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특수교사의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권미은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6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6 No.2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tivities by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the disabilities on disability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were 180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who are in the kindergarten. They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or a control group, with 90 children in each group. The activities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disabilities were conducted 12 times for 6 weeks, about 30 minutes each. The pr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children's disabilities awareness and acceptance attitud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ctivities by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the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isability awareness of young children. 2) the activities by using the picture book related to the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ceptance attitudes of young children. 본 연구는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4, 5, 6세 비장애유아 180명을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을 12주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장애에 대한 그림책을 교실에 배치하여 자유롭게 읽도록 하였다.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를알아보기 위해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검사를 그림책 활용교육 적용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에 대한 그림책 활용교육에 참여한 비장애유아의 장애인식과 장애수용태도에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유아에 대한비장애유아의 효과적인 사회적 통합을 위한 현장적용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 장애유아 이해를 위한 전문대학의 개설교과목 실태 연구 :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혜련 대구미래대학 2000 論文集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교육현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은 학문적, 사회적, 시대적 요청에 따라 장애유아의 이해를 위한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이 새롭게 조망되어야 함을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유아교사들의 통합에 대한 태도 및 인식 또는 장애유아를 교육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 습득과 역할은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되며 이러한 요소들은 교사 양성과정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략 및 기술들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습득되어야 한다.(Turnbull, Winton, Blacher & Salkind, 1983) 그러나 유아교사를 양성하고 있는 전문대학의 교육과정 실태 분석 결과 장애유아의 이해를 위한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만 한 학기에 2학점으로 좀 더 적극적인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2. 최근 미국유아교육협회(NAEYC)와 특수교육협회의 조기교육분과(DEC)에서 발표한 교사의 자질적인 조건들을 정리하여 보고한 한 논문에서 Mi11er(1992)는 일반 유치원 교사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하는 내용을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 (1)인간의 성장, 발달, 학습과 관련된 과목 (2)일반 조기교육과 특수아 조기교육 분야의 이론적·철학적·교수 방법론적 통합과 관련된 과목 (3)일반 조기교육의 기초와 관련된 과목(조기교육의 역사, 발전, 특성 등) (4)가족 및 지역사회의 참여와 관련된 과목 (5)교과 과정의 내용, 개발 및 적용과 관련된 과목 (7)교사로서의 전문가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한 과목(교사로서의 도덕적, 윤리적 성품 함양, 팀의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아동을 위한 주창자로서의 역할 등) (8)현장 경험 및 교생실습(체계적인 감독하에 장애아 및 비장애아 교육을 위한 이론과 실제를 종합해 볼 수 있는 경험) 등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의 수업 형태는 장애유아들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인 수업으로 4학기동안 한 과목의 개설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장애유아를 지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경험을 확대하여 적어도 2-3과목의 강의를 통한 교과교육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장애유아의 시설과 복지시설 등의 견학과 실습을 실시하여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를 갖추는데 필수적인 과정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즉 대학에서 특수아 교육기관 방문이나 직접적인 실습 경험을 제공하는 기회를 포함해야만 할 것이다. 3. 모든 유아교사들이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전문가적인 자질을 갖추어야 한다고 주장할 수는 없으나 전반적인 강의 시간 및 개설학기는 주당 2시간으로 한 학기에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유아교육과 교육과정의 내적 변화 요인으로 학교와 학과 실정에 적합한 학점 배정에 대한 요구와 주어진 수학 연한 내에서의 다양한 요구들을 충족해야 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는 상황에서 특수교육 관련 교과목의 시간배당을 확대한다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그러므로 현실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유아교육자의 수학 연한이 최소한 3년이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4. 점점 증가 추세에 있는 일반 유치원내의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해서 일반 유아교육과 특수교육 교사들의 전문지식 부족은, 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운영체제 비합리성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장애유아 이해를 위한 행정적·재정적인 제도와 많은 요소들이 첨가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전반적인 변화를 막연하게 기대하기 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해결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네 가지에 대한 결론 외에도 우리는 주의 깊은 사전 준비와 계획에 의해 장애유아와 정상유아 모두 적합한 교육의 수혜자가 되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되지 않을 때 장애유아는 통합교육에서 발달적 이익을 얻을 수 없으며, 정상 유아도 방해받을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한 교육이란 모든 개인이 최적의 교육을 받는 것이므로 교육대상 모두에게 성공적이 되도록 교육제반 여건을 재구조화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장애위험 유아의 선별 및 진단 의뢰과정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박체희,황순영,차세진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is study is intended to be served as foundational data to support early screening and early intervention by investigating the facts and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ing children at risk of disability for disability diagnosi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163 early childhood teachers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Busan and Gyeongnam.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diagnosis of the disorder of at-risk children, the major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experience teaching infants with an average of 1 or 2 at-risk children, but they didn’t know or use screening tools.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or don’t have a support system to consult. In addition, a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teachers who informed parents about their children's problems or asked for help expressed negative responses, such as parents not acknowledging their children's problems. Second, According to the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process of requesting the diagnosis of the disorder of at-risk children, the most common answer was that the teachers lacked accurate knowledge about the disorder. The most common opinion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ask the director and manager for cooperation because of conflicts with parents. Parents ne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 of disorders screening and acceptance attitude, and that it is most desirable to pla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pre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requesting disorder diagnosis were identified 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o improve the awareness of at-risk children, to acquire accurate knowledge of disorder from preliminary teachers.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장애위험 유아를 선별하여 장애 진단에 의뢰하는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조기선별 및 조기중재를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부산, 경남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유아교사 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위험 유아의 장애 진단 의뢰과정 실태를 살펴보면, 과반수 이상의 유아교사들은 평균 1~2명의 장애위험 유아로 생각한 유아를 지도한 경험이 있었으나 선별도구를 모르거나 사용하지 않았고, 자문할 지원체계가 없거나 모른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유아의 문제를 학부모에게 알 거나 협조 요청을 한 유아교사는 문제는 인정하지만 도움을 원치 않거나 문제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장애위험 유아의 장애 진단 의뢰과정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장애 진단 의뢰과정에서 학부모에게 협조 요청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교사 스스로 장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위험 유아를 선별하는 과정에서도 교사의 전문적 지식이 부족하여 장애위험 유아로 과소진단 또는 과잉진단의 우려가 방해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부모와의 갈등을 우려하여 원장 및 관리자에게 협조 요청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자원으로 유아교사는 장애위험 유아의 문제행동 원인, 장애 영역별 특성에 대한 정보 제공 및 교육 지원이 필요하고, 학부모는 장애 선별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수용적인 태도가 요구되며, 유아교육기관 측면에서는 특수교사 배치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장애 진단 의뢰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장애위험 유아에 대한 인식 개선 및 장애 진단 의뢰과정의 지원체계를 확대하고, 예비교사부터 장애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의 유아보육현장에서의사회적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

