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상 기초자치단체 재난안전상황실의 운영체계 개선방안 - 재난안전상황실의 현장 실무를 중심으로 -

        김광수(Kim, Kwang-Soo),권한용(Kwon, Han-Yo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東亞法學 Vol.- No.92

        재난관리에서 상황관리는 재난대응의 성패를 가늠할 만큼 중요한 요소이다. 상황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재난관리의 성공적인 임무수행이 어렵기 때문이다. 재난발생 초기 초동대응단계에서의 상황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게 요구된다. 그러나 각종 재난 및 재해 발생 시 그 발생 현장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는 기초자치단체의 재난안전상황실의 운영체계는 아주 취약하기 그지없다. 재난관리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서는 첫째, ‘재난안전법’에 의한 재난안전상황실의 운영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각 기초자치단체의 재난안전상황실의 설치근거를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법 개정을 통해 재난관리 컨트롤타워로서의 명확한 정체성이 정립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단기적으로는 기초자치단체의 기존 당직실과 통합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재난관리 통합 상황공유 및 협업체계 운영 강화이다. 무엇보다 재난정보가 평상시 실시부서와의 공유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협업체계에 의한 협력기능 강화를 위해 재난관리 부서를 ‘총무부서’로 조정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중장기 대책으로 관할기관간의 협업체계에 의한 통합상황실 운영방안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난안전상황실 전담 및 전문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방재안전직렬에 대한 별도의 추가정원을 확보하는 방안 등 중장기적 대책을 강구하는 한편, 단기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의 자체인력 배치를 통해 재난안전상황실의 실질적인 운영이 지원되어야 한다.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는 기초자치단체 재난안전상황실의 실질적인 운영체계에서 뒷받침되어야 한다. In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management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disaster managemen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mission of disaster management if situation management is not carried out. Situation management in the initial response stage in the early stages of a disaster is required most importantly. But, in the event of various disasters and calamities, the operating system of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locate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site of the occurrence is very weak.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mission of disaster management, first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operating system of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according to the ‘Disaster Safety Act’. The identity as a disaster management control tower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revision of the law that specifically specifies the basis for the installation of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of each basic local government. Through this, in the short term, integrated operation measures with existing on-call offices of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Secondly,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situation sharing and strengthening cooperative management. Above all, the sharing system of disaster information with the department in charge should be smooth. In addition, it is ideal to adjust the disaster management department to the ‘general affairs department’ to strengthen the cooperative function through the cooperative system. As a medium-and short-term measure,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measures to operate the integrated situation room by the cooperative system among competent agenci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and recruit the exclusive and professional personnel for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While devising medium-and short-term measures such as securing additional quota for line of work for disaster prevention safety, in the short term, the actual operation of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should be supported through the deployment of its own personnel by the local government. Reinforcement of field-centered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should be supported by the actual operating system of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 국가적 차원에서의 종합안전상황정보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최호진,류현숙,정충식,김윤희,서재호 한국행정연구원 2010 기본연구과제 Vol.2010 No.-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과거와는 달리 예측이 불가능한 위기 및 위험의 출현으로 인해 국가적 차원에서 위기 및 위험관리의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함께 국내에서도 국가 생존에 필수적인 핵심기능에 대한 각종 위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대규모 인적ㆍ물적 피해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화, 정보화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오늘날과 같은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제반 운영 시스템 중 어느 하나가 마비되면 연쇄적으로 파급ㆍ확산되어 국가적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증가하는 각종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핵심기능을 보호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회적 위기 및 위험을 국가적 차원에서 관리하기 위해 각국은 자국의 상황에 맞는 국가 위기관리시스템을 구축 및 발전시키려는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가위기 및 위험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일부 구축하여 운영 중이나 국가 전체적 차원에서의 원활한 정보공유를 기반으로 한 재난 및 안전관리 정보시스템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를 위한 상황정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고 대응하기 위해 이를 위한 시스템의 구축은 물론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조직 및 기능 설계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 관련 제반 상황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대응하기 위한 종합안전상황정보 관리체계의 연계 및 운영방안으로서 바람직한 정부 조직 및 기능의 설계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문제와 연구의 방법 주요 연구문제 1) 국가 재난 및 안전 상황정보의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 국가 재난 및 안전 상황정보 관리체계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3) 주요 선진국의 국가 재난 및 안전 상황정보 관리체계 구성과 운영사례는? 