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승모판막성형술 실패 직후에 시행한 재수술

        백만종,나찬영,오삼세,김웅한,황성욱,이철,장윤희,조원민,김재현,서홍주,김욱성,이영탁,박영관,김종환 대한흉부외과학회 2003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6 No.12

        배경: 승모판성형술 직후에 시행한 재수술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지 않다. 저자들은 승모판성형술 직후 성형술 실패로 판단되는 환자에서 즉시 시행한 재수술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4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세종병원에서 승모판성형술을 받은 환자 중 체외순환 이탈 직후 시행한 경식도초음파 검사에서 승모판막폐쇄부전 혹은 협착이 의미있게 잔존하거나 다른 이유로 재수술이 즉시 필요하였던 1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남녀비는 5:13이었고 평균 연령은 44세였다. 승모판막 질환은 폐쇄부전 12명, 협착 3명, 그리고 혼합형이 3명이었다. 원인은 류머치스성 9명, 퇴행성 8명, 그리고 심내막염이 1명이었다. 재수술의 원인은 잔존 승모판폐쇄부전 13명, 협착 4명, 그리고 좌심실천공이 1명이었다. 14명(77.8%)에서 재성형술을, 4명에서는 인공기계판막치환술이 시행되었다. 결과: 조기사망은 없었다. 조기결과는 승모판막치환을 한 4명을 제외한 14명 중 13명(92.9%)에서 0-I도의 폐쇄부전을 보였고 협착은 14명 모두 경도 이하 상태였다. 평균 33개월을 추적조사한 결과 1명이 술 후 4개월 후 심기능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승모판폐쇄부전은 9명(64.3%)에서 0-I도를, 승모판협착은 11명(78.6%)에서 경도 이하였고 재수술은 1명에서 시행되었다. 6년 생존율과 재수술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94%와 90%였다. 4년 후 승모판폐쇄부전 및 협착 재발로부터의 자유도는 각각 56%와 44%였다. 결론: 승모판막성형술 직후 재수술은 양호한 조기 및 중기 생존율을 보이며 일차성형술 실패 후에도 높은 빈도에서 재성형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재성형술 시 특히 류머치스성 판막질환에서는 판막 기능부전 발생률이 높기 때문에 성형술 후 판막부전의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성형술의 적절한 적용 및 적응증 선별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추 유합술 후 인접 분절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의 재수술

        조규정(Kyu Jung Cho),박승림(Seung Rim Park),정재훈(Jae Hoon Jung),박주현(Joo Hy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3

        목적: 척추 고정술 후 인접분절에 발생한 척추 협착증에 대한 재수술 결과를 분석하고,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으로 후방 감압술 및 후외방 유합술 후 인접부위에 발생한 인접분절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받은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일한 수술을 일차 수술로 시행 받은 21예를 나이, 성별, 유합 분절, 후방 추체간 유합술 유무를 보정하여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결과: Oswestry장애 점수(ODI)는 재수술군에서 수술 전 평균 32.1점에서 최종 추시 시 28.0점으로 평균 4.1점 호전된 반면에, 대조군은 평균 12.4점 호전되어 재수술군에서 ODI 호전이 적게 되었다. (p=0.002) 합병증은 재수술군에서 불유합 1예, 근위 나사 이완 2예가 발생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재수술군 19예 중 12예에서 유합하지 않은 상위 요추 분절에 수술 전부터 추간판의 퇴행성 병변이 있었다. 이 12예의 ODI는 2.0점 호전되었다. 반면에 추간판의 퇴행이 없었던 7예에서는 ODI가 7.4점 호전되어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29) 결론: 인접 분절에 발생한 척추관 협착증으로 재수술한 환자는 일차 유합술에 비해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았다. 그 원인은 수술 후 후기 합병증, 유합하지 않은 분절에 수술 전부터 존재하던 퇴행성 변화로 추정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results of revision surgery for spinal stenosis developed at the adjacent segment after spinal fusion. Materials and Methods: Nineteen patients underwent revision surgery by adjacent segment disease after decompression and posterolateral fusion with pedicle screw instrumentation for spinal stenosis. The control group was matched in terms of age, sex, and number of fused segment, posterior interbody fusion. Result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was changed from 32.1 before surgery to 28.0 at the final follow up in the revision group. Compared to the improvement from 27.6 to 15.2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p=0.002). Revision group had 1 nonunion and 2 proximal screw loosening. There was no late complication in the control group. In the revision group, 12 of 19 patients had disc degeneration before surgery at the upper lumbar segments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fusion. They had an average 2.0 ODI improvement after revision surgery. On the other hand, 7 patients who had no degeneration at the un-fused segment showed 7.4 ODI improvement. Conclusion: The clinical result of revision surgery for spinal stenosis at the adjacent segment after spinal fusion was less satisfactory than the primary surgery. The contributing factors were late complications and preoperative disc degeneration at the segments which was not included in the fusion.

