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재활수준에 관한 연구

        나운환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6 재활복지 Vol.10 No.3

        본 연구는 장애인의 재활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를 이론적 토대에 기초해 개발하고 개발된 지수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및 16개 지방자치단체별로 수준을 측정,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재활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는 10개영역의 80개 지수이며, 복지여건을 고려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등록장애인 인구비와 재정자립도 등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우리나라의 재활수준은 100점 만점에 41.3점이었으며 지방차치단체별로는 서울의 복지수준이 72.96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원도가 58.73으로 2위, 제주가 58.3점으로 3위, 대전광역시 4위(54.5), 경상남도 5위(46.34)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5년 평가결과와 비교해 보면 서울과 다른 지역간의 격차가 2배에서 3-4배로 벌어졌고 복지여건인 등록장애인 수와 재정자립도를 감안하면 4-6배 정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셋째, 10개의 영역 중 재활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지방분권 능력과 복지행정, 복지 및 재활서비스 영역으로 결국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인력, 조직 등이 재활수준을 결정하는데 주요한 변수가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장애인복지의 중앙정부 책임성을 당분간 유지할 필요성이 있으며 보다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서울과 다른 지역간의 재활 수준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역의 적극적 우대조치들이 조속히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복지여건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재활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광역시에 대한 책임성을 보다 분명히 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간의 장애인 재활수준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정책 agenda를 설정하고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한국의 재활수준을 전반적으로 떨어뜨리고 지역간의 격차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은 지방분권 및 복지행정영역과 복지 및 재활서비스영역임으로 모든 지역이 우선적으로 이 영역의 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estimate and develop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t then drives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of ten indicators, such as safety, health, education, income and economic activities, rehabilitation services, accommodation, human rights, culture and leisure. digital divide, and welfare administration, eighty indicators criteria. Also, it is based on the alleged notion that available indicators currently may not be described adequately the rehabilitation level of local develop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highest local government with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wer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pectively, which were quadruple level of the other local government. Also, the lowest local government were Jeolla Bukdo and Chung Cheng Bukdo Provincial government. Second, the lowest local metropolitan with rehabilitation level indicators in spite of higher self-supporting finance and the number of disabled persons registered lower than the other local government. Therefore, to improve this appearance, we should introduce the affirmative action policy and strengthen the social image improvement program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the local government leaders.

      • KCI등재

        뇌성마비아동 보호자들의 재활치료 선택 과정: 근거이론 중심

        김부영,윤영주,이현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8 재활복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optimal selection of rehabilitation therapy and explore a processing model of rehabilitation decision-making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groun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88)was used. Thus, collecting data was classified into open coding 140 concepts, 29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As a result of analysis, we identified that the main phenomenon was ‘finding optimal therapy in trial and error’ and parents experienced 6 stages including ‘embarrassment’, ‘confusion’, ‘maximization’, ‘wandering’, ‘strategy’, and ‘balance’. Furthermore, ‘rehabilitation-daily life balance’ was a key category for continuation of treatment. This qualitative study discribed factors influencing determination of treatment and its continuation, and suggested a processing model of parents' decision- making for rehabilitation of thei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아동 보호자들의 재활치료 선택과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활치료 선택과 중단 과정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Strauss와 Corbin(1994)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 140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축 코딩의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 분석 결과 중심현상은 ‘시행착오 속 최적화된 치료 찾기’였다. 재활치료 시작부터 현재까지의 과정분석결과 뇌성마비 아동 보호자들은 ‘당황’, ‘혼란’, ‘극대화’, ‘방황’, ‘전략’, ‘균형’ 등 6단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치료 선택과정의 핵심범주는 ‘시행착오 속 재활과 일상생활의 균형 잡기’로 도출하였다. 뇌성마비아동 보호자들의 재활치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재활치료 선택과 중단 과정모형을 설명하고, 재활과 일상생활의 균형 잡기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직업재활실습이 예비직업재활사의 전문성에 미치는 요인연구