4) 향후 국가 재난 및 안전 상황정보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정부 조직 및 기능의 설계방안은 무엇인가? 연구방법 본 연구는 먼저 문헌조사, 사례조사, 재난 및 안전 업무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인터뷰,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문제 원인분석(Fish-bone Analysis)을 실시하여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기초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중반이후부터는 이를 바탕으로 관련분야 전문지식을 갖춘 소수의 공무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접 조사(Focus Group Interview)를 수행하여 문제점 개선을 위한 새로운 관리체계를 시나리오별로 구상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세부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분석틀 연구의 분석 및 조사결과 설문조사 결과의 분석 우리나라 국가 재난 및 안전 상황정보 관리의 추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앙부터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업무 담당 공무원들은 전반적으로 법제도, 관리운영, 정보소통의 문제보다 `조직상의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광역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중앙부처 공무원들보다 재난 및 안전관리 추진체계를 개선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심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현행 재난 및 안전관리 법령상 `기관별 역할ㆍ기능 및 기관 간 협력ㆍ조정에 대한 명시`가 명확하지 않은 점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재난 및 안전관리 유관조직간 기능 및 역할, 추진주체의 불명확성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협력에도 가장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음이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둘째,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재난관리와 안전관리 지휘체계 및 협력네트워크 수준을 예방-대비 단계와 대응-복구 단계에서 살펴본 결과, 재난관리 및 안전관리 두 분야 모두 대응-복구 단계에서 협력적 네트워크가 상대적으로 더 잘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상시에는 중앙-지방간 협력 및 공조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지만 평시에는 이 둘 간의 협력 및 공조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국가적 차원의 재난 및 안전관리는 대다수 응답자들이 일본과 같은 분산형보다는 통합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한국의 정부조직체제를 고려한다면 향후 재난 및 안전관리 추진체계를 통합형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재난 및 안전관리 업무와 관련된 교육훈련에 관련된 설문에서는 참여경험은 많은 편이었으나 교육 횟수는 년 1회 이하가 많고, 교육훈련 방식 역시 유관부처 간 합동교육보다는 단독 교육이 많아 실제 재난 및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유관기관 간 공동대응 및 복구활동이나 협력적인 대비활동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재난 및 안전사고 관련 정보 전달시 정보통신 및 소통과 관련된 설문에서는 업무 담당 공무원들이 정보를 전달할 때 주로 사용하는 통신 수단은 전자메일, 유선전화, 휴대전화 순으로 나타났으나, 대체로 신속한 내용 전달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해, 지진, 폭염ㆍ가뭄, 화재, 폭발, 붕괴와 같은 재난ㆍ재해 관련 정보의 소통이 교통사고, 생활안전사고, 산업재해, 만성질환, 전염병, 식품위험, 전신건강위험, 강력범죄, 자살, 실업 및 여성, 청소년, 아동 대상 범죄 등과 관련된 평시 안전관련정보의 소통보다 상대적으로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 정부의 재난 및 안전관리가 `재난`에 많이 치중해있음을 시사한다. 여섯째, 재난 및 안전정보의 전달 및 공유와 관련해서는 예방-대비 단계보다 대응-복구 단계에서 재난은 물론 안전관련 정보가 보다 원활히 전달되고 공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 정부의 재난 및 안전관리가 여전히 `대응-복구`와 같은 사후적 관리에 치중해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재난 및 안전정보의 흐름을 저해하는 장애요인으로는 유관기관간, 관련공무원들 간 `재난 및 안전정보 공유에 대한 소극적 태도`를 들고 있어 향후 재난, 안전 정보제공이나 공유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제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일곱째, 스마트폰, SMS 등고 같은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 아직까지는 잘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ish-bond Analysis 결과의 분석 법/제도 분야, 정보시스템 분야, 관리 및 운영 분야, 조직 분야 등 총 4개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Fish-bone을 작성하고 분야별로 우리나라의 재난 및 안전관리 상황정보관리체계와 관련한 주요 문제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재난과 안전의 개념상 혼란, 평시 재난 및 안전 관리조항의 누락,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의 기본법으로서의 위상 취약, 재난 및 안전 관련법령의 난립, 권한과 책임에 대한 불명확한 규정 등이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조직적 측면에서는 재난원인과 현상분리에 따른 대응 주체의 혼란, 평시 국가적 상황관리를 위한 상설조직 부재, 실질적 컨트롤 타워 부재, 재난안전 유관조직의 분산에 따른 정보취합의 어려움 등이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는 안전이 재난관리의 목표가 아닌 일부로 인식, 중앙과 지방 간 명확한 역할 정리 미흡, 평시 체계적인 안전관리 미흡 등이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넷째, 정보소통 측면에서는 재난안전 정보시스템의 현장 대응력 부족, 상황정보를 판단할 전문인력의 부재, 현장지원 중심이 아닌 보고중심의 정보시스템, 산발적 재난안전 관련 시스템, 현장대응에 필요한 자원정보 DB 및 정보시스템 부재 등이 원인으로 도출되었다. 정책대안 정책대안: 추진체계 시나리오별 장ㆍ단점 분석 본 연구는 향후 국가 재난 및 안전 상황정보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정부 조직 및 기능의 설계방안으로서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첫째, 청와대를 중심으로 추진체계를 구성하는 방안이다. 