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조사연구

        김신애,송미숙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3

        본 연구는 광역 단위 지역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3개의 광역 자치 단체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에 대한 조사, 비교 분석한 결과 그 특징은 사업 내용, 사업 주체, 지원 성격, 지원 방법, 운영 특성, 지원 체계, 사업 특성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지역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은 크게 지역 특성화 문화 예술 교육 지원, 학교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회 문화 예술 교육, 문화 예술 교육 네트워크 구축, 문화 예술 교육 정보화 등으로 구분된다. 둘째, 지역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은 재단 및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센터가 자체적으로 개발․운영하는 자체 사업과 국가의 정책 사업으로 구분된다. 정책 사업의 경우 지역 특성화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 예술 강사 지원 사업, 꿈다락 토요 문화 학교, 꿈의 오케스트라 등으로 운영되고, 각 지역 문화 재단이 지역 특성에 맞는 고유의 자체 사업이 운영된다. 셋째, 지역 문화 재단의 예술 강사 지원 사업은 사업 운영 방식에 따라 직접 운영 사업과 위탁 운영 사업으로 구분된다. 13개의 모든 문화 재단이 7개 분야(연극, 영화,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공예, 사진, 디자인)강사를 파견․배치․관리하고, 국악 강사의 경우, 3개 문화 재단만이 직접 지원하고 나머지 10개 문화 재단은 타 기관에 위탁하여 지원한다. 넷째, 지역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은 문화 예술 교육 전담 기관인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센터에 의해 추진된다. 현재 13개 모든 문화 재단 내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센터가 설립되어 지역 문화 예술 교육과 시민 문화 예술 교육을 활성화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다섯째, 지역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은 시․도, 시․도 교육청,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6개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센터, 문화 예술 교육 관련 단체 그리고 지역 주민 등의 후원 및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여섯째, 지역 문화 재단의 문화 예술 교육 지원 사업은 지역화․특성화․전문화의 특성을 지닌다. 지역 문화 재단은 각 지역의 유․무형의 문화 자원을 활용하고, 지역 여건에 적합한 문화 예술 교육 정책을 추진하며, 지역을 거점으로 다양한 문화 예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함으로써 주민들의 문화 예술 교육 경험을 보다 풍부하게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and analyze comparatively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promoted by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in metropolitan areas. For this purpos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executed by the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of 13 metropolitan self‐governing bodi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comparatively, an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e survey about the contents and promoters of the projects, the nature and method of support, operation characteristics, support systems, and project characteristics. First,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of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are largely categorized into support for the regionally characteriz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schools, support for soci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nstruc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networks, informatization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etc. Second,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of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are largely divided into those developed and operated by the foundations and their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those executed as governmental policies. Projects executed as governmental policies include projects for supporting regionally characterized arts and culture education, art teacher support programs, Kumdarak Saturday Cultural Education Program, and Orchestra of Dream, and each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 also operates its own programs fit fo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ird, art teacher support programs provided by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are divided into direct operation programs and contract operation programs. All of the 13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send, deploy, and manage teachers in 7 areas (play, movie, dance, cartoon/animation, crafts, photography, and design), bu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ers, only 3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provide direct support and the other 10 foundation support through contract agents. Fourt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of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are promoted by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centers, 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At present, all of the 13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are operating their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activating loc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r citizens. Fift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of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 are backed up by provincial and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Education,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16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centers, organizations related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local residents, etc. Sixth, the arts and culture education support projects of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ization, characterization, and specialization. Local arts and culture foundations are making efforts to enrich the residents’ experienc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through utilizing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resources in their areas, promoting arts and culture education policies fit for local conditions, and developing and operating various region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남북한 통합조성을 위한 국제 비정부 기구의 활동 : 독일 정치재단 사례를 중심으로