        정회정,손영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4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4 No.3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social experience inthe existential situations of the life-worlds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in a nursery school by practical hermeneutic method. For the study, I selected 3 infants who had attended S Nursery School in J city. Through the hermeneutic inquiring of the life-worlds of the 3 infants, I collected somematerials to write research texts by literatures analyses, participative observationsand non-structural interviews for 12 months from May 2011 to April 2012, andinterpreted them. The results to interpret and signify the texts to reveal socialexperience of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as followed:Firstly, the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revealed their mind by bodilyexpression such as sudden bursts of activities. They, with bodily self, grew up basedon bodily subjectivity so that it might be necessary to achieve the bodily intersubjectiverelationships with other bodily self in their life-worlds. Secondly, if some syndromes of the infa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accepted as any difference from general infants’ behaviour rather than as some deficiencyresulted from their social maladjustment and immaturity of their emotional expression,they would, without any objection, be acknowledged as persons with their own existenceand identity and naturally be integrated into the unity as one of the communitymembers. Lastly, there needed community’s cooperative efforts to orient towards “belongingtogether ”, based on “belonging together” revealed those infants’ individuality, in which individuals joins with each other in the community.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들이 유아보육현장의 생활세계에서의 실존적 상황과 그교육적 의미를 실천적 학문인 해석학적인 탐구방법을 원용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들의사회적 경험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해석학적 탐구방법을 적용한 탐구활동에서 2011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의 12월간에 J시에 거주하는 S어린이집원아 3명을 대상으로 문헌분석, 참여관찰, 비구조적 면담,협의 등의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연구자가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들의 사회적 경험에 대한 텍스트를 해석하고 의미부여한 결과는 첫째,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의 돌발행동 등의 신체적 표현은 그들의 마음과 생각을 드러낸 것이다. 신체적 자아를지닌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는 신체적 주관을 바탕으로 성장하므로 생활세계 내에서 외부세계와 타아와의 상호 신체적 주관의 관계를 이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우리는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의 사회 부적응이나 감정 드러내기의 미성숙함을 결함으로 보기보다는 일반유아와의 다름으로 받아들일 때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의 존재성의 인정이 가능하며 그들은 공동체에서의 일원으로서 자연스럽게 하나 될 수 있다. 셋째, 개인성을 드러내는 자폐스펙트럼장애유아의 “더불어 속함 ” 을 바탕으로 하여 공동체와 어우러져 함께하는 “더불어 속함”으로 나아가기 위한 공동체의 노력이 요구된다.