둘째, 국무총리실의 위원회를 중심으로 추진체계를 구성하는 방안이다. 셋째,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하여 추진체계를 구성하는 방안이다. 넷째, 소방방재청을 중심으로 하여 추진체계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네 가지의 방안은 상황관리의 측면과 업무진행의 관점에서 각각 장점 및 단점을 지니고 있으며, FGI를 실시한 겨로가 네 가지 방안 중 국무총리실의 위원회를 중심으로 하는 방안과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하는 방안중 하나가 우리나라의 조직적 체계와 상황을 고려했을 때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청와대를 중심으로 하는 방안은 각종 다양한 상황이 집중되므로 재난안전에 몰두할 수 있는 구조가 되지 못하며, 소방방재청의 경우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을 지휘통제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기엔 미흡하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 가지 시나리오 중 국무총리실 중심의 추진체계 구성안과 행정안전부 중심의 추진체계 구성안을 정책적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국무충리실의 조정기능 중심 추진체계의 경우에는 현재 중앙안전관리위원회의 위상을 강화하는 방안과 별도로 국무총리실에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추진체계로 구성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행정안전부 중심의 추진체계의 경우네는 총괄상황정보관리는 국무총리실에서 추진하고 정책입안 및 집행에 대해서는 행정안전부가 담당하는 방식과 행정안전부 산하 소방방재청과의 통합을 통해 가칭 재난대책본부(제3차관)를 구성하는 등의 조직개편을 추진하는 방식 등이 대안으로 제기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f the study Recently the environment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has assumed many complex and diverse aspects. Unlike the past and due to the emergence of unpredictable disasters and hazards, the potential for large-scale human and material damage has risen.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a threat to the core functionality which is essential to national survival becomes a more permanent possibility. Furthermore, the kinds of threats are diverse and take on often more complex, potentially catastrophic forms. Hence, organizations should be more dynamic and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in order to perform related tasks in a rapid manner. Nonetheless, a prope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remains elusive, even though governments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appropriate form of the organization whenever there is a large disaster. However government reform needs serious organizational change, not just HR change. The individual threats and dangers tend to develop nation-wide because we live in a network society; society is now information-oriented and globalized. In other words, if one component of the operating system that constitutes society breaks down, the effects spread to other parts and can bring about a more serious disaster. Therefore, every country must recognize the need to protect itself from the threat of disaster. Each nation should develop a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suitable for itself. South Korea is no exception. At this time Korea has partly developed and operationalized the national crisis and risk management system, but a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based on sharing information at an overall level has not yet been creat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in the design of organizations a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to handl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such as security and disaster policies and the ability to respond to those situa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contents 1) The purpose of the study Give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aims to envision a national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that could process and respond comprehensively to national safety information such as security threats, disasters and police emergencies. We offer ideas for designing the organization, function, and successful deployment and operation of such a system. 2) The main purpose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This research develops a framework for establishing a nation-wide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that could process and respond to national safety information such as security, disaster and police emergencies. It furthers the design, organization, deployment and operation of this kind of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status of the existing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on the national level. It further diagnoses the problem and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ach individual system. It draws some policy implications from case studies of the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have been used in advanced countries. 