        최현아(Choi, Hyun-Ah),이혜경(Lee, Hye-Ky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20 亞細亞硏究 Vol.63 No.4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독일 정치재단은 통일 독일의 경험을 공유하고, 남북한 화해정착과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독일 정치재단 한국사무소의 남북협력 지원은 2003년부터 경제, 의료, 환경, 스포츠 및 문화 교류 등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북한 전문가의 능력배양을 위한 교육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독일 정치재단 한국사무소의 교류협력 사업은 소규모로 진행되고 있으나, 인도적 지원사업을 넘어 개발 협력 성격의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또한, 북한 현지 파트너기관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독일 정치재단이 가지는 특수성과 교류협력 사업에서 보듯이 북한과의 지속가능한 교류협력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교류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교육 및 기술적 지원이 동시에 진행되어야 한다. 교류협력 사업 진행 시 직접적인 물품 지원이 아닌 북한 내 정책결정자와 연구자의 분야별 능력배양을 위한 소규모 지원사업을 진행하면서 사업의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비정부기구인 독일 정치재단이 진행하고 있는 북한과의 공식적, 비공식적 교류 확대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제 비정부기구의 지속적이며 장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는 협력사례를 통해서 향후 정부와 민간단체의 남북교류 사업이 재개될 경우, 독일 정치재단의 사례 연구는 지속적인 추진과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 시 경험적 차원에서 의미 있는 기초연구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erman Political Foundation (GPF) is one of the leading institutions that share the experience of a unified Germany and support the reconcili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German Political Foundation Korea has supported the environment including forest and water management, sports and culture, market economy, economy and medical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since 2003. It also supported training and education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North Korean experts. The project of GPF Korea implemented small scale humanitarian aid, but it goes beyond humanitarian aid for development cooperation. It is working to form a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s local partner agencies to proceed continuously. Although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of the GPF Korea, it is necessary to conduct human exchanges in various fields and educational and technical support should be carried for sustainabl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e scope of the project needs to be expanded while carrying out small-scale aid projects to sector-specific capabilities of policymakers and researchers in North Korea.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ansion of formal and informal exchanges with North Korea, which are currently being carried out by the GPF Korea,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This study findings can help to establish the strategy to restart the sustainable inter-Korean cooperation.

      • KCI등재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지원사업의 효율성 탐색

        김민희(Kim Minhee)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7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6 No.2

          본 연구는 탐색적 수준에서 한국학술진흥재단 학술연구지원사업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기초통계자료분석, DEA분석, 질문지 및 면담조사 방법 등 정량적·정성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기초통계분석 결과, 학술연구지원과제수, 지원금액은 사업초기보다 약 150배 이상 증가했지만 선정율은 여전히 낮아 개선이 요구되었고, 학술연구자들의 논문 및 저술, 학술지발행 등 필수 성과지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DEA 분석을 통한 사업간 상대적 효율성 분석에서는 선도연구사업과 협동연구사업의 효율치가 다른 사업보다 낮게 나타나 한정된 재원이라는 제약조건 속에서 합리적인 사업간 배분을 통해 효율성을 높여 나가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학술연구지원비 수요자인 대학교수들의 인식조사 결과와 변량분석을 통해 본 사업 참여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차이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본 사업의 전반적인 효율성은 개선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체적인 목표달성도 및 사업의 운영관리 측면에서는 사업단 운영방식과 과제신청 시스템의 편리성 등의 효율성은 높게 나타났으나, 대학의 연구비 중앙관리체제는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나 개선이 요구되었다.   The purpose of his exploratory study is to analyze on efficiency of KRF"s Supporting System for Individual Scholars. For this study, article review, statistical analysis, DEA, survey and interview were used. As the applications of research projects were increased more 150 percent than starting point of this project but project selection rate was low, improvement of KRF"s Supporting System for Individual Scholars was required. Attainment rate of major performance indicator including a number of publications and journal was increased steadily. The results of DEA show that relative efficiency of initiative research project and cooperate research project was lower than other projects so rational distribution of research fund was required.<BR>  For survey and ANOVA, overall efficiency of KRF"s Supporting System for Individual Scholars was improving such as achievement of objective, management methods, and use of project application system. But university research fund management system that was found to impede efficiency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장학목적 공익법인의 세법상 고유목적사업비 사용에 대한 연구