      • 장애유아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연구

        김지헌,조용태 한국통합교육학회 2008 통합교육연구 Vol.3 No.1

        This study purposes were at examined th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about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the ordinary infants, disabled infa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that appear after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d, presenting the actual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infants, and finding out a new way of conducting inclusive education in future. This study was conduxted targeting 5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inclusive education by themselves or are currently conducting integrated education, working at public kindergattens in Gyunggi province. The research method was to have in-depth interviews about the effect of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of the disabled infants. As a result, the kindergarten teachers turned ou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clusive education of the disabled infants but raised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The effects recognized by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inclusive education of the disabled infants. 본 연구는 목적은 통합교육을 경험한 후에 나타나는 일반 유아의 변화, 장애 유아의 변화, 유치원 교사의 변화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실제적인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며 통합교육을 경험 했거나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을 통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해 유치원 교사들은 매우 중요하고 반드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지만 현실과의 괴리감을 나타냈다. 현장에서 현재 통합교육을 경험 하고 있는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효과들은 다음과 같다. 일반 유아들에게 나타난 통합교육의 효과는 첫째, 장애를 가진 친구들에게 멘토 또는 가이드가 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그룹에서의 리더가 될 수 있다. 둘째, 장애유아를 훨씬 쉽게 받아들이며 사회적 친숙효과로 장애유아와 상호간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된다. 셋째, 장애유아도 자기와 비슷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한 사람으로 받아들이며 차차 지역사회가 장애를 수용하고 참여시키는 책임감을 배우게 된다. 장애유아들에게 나타난 통합교육의 효과는 첫째, 장애유아의 사회적 상호 작용의 증가는 장애유아의 사회적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키게 된다. 둘째, 장애가 없는 친구와의 직접적이고 잦은 상호 관계로 더 높은 자부심이 생긴다. 셋째, 일반학급의 환경에서 개인적 성공감을 느낄 수 있다. 넷째, 장애유아가 사회적 놀이 활동에 참여하며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이 향상되어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및 의사전달 등 인지 능력 발달을 증진시킨다. 교사에게 나타난 통합교육의 효과는 첫째, 여러 가지 장애에 대하여 학습하는 기회가 되어 학생들 서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관용이 다름을 더 많은 학생에게 제공한다. 둘째, 장애유아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며 그에 대한 깨달음은 세심한 관찰력과 지도 기술의 향상으로 나타난다. 셋째, 교육의 개별화에 대한 지식을 제공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조가 강화된다. 또한 교사로서의 사명감과 긍지를 갖게 해준다.

