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74년 대한민국 정부의 대민단 인식 ‒외교사료관 소장 문서철 『재일본민단확대 간부회의 개최 계획』을 토대로‒

        이재훈 한국일본근대학회 2024 일본근대학연구 Vol.- No.83

        This article is intended to confirm the perspective of the Korean government’s view of the Korean Mindan(民団) in Japan by using a diplomatic document file about 1974 Enlarged executive Meeting. Following 1969 and 1970 and 1971, a plan was made to hold an expanded executive meeting of Mindan in Japan in 1974, which has different properties as before. First of all, unlike existing meetings, this meeting is intended to be held by Mindan itself, not by the government. At that time, Chongryon(朝総連) in Japan had fewer people than Mindan, but its power was incomparably huge. At that time, howev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ried to create an atmosphere of peace with North Korea in line with the world situation inspired by the Nixon Doctrine from the late 1960s. In response, it would have been more convenient for Mindan to take the initiative and take a hard line against North Korea than for the government to come out on its own. Mindan tried to use the meeting as an opportunity to convey the wishes of its compatriots, but the government only tried to make Mindan a tool for Chongry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본고는 외교부 공개 문서 가운데 1974년도에 개최 예정에 있던 재일본민단확대 간부회의 관련 문서철을 통해, 당시 대한민국 정부가 민단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 것이다. 1969년과 1970년, 1971년에 이어 1974년에 재일본 민단확대 간부회의 개최에 관한 계획이 세워지는데, 이는 기존의 회의와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었다. 우선 이 회의는 기존 회의와는 달리 정부 주체가 아닌 민단 스스로의 개최로 보이게끔 여러 연락이 오고 간다. 당시에 일본 내 조총련은 인원은 적을지언정 민단과 비교하기 어려울 정도로 세력이 방대했다. 그러나 당시 박정희 정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닉슨독트린으로 촉발된 세계정세에 맞춰 표면적으로 북한과 평화적 무드를 조성하고 있었다. 이에 정부가 나서서 대북 강경책을 펴기보다는 민단이 자주적으로 나서서 대북 강경책을 펼치는 게 모양새가 좋았을 것이다. 민단은 회의 자리를 빌려 교포들의 숙원을 말할 기회로 삼고자 하였으나, 정부는 어디까지나 민단을 대조총련 정책의 도구로 삼고자 했을 뿐이었다.

      • KCI등재

        외교문서 속의 민단‒1975년까지의 외교사료를 중심으로‒

        이재훈 한국일본근대학회 2023 일본근대학연구 Vol.- No.80

        This study aims to confirm how the government recognized Mindan(民団) by checking the activity aspects of Mindan appearing in diplomatic documents, 158 public documents from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n the diplomatic documents, the most characteristic description of the role of Mindan was when it was active as the grand pole of Chongryon(総連). As with the founding process of Mindan, unlike the domestic situation in Korea, it was in conflict with Chongryon, so Mindan had no choice but to react sensitively and promptly to Chongryon. As with the founding process of Mindan, unlike the domestic situation in Korea, it was in conflict with Chongryon, so Mindan had no choice but to react sensitively and promptly to Chongryon. As with the founding process of Mindan, unlike the domestic situation in Korea, it was in conflict with Chongryon, so Mindan had no choice but to react sensitively and promptly to Chongryon. As with the founding process of Mindan, unlike the domestic situation in Korea, it was in conflict with Chongryon, so Mindan had no choice but to react sensitively and promptly to Chongryon. However, as revealed at the “Mindan Reinforcement Meeting”, the various demands that Mindan constantly demanded were ignored or not dealt with much in the first place. This was because the government valued the role of Chongryon as a confrontation point above all else. The government’s perception of the public group eventually led to the unfortunate end of the Rejection policy. 본고는 외교부 공개 문서 가운데 DB 작업을 마친 158점을 대상으로, 외교문서에 등장하는 민단의 활동내역을 확인하여 정부가 민단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 것이다. 외교문서 가운데 민단의 역할에 관해 가장 특징적으로 기술된 것은 총련의 대극점으로서 활동을 할 때였다. 민단의 탄생 경위도 그러하거니와 한국 국내 사정과는 달리 총련과 맞닿아 있는 입장에서, 민단은 총련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고 기민하게 대처할 수밖에 없었다. 민단은 자발적으로, 혹은 정부의 지시를 받아 민단과 대척점에 섰다. 일본측 인사도 민단을 조총련의 세력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민단의 세력의 증대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정부는 이 같은 민단의 활약에 대해 민단과 관련된 인사들이 특별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그러나 민단강화회의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 민단이 줄기차게 요구하던 각종 요구사항들은 무시되거나 애초에 크게 다루어지질 않았다. 이는 정부가 총련의 대극점으로서의 역할을 무엇보다 중시했기 때문이었다. 정부의 이 같은 대민단 인식이 결국에는 기민정책이라는 불행한 종말을 맞이하게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재일동포사회의 통일운동 흐름과 새로운 모색 ―원코리아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이신철 ( Sin Cheol Lee ) 수선사학회 2015 史林 Vol.0 No.52