        김종태,최보람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mproving the distribution for charitable purposes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under the tax law through comparing the tax regulations in Korea and in USA.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public utility foundation is distributing the donated property for the charitable purpose properly and this study is focused on providing the recommendation on the distribution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as the monitoring process. 100 scholarship foundations, whose total assets are exceeding Korean won 10 billion, are selected as the sample. The ratio of the expenditure over the earning from the investment in 2009 and 2010 are 79% and 73%, respectively, which meets the minimum ratio of the expenditure over the earning as 70% provided by the Korean tax regulations. The expenditure ratio over the investment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is relatively low, considering that the number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whose earning ratio from the investment are under 5%, is 50 in 2009 and 63 in 2010, out of 100 selected scholarship foundations. This analysis means that the scholarship foundation does not perform the charitable purpose properly, as the scholarship foundation is required to distribute only the profit earned from the investment under the Korean tax regulations, even if the scholarship foundation enjoys the tax benefits. It is not necessary to distribute for the charitable purpose under the tax law in Korea, if there is no earning from the donated investment. Under the tax regulations in USA, it is required to distribute at minimum 5% of the investment for the charitable purpose, even if there is no earning from the donated investment. If the tax regulations in USA is applied in the minimum expenditure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in Korea, Korean won 95,412 million from 80 scholarship foundations in 2010 would be distributed for charitable purpose additionally. The reason for the fact that the expenditure ratio over the investment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is relatively low, is due to the fact that there are no minimum expenditure requirement over the donated property for the charitable purpose and the limitation on distributing the basic donated properties. Even if a lot of the tax benefits are given to the scholarship foundation, through not imposing the inheritance tax or the donation tax, the expenditure for the charitable purpose is not large, due to the reason that the expenditure is made only with the profit earned from the donated property. The basic donated property can be used for the charitable purpose, only when the proper approval from the relevant government or the revision of the related articles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should be made in advance. Two recommendation are suggested in order to promote the distribution for the charitable purpose by the scholarship foundation properly. One is to suggest the minimum expenditure requirement over the donated property under the Korean tax regulation and the other is to lessen the control over the proper approval from the relevant government and the control over the revision of the related articles of the scholarship found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distributing for charitable purpose. 본 연구는 장학법인을 대상으로 장학법인의 고유목적사업비 사용의 증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공익법인은 설립취지가 일반적인 비영리법인과 달리 사회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하여 종교·자선·학술 기타 공익에 관한 사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정부는 그 고유목적사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공익사업에 출연한 재산에 대하여 상속세 및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공익법인이 공익 목적에 따라 사용하는 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하며 본 연구도 공익법인의 사후관리 중 공익 목적의 지속적인 사업비 활용 방안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00억 이상 자산을 보유한 100개 장학법인을 표본으로 하여 각 장학법인들의 투자수익률 및 사업비 사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10년과 2009년 각각 평균 4.7%, 4.89%의 투자수익을 올리고 있고 투자자산 대비 사업비는 3.73%, 3.55%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투자수익 대비 각각 79%, 73%를 사용하여 투자 수익 대비 70% 이상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을 맞추고 있었다. 이렇게 투자자산 대비 고유목적 사업비율이 낮은 것은 각 재단별 투자자산 대비 투자수익률을 확인하면 알 수 있는데 전체 100개 법인 중 63개(2010년), 50개(2009년) 법인이 5% 미만의 투자수익률을 올리고 있었다. 이러한 법인들은 공익 목적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공익 법인 출연당시 받은 세제 혜택이나 운영상의 여러 가지 혜택에도 불구하고 투자수익 대비 사업비를 사용하도록 하는 규정 때문에 우리나라의 장학 재단의 효율성은 저하된다. 반면 미국에서는 투자자산 대비 5%를 의무적으로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토록 하고 있다. 미국의 제도를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보면 2010년 기준 총 80개 재단이 95,412백만원만큼 사업비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계산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장학재단의 사업비율이 낮은 결과의 문제점으로 고유목적사업비로 사용해야 하는 최소한도 규정이 없는 것과 기본재산 사용이 어렵다는 점을 분석하고 고유목적사업비 사용의 최소 한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공익 목적 사용을 위해 출연재산에 대한 규제가 풀려야 한다는 점도 추가적인 개선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장학재단 ‘드림장학사업’의 현황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한유경(Han, You-kyung),박상완(Park, Sang-wan),추지윤(Choo, Ji-yoo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한국장학재단이 2012년도부터 추진하고 있는 드림장학금 지원사업의 주요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드림장학사업은 저소득층 우수고등학 생에게 해외유학의 기회를 제공하여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도록 학업장려비, 학비와 체재비 등을 지원한다. 그러나 드림장학사업 운영 과정에서 장학금 지원 금액의 형평성 문제, 연간 5만 달러의 장학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중도탈락자 발생, 학업장려비에 대한 질 관리 및 장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리 미흡, 세부 운영 기준 미비 등 여러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분석, 장학재 단의 사업담당자와 연구진 협의회, 한국장학재단의 드림장학생 대상 설문조사 결과 분석 등을 토대로 드림장학사업의 운영 실태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드림장학생 선발제도 개선,드림장학생 선발 제도 개선, 드림장학생에 대한 학업 및 진학 지원, 장학사업 홍보 및 질 관리체계 개선 등 세 영역 에서 드림장학사업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ssues and problems of KOSAF ‘Dream Scholarship’ and to develop policy measures to improve it. The Dream Scholarship program which was initiated in 2012 supports students of exceptional financial need and strong academic performance with the opportunities to study in Korea or in prestigious universities abroad. The criteria for selecting recipient include academic excellence and potential to promote global competences. As KOSAF’s Dream Scholarship program supports students from low income family and is intended to help students pay for school tuition and fees, as well as for other education-related costs such as college entrance fees, special course tuitions, fees, and other education costs. However, Dream Scholarship also has several problems to be improved including high dropout rates, double payment, unclear budget criteria, lack of equity, etc. Based on literature and KOSAF material review, working-level meetings, and survey with Dream Scholarship recipients, this study analyzed the issues and problems of Dream Scholarship and suggested policy measures. Main policy measures are drawn in three aspects: Clarifying selection criteria, strengthening recipients’ quality control and academic requirements, and promoting public announcement and improving management system of Dream Scholarship program.

