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인과 이익조정 : 감사인 지정을 중심으로

        김은(Kim Eun),신용준(Shin Yong-Jo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감사인 관련변수와 이익조정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사인 지정 여부 및 지정과 관련된 감사인 규모가 이익조정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감사인 관련 자료와 재무자료는 한국신용평가(주)의 Kis Value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하였고 감사인 지정 자료는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입수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이익조정의 대용치인 재량적 발생액이다. 재량적 발생액 추정치의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재량적 발생액을 세 가지 방법(수정 Jones 재량적 발생액, 성과통제 재량적 발생액,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기간은 2002년부터 2007년의 6년으로, 검증 대상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중 비금융업에 속한 12월 결산 법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의 이익조정행위가 감사인 지정에 의해 억제되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전체 지정기업 대비 비지정기업, 신규 지정기업 대비 신규 지정 이외기업으로 구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실증분석을 한 결과, t-검정과 Wilcoxon 순위합 검정에서는, 수정 Jones 재량적 발생액에서 감사인 전체 지정기업이 비지정기업보다. 신규 지정기업이 신규 지정 이외기업보다 각각 이익조정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반면 성과통제 재량적 발생액과 성과대응 재량적 발생액에서는 모두 비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더 나아가, 상향지정기업과 수평지정기업, 수평지정기업과 하향지정기업 간 각각의 t-검정과 Wilcoxon 순위합 검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의미를 보여주지 않았다. 감사인 지정과 재량적 발생액의 회귀분석 결과는 전체 지정기업이 비지정기업보다. 신규지정기업이 신규 지정 이외기업보다 재량적 발생액이 낮게 나타나, 독립성이 제고된 지정 감사인의 감사를 통하여 이익조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지정방향과 재량적 발생액의 회귀분석 결과는 지정방향은 재량적 발생액에 의미 있는 차이를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auditor-related variables and earnings management.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empirically analyze what effect auditor designation imposed by the Korean SEC have on discretionary accruals, proxies of earnings management in this study. Moreover, dichotomized auditor size(Big4 versus NonBig4) is used as an interaction variable to see if the effects on discretionary accruals of auditor designation vary on the auditor size. Auditor-related data and financial variables in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Kis Value database, and auditor designation data are obtained from the Korean SEC. Three measures of discretionary accruals are measured in this study; discretionary accruals using modified Jones model, performance(ROA) controlled discretionary accruals, and performance(ROA)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Both bivariate and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are performed for listed non-financial institutes Korean firms during 2002-2007, of which fiscal year ends at Decemb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o see if earning management by firms is suppressed by auditor designation, this study performs some empirical analyses for both newly designated firms sample and all(newly and continuingly) designated firm sample. Statistical test results produce some evidences that firms whose auditors are newly or continuingly designated by regulatory bodies tend to have significantly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non-designated firms. This result suggests that designated auditors be more conservative than free-engaged auditors. As to auditor size, there seem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scretionary accruals among auditor-designated firms. These results cast a strong doubt on the argument that auditor quality may differ depending on the auditor size, at least in Korea.

