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대졸자의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재연,강순희 한국교육사회학회 2017 교육사회학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ervice work experience in school on the early labor market adaptation of junior college graduates. For the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entered college immediately by using the GOMS data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the relation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school characteristics, and early labor market adaptation and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the difficulty of adjusting for the first job were examined through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environment of students who have interpersonal service work experience in school is worse than others. Th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service work in school has a only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early labor market performance in terms of transition period, job retention. Second, the interpersonal service work exper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some separation reasons, but it has a negative effect on external factors. Third, it is more likely that the person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service job is more likely to experience the difficulty of first job adjustment than the person who does not have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attendance. On the other hand, variables such as graduation scores, scholarship beneficiaries, and the first job transition period, which are frequently used as indicators for predicting the employment possibility of the college graduates, does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cy implications and challenges a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학생의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인서비스 직무는 대표적인 감정노동이기에 재학 중의 그 경험은 그 이후 노동시장 적응에 상당한 영항을 미칠 수 있다. 2012~14년 3년 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를 활용하여,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 여부에 따라 초기 노동시장 적응 현황이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고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별 첫 일자리 적응에서 어려움을 경험할 확률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에 처한 전문대학생들이 재학 중 대인서비스 일자리에 참가하고 있다.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자는 노동시장 이행이나 첫 일자리 유지 등에서는 무경험자보다는 양호하나 임금수준은 비대인서비스 경험자보다 낮게 나타나 초기 노동시장 성과에 정(+)의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가설은 부분적으로만 지지되었다. 둘째,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경험이 일부 이직사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외재적 요인에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재학 중 직무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대인서비스 직무를 경험한 사람일수록 첫 일자리적응의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학 중 대인서비스 직무 경험이 초기 노동시장 적응 시 어려움을 완화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기각하고 있다. 한편, 전문대 졸업생들의 취업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들로 자주 이용되는 졸업성적, 장학금수혜여부, 첫 일자리 이행기간 등의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거나 첫 일자리 적응의 어려움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정책적 시사점과 과제를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결정요인 및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 관한 연구

        강순희(Soonhie Kang)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2011년도『고졸자 취업진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실태와 취업결정요인, 그리고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고교 재학 중 진로관련 경험과 진로지도가 취업과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 어떠한 효과를 미쳤는지에 주목하였다. 분석 결과, 고졸 취업자는 대졸 취업자에 비해 고용이 불안정하고 임금도 낮으며, 또한 직장에서 업무와 교육수준의 미스매치가 크고, 구직정보 획득이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재학 중 진로관련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취업이 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진로상담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상업계열의 경우와 고교성적이 상위권인 경우에 취업이 더 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고교 졸업 이후 현재 직장 이전의 일자리 경험 여부나 횟수는 취업과 부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에서는 재학 중 취업목표를 설정한 경우에는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현 직장 이전의 일자리 경험은 현재 일자리에 정착할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남자의 경우 재학 중 진로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노동시장 정착가능성이 높으나 여자는 반대이며, 재학 중 진로상담 경험은 남녀 모두에서 오히려 현 직장에 계속 근무할 가능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고교에서 진로관련 경험이나 취업과 관련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함을 시사하고 있다. 남녀 모두에서 고교 재학 중의 성적이 높을수록 또한 현재 일자리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클수록 협의의 정착가능성, 즉 현재 일자리에 계속 머무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청년층 고용문제 가운데 고졸자가 대졸 청년층과 구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에 특화된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고교 재학 중에 진로관련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진로상담을 포함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내실화하여 조기에 알맞은 일자리에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학교 내에서의 이러한 노력에 더하여 학교 밖에서도 학교로부터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지원하는 일자리 매칭 시스템, 직업훈련 정책 등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the labor market situation, employment determinants, and labor market attachmen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using the raw-data of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1. The result shows that their jobs are more unstable, their wages are lower, mismatch between jobs and education attainment is bigger, and acquisition of job information is more unsystematic comparing to the college graduates. The career-building activities during the high school life affect the employment positively, but career consulting does not. Prior work experience affects the employment negatively, which shows that frequent job turnover does not helpful for their career building. The employment goal setting during the high school life makes their employment more stable, so they are more likely to settle down in the labor market. The career consulting experience or work experience, however, affect the labor market attachment negatively. It means that career consulting in the high school is not effectiv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employment policy should be different between the high school graduates and the college graduates, since the structure and cause of employment problems are different. The career guidance and career consulting in the high school also should be advanced to increase their effects.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을 중심으로 -