      • KCI등재

        장애유아의 통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일반유아교사 지원 방법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유은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1. 일반유아교사들의 경력유무에 따른 일반유아교육 프로그램에의 장애 유아 통합에 대한 견해를 재검토하고, 2. 일반유아교사들의 경력유무에 따른 유아교육 및 특수교육관련 정보 수집 통로와 그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아, 일반유아교사지원의 한 부분인 특수교사의 주도적인 정보제공의 실제적인 통로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삼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내 보육사 양성 기관에 다니는 특수교육관련 필수 과목을 수강 중인 교육생과 현장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라는 주제의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수거된 총 152개의 사례를 SPSS로 빈도 및 교차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유아 통합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에 대한 분석 결과〉와 관련해, 1. 일반유아교육기관에의 장애유아 통합에 대한 응답자의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나, 경력이 있는 경우, 경력이 없는 경우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보이고 있다. 2. 장애유아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해본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통합학급 경험이 없을지라도 앞으로 장애유아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할 의향이 대체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장애유가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 장애유아 통합의 어려움으로 느끼는 것은 관련 전문지식의 부족,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특수교사의 지원 부재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관련 전문지식의 부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또는 특수교육관련 정보수집 방법과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와 관련해, 1. 일반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전반적으로 "인터넷 사이트"와 "유아교육관련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유아교육전문잡지"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부차적으로 "전문서적"을 통해서도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보는 유아교육 전문 잡지는 경력 유무와 무관하게 "원간유아"로 월등히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꼬망세"로 나타났다. 3. 일반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찾는 인터넷 사이트는 "서울시 보육정보센터", 그 다음으로는 "한국어린이 육영회" 사이트를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 "기타" 항목에 반응할 수가 많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내용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많은 수의 일반 유아교사들이 특별한 선호 경향 없이 필요에 따라 관련정보를 검색하여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4.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하여 가장 많이 참석하는 교사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특정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기보다는 주제에 따라 필요한 교육을 선택하여 참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5. 일반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 할 때, 선택하고자 하는 정보전달 방법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주로 "특수교육 관련 기관(복지관 등)에서 개최하는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유아교육 관련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인터넷 사이트", "특수교사의 직접지원", "유아교육 전문잡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디오테입", "방송", "전문서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디오 테입", "방송", "전무서적"에 대한 선호도는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일반 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에 대해 얻기 원하는 정보는 주로 "장애유아의 교육 방법"과 장애유아의 선별 및 진단",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장애유아의 발달 및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다루는 전략"과 같이 교실에서 일어나는 장애유아와 직접 관련된 것이라는 경향을 보여준다. 반면에 "관련법 및 제도적 장치에 대한 정조", "특수교육관련 기관에 대한 정보", "장애유아 부모의 이해"와 같은 보다 대의적이며 간접적인 측면의 정보에 대해서는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대체로 경력유무에 따라 특별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유아교육기관에의 근무 경력 유무에 대한 특별한 고려 없이 지원이 진행되면 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judgements on the inclusion in thei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field and is to find out channels of information related to kindergarten and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preferences of the contents, then to make it sources to develope the practical information channel as a special educator leading supporting system. For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sheet, which contains 14 question, were dis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ers taking part in the workshop titled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tudents who were taking a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 of a nursery teacher training school attached to university. Based on 152 responses, the result is examined by SPSS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About General judgements on the inclusion 1. The responses show positive attitudes overall regardless of young children education career. 2. Most of respondents would love to run inclusive classes whether they have the career or not. 3. From their former inclusion experiences, we found what made them feel difficult to be a inclusive class teacher. Expert knowledge poverty, behavioral problem and the absence of specially trained staffs or teachers appeared to be difficulties. Among them the lack of expert knowledge is high-rated as a major difficulty. About Channels of preschoo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1. Internet web-sites and special education workshops or training programs, and technical magazines for preschool education are usually referred. And journals for specialists are secondary resources. 2. To upgrade their quality as a specialist, kindergarten teachers use 'Wolgan Yuah" most often and the next-best is Commencer. 3. The topmost favored web-site is Seou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and Korean Association for the Fostering and Education of the New Generation is followed by. But, in this case, the rate of response to the others is relatively high and its details are various. It means there are no fixed preferences to them because they just surf and search information whenever they need. 4. For the workshops or the training programs. as the needs arise, they choose particular programs regardless of particular institution. 5. As channels of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workshops and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held by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like welfare centers, pre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b-sites and direct supports of experts are more popular than video tapes, "broadcasts (TV channe1s)" and "journals for specialists". 6. Kindergarten teachers, in common, demand the knowledge especially abou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ch as teaching method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iagnosis and screen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standing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and trait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trategy for managing behavioral problem -they all seem directly related to children in a classroom. In contrast indirect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bout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al devices, "information about relevant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and "understanding the parents" are less popular.