      • KCI등재

        발생액의 구성요소가 기업의 조세회피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석진,김갑순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8 세무와 회계 연구 Vol.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ccrual components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sheltering activities. Accounting accruals are composed of both nondiscretionary and discretionary components. In prior accounting research, discretionary accruals are proxies for earnings quality especially from the financial accounting perspective. However, accounting accruals are not only used to manage book income but also used to manage taxable income. Calegari(2000) disaggregated discretionary accrual into two components from the tax planning perspective. One is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DBTC), and the other is discretionary book-only accruals (DBOA).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DBTC) are discretionary accruals that highly correlated with tax reporting requirements and discretionary book-only accruals(DBOA) are discretionary accruals with relatively lower book- tax conformity than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Calegari 2000). Firms using discretionary book-only accruals(DBOA) are able to reduce taxable income without reducing book income(financial statement income). However, firms using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DBTC) will simultaneously reduce both their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When firms use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DBTC), they faces a trade-off between financial reporting and tax planning. In this paper, We analyze 2,507 non-financial and December year-end firm/year observations listed in the Korean KOSPI market during 2001 and 2010. Tax avoidance is measur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book income and taxable income not attributable to accounting accruals(Desai and Dharmapala 2006). We find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DBTC) and discre- tionary book-only accruals(DBOA).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DBTC) and tax sheltering activities(TS) an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book-only accruals(DBOA) and tax sheltering activiti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rual components(DBTC or DBOA) play an impor- 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sheltering activitie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impact of accrual components(DBTC or DBO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sheltering activities. These findings would provide valuable insights to companies, taxing authorities, regulators, investors, and other interested users. 본 연구에서는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과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 의 관계 및 이들 발생액과 Desai and Dharmapala(2006)의 조세회피 측정치인 간에 어떠한 관계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을 주로 이익의 질에 대한 대용변수로 고려하여 재무회계 측면에서 이를 분석하였으나, 재량적 발생액은 회계이익뿐만 아니라 세무이익도 조정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량적 발생액을 세무적 관점에서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과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 두 가지 구성요소로 구분하였다.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은 발생액의 증감과 세무이익의 증감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기업의 회계선택을 의미하며,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은 세무조정 과정에서 취소되어 세무이익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기업의 회계선택을 의미한다. 만약 경영자가 세무이익을 낮추기 위하여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을 하향조정한다면, 낮아진 회계이익으로 인한 비조세비용(nontax cost)을 상쇄하고자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표본으로 선정된 2,507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과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의 관계 및 이들과 조세회피 측정치인 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을 이용하여 세무이익을 하향보고한 기업은 이로 인한 회계이익의 감소를 상쇄하기 위하여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을 상향보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을 이용하여 세무이익을 하향보고하려는 의도가 있는 기업의 경우 조세회피 측정치인 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이 발생액을 재량적으로 이용하여 조세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를 제시하고 있으며, 재량적 조세계획을 이용하고 있는 기업이 Desai and Dharmapala(2006)의 조세회피 측정치인 와 양(+)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을 실증했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 내부회계관리제도 회계전문인력 보유 여부가 경영자의 이익조정 수단에 미치는 영향

        박석진(Park, Suk Jin),이은철(Lee, Eunchul),오명전(Oh, Myeong-Jeon)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본 선행연구에서는 이익조정의 측정치로서 주로 재량적 발생액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재량적 발생액에는 회계이익 뿐만 아니라 세무이익을 조정하는 요소들도 포함되어 있으나, 세무적 관점에서의 발생액을 이용한 경영자의 재량적 행위에 내부회계관리제도, 특히 인력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인력특성이 세무적 관점에서의 재량적 발생액을 기회적으로 이용하려는 경영자의 의도를 제어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세무적 관점에서 재량적 발생액은 회계이익의 증감과 세무이익의 증감이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발생액인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discretionary book-tax conformity accruals, DBTC)과 발생액의 증감이 세무이익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discretionary book-only accruals, DBOA)으로 분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영자는 회계이익은 높게, 세무이익은 낮게 보고하기를 원할 것이지만 발생액을 이용하여 세무이익을 하향보고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회계이익도 낮게 보고됨으로 인하여 비조세비용인 재무보고비용(financial reporting costs)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자는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을 이용하여 세무이익을 하향보고한 경우 발생하는 재무보고비용을 상쇄하기 위하여 세무이익의 증가 없이 회계이익을 높일 수 있는 세무조정발생액을 재량적으로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인력 내 회계전문인력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경영자의 재량적 행위를 어느 정도 억제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4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비금융업에 속한 4,210개의 기업-연도표본을 대상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 내 회계전문인력 보유 여부가 세무계획 측면에서 경영자가 발생액을 재량적으로 이용하는 행위를 제어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회계전문인력 보유 여부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인력 내 공인회계사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내부회계관리 운영인력 내에 공인회계사가 있는 경우에는 경영자의 재량적 세무계획을 은정도 억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부회계관리제도가 재량적 발생액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회계이익의 측면에서만 살펴본 선행연구와는 달리,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인력특성이 경영자가 세무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재량적 비세무조정발생액과 재량적 세무조정발생액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그 공헌점이 있다. 또한, 외부감사인으로서의 공인회계사뿐만 아니라, 내부회계관리 담당인력으로서의 공인회계사도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행위를 억제하는 감시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 대한 간접적인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공헌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 보고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권광현 ( Kwang Hyon Kwon ),김미종 ( Mi Jong Kim ),성정현 ( Jung Hyun Sung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2 세무회계연구 Vol.0 No.31