      • KCI등재

        흉요추부 척추 수술 후 재수술의 원인과 시기

        이재철(Jae Chul Lee),양성석(Seong-Seok Yang),구형모(Hyeong-Mo Ku),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4

        목적: 흉요추부 수술받은 환자에서 재수술이 필요했던 경우에, 원인 및 시기별 양상, 과거력 및 재수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흉요추부 질환으로 본원에서 1988-2011년 동안 척추 수술을 받은 2,198명 중 재수술을 받은 환자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수술의 원인과 수술 방법, 재수술 시기에 따른 원인과 재수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 흉요추부 수술 환자들의 재수술률은 8.7%였다. 6주 이내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혈종이나 신경증상에 의한 진단적 수술 18명(26.8%), 추간판 탈출증이 18명(26.8%), 수술 부위 감염 17명(25.4%)으로 많았고, 6주 이상 6개월 이내는 추간판 탈출증 10명(47.6%), 수술 부위 감염 7명(33.3%)으로 많았고, 6개월 이후는 인접 분절 질환 38명(35.7%),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 26명(23.2%), 기구 관련 문제 17명(16.0%)으로 많았다. 결론: 흉요추부 재수술 원인으로, 합병증(2.8%)은 감염, 혈종 및 신경학적 손상, 불충분한 감압술 등이 있었으며, 자연사(natural course) (5.9%)는 인접 분절 질환, 재발성 추간판 탈출증, 기구 관련 문제, 감압술 후 불안정성, 종양 재발, 척추 변형의 진행 등이 있었다. Purpose: We analyzed the patients who needed reoperation after undergoing a thoracolumbar spine operation and investigated the causes, pattern of timing, medical history and clinical outcome after re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Out of 2,198 patients who underwent spine surgery for thoracolumbar spine disease from 1988 to 2011, we targeted 193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on. We studied the causes, operative method of initial surgery, time-variant causes and outcome of reoperation.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thoracolumbar spine reoperation was 193 out of 2,198 and the reoperation rate was 8.7%. We researched time-variant causes of reoperation. In six weeks after the initial operation, exploration for hematoma and neurologic deficit was 18 (26.8%), recurred heniated intervertebral disc (HIVD) was 18 (26.8%), and surgical site infection was 17 (25.4%). From six weeks to six months, recurred HIVD was 10 (47.6%), surgical site infection was 7 (33.3%), and after six months, adjacent segmental disease (ASD) was 38 (35.7%), recurred HIVD was 26 (23.2%), and implant related problem was 17 (16.0%). Conclusion: Causes of thoracolumbar spine reoperation included complications (2.8%); infection, hematoma, neurologic deficit, incomplete decompression, and natural courses (5.9%); ASD, recurred HIVD, implant related problem, instability after decompression, tumor recur, progression of deformity.