      • KCI등재

        장애 유아, 비장애 유아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계숙 ( Kae Sook Chung ),박재국 ( Jae Kook Park ),최은실 ( Eun Sil Choi ),서보순 ( Bo Soon Seo ),박희경 ( Hee Kyung Par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라, 그리고 자녀의 장애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장애 유아와 비장애 유아를 둔 어머니 총 399명이었다. 연구 결과, 월수입은 모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에 영향을 미쳤으나, 직업유무는 장애유아 어머니의 행복에, 학력은 비장애 유아 어머니의 행복에만 영향을 미쳤다. 행복의 하위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소득수준은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의 생존, 관계 및 성장 영역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 반면 비장애 유아를 둔 어머니의 생존과 관계 영역 행복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장애유아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이 비장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감에 비해 더 낮았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복을 비교해봄으로써 장애아 보육 및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부모교육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maternal happiness of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have no disabilities. Subjects were 339 mother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hav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oup I) and the other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Group 2). The results reveal that family income influence maternal happiness for both groups of mothers whereas maternal education affects maternal happiness only for Group 2 mothers. When maternal happiness is separated into sub categories, family income is found to influence all aspects of maternal happiness such as everyday existence (ease or difficulty of everyday living), relationships, and growth for mothers in Group 1, whereas family income affects only the everyday existence for mothers in Group2. In addition, Group I mothers had lower scores in general maternal happiness than did mothers in Group 2.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kind of parent education needed in integrated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settings.

      •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들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

        김선옥,김성훈 한국장애아동인권학회 2014 장애아동인권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간 변인을 알아보고, 대처행동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통합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만 3세 이상 만 5세 미만의 취학 전 장애유아 어머니 110명과 비장애유아 어머니 90명으로 총 200명이였으며, 장애유아는 의사에 의해 장애진단을 받아 장애아로 등록된 유아로 한정하였고, 국공립 통합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를 근간으로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간 양육스트레스 평균차가 유의미한 것인지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평균 차이 검증(t검증)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를 활용하였다. 장애유아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5)이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PSI: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를 이한우(1998)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에 관한 측정도구는 점겸구, 김교현, 조신웅, 노명래, 손정락(1994)이 개발한 다차원적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에 있어 장애유아 어머니가 비장애유아 어머니보다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전체적 대처행동을 비교한 결과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에 차이를 보였다. 즉 대처행동의 하위영역 중 소극적 철수, 정서표출, 정서적 망각, 고집, 체념, 긍정적 비교, 정서적 진정, 정서적 지원 추구, 종교적지원 영역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로부터 장애유아 어머니는 비장애유아 어머니들보다 전반적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며,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대처행동에는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장애 영․유아 조부모의 스트레스, 심리적 수용, 지원 유형 분석 및 손자녀의 지원과의 관계

