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재활상담사의 재활실습 운영기준 탐색

        박경순,최영광 한국직업재활학회 2019 職業再活硏究 Vol.2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xploratory study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to develop appropriate operational standards and standard guidelines for rehabilitation practicum. The main conten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asp the situation and conditions of rehabilitation practicum.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status of rehabilitation practicum institute, supervision of the supervisor, and proper operation standards of the practice. Based on this survey, rehabilitation practicum operation standard and improvement plan were derived. The analysis data used in the study utilized 146 person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on the Establishment Rehabilitation practicum Standard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Rehabilitation Counselor. Analysis methods were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ross analysis. In addition, the X² (Chi square)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minimum qualification for supervisor is 3 years for the first grade and 5 years for the second grade, the appropriate number of apprentice student per supervisor is 3.2. second, The minimum required subjects for the students to complete before rehabilitation practicum were 7 required courses and 2 elective courses. Third, The appropriate time for rehabilitation practicum is 151 hours on average, Fourth, The appropriate rehabilitation practicum cost per an apprentice student was 126,000 won. In addition, the level of supervision of rehabilitation practicu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supervisor, the region,, and the career experience. Finally, I proposed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practical, institutional, and academic researches so as to be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operating standards for future rehabilitation practicum of Rehabilitation Counselor. 본 연구는 장애인재활상담사를 대상으로 재활실습의 적합한 운영기준과 표준지침을 마련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된 내용은 현장 실습교육의 실태와 여건을 파악하고자 재활기관의 실습운영 현황, 실습지도자의 수퍼비전, 실습의 적절한 운영기준에 관한 사항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실습교육의 운영기준 제시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분석 자료는 한국장애인재활상담사협회의 ‘재활실습 운영기준 마련을 위한 실태조사’에 응답한 14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와 기술통계,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변인의 분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X²(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재활실습에 필요한 운영기준으로 실습지도자의 최소자격은 1급이 3년, 2급이 5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들이 실습 전 이수해야 할 최소 필수 교과목은 필수 7과목과 선택 2과목이, 실습운영의 적정시간은 평균 151시간이, 1인당 실습지도자의 적정 실습인원은 3.2명, 1인당 적정 실습비용은 12.6만원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실습의 수퍼비전의 수준과 실습지도자의 자격, 지역, 실습경력에 유미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결론으로 향후 장애인재활상담사 재활실습의 운영기준 마련을 위한 작업에 기초가 될 수 있도록 실천적, 제도적, 학문적인 연구의 제언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충북 어린이재활서비스 이용실태 및 관련 욕구 조사

        김성태(Sung-Tae Kim),이준희(Joon-Hee L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0 재활복지 Vol.24 No.3

        연구는 어린이재활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이용실태, 어린이재활서비스의 만족도, 그리고 어린이재활서비스의 문제와 개선방향을 조사하여 보고하고, 수요자 요구를 바탕으로 어린이재활서비스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온라인 SNS를통해 배포하고 온라인방식으로 회수하였다. 설문 응답자의 기준은 충북에 거주하며 어린이재활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부모이며, 최종적으로 119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실태조사 결과 충북지역의 어린이재활서비스의 양적, 질적 부족으로 인하여 대다수 응답자가 재활대기 경험이 있고, 타지역을 이동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다. 타 지역을 이동하는 부모들은 그렇지 않은 부모들에 비하여 재활서비스를 위해 더 많은 시간을 대기하고, 재활서비스와 관련한 비용이 증가하여 가정형편이곤란해 졌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금융기관이나 다른 가족 구성원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타 지역을 이동하여 재활서비스를 이동한 경험이 있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유의미하게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장애아동 부모들이 바라는 욕구는 어린이재활서비스의 양적, 질적 기준을 충족하고 보육과 교육의 기능을 통합한 공공형 어린이재활의료기관 설립을 희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actual condition survey to families with experience in using children s rehabilitation services in the Chungbuk reg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ing children s rehabilitation service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hrough SNS and collected by online(Google-form). The criteria for survey respondents are parents who have lived in Chungbuk and have experience using rehabilitation services, and finally analyzed 119 survey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survey, many respondents had experience waiting for rehabilitation service due to the lack of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s rehabilitation services in Chungbuk. Parents who moved to other regions were waiting more time and spending more money for rehabilitation services than those who were not. In particular,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moving rehabilitation services by moving to other region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ithout. The demand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hoped to establish a public child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 that me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andards of child rehabilitation services and integrated the functions of childcare and education.