        본 연구는 재량적 발생액이 내부회계관리제도 상의 정상기업과 취약점 보고기업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만약 차이가 존재한다면 어떠한 변수들이 재량적 발생액을 잘 설명할수 있는 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재량적 발생액이 기업특성변수들을 통제한 이후에도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패널분석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점 보고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정상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 분석대 상기간을 통해 도출된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영향요인은 취약점 보고기업이면서 부채비율이 높고, 수익성이 낮고, 성장성과 영업위험이 높은 기업일수록 재량적 발생액이 높음을 알 수있었다. 셋째,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 보고와 재량적 발생액은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취약점 보고기업이면서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큰 기업은 기업가치가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가분석에서 주식시장 상승기에는 취약점 보고기업이면서 기업규모가 작고, 부채비율이 높고, 수익성이 낮고, 성장성이 높고, 영업의 복잡성이 높고, 존속기간이 길고, 영업위험이 높은 기업들의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하락기에는 취약점 보고 유무, 부채비율, 그리고 영업위험은 재량적 발생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치에 대해서는 시장상승기에는 취약점 보고기업이면서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큰 기업의 기업가치가 낮아지고, 시장하락기에는 취약점 보고유무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클 경우 기업가치는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분석결과는 내부회계관리제도에서 취약점을 보고한 기업일수록 신뢰성이 높고 투명한 회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시스템의 조기구축과 운영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실증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ffects of discretionary accruals of earnings on firm value, which were not addressed in precedent studies, and suggest that internal control is not just legal restraints, but essential system that must be implemented by firms in a more enthusiastic manner.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Firms which disclosed weakness tend to have larg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normal firms. It found that the discretionary accruals of firms which disclosed weakn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firm value. The study showed that discretionary accruals better explains the firm value of firms which disclosed weakness in market-ascending period,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firm value in market-descending perio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sclosing firm`s weakness increases their reliability and firms must put a lot of effort to provide the transparent accounting information.