      • 공공문화예술 콘텐츠의 사회공헌을 위한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 역할 분석과 방향 제시 :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퍼실리테이터 활동을 중심으로

        하원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2

        본 논문의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은 각 분야의 예술인이 현장에서 예술 활동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업, 기관에 파견되어, 문화예술과 관련된 새로운 서브잡(Sub-Job)을 개발하고 그 체계를 구축하는 예술인복지사업이다.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에서 퍼실리테이터는 예술인과 참여기관을 매개하고, 창작 예술 프로젝트의 진행과 완성, 발표를 촉진하는 역할자이다. 본 논문은 예술 개입 프로젝트에 있어서, 퍼실리테이터의 현재 역할을 분석하고, 사회공헌을 위한 창조적인 역할 디자인을 제시한다. 기존에 퍼실리테이터에게 요구되고 있는 제시되고 있는 세 가지 역할, 즉 예술인이 파견될 기관과 기업 이슈를 찾는 발견자 역할, 파견 예술인의 요구와 매칭 기관과 기업의 요구를 매개하는 매개자, 파견 예술인 개별 프로젝트의 활동성과 관리와 기록에 임하는 기록자 역할 이외에 퍼실리테이터의 새로운 역할로 공공 문화예술 콘텐츠의 개발과 완성을 위한 프로듀서 역할이 추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역할이 추후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신(新)동력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퍼실리테이터의 협업 프로듀싱 역할은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이 보다 사회공헌사업으로 확대발전할 수 있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의 구별 - 사회적 기업에 대하여 특수한 법인격을 부여할 것인지를 포함하여 -

