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국에 대한 공헌과 재외한인으로의 인정

        김민정(Kim, Minj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8 아시아여성연구 Vol.57 No.1

        오늘날 740만 명이 넘는 재외한인의 성별분포에서는, 일정 요건이 갖춰지면 국적 취득과 정착이 허용되는 선진국형 국가에서 여성의 수가 더 많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논문에서는 첫째, 대한민국의 개발 시기에 미국과 독일로 이주한 대표적인 한인여성의 국제이주 사례를 비교적으로 고찰하여, 세계화가 진행되는 한국사회의 “재외동포”인식 범주 속에서 미군의 아내는 배제되지만 파독간호여성은 포함되는 국가주의 민족담론의 방식을 분석한다. 둘째, 이렇게 재외동포의 범주에서 배제되거나 포함되는 경험을 통해 미국의 국제결혼 한인여성들은 “나도 한국의 딸”이라는 젠더화된 한인 정체성을 강조하는 반면, 파독간호여성들은 자서전이나 생애이야기를 통해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이방인”의 감정을 드러내거나 “세계시민”이라는 정체성을 표방하는 차이를 보여준다. 초기 재미한인사회의 기반을 일군 미군의 아내들이 재미한인사회에서 배제되는 것은 유발−데이비스가 설명한 젠더와 민족의 관계와 같이, 한국여성이 한민족, 특히 한국남성에 속한다는 인식에 기초하여 국제결혼 한인여성에게 낙인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악셀 호네트가 긍정적인 자기관계의 가능성은 다른 주체들의 인정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명예를 둘러싼 인정투쟁이 발생한다고 설명한 바처럼, 미군의 아내들은 자신들만의 자조모임과 대외활동을 강화하면서 자신들의 존재를 인정받기 위한 한인 정체성을 만들어 나갔다. It is noticeable that the number of Korean women living overseas outnumbers the counterpart Korean men,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where immigrants are allowed to permanently reside when the requirements are met. This paper, firstly, compares the contexts of two exemplary cases of Korean women’s migration to the US and Germany during the period of state-led development of S. Korea, and analyzes the discourse on Koreans overseas, which excludes the Korean wives of US military servicemen but includes the nursing staff dispatched to Germany. Secondly, as a result of this exclusion and inclusion process, intermarried Korean women in the US have emphasized their gendered Korean ethnic identities by saying “I’m also a daughter of Korea”. On the other hand, Korean nurses in Germany have expressed their feelings of “not belonging anywhere” or being “world citizen” in their autobiographies or life stories. The situation of not classing intermarried Korean women in the US from Koreans overseas can be explained by Yuval-Davis’s statement of relation between nation and gender, i.e. that women are the gender to reproduce for nation. Accordingly, these women strengthen their self-help and external activities by their own organizations to claim their Korean identities based on the politics of recognition, as Axel Honneth insiste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self-relationship depends on the other subject’s recognition.