      • KCI등재

        재무곤경과 재량적 회계발생

        김문현 한국상업교육학회 2010 상업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재무곤경에 처한 기업이 회계발생액의 재량적인 부분을 이용하여 재무보고 수치를 개선하고자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재무곤경은 이자보상비율로 측정하였으며, 재량적 발생액은 Dechow and Dichev(2002)의 유동발생액 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재무곤경에 처한 기업일수록 재량적 유동발생액을 통한 이익조정이 커지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2003년-2006년 사이의 코스닥시장 상장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798개의 표본을 선정하였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 이자보상비율과 영업현금 이자보상비율로 측정하였으며, 재무곤경과 재량적 유동발생액 사이의 시차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전기의 이자보상비율과 당기의 재량적 유동발생액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무곤경은 영업현금 이자보상비율로 측정하는 것이 적합하며 재무곤경과 회계발생의 재량적인 부분 사이에는 시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의 영업현금 이자보상비율이 클수록 당기의 재량적 유동발생액은 작아서, 재무곤경에 처한 기업일수록 이후 재량적 유동발생액의 조정을 통해 재무보고 수치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재량적 유동발생액에 내재된 이익조정의 가능성을 고려하면, 기업은 재무곤경에 처할수록 재량적 유동발생액을 통해 이익을 조정하고자 하는 것이다. 반면, 전기의 영업이익 이자보상비율과 당기의 재량적 유동발생액 사이에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았는데, 이는 영업이익에 회계발생액이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 사이의 관련성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영업현금 이자보상비율에 의해 재무곤경을 사전에 어느 정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며 이후 보고이익에는 증가된 재량적 회계발생액이 포함되므로, 보고이익에 포함된 이익조정의 가능성을 주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relation of financial stress and accounting accruals. The expectation is that the bigger the financial stress measured by interest coverage rate(ICR), the smaller the discretionary accruals(ACACC). Test period is from 2003 to 2006 and the samples are selected from manufacturing and audited firms in KOSDAQ market.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negative relation between discretionary accruals and interest coverage rate, and interest coverage rate based on operating cashflow is the appropriate measure of financial stress more than interest coverage rate based on operating income. These findings mean that the discretionary accruals is a means of income management in firms with financial stress, and that the financial stress can be predicted by interest coverage rate (operating cashflow / interest costs).

      • KCI등재

        재무제표의 사전 제출 의무화가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비상장기업과 상장기업의 실증적 증거