3) Research Framework The proposed research framework is as follows. Research Scope and Methodology The research includes five steps to provide an alternative for the linkage and operation of the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The first step is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system of national security and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In this part, this study carried out research on the existing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ith regard to four aspects, i.e. organizational, managerial, and institutional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aspects. Secondly, by analyzing case studies from advanced countries as to how they manage disaster and safety issues, this study draws future policy implication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in Korea. Third, the study diagnoses the status of the current national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focusing on three aspects, i.e. key organizations, institutional arrangements and management. Fourth, this study analyzes the operational practices of the national security management and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and their problems.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main problems based upon various documents and official surveys,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nalysis via four expert brainstorming meetings. This study will present the main findings of the results from the aforementioned empirical researches. Finally, the study will design the new management system that resolves the problems and issues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safety information system based on analysis of various hypothetical scenarios. Research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1) Finding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foremost predicaments of the current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this study found that the disconnect of organizations in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tanks first and is primarily caused by unclear legal definitions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related government bodies and agencies. Second, findings from the survey of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 of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revealed that existing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works better at the stage of response and recovery rather than at the stage of prevention and preparedness. It also works better at the stage of response and recovery wh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ork in partnership in an emergency. That is to say, the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has a propensity for response and recovery and concentrates on controlling emergency situation rather than on everyday safety. Third, the analysis of disaster management officials` preference in relation to nationwide safety and disaster governance suggested that a majority of disaster management officials prefer an integrative system to a decentralized one. Fourth, as for disaster information sharing among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this study found that the existing disaster information system is focused on `disaster` information so that sharing `safety` information is almost overlooked.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 foremost predicament of information sharing across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agencies is a passive attitude among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officials.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through expert brainstorming by and large confirmed the main findings of the survey.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issues and problems of existing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absence of a control tower or chief agency in safety and disaster control operation and the decentralized information system are hindering factors in managing disaster and safety matters. 2) Policy Implications A number of insights have been gained from the study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First of all, this study drew four scenarios of future governance for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from the results of FGI and quantitative survey: a) Blue House-centered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governance; b) Prime minister office-centered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governance; c)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afety-centered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governance; and d)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centered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governance. As for the most preferable future, the MOPAS-centered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governance model was selected, followed by the PM office-centered governance. Since forecasting is not an exact science, future study should help to envision alternative futures through collaboration and consensus building among those concerned. This organized form of our collective intelligence will contribute to better future governance for national safety and disaster management.