        김진우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3

        Alle Rechtsordnungen unterscheiden zwischen Rechtsformen für For-Profit- Organisationen und Rechtsformen für NPOs. For-Profit-Organisationen sind für wirtschaftliche, unternehmerische Betätigungen konzipiert. Da aber auch viele NPOs wirtschaftlich tätig sind, stellt sich die Frage, ob und wieweit NPOs solche Betätigungen entfallten dürfen. Im koreanischen Vereinsrecht gibt es zwei Grenzen, deren Über- schreitung jeweils zu unterschiedlichen Rechtsfolgen führt: Das Nebentätigkeitsprivileg setzt den Rahmen, innerhalb dessen der Verein wirtschaftlich tätig sein darf. Bei einer Überschreitung dieses Rahmens kann dem zugelassenen Verein Gründungsgenehmigung entzogen werden (§ 38 KBGB). Wollen die Mitglieder die wirtschaftliche Betätigung in demselben Ausmaß weiterführen, ist dies nur in einer anderen Rechtsform möglich. Die Beschränkung der wirtschaftlichen Betätigungen von NPOs ist wegen des Gläubiger- schutzes gerechtfertigt. Diskutiert werden in jüngerer Zeit Ausnahmen vom Gewinnausschüttungsverbot, etwa für hybride NPOs wie Sozialunternehmen, die sich neben der Verfolgung eines guten Zwecks auch ihren eigenen Lebensunterhalt finanzieren müssen. Die strenge Trennung im heutigen Recht ist jedoch beizubehalten, um „Grenzverwischungen“ zu vermeiden. Das koreanische Vereins-, Stiftungs-, Genossenschafts- und Gesellschaftsrecht bietet mit der Möglichkeit hybrider Strukturen durch Tochtergesellschaften eine ausreichende Basis für unterschiedliche Strukturen von NPOs. 우리 민법이나 입법 자료상으로는 아무런 실마리를 찾을 수 없음에도 민법학에서는 예로부터 구성원에 대한 이익분배가 있으면 영리라고 하는 견해(이익분배설)가 통설로 확립되어 있다. 이익분배설은 기본적으로 비영리법인의 수익사업을 허용하되 그로부터 발생한 수익의 사용방법(구성원에 대한 이익분배)을 제한한다. 영리 개념이 이처럼 이해되는 까닭에, 구성원이 없는 재단은 성질상 영리법인이 될 수 없다 함이 일반적 견해이다. 그러나 기존의 이익분배설 및 구성원이 있을 수 없는 재단은 항상 비영리라고 하는 통설은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리․비영리 구별과 관련하여 법인설립단계에서는 정관상의 고유목적이 핵심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법인설립 후의 단계에서는 정관상의 고유목적 및 객관적 활동을 분석하여 영리와 비영리를 구별해야 한다. 나아가 이익분배 여부가 영리와 비영리를 구별하는 핵심징표라면, 그것은 사단은 물론 재단에도 적용되어야 하며 또 법률에 수렴되어야 한다. 비영리법인의 수익사업은 고유목적사업의 수행에 필요한 범위 내에서만 허용되어야 하고, 그 수익은 구성원 및 특수관계자에게 분배되어서는 안 되며, 수익의 대부분은 고유목적사업에 직접 충당되어야 하고 단지 그 일부만이 고유목적사업의 추구에 이바지하는 범위 내에서 법인의 운영에 사용될 수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수익사업의 규모는 고유목적사업의 규모를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판단되어야 하겠으나, 수익사업이 제3자의 시각에서 볼 때 고유목적사업으로 오인될 수 있는 정도여서는 안 될 것이다. 수익사업의 업종으로는 비영리단체에 대한 사회적 신용이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최근 영리목적과 비영리목적을 동시에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을 위한 특수법인 설립을 허용하자는 입법론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 법에서 비영리법인도 부수적 활동의 특전 범위 내에서 수익사업을 할 수 있으며, 부수적 활동의 특전을 넘어서는 수익사업은 비영리법인의 자회사가 하게 한다면 굳이 영리법인과 비영리법인의 구별에 관한 틀을 깨면서까지 제4섹터(Fourth Sector)를 인정하고 그를 위한 특수법인을 도입할 필요나 실익은 크지 않을 것이다.