      • KCI등재

        최소 침습 기법을 이용한 요추 재수술 방법

        박상민,윤명수,김주은,서승표,박진성,임수택,최소침습 척추치료 연구그룹 대한척추외과학회 2023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30 No.1

        연구계획: 문헌고찰목적: 최소 침습적인 요추 재수술 방법을 소개하고, 기존에 발표된 논문을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최근 척추 수술의 빈도가 증가하면서 요추 재수술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최소 침습적 기법을 이용한 재수술이 시도되고있으며, 그 중에서도 기존 수술 부위를 피하기 위해 전방 또는 측면 접근과 내시경적 수술 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대상 및 방법: 관련 연구 고찰결과: 내시경적인 방법으로는 단일공 내시경과 양방향 내시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수술 모두 요추 재수술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추간판절제술 및 후궁절제술에서 많이 사용된다. 양방향 내시경의 경우에는 후궁절제술 후 재수술로 유합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원통형 견인기는 주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 때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후궁절제술 후 재발이나 추간판 탈출증 재탈줄 시 유합술로 변경하는 경우 많이 사용한다. 측방 접근 방법도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후방의 유착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많이 사용하고 있다. 결론: 척추 재수술은 척추 의사에게 피할 수 없는 수술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수술 방법들이 있다. 고식적인 방법을 통해 수술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근 소개된 다양한 최소침습적인 방법들도 환자에게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요배부 재수술의 치료 결과

        송경진(Kyung-Jin Song),김기남(Ki-Nam Kim),김규형(Kyu-Hyung Kim),송지훈(Ji-Hoon Song),황병연(Byung-Yun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2

        목적: 수술 후에도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 대하여 재수술을 시행 후 재수술의 원인 및 이에 따른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6년에서 2004년까지 요배부의 재수술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되었던 97예를 대상으로 재수술의 원인 및 이에 따른 치료 방법과 그 결과에 대하여 Kirkaldy-Wilis 판정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97예 중 재발한 추간판 탈출증이 37예(이전 수술부위 35예, 다른 부위 2예)로 가장 많았으며, 척추관 협착증이 17예, 그 외 경막외 유착(9), 가관절증(9), 인접 분절 협착증(9), 감염(8), 요추 불안정성(4), 금속 고정 물 실패(2) 등이 원인이었다. 치료는 91예에서 유합술을 시행하였으며, 6예는 감압술만을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는 재발한 추간판 탈출증의 경우에서 임상적 결과가 양호하였고 치료 방법으로는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감압 술만 시행한 경우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p=0.002), 장 분절 유합보다는 단 분절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p=0.043). 최종 추시 결과 97예 중 62예에서 양호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요배부의 재수술에서 유합술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나 장 분절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므로 재수술의 원인에 따른 선택적 유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권장되는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report examined the surgical treatment results and suggests proper treatment guidelines for revision surgery in the lumbar spin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97 patients, who underwent revision surgery from 1996 to 2004 with a follow-up of at least 1 year. The causes of revision surgery, treatment modalities and results of treatment were analyze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Kirkaldy-Willis criteria. Results: In the ninety-seven patients, recurred disc herniation (37 cases, 35 cases: same level, 2 cases: different level) was the leading cause of revision surgery. The other causes were spinal stenosis (17 cases), epidural fibrosis (9 cases), pseudoarthrosis (9 cases), junctional stenosis (9 cases), infection (8 cases), segmental instability (4 cases), metal failure (2 cases) and cyst (2 cases). Spinal fusion was performed in 91 patients, and decompression only was performed in the remaining 6 patients.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reasons for failure were good in cases of recurrent disc herniation. The results of spinal fusion were more successful than that of decompression only (p=0.002). The results of short segment fusion were more satisfactory than those of long segment fusion (p=0.043). In the final follow-up results, excellent and good results according to Kirkaldy-willis criteria were found in 62 cases. Conclusion: Spinal arthrodesis is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revision surgery in the lumbar spine. However, long segment arthrodesis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because of the high level of disappointing results. In addition, selective arthrodesis of the pathologic level is recommended in revision surgery of the lumbar spine.