      • KCI등재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 필수정보 연구: 제천 스포츠 센터 화재사건을 중심으로

        조정윤,송주일,장문엽,장초록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1

        연구목적: 재난이 발생했을 때, 보통 재난안전상황실로 정보들이 무분별하게 수집되고 전달되고 있어 신속하고 올바른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대응팀과 상황실 모두 최 적의 재난 상황인지 및 대응이 가능토록 재난관리 필수정보 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 구에서는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재난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재난 대응과정을 확인하고,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당시 재난발생시 작성된 화재상황보고 서식을 분석함으로써 현장과 상황실에서 필요로 하는 재난관리 필수정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상황접수 및 보고·전파, 총력대응·지역긴급구조통제단(지통단)·지역재난안전대 책본부(지대본) 단계, 중앙 긴급구조 통제단(중통단)·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운영단계, 수습복구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수집되어야할 정보와 핵심 업무에 해당하는 정보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재난관리 필수정보는 현장에서 정 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이 가능하며,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의사결에 필요로 한 핵심정보를 전달받게 됨으로써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해지므로 더욱 효율적인 재난 상황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 된다. Purpose: When a disaster occurs,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sent indiscriminately to the disaster safety situation room, making it difficult to make quick and correct decisions. Therefore, in this study, both the field response team and the situation room attempted to derive the essential information elements for disaster management so that they can identify and respond optimally. Method: In this study, the actual disaster response process was first identified based on the case of large-scale fire disasters in multi-dense facilities. Afterwards, essential information on disaster management was obtained by analyzing the standard manual for large-scale fire crisis management in multi-dense facilities and the fire situation report form prepared at the time of disaster. Result: The Essential information on disaster management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situation reception·reporting· transmission, total response·regional emergency rescue control group·regional disaster safety task force, operation stage of central emergency rescue control group·central disaster safety task force, and recovery stage. Since then, the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t each stage and the information relevant to core tasks are presented. Conclusion: The Essential information on disaster management thus obtained can serve as a guide for the person who collects information on site to collect information efficient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ituation room in charge of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will receive only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cision mak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make a quick situation decision and more effici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 KCI등재

        서울종합방재센터 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 방안(서울특별시 소방공무원 교육훈련을 중심으로 )

        박순일,박찬석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4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cial support composed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managerial support w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to enhance Disaster Operations Management at Seou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Method : Emotional labor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Results : First, in the asp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the objective evaluation of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emotional labor reduc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monitoring of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quality improvement and work imbalance mitigation of firefighters, and emergency coordination managers are needed for systematic work management for emotional labor settlemen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elect competent firefighters in the level of managerial support, to prepare healing measures for structured phased emotional labor for firefighters, and to have counseling competency for managers for emotional labor firefighting officers. Conclusion : In order to improve disaster management abil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social support. 연구목적: 서울종합방재센터 재난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를 위해서 조직몰입을 높이는 사회적 지원을 구성하는 하위차원의 체계적인 관리적 접근을 제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감정노동을 독립변수로, 조직몰입을 종속변수로 하여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근거해 재난상황관리 조직몰입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지원 차원에서, 재난상황관리업무 객관적 평가, 재난상황관리 감정노동 완화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재난상황관리 모니터링을 통해 상황관리 업무품질 개선과 업무 불균형 완화, 재난상황관리 직원의 업무 동기부여 및 보상책 마련, 재난상황실 소방공무원 감정노동 해결을 위한 체계적 업무 관리를 위해 재난상황 분석실 설치, 현재 상황관리 총괄팀과 재난상황관리 총괄운영 관리자, 재난상황관리 정보 분석가 및 개발자를 전문성을 갖춘 인재 충원이 필요하다. 둘째 관리자지원 차원에서 역량있는 소방공무원 선발, 재난상황실 소방공무원에 대한 체계화된 단계별 감정노동에 대한 치유대책 마련, 감정노동 소방공무원을 위한 관리자의 상담역량을 갖추어야 한다. 결론: 재난상황실 재난상황관리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원에 기반한 조직몰입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재난상황관리를 위한 재난현장정보 수집 및 표출시스템 개발 연구 : 지진을 중심으로