        박종일,전규안 한국공인회계사회 2017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9 No.3

        본 연구는 2015년부터 시행된 자산총액 1천억원 이상의 비상장기업에 대해서 감사 전(前) 재무제표를 증권선물위원회(실제로는 금융감독원에 위탁함)에 제출을 의무화한 제도가 재량적 발생액으로 측정된 감사품질에 어떤 효과성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나아가 상장기업의 경우 2014년도부터 시행된 감사 전 재무제표의 증권선물위원회(실제로는 한국거래소에 위탁함) 제출 의무화 규정이 도입된 지 2년이 경과하였으므로, 본 연구는 2년 후에 감사품질이 더 향상되었는지에 초점을 두고 개별재무제표(별도재무제표 포함)뿐만 아니라 연결재무제표에 대하여 앞서와 같은 분석을 수행하였다. 재무제표의 사전 제출 의무화는 감사인이 재무제표를 대리 작성하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감사인의 자기검토위협을 미연에 방지하고, 그 결과로 감사인의 독립성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감사인 입장에서는 감사시간의 추가 확보를 통해 감사품질 향상에도 기여한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따라서 감사 전 재무제표의 증권선물위원회 제출 의무화에 따른 효과성 여부를 경영자의 공격적인 이익조정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규제당국이나 정책당국에게 제도시행에 따른 조기정착을 위해서, 또한 그 실효성 여부를 가늠해 보는데 있어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과 같이 재량적 발생액으로 감사품질을 측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감사품질의 대용치로 절댓값을 취한 재량적 발생액, 또는 양(+)의 재량적 발생액과 음(-)의 재량적 발생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재량적 발생액은 Kothari et al.(2005)의 방법에 따라 ROA 성과통제 재량적 발생액(이하 )으로 측정했다. 분석기간은 비상장기업(상장기업)의 경우 2014년과 2015년(2012년부터 2015년까지)이며, 표본은 금융업을 제외한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산 1천억원 이상의 비상장기업의 경우 2015년도(감사 전 재무제표의 금융감독원 제출 의무화가 시행된 연도)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는 2014년도 자산 1천억원 이상의 비상장기업과 비교해 주로 양(+)의 재량적 발생액이 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2015년도 자산 1천억원 미만의 비상장기업과 비교하면 양(+)의 재량적 발생액은 감소를, 음(-)의 재량적 발생액은 음(-)의 방향으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제도의 시행이 종전보다 양(+)의 이익조정 수준을 더 감소시키는데 효과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추가분석으로 상장기업의 개별재무제표를 분석하면 감사 전 재무제표의 제출 의무화가 된 이후(2014∼2015년)가 그렇지 않았던 기간과 비교할 때 양(+)의 재량적 발생액의 감소보다는 음(-)의 재량적 발생액이 더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장기업에서 지배기업이 작성하는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하면 감사 전 재무제표의 제출 의무화가 된 후 2년이 경과한 2015년도의 경우를 그렇지 않았던 기간(2013년 또는 2014년)과 비교할 때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가 오히려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를 기준으로 양(+)과 음(-)의 로 나누어 분석하면 전반적으로 양(+)의 재량적 발생액의 증가가 음(-)의 재량적 발생액이 증가보다 더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무제표의 사전 제출 의무화의 효과는 비상장기업과 달리, 상장기업의 경우에는 개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간에 서로 상반된 결 ... This paper investigates a regulation that requires the submission of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to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actually entrusted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or unlisted firms with total assets of more than 100 billion KRW. We empirically analyze how this requirement affects on audit quality. Two years have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andatory disclosure requirement for submission of the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to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actually entrusted to the Korea Exchange) for listed firms. So, we test the effect of this requirement for listed firms on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s well as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unlisted firms report the more earnings managements than listed firms, and empirical evidence on whether the requirement is effective does not only provide a better basis for academic, but also practical, supervisory and policy makers. The requirement is expected that prohibits self-review threat and enhances the independence of the auditor. And it also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audit quality through more audit hour input. This study is divided into discretionary accruals with absolute value, discretionary accruals with positive (+), and discretionary accruals with negative (-) value. Discretionary accruals is measured by ROA performance-adjusted discretionary accruals according to the method of Kothari et al. (2005). The analysis period is 2014 and 2015 (2012 to 2015) for unlisted firms (listed firms).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in the case of unlisted firms with assets of more than 100 billion KRW, the magnitude of discretionary accruals in 2015 (in the first year that unlisted firms submit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to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is decreased in comparison with unlisted firms with assets of more than 100 billion KRW in 2014 for positive (+) discretionary accrua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requiremen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positive (+) earnings management. Second, the analysis of listed firms shows that, the period when the submission of the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became mandatory (2014-2015), is more negative (-) discretionary accruals. These results are similar to those of Park and Jeon (2015), which analyzed the data in 2014. This means that even if the analysis period is extended to 2014 and 2015 than previous studies, the regulation that requires the submission of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to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in the case of listed firms not decreases negative (-) earnings management but increases negative (-) earnings management. Third, when we analyz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prepared by a parent company in a listed firms, the magnitude of discretionary accrual in 2015 was rather increased compared with the period of 2013 or 2014. Therefore, the effect of the mandatory submission of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is different from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of unlisted firms. In the case of listed firms, the results are inconsistent between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and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s a result, the positive (+) discretionary accruals are decreased and the negative (-) discretionary accruals are increased for the unlisted firms. On the other hand, for listed firms, the negative (-) discretionary accruals are increased in the case of individual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positive (+) discretionary accruals are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not only provide implications for academics but also practition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revised legislation that requires the submission of unaudited financial statements to the Securities and Futures Commission. It is expected that policy makers and supervisory authorities who are interested in ...