        이수용,나운환,박경순 한국직업재활학회 2013 職業再活硏究 Vol.23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ractice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on the future specialist's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finish their practicum in accordance with the qualification and course certification regulation.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by 294 undergraduate students that are supposed to graduate a 2 or 4 college of Rehabilitation. These students are required to take a practicum which the association approves nationally. The research used SPSS 21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first,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future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s three times more compared to male counterparts. As for practice, students who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completed the practicum course more than who double major or minor in the subject. Most of the practices are done in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which provide overall rehabilitation services. Most of the students set their goals before they choose institutions, and try to decide in accordance to the goals. Second, the level of specialty is moderate in general. The independent variable such as supervision factor lead onto higher satisfaction level on average compared to institution factor or university factor.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and level of speciality are supervision, individual, and university factors in order. The institutional factor is an exceptional factor that does not affect the relationship. Th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level individual factor, the content of practicum instructions university facto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upervision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level of speciality.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individual and university factors as well as supervisors'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on specialty, the existence of goal setting before practicum and types of supervision influence the level of specialty.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to improve the special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Thu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to be conducted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the content of education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um and some practical training manuals applicable in institutions.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실습의 실태와 실습이 직업재활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이를 통해 효율적인 실습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업재활사 자격 및 양성과정 인증 규정에 의거 현장실습을 마치고, 학회가 인정하는 연수를 이수해야 하는 전국의 2, 4년제 재활전공학과를 졸업예정인 학부생 전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여 총 294명의 설문 응답 내용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직업재활사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배정도 많으며 실습은 복수나 부전공보다는 전공자가 실습을 이수하고, 실습기관은 총체적 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애인복지관이 주이며, 실습 전 대부분의 학생이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에 따라 실습기관을 선정하였다. 둘째, 직업재활의 전문성 수준은 대체로 보통 수준이며, 독립변수 중 슈퍼비전요인이 실습기관요인이나, 학교요인의 만족도 평균보다 더 높았다. 직업재활실습과 전문성 간의 영향요인은 기관요인을 제외한 슈퍼비전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며, 개인요인 중에서는 실습생 전공선택 만족도, 학교요인 중에서는 실습수업내용, 슈퍼비전요인 중에서는 슈퍼비전만족도가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요인, 학교요인, 슈퍼바이저요인의 일반적 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실습 전 목적설정 유・무, 슈퍼비전 형태가 전문성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직업재활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습 전 슈퍼바이저의 적격성에 대한 논의, 학교와 실습기관이 상호 공유할 수 있는 실습매뉴얼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재가방문재활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하영,사공 봉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재가방문재활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는 재활병원 입원 치료 후 가정으로 복귀한 만성 뇌졸중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 1명, 물리치료사 1명, 영양사 1명으로 구성된 재가방문재활 팀이 8주간 주 2회씩 총 16회기 동안 재가방문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중재기간에 재가방문재활 프로그램은 40분씩 실시하였다. 일상생활활동 평가는 K- MBI를 실시하였고,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구체적 자기효능감을 평가하였으며, SF-8으로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방문재활 프로그램 중재 전ㆍ후의 일상생활활동 점수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인 점수의 향상은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은 없었다. 하지만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구체적 자기효능감 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재활전문병원에서 재활전문팀을 구성하여 시행한 재가방문재활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원중심재활에서 지역사회재활로의 연속적인 전환을 할 수 있는 대안으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이달엽(Dal-yob Lee),이승욱(Seung-wook Lee),박혜전(Hye-jeon Park),노임대(Im-dae Noh)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1