        구지희,송주일,조정윤 한국측량학회 2022 한국측량학회지 Vol.40 No.1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is emerging as various disasters such as COVID-19, torrential rains, and fires occur one after another. In addition, in order to respond efficiently throughout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quickly collect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quickly check the site situation through photo and video information so that rapid disaster response can be achieved. In this study, essential information required for decision-making was derived by analyzing the essential activities of each disaster response stage, analyzing the crisis management standard manual and related laws for each disaster type, and daily comprehensive report. In addition, a list of information necessary to grasp the situation of the disaster site and grasp the status of real-time damage was deriv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collecting volatile disaster site information, and disaster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efficiently displayed through a spatial information-based display system. By presenting essential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collected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collecting information can efficiently collect information, and the situation room in charge of disaster response decision-making is expected to enable more efficient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by receiving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COVID-19, 집중호우, 화재 등 다양한 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재난관리 및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 다. 재난대응 활동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현장 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되 사진 및 동영상 등 영상정보를 통해 현장상황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신속한 재난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 하다. 본 연구에서는 각 재난유형별로 재난대응 단계별 필수적인 활동 업무, 위기관리 표준매뉴얼과 각 재난 유형별 관련법, 일일상황보고 등의 각종 서식상의 수요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시 요구되는 필수정보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재난발생시 재난현장의 상황파악 및 실시간 피해현황 파악에 필요한 정보목록도 함께 도출하여 재난현장 정 보 수집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재난상황정보는 공간정보 기반의 시스템을 통해 상황인식을 직 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표출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집해야할 재난상황관리 필수정보를 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정 보를 수집하는 담당자는 효율적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재난대응의 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상황실에서는 필요 로 한 정보만을 전달받아 신속한 상황판단이 가능하므로 재난 상황관리에 대한 효율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ICT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시스템(스마트빅보드) 개발

        임정탁,김진영,정인규,서지원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과거 반복된 대형재난의 발생은 재난상황관리의 중요성을 환기시켰고, 재난상황관리를 위해서는재난현장과 상황실 간의 신속한 정보 공유와 원활한 소통이 전제되어야 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2012년부터 Smart Technology와 Bigdata Technology를 융합한 통합재난상황관리 시스템인 스마트빅보드의 개발을 시작하였으며, 현재 복수의 테스트베드를 위해 지자체를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스마트빅보드는 여러 가지 재난정보를 웹기반의 전자지도에 모아서 표출 함으써, 위험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재난 유형별 맞춤형 재난 상황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재난상황관리 통합시스템이다. 스마트빅보드가 기존의 재난상황관리 시스템과 차별된 점은 SNS를 통해 생산되는 빅데이터와 영상스트리밍 기술이다. 빅데이터기술은 트위터로 생산되는 SNS정보를 재난관련 71가지 키워드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재난에 관련된 키워드 중 급상승 하는 것을 포착하여 알람으로 표출해준다. 실제로 ‘판교추락사고’나 ‘2014 한아세안정상회담’ 당시 추락사고와 테러에 관한 키워드가 급상승하였고 이것을 알람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CCTV가 없는 음영지역에 재난이 발생할 경우 영상스트리밍기술을 통해 재난현장의 영상을 상황실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양방향 TEXT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현장과 상황실 간의 소통도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스트리밍 기술은 재난현장 뿐만 아니라 안전이 우려되는 위험지역을 방문할 때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현재 지자체를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시범 사업의 결과는 추후 스마트빅보드 고도화 사업에 적용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재난상황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재난 상황 가변성 분석을 통한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이혜선,임선화,김은주,박소영,이강복,홍상기 한국정보과학회 2022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9 No.9