      • KCI등재

        저품질의 회계이익이 비교가능할 수 있는가? 재량적발생액과 비교가능성의 관계 분석

        최승욱 한국공인회계사회 2018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60 No.2

        선행연구는 높은 품질의 회계정보를 낮은 재량적발생액으로 대용한다. 비교가능한 이익이 고품질의 회계정보라면, 이러한 이익은 낮은 재량적발생액과 양의 관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암묵적인 추론이 실증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면밀히 살펴보면, 둘 사이의 관계가 실제로 어떻게 나타날지 명확하지 않다. 만약 동일한 경제적 사건에 대해 유사한 크기의 재량적발생액을 인식하는 두 기업이라면 그 정의상 비교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재량적발생액의 크기가 유사하다는 것은 두 기업이 특정 경제적 사건을 모두 높거나 낮은 수준의 재량적발생액으로 보고하였을 경우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두 기업 모두 매우 높은 수준의 재량적발생액을 보고하였다면, 비교가능성은 높아지지만 발생액의 품질은 낮아질 것이다. 즉, 비교가능성과 발생액의 품질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관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비교가능성을 기존 회계품질과 동질적으로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가능성과 회계품질의 대용치로서의 재량적발생액과의 관계를 실증조사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두 기업 간 재량적발생액 차이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비교가능성이 높았다. 이는 서로 유사한 수준의 재량적발생액을 보고하는 기업 사이의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재량적발생액의 차이를 세분하였다. 즉, (i) 두 기업 모두 0에 가까운 재량적발생액을 보고하여 높은 회계품질을 보고한 기업과, (ii) 두 기업이 모두 상향이익조정한 경우, (iii) 모두 하향이익조정한 경우를 구분하였다. 두 기업 간 재량적발생액의 차이가 큰 통제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고품질 기업-쌍 (i)은 비교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상향이익조정 기업-쌍 (ii)는 통제그룹과 비교가능성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하향이익조정 기업-쌍 (iii)은 통제그룹 및 (i), (ii)와 비교해 비교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았다. 비교가능성 수준의 통계적 비교 결과, 고품질의 회계이익을 보고한 (i)의 기업-쌍이 가장 높은 비교가능성을 보였으며, (ii)와 (iii)의 순서를 보였다. 보다 흥미로운 발견은, 총발생액을 이용하여 측정한 경우 (i)의 고품질 기업-쌍 및 (ii)의 상향이익조정 기업-쌍도 비교가능성이 높았고, (iii)의 하향이익조정 기업-쌍만 비교가능성이 낮았다. 또한 총발생이나 재량적발생액 대신 성과대응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한 경우 (i)의 고품질 기업-쌍은 여전히 비교가능성이 높았으나, (ii)와 (iii)의 저품질 기업-쌍은 모두 비교가능성이 낮았다. 이는 결국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은 발생액의 수준 자체보다는 이에 포함된 재량적발생액의 비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보다 정교한 측정치로 회계품질을 대용하면, 저품질의 회계이익은 상향 및 하향에 무관하게 비교가능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영자의 재량적 선택이 반영되지 않은 불가피한 발생액은 재량적발생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무제표 비교가능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도 해석된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교가능성과 기타 회계품질 대용치간 관계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으며 본 연구는 (재량적)발생액과 비교가능성의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추가분석으로 국제회계기준 도입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도입 전과 ... If financial statements comparability is high a quality accounting information, it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the other earnings quality proxies. For instance, since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are considered as a high quality earnings, comparable earnings are assume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ower discretionary accruals. However, if both firm report higher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the differences between those firms’ discretionary accruals are small thus their reported earnings are comparable. This implies that even though the two firms report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their earnings could be comparable.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investigate this contradictory prediction in empirical setting. This study hypothesizes and tests these argu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absolute value of discretionary accrual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rm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comparability. Next, I divide the sample into (i) high quality earnings group, (ii) income increasing, and (iii) income decreasing group by discretionary accruals with differences between i-j firm pairs.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with a large difference in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the two firms, the high-quality firm-pair (i.e., high quality earnings group) is highly comparable, however, the income increasing firm-pair are not differ from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income decreasing firm-pair shows significantly lower comparability than the control group. Comparing the levels of comparability, the firm-pairs of (i) which report high quality accounting earnings show the highest comparability, and (ii), (iii) followed next. In additional tests, the results are qualitatively similar when I use performance-matched discretionary accruals. Also, I find consistent result in both pre- and post-IFRS period. The results are consistent in the use of lead-lag regression. In summary, these empirical evidences suggest that if the proportion of discretionary accruals are relatively higher among total accruals, the likelihood of comparability is likely to decrease. In other words, the comparability of firms who upward their earnings by discretionary accruals is low. Thus, comparability may be high even in some cases, which is considered as a low quality accounting information in previous studies. This implies that the proportion of discretionary accruals included in the accruals other than the level of accruals itself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financial statements comparability.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several ways. First,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set of proxies of accounting quality, few studies investigate financial statement comparability with these accounting quality proxies. By extending these research stream, this study suggests the systematic relationship between accruals and comparability. Second,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parabi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manager 's choice of accounting alternatives. Finally, the evidence of this paper helps decision makers of firms, investors, auditors, and regulator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ble accounting information.