        우리나라에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으로 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시설, 특수학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등 전국적으로 약 590개소 이상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부족, 비합리적 서비스 전달기관의 역할과 기능, 서비스전문화 부족 등의 문제로 통합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의 미확립으로 재활기관은 서비스이용자 모집경쟁을, 장애인 입장에서는 동일한 내용의 서비스가 중복적으로 제공되어 불편함을 겪고, 시간적, 경제적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서비스 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통합되지 못할 때 조직과 자금의 중복과 낭비가 발생하고 서비스단절과 누락, 과잉 등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직업재활 서비스전달체계의 개선과 서비스 제공기관의 체계화, 관련기관 간의 상호 네트워크 구축은 제한된 국가사회적 자원을 적절히 장애인의 욕구에 맞게 사용하기 위한 일차적 과제라고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부부처의 통합적 시스템을 통해 자원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고, 둘째, 재활전문공무원제를 도입하여 전문성과 책임성이 포함된 정책적 리더쉽을 발휘하여 재활기관 간 협력을 이끌어 내어야 하며, 셋째, 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전달체계로의 전환과 중증장애인에게 우선하는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n emerging profession in Korea because one of the most important rehabilitation goals is the economic independence of rehabilitation clients. It is a basic human right. Recently,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institutes have continually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concern and paucity of research regarding service deliver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ervice quality should be guaranteed through the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and professionals, inter-agency agreement, and well trained personnel. Without adequately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rained personnel for deliver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coordination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agencies, the outcome of a variety of efforts in many levels of society is continuing to be disappointing.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persons with disabilities, employers, and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increases experience exchange, public awareness, facility resource allocation, cooperation, training opportunities, knowledge-based decision making and appropriate utilization of research. In order to operate organiza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ffectively, develop and evaluate professional programs, and activate linkage between organizations off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ducation opportunities for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should also be increased and supported. Further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measures should be constantly provided on highly individualized bases, while maintaining good networking among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s themselves. A common body of knowledge underlying the practi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provide standardization of preparation and practice, and protection of integr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The client-centered rehabilitation practice emphasizes life long process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employment. Further analysis of changes and content in service delivery based on comprehensive, continuity, accountability and accessibility will greatly enhanc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재활치료실의 공간환경이 재활의료서비스전체에 대한 환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나경(Nakyung Lee),서다솜(Dasom Seo),송경은(Kueoungeun Song)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재활기관의 재활치료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여 재활의료서비스 전체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상관관계 및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대전지역 여섯 개 병원 및 재활기관에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재활치료 공간환경만족도를 나타내는 문항들을 일곱개의 구성(공간디자인, 쾌적도, 개별성과 소통성, 길찾기, 층간 이동성, 치료실의 층 위치, 주변 공간)으로 범주화하였다. 자료를 피어슨의 상관관계계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활치료 공간환경만족도는 재활의료서비스 전체만족도와 중간정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r=0.477, p<0.001). 공간환경만족도는 서비스 전체만족도의 24.9%를 설명하였으며 특히 공간환경 구성 중 공간디자인과 개별성/소통성은 서비스 전체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β=0.13∼0.16, p<0.05). 결론적으로, 재활기관의 재활치료실 공간환경만족도는 전체 재활의료서비스만족도에 관련이 되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만족스러운 재활치료실 공간환경을 구축하는 것은 전체적인 재활의료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 중에서도 공간디자인과 개별성/소통성은 영향이 분명한 인자로서 더 무게를 두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재활 승마교수와 학습자의 학습 경험 탐색: 한 재활승마지도사와 장애 승마자의 교수·학습경험을 중심으로