      • KCI등재

        재미한인 여성시 연구

        최미정(Choi, Mi-Jeong)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본 연구는 뉴욕 지역을 중심으로 한 재미한인 여성시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통해 이 지역 시문학의 특징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뉴욕지역 시문학은 문단형성 초기부터 지금까지 여성시인들이 주도해 왔다. 본고에서는『뉴욕문학』이 발간된 1991년을 기점으로, 이전에 도미하여 활동을 시작한 여성 시인들을 1세대로, 이후 활동하고 있는 시인들을 2세대로 분류하였다. 1세대에 속하는 곽상희, 김정기, 김송희, 최정자, 2세대에 속하는 조성자, 신지혜, 안영애, 복영미 시를 중심으로 여성시의 특징과 의미를 고찰했다. 이들은 한편으로는 이민자 여성이라는 공통된 정서를 공유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각 시인마다 조금씩 다른 세계인식과 정체성을 보여준다. 뉴욕 지역 여성시의 특징은 크게 ① 낯선 공간에서 유폐의 경험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는 점, ② 어머니이자 시인이라는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 ③ 노동의 체험과 타자 의식을 보여준다는 점, ④ 노마디즘적 사유와 탈영토성을 통해 변화하는 정체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여성시인들의 시작품의 내용은 이민 동기나 시기에 따라 그 양상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체로 이민 초기에는 주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이방인의식이 시적 주제로 자리잡고 있으며, 미국과 한국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경계인으로서의 소외 의식,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미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는 정착민으로서의 의식을 보여준다. 1990년대 이전 도미한 1세대 여성시인들은 대부분 적응과 정착의 과정을 혹독하게 겪으면서 그와 비례하여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절절하게 드러낸다. 이에 비해 한인사회가 정착의 단계인 90년대에 이주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조성자, 신지혜는 선배 시인들에 비해 미국 사회에 수월하게 적응해 가는 모습을 보이며 세계인식과 정체성 문제에 대해서도 민족과 혈연을 넘어서고자 하는 열린 시각과 정체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민 1세대 여성시가 광복 이후 지금까지 뉴욕 시문학의 흐름을 주도해 왔다면, 이후 세대의 여성시는 앞으로 뉴욕시문학의 변화와 발전을 가늠하게 해주는 척도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Korean American women`s poetry in New York area. New York area poetry has been led by women poets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paragraph. In this paper, set the starting point of "New York Literature" in 1991, and classified the poets who had started their activities in the past as a first generation, and poets who have been active since then, as second gener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women`s poetry were examined by focusing on Kwak Sang-hee, Kim Jung-ki, Kim Song-hee, and Choi Jeong-ja in the first generation, Jo Seong-Ja, and Shin Ji-hye, An Young-ae, Bok Young-mi in the second generation. On the one hand, they share a common sentiment of immigrant women, while on the other they show a slightly different world recognition and identity for each poet.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poetry in New York area are as follows: ① they express the nostalgia for their experience and home in a strange space, ② that they reveal their identity as a mother and a poet, ③ they show the experience of labor and other consciousness, and ④ shows the changing identity through Nomadistic thought and de-territorialization. Although the content of the prototypes of female poets differ slightly depending on the motive and timing of immigration, in the early days of immigration, mainly the nostalgia for their hometown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Gentiles have become a poetic theme, and the alienation ceremony, And as time passes it shows consciousness as a settler who regards America as their second hometown. In the 1990s, most of the first-generation women poets have been harsh with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settlement, revealing the nostalgia for their hometowns. Jo Seong-Ja and Shin Ji-hye, who are doing their work in the 1990s as a settlement stage, are adapting easily to American society compared to their predecessors. They also show that they are able to overcome ethnicity and race, It shows the open vision and identity to overcome. If the first generation of immigrant women has been leading the flow of New York poetry since the liberation, it is meaningful that second generation of women`s poetry can be used as a measure of future change and development of New York poetry.

      • KCI등재후보

        자아구성이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박정의(Park, Cheongyi),성지연(Sung, Jiyeon),노지영(Noh, Jiyoung)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디아스포라 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미국에 체류하고 있는 재미한인 여성들의 자아구성이 그들의 이민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미국 포틀랜드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여성을 모집단으로는 하는 비확률 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주간에 걸친 설문조사로, 최종적으로 186개의 표본을 분석대상으로 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미한인 여성들의 삶의 만족감에는 독립적 자아구성 지수(β=.299, p<.05)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통제변인에서는 응답자의 언어능력(β=.351, p<.001)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적 자아구성 지수가 높을수록, 영어 구사 능력이 뛰어날수록 이민 삶의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재미한인 여성들은 독립적 자아구성(M=4.995) 보다는 의존적 자아구성(M=5.249) 성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미국에 이민 간 한인여성들의 의존적 자아구성 지수(M=5.366)는 비 이민 집단 여성들의 지수(M=5.040)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The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impact of self-construals on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American women. Under the academic guidance of Makus and Kitayama’s self-construal concept, there is an extensiv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 and life satisfaction. For this analysi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mong Korean American women at Portland in USA. The total 186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1) Korean American women tended to have inter dependent self-construals (M=5.249) rather than independent self-construal(M=4.995); 2) the Korean American women with the independent self-construal was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ir own life (β=.299, p<.05) whereas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 American women.