        With increasing frequency and extent of disasters, the importance of prompt and accurate situation management is also increasing. Existing methods to support situation management decision-making can be applied only to specific situation management tasks in limited circumstances, making it difficult to support customized decision-making according to disaster situations.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d a variability-based situation management decision support method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ituations. The proposed method was based on the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concept, constructing core information that could be configured by considering variabilities of disaster situation characteristics, thus providing situation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core information according to disaster situations. This method could increase work efficiency by supporting systematic decision-making step by step based on the situation management work process according to the disaster situation. It could increase the speed and accuracy of decision-making by supporting decision-making automation. The feasibility of the method was validated by applying the method to situation management scenarios for different disaster situations. 재난의 발생 빈도가 늘고 피해 규모가 커짐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상황관리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존 방법은 제한적인 상황에서 특정 상황관리 업무에만 적용될 수 있어서 재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재난 상황 특성을 고려한 가변성 기반의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소프트웨어 제품라인 공학 개념을 기반으로 재난 상황의 가변성을 고려하여 핵심 정보를 설정 가능하도록 구축하고, 재난 상황에 따라 핵심 정보로부터 상황관리 정보를 설정하여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제안 방법은 재난 상황에 따른 상황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단계별로 체계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의사결정 자동화를 지원하여 의사결정의 신속・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재난 상황에 대한 상황관리 시나리오에 대해 방법을 적용하여 실행가능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풍수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분석을 통한 상황 기반 재난 대응 모델 연구

        이창열,박길주,김태환,이현성 한국재난정보학회 2019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5 No.4

        연구목적: 재난 유형별로 관리되는 현장조치행동매뉴얼은 해당 재난의 종합적인 대책 가이드라인이라 고 할 수 있지만, 실제 재난은 매뉴얼에 기록된 모든 임무가 다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현장 담당자가 수행해야할 임무에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재난 상황에 따라 필요한 임무만 수행할 수 있는 상황 기반 재난 대응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현장조치행동매뉴얼에서 언급된 재 난 상황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재난 상황에 따른 임무 수행 시나리오가 반영된 재난 대응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검증과 보완으로 안전한국 훈련의 훈련 시나리오를 본 모델에 적용하여 지 속적으로 피드백 할 수 있는 체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연구결과: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의 재난 상 황별로 임무 수행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임무 모델과 이를 기반으로 구성되는 재난 대응 프로세스 모델 체계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모델에 기반하여 안전한국 훈련 시나리오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론: 재난 상황을 지원하는 재난 대응 프로세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장 조치 행동매뉴얼이 작성 되고, 안전한국 훈련 시나리오가 작성되면, 안전한국 훈련의 점검을 통하여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재 난 대응 프로세스가 지속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fields manuals which is managed by the each disaster types are the integrated guideline. When the disaster occurred, all kinds of SOPs which are described in the manual does not need. Therefore, the person in charge is confused which SOP is executed.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model based on the specific disaster situation case. Method: Firstly, we define the disaster situation cases which is mentioned in the field manual, and then, we develop the disaster response process model including indispensible SOPs for the specific disaster situation case. As a verification and feedback process, we apply the model to Safety Korea Exercise scenario. Result: We developed SOP model and disaster response process model reflecting the concept of the disaster situation case. Conclusion: Safety Kore Exercise scenario reflecting the developed model may continuously upgrade the field manual.

      • KCI등재

        재난사례 분석을 통한 태풍 상황인지정보 구축방안 연구

        박진이,김옥주,이준우,이상권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3

        연구목적: 영향태풍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피해형태가 복잡해짐에 따라 재난대응 업무자가 사전에 태 풍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보의 필요성은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년 주기 적으로 발생하는 태풍의 재난대응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업무 단계별 활용되는 정보에 대한 정의와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한반도 영향태풍 7개를 대상으로 실제 업무 단계별 활용되 었던 정보를 분류하고 상황인지를 위한 필요정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중앙 및 지자체 업무담당자의 의견조사를 통해 태풍상황인지정보를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태풍상황 업무는 기상상황 모니터링과 피해상황을 공유하는 업무의 비중이 가장 컸으며 활용되는 정보는 이력 정보와 상황정보의 융합을 통해 도출된 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태풍상황이 진행될수 록 대응 부서 간 업무와 정보의 연계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향후 실제 태풍상황에 태풍상 황인지정보를 적용하여 정보의 고도화 및 관련 체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Purpose: As the frequency of impact typhoons increases and the form of damage becomes more complicated, the need for information to help disaster response workers recognize the typhoon situation in advance is growing. In this study, Definitions and implementation measures for information utilized at each stage of the task were proposed in carrying out typhoon response tasks that occur every year. Method: In 2019, the government classified information that was used for each step of work and conducted analysis on necessary information for the situation.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typhoon status inform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an opinion survey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officer. Result: The task of typhoon situations w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monitoring weather conditions and sharing damage situations, and the information utilized was analyzed to require information deriv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historical and situation information. Conclusion: As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and information between the response departments increases as the typhoon situation progresses, information about typhoon situ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actual typhoon situation in the future to enhance information and establish a related system.