        김태종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regard to "Therapeutic riding classes with a horse assisted therapeutic riding instructor and disabled people." The narrative-life story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was used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selected Dr. A in a horse assisted sports rehabilitation center, J college and disabled riders who learned therapeutic horse riding in order to overcome physical obstacles, by way of selective data collection methods. The materials used in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un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participants through an average of four interviews, and also through newspapers, media articles, and collected stat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erapeutic horse riding instructor taught riding skills to disabled riders, building up their physical abilities, and they also developed a new life outlook during the horseback riding classes. Secondly, the instructor's own lear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were used to enable the disabled riders to continue horseback riding as an athletic pursuit, and to reduce frustration and better their lifestyle and attitude. Thirdly, the therapeutic horse riding instructor's continued teaching and dedication to the disabled riders played a meaningful role in his life. Together with the mentioned beneficiary, the disabled riders developed a positive attitude through an emotional connection with horses, and learned a calming lifestyle within their lifelong journey of personal growth. 본 연구는 지체 장애인에게 재활 승마를 지도하고 있는 한 재활승마지도사와 그에게 재활 승마를 학습하고 있는 한 장애 승마자의 「재활 승마교수와 학습자의 학습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론의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자는 선택적 자료 수집방법을 이용하여 J 대학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한 재활승마지도사와 신체적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그에게 재활 승마를 학습하고 있는 한 장애 승마자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료는 연구참여자별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평균 4회의 면담을 하였고, 연구참여자와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 기고문, 통계 등의 연구자료도 병행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승마지도사가 지도하는 재활 승마수업은 끊임없는 반복 학습과 피드백으로 장애 승마자의 체력 및 기승술 향상과 함께 새로운 인생관을 심어주는 교육적 행위로 연결되고 있었다. 둘째, 재활승마지도사 자신의 학습·교수 경험은 장애 승마자가 재활 승마선수로서 운동할 수 있는 계기를 주고 좌절하지 않은 생활 태도와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재활승마지도사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교수 행위는 그의 삶을 구성하는 전부이자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본연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또한, 그에게 학습하고 있는 장애 승마자는 말이란 동물과 감성적으로 교감하면서 사회적인 단절을 극복하며 새로운 희망을 찾아가는 생활 속에서의 평생학습을 실천하고 있었다.

      • KCI등재

        실무 중심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 개발

        강윤주,공마리아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1 재활복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rain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s focusing on practice to which changes and need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are reflected in order that students who major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may demonstrate their utmost capability in the field as a specialist in human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a of Korean and American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programs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mparison, I designed a questionnaire in which changes and need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ield were reflected. I then conducted a survey of exper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ith this questionnaire. With the results of literary reviews and investigation researches, seven academic and field expert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as a focus group. We set the scope of the curriculum for a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program by twice collecting their opinions through group discussions. Then, reasonable subjects were assigned to each area in order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a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program. As a result, the curricula for a vocational rehabilitation counselor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six; the medical factors, socio-cultural factors, counseling and assessment factors, vocational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s, research assessment factors, and clinical practice factors. As for assigning a subject to each factor, rehabilitation medicine was assigned to the medical factor; rehabilitation administration and policy, labor-related regulations and laws, integrated rehabilitation theory, support for the disabled family, and vocational preparation function(sign language) were assigned to the socio-cultural factors; and diagnosis and evaluation of disability and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were assigned to counseling and assessment factors. For vocational and career development factors, introduction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nsition education, job development and assignment, rehabilitation facility theory, vocational training and pre-vocational training, and sheltered and supported employment were assigned. For research assessment factor, rehabilitation research methods and rehabilitation seminars were assigned. For clinical practice factors, rehabilitation practice 1 and rehabilitation practice 2 were assigned.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재활 전공 학생들이 현장에서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직업재활 현장의 변화와 욕구가 반영된 실무중심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안)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을 비교하였고, 이를 토대로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필요성과 변화에 대한 욕구가 반영된 설문지를 제작하여 직업재활 현장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문헌 및 조사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7명의 학계 및 현장 전문가들이 포커스 그룹으로 참여하여 2회의 집단토의를 통해 의견을 수렴하는 방식으로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의 영역들을 설정하고, 각 영역별로 교과목의 타당성을 검토하여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직업재활사 양성 교육과정은 6개 요인, 즉 의료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상담 및 사정 요인, 직업 및 진로발달 요인, 연구평가 요인, 임상실습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각 요인별 교과목 편성은 의료적 요인에는 재활의학, 사회문화적 요인에는 재활행정 및 정책, 노동관련 법규, 통합재활론, 장애가족 지원, 직업준비기능(수화), 상담 및 사정 요인에는 장애진단 및 평가, 상담의 이론과 실제로 편성하였다. 그리고 직업 및 진로발달 요인에는 직업재활개론, 전환교육, 직무개발 및 배치, 재활시설론, 직업적응훈련 및 직업훈련, 보호 및 지원고용, 연구평가 요인에는 재활연구방법, 재활세미나, 임상실습 요인에는 재활실습 1, 재활실습 2로 편성하였다.

