 중심에 두는 사회과 교육과정이 유능한 민주 시민을 양성함으로써 사회적 위기상황을 극복하고 보다 나은 민주 사회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인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은 유능한 민주 시민의 양성이라는 사회과 교육의 목표에 비추어 볼 때 많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 같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에 관한 담론은 현재 우리 사회의 위기 상황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이 쟁점 중심으로 개편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tradition in term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discourses o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n alternative curriculum paradigm to ``the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is currently dominant in both South Korea and United Stat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elects and analyzes four representative model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constructed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only directly related to social issues inquiry instead of listing the concepts, generalizations or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from history and social sciences chronologically and/or encyclopedically whose relationship is not evident. The proponents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sist tha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rganized around social issues inquiry is able to foster competent democratic citizens who could overcome a social crisis so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realize a better democratic society. The traditional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various limitations considering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the cultivation of a competent democratic citize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a discourses in this study imply that when we think over the crisis of our country it is necessary to reform our current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o the issues-centered curriculum.

      • KCI등재

        다원주의 사회에서 사회과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 논고

        배영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4

        이 글은 Donald Oliver, James Shaver, 그리고 Fred Newmann이 출간한 법리적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문헌들을 근거로 하여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에 관하여 고찰한다. 이 글의 목적은 법리적 교육과정의 토대가 되는 주요한 논리(이론)적 근거를 상세히 검토함으로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을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는 것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가들은 가치갈등이 불가피한 다원주의 사회의 본질을 고려할 때 중등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공공 쟁점에 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내용 선정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비판받아야 할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과의 역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이것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발(내용 선정) 논리에 있어서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학문에 기초한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롯한 여타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이런 점에서, 법리적 교육과정 이론은 이에 대한 비판을 충분히 수용한다면 다원화된 민주주의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을 구축하고자 할 때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 Based upon various research papers on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published by Donald Oliver, James Shaver, and Fred Newmann, this essay reviews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by examining in detail the rationale of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Considering the pluralist nature of the American society,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ists insist that a rational decision-making about public issues should be the criteria for content selection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pite of some criticism,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because it is a model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It clearly shows that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totally different from discipline-ba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logic of content selec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This essay concludes that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theory is an exemplary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to which we could refer in developing our own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ory.

      • KCI등재

        법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 심리적 토대 상고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2

        이 글은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법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토대와 심리적 토대를 면밀하게 고찰한다. 법리적 교육과정 개발자들은 중등학교의 보통교육에서 사회과는 시민교육을 담당하는 교과라고 규정하면서, 사회적 논쟁을 이성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민을 양성하기 위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은 기존의 역사와 사회과학의 울타리를 넘어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동시에,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사를 포함한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인문학과 자연과학 지식을 아울러서 학제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토대로 하는 법리적 교육과정은 아동의 반성적 사고력 함양뿐만 아니라 역사와 사회과학의 학문 지식의 습득에도 지장을 주지 않는 사회과 교육과정이다. 또한 아동이 지닌 사회이론을 고려함으로써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충실히 따르고 있으며, 학습에서 기본적인 요소인 학습의 동기, 전이, 그리고 파지 측면에서도 우수한 사회과 교육과정이다. 현재 우리는 교육과정 총론에서부터 모든 교과에 걸쳐 ‘문과·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려 한다. 이에 필자는 법리적 교육과정의 학문적 토대와 심리적 토대에 근거하여 원론적인 수준이지만 우리의 문과·이과 통합형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As a part of general education programs, the social studies takes on the major responsibilities for citizenship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is requires tha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sist of controversial issues in our socie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ciplinary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which is considered as a model of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developers seriously considered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ocial science discipline knowledge including history knowledge for gener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They also thought about very carefully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students’ learning in developing their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reform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currently undertaking. The type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would more fully achieve the purposes of the curr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ision is not presently dominant discipline-based curriculum but issues-centered curriculum. Consequently, it is hoped that the revised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will b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such as the jurisprudential curriculum.

      • KCI등재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의 원류를 찾아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 및 개발 탐색

        배영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3

        Recently, our social studies educators have shown a renewed interest in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education. Because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s really necessary to cultivate students’ thinking, and moreover achieve the social integration and fair society we all desire now. However,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available for secondary schools have not been developed until now. This paper investigates Harold Rugg’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design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selection, organization, and presentation of contents. Considering the school’s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tribute to solving American problems, Rugg designed and developed his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 series based upon both the social needs and the learning theories. It appears that his textbook development model is still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based issues-centered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oday. If we are going to develop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e will learn much from his model. 최근 국내외 사회과 교육학계에서는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으로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함양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통합과 공정사회를 이루는 데 쟁점 중심 사회과 교육과정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의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내용 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Harold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의 설계와 개발에 관하여 고찰한다. Rugg는 당시에 미국 사회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고, 사회적 요구뿐만 아니라 아동의 학습 심리에 부합되게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그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와 개발 모형은 사회문제에 기초한 사회적 쟁점의 탐구가 가능한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설계하고 개발하는 데 있어 오늘날에 적용하기에도 거의 손색이 없다. 우리가 앞으로 쟁점 중심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를 개발한다고 할 때 Rugg의 통합 사회과 교과서 설계 원리와 개발 방식은 눈여겨 볼만하다.

      • KCI등재

        Lawrence Stenhouse의 인문학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배영민(Bae, Yung-Mi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4

        최근에 우리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모든 고등학교에 학점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이 연구에서는 1967년부터 1972년 사이에 영국에서 Lawrence Stenhouse가 주도한 인문학 교육과정 프로젝트에서 개발된 인문학 교육과정을 고찰한다. 먼저, 그 당시에 영국에서 어떠한 사회적 배경 아래 인문학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 보통교육의 한 측면으로 Stenhouse가 제안한 ‘사회교육’에 관하여 논의한다. 그리고 사회교육을 위한 인문학 교육과정을 내용, 내용 구성, 그리고 내용 선정의 측면에서 각각 상세히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인문학 교육과정이 영국의 학교에서 시민교육에 기여한 바를 검토한 후에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대비하여 중등학교에서 실행해야 하는 시민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의미를 살펴본다. Recentl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announced that all high schools would adopt a new course credit system by 2022. In relation to this educational policy, this paper investigated humanities curriculum developed by the Humanities Curriculum Project from 1967 to 1972 under the directorship of Lawrence Stenhouse sponsored by the Schools Council and the Nuffield Foundation in England. In this paper, I first explored social contexts of the humanities curriculum development. The concept of Stenhouse’s social education as an aspect of gener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was then examined. I also investigated the humanities curriculum for social education in terms of its content, organization of its content, and selection of its content. I concluded the present paper by discussing implications of the humanitie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second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new high school credit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의 재검토 -협상수업의 관점에서-

        전제철 ( Je Cheol Je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Issues negotiation model’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demonstrate the example of ‘Issues negotiation model’. There is a need to cultivate citizens who are capable of rationally resolving controversial issues or problems. Controversial issues teaching is a teaching method to teach the ways and skills to rationally resolve controversial issues and problems. It values a process of the students solving through diverse exploratory activities, and can contribute to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especially improvement of higher-order thinking. This study suggests ‘Issues negotiation model’ for cultivation of higher order thinking and promotion of negotiation skills through issues-centered education. In Issues negotiation model, teachers have to get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bate,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cognitive development levels, and lead to negotiation which satisfying both assentors and dissenters. Through this process, ‘Issues negotiation model’ pursues reasonableness as the critical attributes of higher order thinking, and emphasizes tolerance, and cooperative spirit as the tal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