      • KCI등재

        지역사회기반의 재활체육 지원체계에 관한 독일과 일본 비교연구

        서해정(Hae jung Suh),조재훈(Jae hoon Cho),김재근(Je gun Ki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독일과 일본의 재활체육 서비스 지원체계를 분석하여 한국에 적용 가능한 지역사회 기반의 장애인 건강권 확보를 위한 재활체육 서비스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문헌 검토 및 일본을 직접 방문조사하여 재활체육의 운영 배경 및 발전 상황, 개념 및 범위, 대상, 서비스 전달과정, 제공기관, 제공인력 그리고 재원 등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였고, 이를 근거로 우리나라에 정책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재활체육의 개념과 범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독일과 일본은 처음에는 의료적 재활을 목적으로 상이군인 등을 대상으로 재활체육이 시작되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재활체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장애를 예방하거나 장애로 인한 2차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으로 대상자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둘째, 재활체육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의료, 복지, 장애, 운동처방 등의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인력이 필수적이며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들을 전문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셋째, 독일과 일본에서는 재활체육 제공기관을 특별히 한정짓고 있지 않고 제공기관에 재활체육을 지도할 지도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강조하면서 장소기반이 아니라 인력기반의 재활체육 서비스로 나아가고 있다. 넷째, 재활체육 단순한 의료적 프로그램이나 스포츠 중심이 프로그램이 아니라 질병 중심의 장애유형별 체계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전달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asures to support the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for health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ich can be applicable to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support system of Germany and Japa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rect visiting to Japan, the researcher explored such factors as, background of initiating the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concept, range, and subject of theservice, service delivery procedure, and institutions, and finance of the service. The institu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range of rehabilitation sports are gradually expanding. Initially, the rehabilitation sports started targeting for veterans with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of medical rehabilitation in Germany and Japan. As time passes, however, the importance of rehabilitation sports has emphasized, and the subjects have gradually expand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disability or secondary diseases caused by disability. Second, in order to perform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it is essential to have manpower with expertise in medical treatment, welfare, disability, and exercise prescription, likewise Germany and Japan do. Third, Germany and Japan emphasize the assignment of rehabilitation sports instructors in institutions, rather designating specific institutions, which is moving toward the manpower-based rehabilitation sports service, rather place-based service. Fourth, rather having simple medical programs or sports-oriented program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the systematized disease-oriented programs for each type of disability. Lastly, the clients-oriented service delivery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에 관한 연구 :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시설 사례관리 실천 중심으로