        After the liberation, the Korean resident society in Japan has created a unified organization under common objective of ‘returning home’ and proceeded united activities. Even though the group was disintegrated not long after, until 1950s the Korean Society in Japan had the non-ideological solidarity to some extent on the basis of the shared desire for the united government. Even after the 1960s, the limited solidarity has continued. The solidarity of this period was led by the group of people separated from the Feder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Mindan) who support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South Korea. These people groped a new possibility of solidaratty with the affiliates of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Chongryon). With the appearance of this power, a generation that perceive the idea of ‘livelihood’ in Japan as more valuable than ‘returning home’ or ‘home country’ became a newdominant group. In extension of the awareness of this problem, a new form of ethnic culture festivals which emphasizes the ethnic identity(culture) were introduced in the 1980s. This was influenced by democratization movement of South Korea which made use of ethnic culture. Among them, One-Korea Festival has suggested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Common Community of Asia Theory as their common vision. With an atmosphere of post-cold war of Northeast Asia, this movement has opened a new possibility by getting South and North Korea and Mindan and Chongryon together through cultural events. However, the atmosphere of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started since 2008 harmed this movement. Not only North Korea but Chongryon stopped participating in this cultural festival. In the mean time, the Korean Wave had a role in filling the place where the culture of Chongryon hadleft with Korean Hallyu culture and Japanese pop culture. Meanwhile, this movement, keeping South Korea as its center, has expanded to a ‘whole world festival’ claiming to advocate the unification movement through combination of culture among 7 million Koreans all around the world. This change has a positive side such as an expansion of the movement, but at the same time suggests the distance from North Korea or Chongryon that is growing further apart. The One-Korea festival with its outcome of 30 years has encountered with the problems to resolve the crisis from inside out, which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change of its own characteristics.

      • KCI등재

        아나키스트 박열과 해방 후 재일한인 보수단체

        김태기(金太基) 한일민족문제학회 2014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7 No.-

        この研究は解放後から1949年4月頃までの新朝鮮建設同盟(以下、建同)、在日本朝鮮居留民団(以下、朝鮮民団)、そして在日本大韓民国居留民団(以下、民団)が結成される時の朴烈の思想および政治的な選択と彼を取り巻く関係者および韓半島との関係に焦点を当てて考察した。 在日本朝鮮人連盟(以下、朝連)の共産主義者らは解放後、過去における日本の軍国主義を批判し天皇制打倒と共産主義国家の建設を主張した。また、親日系の韓人たちに暴力を振るって排除した。それに対しアナキスト朴烈は解放後、四海同胞主義を主張し、過去の日本のことはもちろん、天皇制についても批判しなかった。すでに朝鮮が独立をしたから、日本に対する内政干渉の必要がなくなったし、むしを親善を追求すべきだというのが彼の立場だった。さらに、朴烈は親日系の韓人を在日韓人社会から排除することもできたが、むしろ彼らを包容した。こうした朴烈のアナキスト的な思想と立場は建同、朝鮮民団の性格と活動にそのまま反映された。 その結果、建同の活動は日本の過去を問題したり、内政に干渉しておらず、新しい祖国建設と自分たちの民生問題を優先視した。新しい祖国建設を自分たちの主な課題にすることはしたが、建同は、韓国政治の対立と混乱の中で特定の政治集団に加担せず、むしろ「統一戦線」の必要性を感じていた。さらに朝鮮民団は韓半島の政治的な混乱が続くなか、また、日本国内での在日韓人の生活が不安定ななか、祖国建設という課題を排除し、自らの問題を解決を最優先とするため、政治的な「無色」の「民生」団体として位置しようと努力した。 しかし、朴烈は5ㆍ10総選挙と韓国単独政府樹立に対して朝鮮民団団長として露骨的に支持し始めた。それによって朝鮮民団は「無色」ではなく、李承晩の政治路線を支持する団体になった。そして彼と別の立場を持っていた李康勳と元心昌など、他の独立運動家出身の保守系在日韓人らと決別する決定的な契機になった。李承晩の政治路線を支持し始めた瞬間、「アナキスト」朴烈は「現実主義」の右派の指導者になっていた。それによって保守系団体は分裂し、その分裂は今も続いている。 財政問題などで建同と朝鮮民団そして民団は朝連とは組織規模において比較にならなかったが、朴烈が民団から離れた時の民団は全国的な保守団体としての体裁をある程度整えるようになった。