      • KCI등재

        해방 후 안중근 기념사업의 역사적 의의

        윤선자(Yoon Seon-Ja)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4

        해방 후 안중근 기념 첫 사업은 동상건립기성회 조직이었다. 해방된 한반도에서 안중근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인물이었다는 의미이다. 이후 안중근 기념사업은 주로 순국일에 추모행사로 진행되었다. 해방 이후 1960년대 초까지 안중근 기념사업은 동상 건립과 순국일 · 의거일에 거행된 추념식이었다. 추도란 “죽은 이를 생각하며 슬퍼하는 것”으로 ‘추념’도 비슷한 의미이다. 추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교훈을 끌어내는 것이야말로 추도의 진정한 의미이다. 뿐만 아니라 최고의 추도란 정확한 사실에 토대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안중근에 대한 자료 발굴과 그에 기초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이 기간에는 몇 편의 희곡과 단행본이 출간되었을 뿐이다. 천주교회 측에서도 소극적인 관심을 표명하였을 뿐이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0년대 초까지 안중근 기념사업은 국가적인 후원과 국민들의 관심 속에서 추진되었다. 안중근의사기념관 설립과 안중근 유묵의 보물 지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관심과 후원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과 후원은 안중근 관련 자료들의 발굴로 이어졌고, 안중근 연구의 기초가 되었다. 천주교회 측에서도 안중근을 천주교 신앙인으로, 단죄하였던 안중근의거를 애국적인 행동으로 인식하고 평가해야 한다는 주장을 추모식과 논문들로 표명하였다. 중국에서는 안중근의거지인 하얼빈을 중심으로 동북삼성에서 안중근을 기념사업들이 추진되었다. 이처럼이 기간 안중근 기념사업은 국 · 내외적으로 토대를 다져나갔다. 1990년대 초부터 안중근 기념사업은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문화인물과 호국인물로 선정되었고, 유해발굴작업이 남북 공동으로 추진되었다. 천주교회는 신앙인 안중근, 애국적인 안중근의거라는 측면에 초점을 모았다. 한중 수교로 중국에서의 안중근 관련 기념사업들이 활발하게 추진되었으며, 미주와 일본에서도 안중근연구회가 조직되는 등 국외에서도 안중근 기념사업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즉 해방 후 안중근 기념사업은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화하고 확산되었는데, 그것은 안중근이 한국 민족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그의 동양평화사상과 의거가 지닌 역사적 의미가 크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런 만큼 그를 기념하는 각종 사업들의 다양화와 확산은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그동안 안중근 기념사업은 일회적이고 중복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고, 사후 관리가 미흡하였다. 향후 안중근 기념사업은 안중근의 정신을 미래화하는, 안중근의거를 국제평화의 측면에서 자리매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안중근의 사상과 의거에 대한 철저한 사료 조사와 정리, 그에 토대한 연구와 평가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안중근에 대한 사료정리와 연구는 눈에 보이지 않은 기념관을 건설하는 것이다.