        박주상,문영만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4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labor experience on labor market performance while attending school using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data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released in February 2018. Labor market performance is analyzed by quantitative aspect (employment status) and qualitative aspect (regular employment, large company employment, monthly average w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 of work experience and passion pay experience at scho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eoul and Gyeonggi - Kwon compared to local universities. Especially, passionate experience in Seoul showed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women in Seoul. Second, the employment rate was higher than that when there was no work experience during college, and employment rate of large enterprises was high. Third, as the passion pay experience shows, the employment rate, regular employment rate, and monthly average wage are lower. This shows that work experience in school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in the labor market after graduation, but this means that the experience of passion and payment can have a negative effect. Suggesting that policies to ensure that qualitative labor experience is achieved rather than quantitative labor experience in order to achieve progressive transition from the education of young people to the labor market. 본 연구는 2018년 2월에 공개된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5GOMS)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과 열정페이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노동시장 성과는 양적인 측면(취업 여부)과 질적인 측면(정규직 취업 여부, 대기업 취업 여부, 임금수준)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학 중 노동경험과 열정페이 경험은 지방대학과 비교하면 서울권과 경기권 대학의 비중이 높았으며, 특히 열정페이 경험은 서울권의 여성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 재학 중 노동경험이 있는 청년이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취업률과 대기업 취업률이 높았다. 셋째, 열정페이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률, 정규직 취업률, 월 평균임금이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대학재학 중 노동경험이 졸업 이후 노동시장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열정페이 경험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청년층의 발전적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위해서는 양적인 노동경험보다는 질적으로 충실한 노동경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노동시장 성과

        이병희 한국노동경제학회 2003 勞動經濟論集 Vol.26 No.1

        재학 중 근로경험의 실태와 이후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1차 「청년패널」(2001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학 중의 근로경험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러한 근로경험은 학교교육을 마치고 첫 일자리를 획득하기까지의 이행을 신속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첫 일자리의 임금을 높이는 효과를 갖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재학 중의 근로경험이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극적인 직업태도를 함양하는 데는 도움을 주지만 대부분 전공과 무관한 단순업무에 그쳐 학교교육을 보완하여 평생 일자리(career job)를 획득하는 데 나아가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경력중시형 노동력 수요로의 구조적인 변화에 대응하여 재학 중 근로경험을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Many students accumulate work experience while they attend college. Using data from Korean Youth Panel,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school work experience on school-to-work process. Work during college contributes to take first job quickly after school, bu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wage level of first job. These results show that in-school work experience might help job search but not provide skills and knowled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ling the youth internship programme to in-school learning in collaboration with school.

      • KCI등재

        4년제 대학 재학 중 일 경험 유형이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은수(Lee, Eunsoo),박가열(Park, Ka Yeu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 대학 재학 중 일 경험 유형이 초기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2016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재학 중 일 경험 목적 및 전공 관련 여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졸업 후 첫 직장 취업 소요기간, 임금,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진로탐색을 목적으로 전공과 관련 있는 일자리를 경험한 학생의 경우 재학 중 일자리를 경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첫 일자리로의 진입이 빠르고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계를 목적으로 전공과 관련 없는 일자리를 경험한 학생의 경우 재학 중 일 경험이 없는 집단과 비교했을 때 취업소요기간이 짧고 낮은 임금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계가 목적이지만 전공과 관련 있는 일자리를 경험한 학생의 경우는 그러한 부정적인 효과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대학 재학 중 자신의 전공과 관련 있는 일자리 경험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청년층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바람직한 일 관련 경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work experience during the college effect the earlier labor market transitions after graduation. Using data from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6),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ypology of students’ work experience(sort by both primarily reasons for working and coherence of work experience with the field of study attended) on several labor market outcomes-job-search duration, income and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who had work experience which relates to the field of study for preparing future career has shorter job-search duration and higher job satisfaction. Moreover, students who had work experienc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field of study to maintain a livelihood had shorter job-duration and low income. However, students" work experience which relates to the field of study to maintain a livelihood offsets negative effect on labor market outcomes. The results provide evidence of importance of work experience relates to the field of study, and suggest poli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근로유형에 따른 재학 중 근로의 노동사장 초기성과

        이차영 ( Chan Young Lee ) 한국경제통상학회 2013 경제연구 Vol.31 No.1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working experiences. Especially the primarily reasons for working are considered. Also,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working experiences by the primarily reasons for working on the earlier labor market outcomes are examined. This study is better than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nsiders the major reasons for work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se. First, we found the types of working while in college are mainly determined by the budget constraints of household. In other words,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y are working for living itself, whereas students from high-income family are working for preparing on future job. Second, these types of working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arlier labor market outcomes. Compared to those who had no experience while in college, those for working for preparing for future career have higher probability in sustaining in the first job obtained after graduation. On the other hand, those for working for living itself have no difference in labor market outcomes. Therefore, these results imply that working experiences for career-specific skills while in college should be supported by university and local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