      • KCI등재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에 관한 연구 :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시설 사례관리 실천 중심으로

        공창숙 한국직업재활학회 2023 職業再活硏究 Vol.33 No.2

        재활사례관리는 장애인재활상담사(rehabilitation counselor) 국가자격제도 시행 이후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실천기술 및 역량 중 중요한 역할과 기능으로 강조되고 있다. 재활사례관리 실천은 장애인복지시설 및 기관에서 사례관리자가 장애 유형과 개별(case) 욕구사정을 통해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에 관여한다. 본 논문은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에 관한 연구로 재활사례관리 개념 및 특성에 관한 문헌조사와 장애인복지기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장애인 사례관리 실천단계 및 과정에 대한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기관별 장애인 사례관리 실천과정과 사정단계 내용 및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기관별 장애인 사례관리 실행 및 점검단계의 현황과 특성은 어떠한가? 의 3가지로 설정하였다. 문헌조사 및 실천현장 내용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 사례관리의 개념적 특성은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삶의 복합적이고 만성적인문제에 대해 욕구특성에 맞는 사정도구 및 심층면접, 자원사정을 통해 재활서비스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실천과정이며, 그 실천범주는 개인력, 사회력, 대인관계, 사회적응, 자립생활, 일상생활, 직업재활, 재활 서비스, 복지지원 등 삶의 전 영역에 관여하게 된다. 둘째, 장애인복지관과 직업재활시설 재활사례관리 실천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된 과정 및 단계별 특성으로 초기단계에서는초기면접→사회진단→직업지원계획→개인별 서비스계획→직업평가서 작성 및 점검 등의 과정을 통해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 경제적인 자립, 직업재활, 사회적 관계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수 있다. 셋째, 사정단계에서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사용하는 사정도구는 생육사(Life history), 가계도, 생태도, 사회적 관계망, 자원사정, 사정기록지 등이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장애인복지시설에서는 장애유형별 특성 및 자립생활, 직업평가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종합평가지, 평가도구(수용어휘력검사, MDS),행동관찰평가지, BVMGT, ADL, IADL 척도 등 장애로 인한 삶의 반경에서의 어려움과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욕구사정과 서비스 계획 수립을 위한 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천적 함의로 향후 장애 유형별 사정도구의 개발 및 사례관리자의 훈련과 교육, 수퍼비젼 시스템을 마련하여 전문역량을 강화해야 하고, 단편적인 연계 및 실적위주의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인 관점으로 재활사례관리 영역을확대하고 지역사회 자원의 조직화와 활용과정에 적용해 나가야함을 제시하였다.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among the practical skills and competencie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practice is involved in chronic and complex problems caused by disability through case manager's assessment of disability type and individual case needs in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tegorie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and a content analysis of the stages and processe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n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in three way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tegorie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Second, what ar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process and assessment stage by institution? Third, what ar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inspection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institution? I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content analysis, firs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is a long-term and continuous practice process that checks and adjusts rehabilitation services through assessment tools, in-depth interviews, and resource assessment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needs for the complex and chronic problems of life caused by disability, and the practice category is involved in all areas of life, including personal history, social histo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daptation, independent living, daily life,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service, and welfare support.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practices of welfare center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the initial stage with the proposed process and step-by-step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on problems in daily life caused by disability, economic independenc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cesses of initial interview →Social diagnosis → Job support plan → Individual service plan → writing and checking the job evaluation report. Third, in the assessment stag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use life history, family tree, ecology map, social network, resource assessment, assessment record, etc. in common.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haracteristics by type of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job evaluation are being conducted, and it can be seen that assessment tools for needs assessment and service plan establishment such as comprehensive evaluation sheet, evaluation tools (receptive vocabulary test, MDS), behavior observation evaluation sheet, BVMGT, ADL, IADL scale, etc. are used to guarantee difficulties and basic rights in the radius of life due to disability. As practical implicat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e by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each disability type, training and education of case managers, and preparing a supervis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consider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 complex way, getting away from the fragmentary connection and performance-oriented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that it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