      • KCI등재

        민간 장학재단 학자금 지원 사업의 현황 및 실태 분석

        정성수,이기정,이호준,김훈호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8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 and current condition of student loan programs operated by private scholarship founda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financial stability, regional equity, and operational transparenc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stability of private scholarship foundation is improving. However, in order to enhance accuracy of the analysis, further access to additional dataset such as closing accounts data of private scholarship foundations should be granted to researchers through public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Second, the study found that the current student loan programs of private scholarship foundations have issues related to regional inequality and financial impartiality. To improve such issu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close linkage with state-level loan programs. Third, private foundations with smaller asset size had limited effort to improve their financial transparency issues such as conducting account audit and double-bookkeeping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mend existing escape clause related to tax affairs confirmation and financial audit. In addition, the study suggested strengthening bo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small size private scholarship foundations. Based from findings of this study, the authors suggested necessity on conducting more accurate analysis on current student loan programs operated by private scholarship foundations and importance on providing more effective linkage measures with government student loan system. 본 연구는 민간 장학재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자금 지원 사업의 운영 현황 및 실태를 재정의 안정성과 지역 간 형평성, 운영의 투명성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드러난 주요 쟁점들을 중심으로 향후 민간 분야의 학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국가 수준 학자금 지원 체제와의 연계를 보다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결과 및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장학재단의 재정 안정성은 점차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민간 장학재단의 결산 자료에 대한 접근 권한을 한국연구재단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간 장학재단의 학자금 지원은 지역적 불균형 및 재정적 중립성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국가 수준의 학자금 지원 제도와 연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자산규모가 작은 민간 장학재단일수록 세무확인 및 회계감사 실시, 복식부기 적용 등과 같은 투명성 제고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 민간 장학재단의 세무확인 및 회계감사에 대한 예외 규정을 축소하고, 소규모 장학재단에 대한 행․재정적 지원을 보다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민간 장학재단이 운영하는 학자금 지원 사업의 보다 구체적인 실태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국가 수준의 학자금 지원 제도와 민간 학자금 지원 사업의 효율적인 연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전북지역의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 현황과 개선 방안

        박성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1

        이 논문에서는 지역협력형 사업과 전라북도문화재단의 종합평가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 살펴보았다. 또한,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이 2018년에 시행한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성과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지역협력형 사업은 서울 중심으로 문예진흥기금 지원이 편중된 현실을 개선하고 서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한 지역 문화예술계의 여건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는 사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협력형 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정리하고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에서 시행한 「2018년 지역협력형사업 종합평가 및 만족도 조사」 중 전문가 평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지역협력형 사업 중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수행현황 점검하여 성과와 문제점을 도출했다. 이를 기반으로 제언한 사업 개선 내용은 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에서 예술가와 예술단체를 지원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전북지역의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북지역만의 특색을 담은 문화를 육성할 수 있는 전략을 전망한다. 아울러 「2018년 지역협력형사업 종합평가 및 만족도 조사」에서 제시한 문제점들을 보다 면밀하고 비판적으로 점검한다. 이를 통해 추후 전라북도의 지역문화의 가치가 지역과 생활이라는 장소와 공간에서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how the regional cooperative projects and Jeollabuk - do Cultural Foundation 's comprehensive evaluation are done. In addition, the Jeollabuk - do Cultural Tourism Foundation reviewed the present status of the 'Cultural Arts Promotion Support Project' conducted in 2018, and grasped the results and problems and searched for ways to improve it. The regional cooperative project is aimed at improving the reality that the support of the literary promotion fund is focused on Seoul and improving the situation of the local arts and culture which is relatively inferior to that of Seoul. This paper summarizes the overall concept of regional cooperative projects and describes the overall evaluation of experts in the "2018 Global Cooperative Project Overall Assessment and Satisfaction Survey" conducted by the Jeollabuk-do Cultural Tourism Foundation. In addition, out of the regional cooperative projects, 'performance of local culture and arts support project' was examined and its performance and problems were derived.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of the project improvement can be utilized in support of artists and art groups in Jeollabuk - do Cultural Tourism Foundation.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to improve the problems of 'local culture and arts development support project' in Jeonbuk area and proposes a strategy to cultivate a culture that is unique to Jeonbuk area. In addition, the problems presented in the "2018 Regional Cooperative Business Overall Assessment and Satisfaction Survey" will be examined more closely and critically.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local culture of Jeollabuk - do will be realized in the place and space of the area and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