      • 회계발생액이 순수한 주식분할과 기회주의적 주식분할의 시장반응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김경순,이진훤,박선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4 No.2

        본 연구는 한국자본시장에서 경영자가 사적정보를 전달할 신호의 수단으로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하는지 여부와 비정상발생액의 변동성이 개별기업의 고유 정보위험을 반영하는지를 주식분할 사건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순수한 주식분할은 신호효과가 존재하기 때문에 경영자가 주식분할 전에 재량적발생액을 증가시켜 신호를 강화시키려 한다는 Louis and Robinson(2005)연구에 기초하여, 순수한 주식분할의 주가반응과 재량적발생액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주식시장에서 재량적발생액의 신호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신흥자본시장에서는 유상증자 등과 같은 재무적 사건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먼저 주식분할을 실시하여 시세를 조정할 기회주의적 동기를 갖는다는 Kim et al.(2012)의 연구에 기초하여, 주식분할 후 재무적 사건이 결합된 기회주의적 주식분할에 내재된 정보위험을 주식분할 전 비정상발생액의 변동성(발생액의 질)을 이용하여 미리 포착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순수한 주식분할과 기회주의적 주식분할 모두에서 재량적발생액과 주식분할 공시반응간에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이러한 결과는 한국주식시장에서 재량적발생액이 경영자의 사적 신호제공 목적으로 이용되기 보다는 기회주의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성향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주식분할 후 재무적 사건을 결합한 주식분할에서는 분할 전 비정상발생액의 변동성이 큰 경우(즉, 발생액의 질이 낮은 경우)에는 주식분할의 긍정적 주가반응이 축소되었다. 특히 발생액의 질을 경영자의 재량적 위험요소와 영업활동에서 본질적으로 발생하는 위험요소로 분해하여 분석한 결과, 재량적 발생액의 질이 정보위험을 반영하는 주요 요소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재량적발생액과 기회주의적 주식분할의 시장반응간의 관계는 낙관적 시장상황에서 주로 관측되었다. 본 연구는 신흥자본시장에서 재량적발생액과 재량적발생액의 질의 주가관련성을 주식분할 사건을 이용하여 재조명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갖는다.