        공창숙 한국직업재활학회 2023 職業再活硏究 Vol.33 No.2

        재활사례관리는 장애인재활상담사(rehabilitation counselor) 국가자격제도 시행 이후 장애인 재활상담사의 실천기술 및 역량 중 중요한 역할과 기능으로 강조되고 있다. 재활사례관리 실천은 장애인복지시설 및 기관에서 사례관리자가 장애 유형과 개별(case) 욕구사정을 통해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에 관여한다. 본 논문은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에 관한 연구로 재활사례관리 개념 및 특성에 관한 문헌조사와 장애인복지기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는 장애인 사례관리 실천단계 및 과정에 대한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재활사례관리 개념적 특성 및 실천범주는 어떠한가? 둘째, 기관별 장애인 사례관리 실천과정과 사정단계 내용 및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기관별 장애인 사례관리 실행 및 점검단계의 현황과 특성은 어떠한가? 의 3가지로 설정하였다. 문헌조사 및 실천현장 내용 분석결과 첫째, 장애인 사례관리의 개념적 특성은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삶의 복합적이고 만성적인문제에 대해 욕구특성에 맞는 사정도구 및 심층면접, 자원사정을 통해 재활서비스를 점검하고 조정하는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실천과정이며, 그 실천범주는 개인력, 사회력, 대인관계, 사회적응, 자립생활, 일상생활, 직업재활, 재활 서비스, 복지지원 등 삶의 전 영역에 관여하게 된다. 둘째, 장애인복지관과 직업재활시설 재활사례관리 실천 내용분석을 통해 제시된 과정 및 단계별 특성으로 초기단계에서는초기면접→사회진단→직업지원계획→개인별 서비스계획→직업평가서 작성 및 점검 등의 과정을 통해 장애로 인한 일상생활의 문제, 경제적인 자립, 직업재활, 사회적 관계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알수 있다. 셋째, 사정단계에서 종합사회복지관과 장애인복지시설에서 사용하는 사정도구는 생육사(Life history), 가계도, 생태도, 사회적 관계망, 자원사정, 사정기록지 등이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장애인복지시설에서는 장애유형별 특성 및 자립생활, 직업평가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종합평가지, 평가도구(수용어휘력검사, MDS),행동관찰평가지, BVMGT, ADL, IADL 척도 등 장애로 인한 삶의 반경에서의 어려움과 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한 욕구사정과 서비스 계획 수립을 위한 사정도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천적 함의로 향후 장애 유형별 사정도구의 개발 및 사례관리자의 훈련과 교육, 수퍼비젼 시스템을 마련하여 전문역량을 강화해야 하고, 단편적인 연계 및 실적위주의 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개인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인 관점으로 재활사례관리 영역을확대하고 지역사회 자원의 조직화와 활용과정에 적용해 나가야함을 제시하였다.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is being emphasized as an important role and function among the practical skills and competencies of rehabilitation counsel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counselors.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practice is involved in chronic and complex problems caused by disability through case manager's assessment of disability type and individual case needs in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tegorie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and a content analysis of the stages and processe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conducted by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an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set in three way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categorie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Second, what ar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e management practice process and assessment stage by institution? Third, what ar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inspection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institution? I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content analysis, first,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is a long-term and continuous practice process that checks and adjusts rehabilitation services through assessment tools, in-depth interviews, and resource assessments fit for the characteristics of needs for the complex and chronic problems of life caused by disability, and the practice category is involved in all areas of life, including personal history, social histor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adaptation, independent living, daily life, vocational rehabilitation, rehabilitation service, and welfare support.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practices of welfare center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the initial stage with the proposed process and step-by-step characteristics,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on problems in daily life caused by disability, economic independence,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cesses of initial interview →Social diagnosis → Job support plan → Individual service plan → writing and checking the job evaluation report. Third, in the assessment stage,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s and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use life history, family tree, ecology map, social network, resource assessment, assessment record, etc. in common.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haracteristics by type of disability, independent living, and job evaluation are being conducted, and it can be seen that assessment tools for needs assessment and service plan establishment such as comprehensive evaluation sheet, evaluation tools (receptive vocabulary test, MDS), behavior observation evaluation sheet, BVMGT, ADL, IADL scale, etc. are used to guarantee difficulties and basic rights in the radius of life due to disability. As practical implication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ofessional competence by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each disability type, training and education of case managers, and preparing a supervis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habilitation case management with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considers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a complex way, getting away from the fragmentary connection and performance-oriented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that it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utilizing community resources.

      • KCI등재

        재활체육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서연태 ( Youn Tae Suh ),한희창 ( Hee Chang Han ),김해미 ( Hae Mi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재활체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뇌성마비 장애(1급)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뇌성마비 아동에게 재활체육프로그램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1급 뇌성마비 아동 14명을 선정하였고, 실험군7명과 대조군 7명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는 재활의학과 전문의 재검진을 통하여 피험자의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실험군은 재활체육 프로그램 16회기(60분/일, 2회/주)를 기준으로 수중재활운동과 짐볼·테라밴드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평상시 생활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재활체육프로그램을 적용 전, 적용 중, 적용후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일상생활능력등을 측정하여 집단간 회기별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조성의 변인으로는 체중, 제지방량, 체지방량, 체질량지수등을 분석하였다. 재활체육 프로그램적용 후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등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지방량에서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동작운동기능 평가에서는 재활체육프로그램 참여 집단이 비참여 집단 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 큰 폭으로 향상되어 회기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두 집단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일상생활능력 평가에서도 재활체육프로그램 참여 집단이 비참여 집단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 회기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16회기간의 재활체육프로그램은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일상생활능력평가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같은 재활체육프로그램이 뇌성마비아동에게 보급되어 재활체육이 활성화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and GMFM, WeeFIM. We try to ascertain the change of effects during the periods of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on selected fourteen(14)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 were selected fourteen(14)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had been primarily examined by rehabilitation specialist doctors from 8 to 14 year old children and they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sports for sixteen(16) times(60minutes a day, 2 times a week). They were measured about body composition, GMFM and WeeFIM, three times before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 and sixteenth. The following is analysis results. First, variants of body composition, such as weight, lean body mass,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were analysed; As compared between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weight rate, body fat mass and body mass index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but lean body mass showed no chang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econd, variants of GMF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Third, variants of WeeFI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5) pre-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eighth(8) and sixteenth(16) after rehabilitation sports program.