        이희숙,권주석 한국특수교육학회 2011 특수교육학연구 Vol.4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the relationships among grandparents' stress,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upport patterns on their early childhood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grandparents who are has early childhood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Their grandchildren were students 8 kindergarten with disability in Chonnam and Gwangju area. The questionnaire were stress test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test by their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and support patterns test for their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In order to analysis these data, one 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 were as follows: The group of grandmother, maternal grandfather, and maternal grandmother felt high psychological pain and stress by their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In the psychological acceptance of their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the group of grandfather, grandmother, and maternal grandmother were low. The social support pattern were significent difference among group. the result of this were analyzed the group of grandfather, grandmother, and maternal grandmother interacted with family positively. The grandparents were offered positive support their low stress and positive accepted their grandchildren with disability.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의 조부모가 손자녀의 장애로 인하여 받는 스트레스, 장애의 수용정도, 그리고 지원유형과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주․전남 지역에 위치한 8개의 유아특수교육기관에 취원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의 조부모 24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질문지 중 유효한 134부의 질문지를 분석하였다. 질문문항은 장애 영․유아로 인하여 받는 조부모의 스트레스 유형에 대한 15개의 문항, 장애 영․유아 손자녀의 심리적 수용에 대한 15개 문항, 그리고 조부모로서 장애 영․유아에게 제공하는 지원유형에 대한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유의미성이 높아지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 영․유아 조부모는 사고, 회피 등과 관련된 스트레스 영역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조부보다는 조모, 외조부, 외조모가 느끼는 심리적 고통과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들은 타인과의 관계를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영․유아 조부모는 거부, 분노, 우울 등의 영역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장애 영․유아의 조부, 조모, 외조모가 장애 영․유아의 출생에 대한 충격, 부인, 불신, 수치심, 죄책감 등이 높았다. 셋째, 장애 영․유아의 조부모가 제공하는 지원은 행동적 지원, 교육적 지원, 생의학적 지원 등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장애 영․유아의 조부, 조모, 외조모가 장애 영․유아를 위한 가족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장애 영․유아에 대한 조부모의 지원은 스트레스가 낮고,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수록 적극적인 지원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과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의 관계 연구

        김지숙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장애유아어머니와 장애유아의 정서표현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통합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3세~6세의 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30쌍으로 총 60명이었다.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인식 및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장애유아의 정서표현은 담임교사에 의해 측정되었다. [결과] 첫째, 장애유아어머니는 부정적 표현보다 긍정적 표현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아의 긍정적 표현과 부정적 표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어머니들은 부정적 정서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으나, 부정적 정서가 중요하고, 자녀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하는 정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장애유아어머니는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하여 비지지적 반응보다 지지적 반응을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넷째, 장애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에서는 지지적 반응 중 정서중심반응과 감정표현격려반응이 장애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 및 부정적 정서표현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장애유아어머니의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반응이 장애유아의 정서표현과 관련 있음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고,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이 자녀의 정서표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장애유아어머니에게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바람직한 대처방법을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their mothers' the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mothers'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investigate whether the emotional expressions and responses to negative emotion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s were related to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their young disabled children. [Method] There were a total of 60 children, 30 pairs of mothers, and 3 to 6-year-ol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perception of negative emotions, and reaction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were measured through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leted by the mothers, and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measured by the teach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d positive express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egative express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n terms of negative emotions,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negative emotions but they recognized that negative emotions we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negative emotions as emotions that their children naturally experience. Also, it was found tha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use supportive responses to their children's negative emotions more significantly than non-supportive responses. Third,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of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Fourth, in the supportive responses of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children's negative emotions, the emotion-centered response and the emotional expression encouragement response were relat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It was partially confirmed that the emotional expressivity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reactions to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are related to the emotion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parental education that can guide the use of suitable coping methods for dealing with children's negative emo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