      • KCI등재후보

        특발성 수근관증후군의 유리술 후 재수술

        조중모,우상현,남현재,김경철 대한수부외과학회 2012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7 No.1

        목적: 수근관증후군 수술 이후 증상이 지속 또는 재발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의원인 및 재수술의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근관증후군으로 일차 수술 후 증상이 지속되거나 재발하여 재수술을받은 환자 총 21명,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59세 였으며 남자와 여자가각각 2명, 19명이었다. 첫 수술부터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29.8개월이었고 수술후 평균 추시 기간은 10.6 개월이었다. 수술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확장된 개방적 술식으로 시행되었다. 결과: 총 21예 중 반흔에 의한 유착이 9예(42%)로 가장 많았으며, 횡수근 인대의 불완전 절개 6예(28%), 반흔에 의한 유착과 횡수근 인대 불완전 절개가 동반된 경우 3예(14%), 정중신경 손상 2예(9%), 수근관 내의 석회화가 있었던 경우 1예(4.7%)였다. 재수술 후 21예 중 15예(71%)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수근관 유리술 후 증상이 지속 또는 재발하는 경우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수술을 시행했을 때 좋을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report the causes of recurrent and persistent symptoms after carpal tunnel release and to evaluate the result of revision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nty one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recurrent or persistent carpal tunnel syndrome after carpal tunnel release were studied. The mean age was 59 years. There were 2 men and 19 women. The mean time interval between first operation and revision surgery was 29.8 months, and mean follow up period was 10.6 months. The operations were done by single surgeon.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ed carpal tunnel release was scar adhesion, which was observed in nine cases. Other causes included incomplete release of transverse carpal ligament in six, scar adhesion with incomplete release in three, iatrogenic median nerve injury in two, and unrecognized calcification in one. Following revision surgery, 15 cases (71%) showed alleviation of symptoms. Conclusion: In cases of recurrent or persistent carpal tunnel syndrome following carpal tunnel release, evaluation of the causes is essential in performing revision surgery.

      • KCI등재

        요추부 유합술 후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으로 5년 이내 조기 재수술을 시행한 군과 10년 이상 경과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군의 비교 분석

        소재완(Jaewan Soh),김중혁(Junghyeok Kim),이재철(Jae Chul Lee),신병준(Byung-Joo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3

        목적: 요추부 유합술 후 5년 이내 조기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이 발생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10년 이상 경과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들과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퇴행성 요추부 질환으로 유합술을 시행 받고, 5년 이내에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은 19명(A군)과 10년 이상 경과되어 재수술을 시행 받은 13명(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 환자의 성별, 나이, 유합 분절 수, 수술 전 진단, 유합방법, 유합부 위치와 수술 전, 후의 요추부 전만각 및 유합 분절의 전만각, 유합 분절당 전만각과 그 수술 전, 후의 차이를 측정하였고, SPSS 14.0으로 각 요인들을 교차 분석하고 χ²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B군에 비해 A군에서 유합 방법상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p=0.018)와 수술 후 유합 분절당 전만각이 20도 이하였을 때(p=0.046), 유합부 인접 분절이 제4-5요추부 및 제5요추-제1천추부를 포함하고 있을 때(p=0.009) 조기 인접 분절 퇴행성 질환발생이 빈번하였다. 결론: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유합 분절당 전만각이 20도 미만인 환자, 유합부 인접 분절이 제4-5요추부 및 제5요추-제1천추부일 때 조기 인접 분절 질환으로 재수술을 시행 받는 경우가 많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early adjacent segment disease (EASD) in patients undergoing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from the first operation as compared with those after more than 10 yea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55 patients with degenerative lumbar disease underwent lumbar spinal fusion of 3 or less segments between August, 1988 and May, 2009. Of these, 44 patients underwent revision surgery due to adjacent segment disease (ASD) until May, 2014. These patients presented with ASD, 19 and 13 of whom underwent revision surgery within 5 years and after more than 10 years of the first one, and were thus assigned to group A (n=19) and group B (n=13), respectively. Thirty-two of thes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baselin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sex, age, fusion method, preoperative diagnosis,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fusion level, and radiological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adiological measurements included pre- and postoperative lumbar lordotic angle (LLA), pre- and postoperative fusion segment lordotic angle (FSLA), pre- and postoperative FSLA per level and the correction of LLA, FSLA, and FSLA per level. For statistical analysis, univariate analysis with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14.0. Results: In group A, the number of patients undergoing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rather than posterolateral fusion, those with postoperative FSLA per level of <20° and the adjacent segment levels to L4-5 and L5-S1 was significantly larger compared with group B (p=0.018, 0.046, and 0.009, respectively.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risk of EASD was relatively higher in association with PLIF, postoperative FSLA per level of <20° and the adjacent segment levels to L4-5 and L5-S1.