      • KCI등재후보

        재미 국제결혼 한인여성의 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

        남혜경,김영순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6 여성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재미 국제결혼 한인여성들이 미국의 문화에 어떻게 적응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90년대 초에 미국으로 유학하여 그곳에서 결혼하고 정착한 한인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문화적응사례를 연구참여자별로 기술하고 이들의 문화적응 경험을 개인적 수준과 집단적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문화적응의 개인적 수준은 문화의 차이, 직업적응노력, 언어가 있었고, 집단적 수준은 이주국의 가족, 사회적 지지, 편견과 차별이 있었다. 개인적 수준의 하위 요소 중 하나인 언어로 인하여 이주자인 한인여성들은 직장 내에서 차별을 경험하였고, 언어에 포함된 역사와 문화배경이 약함으로 인해 진급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구조적 배제를 당했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집단적 수준의 경우에서 이주국의 가족 즉, 남편 가족의 지지는 국제결혼 한인여성들의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국제결혼 한인여성들은 미국 사회 내에서의 인종적 차별과 편견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 국제결혼 한인여성들은 미국사회에서 적응하며 그들의 사회적 위치를 만들어가고 있다. This case study is aimed to research how international marriage Korean women in US adjust in the American culture.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is conducted with six Korean women who married and settled in the U.S.A after their education the early 199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cultural adjustment cases are described according to participants of the study and their cultural adjustment experiences are classified as individual level or collaborative level. Cultural adjustment in the individual level is shown as the cultural differences, efforts of adjusting in work, and language.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ve level is engaged with the family in the settled country, social suppor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The international marriage Korean women in U.S. have experienced lingual discrimination and structural exclusion for the advancement at workplaces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found in language, which is one of the individual level of cultural adjustment. In the collective level, support from family in the migrant country, meaning the "in-laws", is essential for international marriage Korean women"s adjustment in US. They have experienced racial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the US society. However, they build up their social position to defend and overcome the problems that they are exposed as they strive to adjust in US.

      • KCI등재

        The Korean Community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in the 1980s

        민병갑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2 중앙사론 Vol.0 No.36

        이 논문은 뉴욕․뉴저지 지역의 1980년대 역사를 검토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1980년대 뉴욕․뉴저지 지역 한인사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다음의 네 가지를 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인의 미국 이민 증가에 의한 이 지역의 교포 인구 증가, 둘째는 교포 이민자의 이 지역에서 정착 양상과 한인타운 건설, 셋째는 이 지역 교포의 1980년대의 상업활동, 그리고 마지막으로 교포의 상업활동상과 관련된 타민족과의 갈등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민족단결이다. 1980년대는 한국인의 미국 이민 절정시기였는데, 그 결과 뉴욕, 뉴저지 지역의 한인 인구도 1980년에 4천명 미만에서 1990년에 12만 명 가까이로 성장해 10년 동안 32배로 증가했다. 이 기간에 퀸즈가 한인 거주지의 중심이 되었으며, 플러싱 지역 한인타운이 한인 상가와 함께 개발되었다. 또한 맨하탄 브로드웨이의 한인 도매상가도 이 10년 기간에 절정을 이루었다. 동시에 이미 1980년대 말부터 교포의 교외로의 거주지 이동이 시작되어 뉴저지 버겐 카운티의 여러 지역에 교포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롱아일랜드 나소 카운티와 북부 뉴욕주 웨체스터 카운티도 교포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현재의 뉴욕, 뉴저지 지역의 교포의 주요 사업체인 잡화 도매상 및 소매상, 봉제업, 청과업, 식품업, 세탁업 및 네일업 등이 1980년대에 완전히 개발되었다. 센서스 자료는1980년과 1990년의 뉴욕 교포의 자영업율이 2000년 보다 높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1980년대 말까지 뉴욕, 뉴저지 지역에서 중요한 사업협회가 설립되어 한인사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한국에서는 기혼여성이 거의 경제활동을 하지 않던 시기였는데, 70% 이상의 교포 기혼 여성이 주로 가족단위의 사업체나 다른 한인 가게에 고용되어 가정 경제에 큰 공헌을 했다. 1980년대 이 지역의 교포 상인은 주로 소매업에 종사하고 특히 대자본이나 백인이 투자를 꺼리는 흑인이나 라틴계 소수민족 거주지역에서 소매업에 종사했다. 그 결과 여러 흑인지역의 한인 청과상 및 식품점은 흑인에 의한 장기 불매운동을 당하기도 했다. 교포가 경영하는 청과, 식품 및 생선 소매상들은 미국 백인 도매상에 의존했기 때문에 그들에게 많은 인종차별을 받았다. 특히, 헌츠포인트 도매상에 가서 청과물을 사오는 교포 청과업자들은 차별 뿐만 아니라 도매상 고용인들로부터 폭력의 피해를 자주 입었다. 교포 청과 소매인들은 이에 대항하기 위해 청과협회를 통해 백인 도매상 불매운동을 여러 번 조직했다. 교포상인이 도매상의 고객의 50-60%를 차지했기 때문에 불매운동 대상 도매상은 대략 불매운동 1주일 안에 손을 들고 사과와 함께 청과협회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대부분 수락했다. 흑인불매운동 및 백인 도매상과 대항하고 교섭하는 과정에서 교포 상인 및 한인사회가 전체적으로 단결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교포 지도자들은 정치적 협상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재미한인 여성수필의 공간과 젠더지리 - ‘차이’와 ‘사이’, ‘탈장소’