      • KCI등재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뇌병변 환자 손 재활 장치의 시스템 디자인 제안

        한상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This study focuses on the rehabilitation device used by patients to reduce limb dysfunction andhemiplegia disease, which are the biggest problems among the various sequelae accompanyingbrain lesion disorders. The difficulties that the patient feels about performing rehab. The cost ofrehabilitation The boredom of simple rehabilitation, Slow rehabilitation, The lack of voluntarytreatment In order to relax one's back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pose the design ofhand rehabilitation device systems that utilize game content, not the one dimension of therehabilitation devic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carried out in the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brain lesions and the literature related to rehabilitation treatment, Analysis of the game contentssuitable for use by patients in order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activitiesand to provide goal-oriented exercise based on their own interest and Based on previousanalysis of hand mami rehabilitation device and analysis of hand wearing device, proposals fordesign of rehabilitation device that utilizes game contents were made. Through this research the system was developed using game contents to maximize the effects ofrehabilitation by instigating interest to the user in a different format from the existing boring andrepeated rehabilitation training equipment,The difficulty of senior citizens and stroke patients moving to a hospital with rehabilitationequipment and rehabilitation therapists and waiting for long periods of time. The type of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system was proposed to be carried out in institutions(such as nursing homes) near the home or residence of the rehabilitation patient in addition tothe hospital as part of reducing the cost of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에 동반되는 다양한 후유증 중 가장 큰 문제가 되는 팔다리 기능 저하 및 편마비 질환의빠른 회복을 위해 환자가 사용하게 되는 재활 장치에 주목하였다. 환자가 재활 치료 수행에 느끼는 어려움으로재활 치료 비용부담, 단순재활치료의 지루함, 느린 재활효과, 자발적 치료의 저조함 등을 완화하기 위해 1차원적 재활기기 형태가 아닌 게임 콘텐츠를 활용하는 손 재활장치시스템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이를 위해 뇌병변 장애 환자의 특징 및 후유증에 대한 재활치료 관련 문헌 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였으며, 환자 스스로 흥미유발에 따른 자발적인 재활운동 참여 유도와 목표지향적인 운동 제공을 위해환자가 활용하기에 적합한 게임콘텐츠 분석 및 기존 손 마미 재활장치 분석, 손 착용 장치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재활장치의 디자인 제안이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기존의 지루하고 반복되는 재활훈련 장치와 다른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재활 훈련 시 재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게임 콘텐츠 활용한 재활훈련 시스템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고령자및 뇌졸중 환자가 재활치료를 위해 반드시 재활 기기 및 재활치료사가 있는 병원으로 이동하여 장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어려움 그리고 재활치료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는 부분으로 병원 이외에 재활환자의 가정이나 주거지 인근의 기관(양로원 등)에서 재활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손 재활훈련 장치 시스템 유형을 디자인 제안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직업재활시설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연이섬(Yeon, Lee Seom)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9 재활복지 Vol.23 No.4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the main expert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can result in a significant loss of expertise and skills accumulation.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affect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affect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intended to propose a plan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worker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using SPSS 25.0. As a result, the higher the Empowerment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lower the intention to turnover.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reduce the intention to turnover.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empower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found to affect only the semantics among sub-variables of empowermen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necessity of finding ways to improve seman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owerment of the workers i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as raised.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는 장애인직업재활의 주요한 전문 인력이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 증가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전문성과 기술 축적에 큰 손실을 가져 올 수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그 영향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종사자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조사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조직몰입도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조직몰입도 이직의도를 감소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의 하나로 나타났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이직의도 간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는 임파워먼트의 하위변인 중 의미성에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임파워먼트 중 의미성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만족도 및 교육 효과