      • SCOPUSKCI등재

        원발성 기흉환자에서 재수술의 원인

        윤용한,이두연,김해균,홍윤주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9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2 No.6

        자연기흉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기포의 파열에 의한 흉곽내로의 공기가 누출되면서 발생한다. 이들 재발성 기흉의 수술적 방법에는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하거나 액와개흉술등의 여러 가지 수술방법으로 치료할수 있으나 기포절제술후에도 수술방법에 따라 0.3%~20%까지의 재발과 재수술이 보고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에서 1992년 11월부터 1997년 6월까지 737례의 기흉환자에서 기포절제 수술을 받은 446례의 자연기흉환자중 다시 기흉이 재발한 16례(3.5%)에서 재수술을 하였다. 남녀의 비는 15:1 이었고 처음 자연기흉이 발생한 평균나이는 20.2세(범위 15~50세) 였으며 평균 재원일수는 6.3일(범위 1~20일), 평균 흉관 보유기간은 4.2일(범위 1~10일)이었다. 평균추적기간은 46개월(범위 10-66개월)이었다. 처음수술은 비디오 흉강경, 액와 개흉술, 그리고 제한적인 측방개흉술등 3가지의 방법으로 시행하으며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한 281례중 14례에서 재발하였으며 액와 개흉술 159례중 2례에서 재발하였고 제한적인 측방 개흉술을 시행한 6례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재수술방법은 다시 비디오흉강경을 이용하였던 예가 6례,액와 개흉술을 시행하였던 예가 9례, 제한적인 측방 개흉술이 필요하였던 예가 1례에서 있었다. 재수술한 경우 수술소견은 9례의 overlooking type과 new growing typ 7례였으며 재발과 처음수술간의 기간은 overlooking type 1개월, new growing typ 18개월이었다. 재발율이 높은 자연기흉은 기흉의 발생횟수, 다발성 기 汰\ulcorner존재, subpleural fibrosis와 폐실질의 emphysematous한 변화 등이었으며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기포절제술은 액와개흉술에 비해 높은 재발율을 보였다(4.9% vs 1.2%). 이와 같은 결과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기포절제술의 경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over-looking type은 적절한 수술 전 검사와 수술 중 굴절이 가능하며 영상이 선명한 비디오 흉강경의 사용으로 보다 세밀한 기포의 관찰을 함으로써 over-looking type 의 재발을 줄일 수 있으며 기포 절제 시 좀더 세심한 기구의 조작과 완전한 기포절제와 정상조직을 포함한 봉합이나 stapling으로 병소 부위가 남아 있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봉합과 stapling 주위의 공기 누츨이나 부적합한 기구 사용 등의 세심한 관찰과 보강 봉합수술 및 조직 접합제 도포 등으로 new growing type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그 외로 수술 후 약물이나 전기 소작기에 의한 적절한 늑막유착술등의 재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cause of spontaneous pneumothorax is not yet but it is certain that intrathoracic air comes from ruptured bulla.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VATS) or open thoracotomy is recommended for thoracic incision in recurrent pneumothorax. However, recurrent rate after bullectomy with the VATS is very high compared to mini-thoracotomy, 3% to 20% and below 2%, respectively. Material and Method: This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16 re-operated cases among 446 surgically treated pneumothorax of the 737 case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diagnosed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l from Nov. 1992 to June 1997. Result: Among the 446 surgically-treated patients in 737 case of spontaneous pneumothorax, 16 patients underwent re-operation, showing a 3.5% re-operation rate. Male-to-female ratio was 15 to 1 and mean age at initial attack was 20.2 years(ranging from 15 to 50). Mean hospital stay was 6.34 days(ranging from 2 to 20 days) and mean chest tube indwelling period was 4.2 days(ranging from 1-10 days). Median follow-up was 46 months(range 10-66 months). Three different surgical methods were applied :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VAST) in 281 cases, of whom 2 underwent local anesthesia; subaxillary mini-thoracotomy in 159 cases and limited lateral thoracotomy in the remaining 6 cases. Three different re-operative surgical methods were applied ;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ST) in 6 cases, subaxillary mini-thoracotomy in 9 cases, and limited lateral thoracotomy in the remaining 1 case. The underlying etiological factors of the recurrent pneumothorax after bullectomy were o erlooking type(9) and new growing type(7). Mean recurrent period from previous operation was 1 month for overlooking type and 18 months for new growing type. Conclusion: The underlying etiological factors of recurrent pneumothorax lead to re-operation were new-growing and over-looking type. We need additional treatments besides resecting blebs of prevent the recurrence rate and more gentle handling with forceps due to less damage to the pleura.