        최미정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본 연구는 젠더지리학의 관점으로 재미한인 여성수필의 공간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공간은 ‘몸’, ‘가정’, ‘정원’, ‘일터’, ‘거리’, ‘여행’이다. 이 공간들은 ‘차이’, ‘사이’, ‘탈장소’로 범주화하였다. 여기서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본래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차이가 행해지는 수행공간을 말한다. 여기에는 여성이 젠더 정체성을 체현하는 것으로서, ‘몸’과 ‘가정’이 대표적이다. ‘몸’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체현하고 수행하는 공간으로, 훈육과 수행을 통해 그 정체성을 구축해 나간다. 이와 더불어‘가정’은 대부분 가부장적 젠더의 이념을 구현하는 장소로서의 가치가 두드러지는데,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를 구현하는 공간으로 전통적인 의식을 고수함으로써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타자로서의 불안감을 해소하며 안정감을 느끼게 해주는 공간이다. 이에 비해 ‘정원’과 ‘일터’로 대변되는 ‘사이 공간’은 일종의 문화의 접경지대다. 여성들은 이들 공간을 통해 이민지의 경관을 변형하거나 재구축하고, 새로운 관계를 맺으며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고, 다양한 문화의 전도자로서 자처하면서 새로운 문화의 접경지대를 형성한다. 한편, ‘거리, ’여행‘은 ’탈장소‘로서 여성들은 이 공간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현실의 어려움으로부터 탈주하고자 하며, 자신을 둘러싼 억압과 규제를 벗어나 새로운 주체를 상상하고 자신의 위치를 재규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탈장소’의 경험은 여성들의 삶의 반경을 넓히고 변화시키면서 그들이 점유한 실제적인 영토를 변화시켜 나간다. 재미한인 여성수필의 의미는 한 마디로 가부장적 자본주의 체제에서 구성된 이분법적 공간의 체제 안에서 그들 나름대로의 적응과 협상을 통해 위치성을 확보하고 자신만의 자리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and meaning of Korean-American women's essay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The spaces that this study focuses on are 'body', 'home', 'garden', 'workplace', 'street', and 'travel'. These spaces were categorized as ‘Difference’, ‘In-betweenness’ and ‘Displacement’. Here, ‘Difference’ defines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s intrinsic, and refers to the space of performance in which these differences are performed. ‘body’ and ‘home’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women embodying their gender identity. ‘Body’ is a space that embodies and practices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builds its identity through discipline and training. In addition, 'home' stands out for its value as a place that embodies the ideology of patriarchal gender in most cases. It is a space that embodies the patriarchal ideology. By adhering to traditional rituals, it confirms their identity as a Korean, relieves anxiety as an outsider, and provides a sense of 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In-betweenness’ represented by 'garden' and 'workplace' is a kind of cultural border, where women transform or reconstruct the landscape of immigrants through these spaces, connect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rough new relationships, and claim to be the evangelists of various cultures, and the border area of ​​new cultures. to form. Meanwhile , as 'streets and 'travel' are ‘Displacement’, women try to escape from the difficulties of reality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n this space, imagine a new subject outside of the oppression and regulation surrounding them, and reconsider their position. would like to define This experience of ‘out of place’ changes the actual territory they occupy while expanding and changing the radius of women’s lives. The meaning of Korean-American women's essays is, in a word, that they show the process of securing a position and establishing their own place through their own adaptation and negotiation within the system of dichotomous space built in this patriarchal capitalist system.

      • KCI등재

        ‘사이’, 접촉과 변용의 젠더공간 - 재미한인 여성수필을 중심으로

        최미정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3 한국문학과 예술 Vol.48 No.-

        This study examined the ‘in-betweenness’ as a cultural contact zone and boundary zone in the Korean American women's essay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geography. In-betweenness is a space that contains the contact of heterogeneous cultures and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created by it, and "garden," "workplace," and "event," where previously unrelated things meet to create a new meaning, form the topography of a representative women's space as in-betweenness geographic and psychological. Garden is a space where public and private boundaries that belong to the house and are open to the outside intersec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new landscapes, spreading culture and transplanting as memories and life, the past and the present intersect. Meanwhile, 'workplace' is a kind of ‘cultural border zone’ where immigrant women come into contact with and interact with various cultures, including race, nation, class, and gender. Women experience cultural shocks and conflicts in the workplace, but they build a new identity by flexibly transforming the boundaries of the public space of the workplace based on their unique affinity and empathy. An ‘event’, where previously unrelated heterogeneous others meet and come into contact, also has meaning as an 'in-betweenness'. In particular, this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pace. Women show themselves as active negotiators who independently cross borderlands through chance encounters and relationships, and as cultural translators who strive to convey their own language and culture to others in their own language. Here, women create new cultural meanings that are different from before, while newly interpreting and constructing the space occupied by themselves and others.