      • KCI등재SCOPUS

        사용자 수요 기반의 재난 상황관리 지능화에 관한 연구

        최선화 ( Seon-hwa Choi ),손종영 ( Jong-yeong Son ),김미송 ( Mi-song Kim ),윤희원 ( Heewon Yoon ),류신혜 ( Shin-hye Ryu ),윤상훈 ( Sang Hoon Yoon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3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9 No.5

        데이터 활용을 통한 지능형 행정서비스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 기조에 따라, 재난안전관리 분야도 신종 · 복합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의 상황관리시스템을 구축 ·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재난 상황 발생 시 현장 상황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방대한 데이터의 표출만으로는 상황판단 및 수습 ·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여전히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의 상황관리 업무에 대해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지능화 및 효율화에 필요한 구체적인 기술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중앙재난안전상황실 근무자를 대상으로 개별 면담 및 조사를 통해 재난 상황관리 업무 범위와 GIS 통합상황관리 시스템의 활용 상황 및 시스템에 구축된 데이터의 용도와 특징을 조사 ·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황관리 업무의 지능화 및 효율화에 필요한 기술을 도출하기 위하여 신속 · 정확한 현장상황 파악, 데이터 기반 상황판단, 효율적 상황관리 업무 지원을 전략으로 하여 실행과제를 정의하고,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분석을 통해 실행과제의 중요도를 평가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상황관리 효율화를 위해서는 영상 및 센서 데이터에 대한 수집 · 분석 · 관리와 사람이 수행하는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거나 오류가 있을 수 있는 작업, 즉 상황관련 자료 수집 및 보고서 작업에 지능정보기술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상황관리 지능화 전략 가운데 중요도가 높은 신속하고 정확한 현장상황의 파악과 효율적 상황관리 업무 지원이 우선적으로 상황관리 지능화 기술 개발 대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government’s stance of actively promoting intelligent administrative service policies through data utilization, in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field, it also is proceeding with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olicies utilizing data and constructing systems for responding efficiently to new and complex disasters and establishing scientific and systematic safety polic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quickly and accurately grasp the on-site situ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and there are still limitations in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situation judgment and response only by displaying vast data. This paper focuses on deriving specific needs to make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work more intelligent and efficient by utiliz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workers at the Central Disaster and Safety Status Control Center, we investigated the scope of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work and the main functions and usability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based integrated situation management system by practitioners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data built in the system was reclassified according to purpose and characteristics to check the status of data in the GIS-based integrated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o derive needed to make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more intelligent and efficient by utilizing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3 strategies were established to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 on-site situations, make data-based situation judgments, and support efficient situation management tasks, and implementation tasks were defined and task prioritie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importance of implementation tasks throug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nalysis. As a result, 24 implementation tasks were derived, and to make situation management efficient, it is analyzed that the us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is necessary for collecting, analyzing, and managing video and sensor data and tasks that can take a lot of time of be prone to errors when performed by humans, that is, collecting situation-related data and reporting tasks. We have a conclusion that among situation management intelligence strategies, we can perform to develop technologies for strategies being high important score, that is, quickly and accurately identifying on-site situations and efficient situation management work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