      • KCI등재

        재량적 회계처리방법 선택과 CEO 현금보상

        박재영,이동녕 한국회계정보학회 2009 회계정보연구 Vol.27 No.1

        For firms which registered in Korea Exchange, this study:(1) examines the effect of discretionary accruals on CEO compensation, where discretionary accruals are substitutes for the total effect of accounting choices on income;(2) investigates if accounting choices have an effect on compensation by testing the relation among compensation, accounting income before discretionary accruals and discretionary accruals;and (3) also investigates if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is related with the incentives presented by compensation plans. The results show that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increase CEO compensation by the use of management's opportunism, while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decrease cash compensation. Also, the results show the effect of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on compensation varies with the three circumstances of the firm. This study has shown:(1) significantly increased explanatory power from decomposing income into its three components;(2) the coefficient on non-discretionary accruals is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n discretionary accruals, but less than that on cash flow from operations;(3) the coefficient on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is greater than the coefficient on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and (4) the coefficien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varies with the circumstances of the firm. Additionally, this study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and reported income generally increases with the level of discretionary accruals. 본 연구는 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거래소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첫째, 이익에 대한 회계선택의 누적적 효과에 대용치로 재량적 발생액을 사용하여 경영자보상에 대한 재량적 회계선택의 누적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둘째, 재량적 발생 전의 이익, 재량적 발생, 그리고 경영자보상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재량적 회계선택이 경영자보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셋째, 재량적 발생액의 수준이 보상계획에 의해 제공되는 인센티브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자가 양(+)의 재량적 발생액을 기회주의적으로 이용하여 경영자 자신의 보상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고, 반면에 음(-)의 재량적 발생액은 보상과 낮은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기업 상황에 따라 재량적 발생액과 최고경영자 현금보상에 대한 양(+)의 재량적 발생효과는 재량적 발생액이 최고경영자 현금보상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는 (1) 이익을 세 가지 요소로 분해함으로써 설명력을 크게 증가시키고, (2) 비재량적 발생액의 회귀계수는 재량적 발생액의 회귀계수보다는 크지만,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회귀계수보다는 작으며, (3) 양(+)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회귀계수는 음(-)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회귀계수보다 크며, (4) 양(+)과 음(-)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회귀계수는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부수적으로, 최고경영자 현금보상과 보고된 회계이익의 관계는 재량적 발생액 수준에 따라 증가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비상장기업의 재량적 발생액과 부실기업의 이익조정 특성

        김성규,이상열 한국회계정책학회 2019 회계와 정책연구 Vol.24 No.2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e earnings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 non-listed companies.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 whether unlisted firms have undergone external audit, whether they are large corporations or SMEs, and then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discretionary accruals among each group. Second, we classify unlisted companies into insolvent companies and sound companies, and then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insolvent and sound firms for the period from one year before the insolvency to three years before the insolvency. [Methodology]In order to measure the discretionary accruals that are used as a proxy for earnings management, we use three models (modified Jones, Kothari, ROA grou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discretionary accruals according to four business groups and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insolvent or sound companies. [Findings]First, the size of discretionary accruals was in the order of non-audited individual, non-audited SMEs, audited SMEs, and audited large company. This implies that discretionary accruals are larger in non-audited firms, and small firms have higher discretionary accruals than large firms. Second,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the discretionary accruals are larger in the sound firms than in the insolvent companies during the entire period from the one year before the insolvency to the three years before the insolvency. [Policy Implications]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differ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earnings management of insolvent companies will help the stake-holders such as investors and supervisory agencie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olvent companies, and establish policies. [연구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비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재량적 발생액과 부실기업의 이익조정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상장 기업을 외부감사 여부 및 자산규모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한 후, 각 집단 간에 재량적 발생액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둘째, 비상장기업을 부실기업과 건전기업으로 구분한 후, 부실발생 1년 전부터 부실발생 3년 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부실기업과 건전기업 간에 재량적 발생액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이익조정의 대용치(proxy)로 사용되고 있는 재량적 발생액을 측정하기 위해서 3가지 모형(수정Jones, Kothari, ROA그룹별 성과대응)을 이용하였으며, 4가지 기업집단(외부감사 여부 및 자산규모 기준) 및 부실발생 여부에 따라서 재량적 발생액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재량적 발생액의 크기는 비외감 개인기업, 비외감 중소기업, 외감 중소기업, 외감 대기업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외감 기업이 외감 기업보다 재량적 발생액을 보다 많이 계상하며, 소규모 기업이 대규모 기업보다 재량적 발생액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부실발생 1년 전부터 부실발생 3년 전까지의 전 기간 동안에 건전기업의 재량적 발생액이 부실기업의 재량적 발생액보다 더 크며, 부실시점에 가까워올수록 건전기업과 부실기업 간 재량적 발생액의 차이가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 시사점]외부감사 여부와 기업규모에 따른 재량적 발생액 차이 및 부실발생 시점별 이익조정 특성에 관한 본 연구의 결과는, 투자자와 감독기관 등과 같은 기업의 이해관계자가 부실기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