      • KCI등재

        재미한인 여성의 구술생애사 : 무엇을 말하고 어떤 것을 듣나

        유철인 한국구술사학회 2019 구술사연구 Vol.10 No.2

        Jiwon (a pseudonym) has worked as a waitress at a Korean restaurant in Phoenix, Arizona after getting divorced. A divorce is a theme of her self-narrative and a major turning point in her life. She would like to tell h er life to a research er, a Korean male professor, in order to talk about her divorce and her life after getting divorced. Before life history interviews, however, a researcher and listener had an interest in Koreans’ living in Arizona and their transnational activities in everyday life. Her story about working as a waitress at a Korean restaurant after getting divorced was said over and over again during a series of three interviews. Such a story represents h er present. Sh e also talked about social media several times by telling how Korean men were connected with her and that she used to fall into various Korean lectures related to the humanities on the YouTube. Her life history shows the transition from the life of a self-employed immigrant before her divorce to the life of transnational activities on the social media after her divorce. Since an oral text including an oral life history is a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subject and a researcher, this paper compares what the subject wants to say and what the researcher hears. 재미한인 여성 구술자인 이지원(가명)은 이혼한 후 애리조나 피닉스의 한국식당에서 웨이트리스 일을 하고 있다. 구술자의 자기서사에서 이혼은 생애이야기의 주제이자 그녀에게 가장 큰 인생사건이었다. 구술자는 이혼과 이혼 후 삶을 말하고 싶어 한국남성 대학교수인 연구자에게 자신의 생애를 이야기하였다. 구술생애사 인터뷰를 하기 전 연구자의 관심은 구술자가 애리조나로 이주하게 된 배경과 구술자의 초국가적활동이었다. 부부가 같이 자영업을 하다가 이혼을 한 후 구술자가 한국식당에서 웨이트리스 일을 하게 된 배경과 느낌에 대한 이야기는 세 차례의 인터뷰 모두에 등장한다. 이혼을 하고 혼자 살면서 한국식당에서 웨이트리스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이 구술자의 현재를 가장 강력하게 말해주고 있다. 이혼을 한 후 소셜 미디어를 통해 한국남자와 연결이 되고 한국의 인문학 관련 강의를 들었다는 것도 구술자는 여러 차례 이야기하였다. 구술자의 생애는 이혼 전 자영업에 매달리는 재미한인의 삶에서 이혼 후유투브로 한국의 다양한 인문학 강좌를 섭렵하는 초국가적 이주자의 삶의 모습으로바뀌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구술자료는 기본적으로 구술자와 연구자의 공동작업의결과물이기에 이 논문은 구술자는 현재적 관심에서 무엇을 말하고 싶어 했고, 구술생애사 연구자는 어떤 것을 귀담아 들었는지 비교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보고 : 뉴욕 한인여성들의 사회적 역할과 활동상

        김명혜 ( Myung Hye Kim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7 韓國文化人類學 Vol.40 No.1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roles and activities of Korean-American women whom I interviewed in 2005 in the city of New York. They are first generation immigrants to the U.S., and are successful professionals who work in medicine, nursing, business, mass media, education, and NGOs. Based on rich human and social capital including higher education, individual qualities and social networks, the women have managed to excel in their areas of expertise and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Korean-American community issues. I analyze (1) their personal backgrounds, (2) their social roles and activities, (3) characteristics of their leadership, (4) their skills of managing social organizations or businesses, and (5) their visions for change in the Korean community of the U.S.. Through analysis of the social activities of these women, I examine individual qualities and life conditions which have made them successful in their professional careers and have made them role models for younger women of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I am especially concerned to show the ways in which these women have coped with life crises and have continued to take important roles as visionaries in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and in American society. While many studies of Korean Americans have been done so far, the studies of Korean American women, especially women in leadership positions, are rare. This study of Korean-American elite women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gender in enriching our understanding of Korean immigration`s past history, as well as of the future promised by immigrants` visions of social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