      • KCI등재

        정한경의 초대주일특사 임면과 활동

        장경호 한일관계사학회 2022 한일관계사연구 Vol.76 No.-

        본 연구에서는 초대주일특사 정한경의 임면 배경과 활동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광복 직후 한일관계의 쟁점이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주독립운동가이자 친 이승만계였던 정한경은 줄곧 미주에서 지내다가 1948년 2월 환국했다. 그의 환국 배경은 이승만의 요청 및 커니고등학교 동창이었던 아서 리치(Arther L. Lerch)가 미군정장관을 맡게 된 후 그의 도움을 받았던 까닭이다. 정한경은 헌법 초안 제정 작업과 총선거 감독, 서울 내 미국유학생 강연, 이화장에서 이승만과 독대하며 대통령 취임사 수정 논의 등을 했다. 1948년 10월 19일에는 이승만∙임병직과 함께 일본을 방문하였고, 12월 23일에는 대한민국 초대주일특사로 파견되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GHQ 외교부 시볼드(William J. Sebald)의 견해를 인용하여 정한경 재임기간 동안 아무것도 한 것이 없다고 판단하거나, 무능하다고 했지만, 실제 정한경이 이승만에게 보낸 보고서 및 외교부 문서를 살펴보면 인력수급, 공관 설치 및 비용 책정, 재일조선인들의 지위, 여권 문제, 배상문제 등에 있어 정한경이 직면한 일들이 적지 않았다. 이는 광복 이후 한국정부가 직면했던 초기 한일관계의 문제점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승만은 정한경에게 해임통보를 했다. 이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으나, 사실 정한경은 처음부터 공직을 맡을 의향이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승만의 부탁으로 초대주일특사에 취임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으로 머무는 시기 재일조선인들이 그에 거는 기대는 커서 1949년 4월 1일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장에 선출되었지만, 이 역시 이승만의 요청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고, 단장 피임을 거부한 후 4월 8일 미국으로 돌아갔다.

      • KCI등재

        6.25전쟁과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 : 이승만 정부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오가타 요시히로(?方義?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1

        본 연구는 6.25전쟁에 참전하려던 재일동포들에 대해 이승만 정부가 어떻게 대처했는지, 그리고 의용병으로 참전한 그들에게 발생한 문제를 이승만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950년 전쟁 발발 당시 일부 우파 재일동포들은 조국 상실에 대한 위기감으로 참전을 결심했고, 실제로 642명이 의용병으로 참전하게 됐다. 재일동포 의용병 참전에 대해 당시 이승만 정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가 국제연합군 요청에 응해 그들의 참전을 허락했다. 그런데 그렇게 참전하게된 의용병은 충분한 대우를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제대 후 일본에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결국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 중 265명만이 일본에 돌아가게 됐고, 나머지는 전사 또는 실종되거나 한국에 홀로 남게 되었다. 이승만 정부는 그들이 처한 문제에 대처하려고 시도했으나 냉전구조 아래서 충분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했다. 전쟁 중 진행된 샌프란시스코 대일 강화조약의 체결과 식민지에 뿌리를 가진 한일 간의 특수한 관계는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을 둘러싼 문제를 더욱더 복잡하게 만든 것이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Korean government dealt with Korean volunteers from Japan in the Korean War, and how President Rhee Syngman’s governmen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d. When the war broke out on 25 June 1950, some right-wing Koreans in Japan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war for fear of losing their nation. 642 people actually joined the war as military volunteers. President Rhee was ambivalent about their participation but allowed them to enlist at the request of United Nations Command. But the Korean volunteers were not treated well and many of them were unable to return to Japan after the war. In the end, only 265 were sent back to Japan; the rest stayed in South Korea while leaving their families in Japan. Rhee’s government attempted to negotiate with the U.S. and Japan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Korean volunteers, but it did not have enough bargaining power under the structure of the Cold War. The signing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Japan during the war and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Japan, which had its roots in Japanese colonial rule, have further complicated the issue surrounding the Korean volunte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