      • KCI등재

        Revision Rod를 이용한 흉요추 유합 재수술 예비 결과

        윤영훈(Yung-Hun Youn),조규정(Kyu-Jung Cho),박예수(Ye-Su Park),박재우(Jae-Woo Park),박진성(Jin-Sung Park),권원환(Won-Hwan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2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5 No.6

        목적: 척추 유합술을 받은 환자 중에서 척추 유합 재수술을 받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척추 유합 재수술을 위해 기존 장치와 연결기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술을 연장하는 revision rod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evision rod를 이용하여 척추 유합 재수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개의 대학병원에서 척추 유합술 후 유합 연장술을 시행하고 최소 1년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1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진단명은 인접 분절 병증 16명, 흉요추 골절 4명, 황색인대골화 1명이었다. 임상 결과는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와 수치평가척도(numerical rating scale, NRS)로 평가하였고, 방사선 결과는 요추 전만각, 흉추 후만각, 재수술 부위의 시상면 각도, 그리고 근위부 인접부의 후만각 및 골유합률을 평가하였다. 결과: 수술 전 평균 ODI는 54.6±12.5에서 최종 추시 시 29.8±16.5로 향상되었다. 허리 통증과 다리 통증 NRS는 5.0±1.7, 6.4±2.0에서 2.9±1.6, 2.9±2.2로 향상되었다. 요추 전만각은 수술 전 18.1±11.9도가 최종 추시 시 21.1±10.3도였고, 근위부 인접부 후만각은 수술 전 10.8±10.1도가 최종 추시 시 9.2±10.5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골유합률은 후외측 골유합을 시행한 1명을 제외하고는 모든 예에서 성공적인 유합이 이루어졌다. 결론: Revision rod를 사용한 흉요추의 재유합술에서 우수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새롭게 개발된 revision rod와 관련된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고 방사선상 골유합은 성공적이었다. Purpose: The need for revision fusion surgery after spinal fusion has increased. A revision rod that connects to the previous rod was newly developed for revision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fter spinal fusion revision surgery using revision rod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one patients who underwent revision fusion surgery after spinal fusion in two university hospitals with minimum 1 year follow-up were reviewed. This study assessed 16 cases of adjacent-segment disease, four cases of thoracolumbar fracture, and one case of ossification of ligament flavum.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numerical rating scale (NRS) were evaluated as clinical outcomes, and the union rate, lordosis or kyphosis of the revision level, lumbar lordosis, T5-12 kyphosis, and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angle were evaluated as the radiological outcomes. Results: The average ODI was 54.6±12.5 before surgery and improved to 29.8±16.5 at the final follow-up. The NRS for back pain and leg pain was 5.0±1.7 and 6.4±2.0 before surgery, which changed to 2.9±1.6 and 2.9±2.2 at the final follow-up. Lumbar lordosis was 18.1°±11.9° before surgery and 21.1°±10.3° at the final follow-up. Proximal junctional kyphosis was 10.8°±10.1° before surgery, and 9.2°±10.5° at the final follow-up. These angle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after surgery. Bony union was successful in all cases except for one case who underwent posterolateral fusion. Conclusion: Revision surgery using a newly developed revision rod on the thoracolumbar spine achieved good clinical outcomes with successful bony union. No problems with the newly developed revision rod were encountered.

      • SCOPUSSCIE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