        조계엽,김완호,김정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6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and understandings of contents and practical availabilities. Method: The subjects were rehabilitation service worke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community should be period K Rehabilitation Hospital provided the participants with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for three days. After the training course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ir satisfaction,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practical availabilities. Results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Results should that nurse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program was in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is the physical therapist, occupational therapists, social workers, health occupations, administrative, exercise curer, dental hygiene. The average satisfaction was 4.40 (0.52), understanding of contents and practical applicability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 <.01). Dur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p <0.01), educational background (p = 0.006), the main task (p = .012)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n-service rehabilitation train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community rehabilitation worker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tinued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o enhance the capacity of future occupational group practice rehabilitation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are needed. In addition, the findings proposed to develop the rehabili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and attitude, as well as performance evaluation tool which can be used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worker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재활실무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교육만족도, 교육과목 내용 이해도 및 재활실무적용성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원시실험설계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서 장애인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이며 K재활병원에서 3일과정으로 실시하는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모든 교육생을 대상으로 교육과목 만족도,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 교육내용 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을 교육실시 전과 교육실시 후에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평가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또한 종사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종사자들은 간호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순위는 물리치료사였으며 작업치료사, 사회복지사, 보건직군, 행정직군, 운동처방사, 치위생사 등의 직군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교육만족도 평균은 4.40(0.52)이었으며 교육내용이해도와 실무적용성은 모두 유의하게(p<.01)로 향상되었다. 일반적 특성중에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전문직종(p<0.01), 학력(p=0.006),주 업무(p=.012)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재활실무 교육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재활서비스 종사자들의 재활실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의 직군별 재활실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또한 지역사회중심재활 서비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재활실무 지식과 태도, 그리고 수행능력 평가도구를 개발을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촉진하는 미국의 편의증진 및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

        육주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licit implications of providing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grams through investigat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job accommodation in the United State. The provision of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and its effects from Bush's New Freedom Initiative of 2001, Assistive Technology Act of 2004,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and Rehabilitation Act of 1998 were investigated. To facilitate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the job accommodation needs of workers and job seekers with disabilities, workplace conditions in Korea,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context, and the rol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professionals should first be analyzed in the future study. With the analysis base, regulations and policies regarding job accommodation and rehabilitation technology in workplace and the roles of the professionals could be established.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장애인의 직업재활 및 고용을 위한 편의증진과 재활공학 관련 법제도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직장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편의증진 및 재활공학 제도와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시 대통령의 New Freedom Initiative 정책, 재활보조공학법, 미국장애인법, 재활법에서 장애인의 직업관련 편의증진과 재활공학 내용과 그에 따른 결과와 실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에 직업재활을 촉진하는 편의증진과 재활공학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장애인근로자와 구직 장애인의 편의증진 요구, 사업체의 여건, 직업재활 서비스 환경, 직업재활 서비스 전문가와 재활공학 전문가의 역할 등의 연구 분석을 통한 제도와 전문인력 배치 및 활용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운전재활에 대한 부산 경남지방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송민옥,장철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3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3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도 및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차후 운 전 재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알아보고, 차후 운전 재활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경남, 부산 지역의 전문대학 작업치료과 학생 317명이었다. 설문지는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15개 문항과, 운전재활에 대한 요구도 관련 9개 문항 그리고 대상자 특성에 관한 4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배부 및 회수 기간은 2013년 5월 12일부터 6월 20일었다. 결과 : 운전재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73명(23.1%)였으며, 직접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은 47명 (14.8%)였다. 운전재활을 알게 된 경로 및 경험한 경로는 모두 학교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운전재활 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운전재활 전문가 및 운전재활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인식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운전재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운전재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인식도와 요구도에 대한 학년별 차이에서는 3학년이 1,2학년보다 인식도와 요 구도가 높고, 학교별로 A학교가 C, D학교보다 유의하게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결론 : 운전재활분야에서 작업치료사들의 영역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를 담당하게 될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정규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degree of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regarding the driving rehabilitation of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 : Subjects are 317 students,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of 4 colleges in Gyeongnam and Busan. Questionnaire consist of 15 questions of perceptions of the driving rehabilitation, 9 questions of needs of the driving rehabilitation, and 4 questions of subjects. The period of surveys was from 12, May to 12, Jun, 2013. Result : 73(23.1%) students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the driving rehabilitation and 47(14.8%) students answered that they experienced the driving rehabilitation. The answers about the channels of knowing and experience regarding driving rehabilitation hadthrough the college. The perceptions regarding the specialist and programs of driving rehabilitation was low compared with the knowing of the driving rehabilitation. The perception of needs regarding the driving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high and they answered that they need the educations regarding driving rehabilitation. The 3rd grade students had high degree of perceptions and needs compared with 1st and 2ed grade students. And A college students had high degree of perceptions and needs compared with C and D college students. Conclusion : It is important that subject regarding of the driving rehabilitation include in curriculum of occupational therapy for strengthen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riving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