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의 지각

        김수희,박부진,권오주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0 놀이치료연구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들에 비해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들의 어머니 기대와 외로움, 스트레스 수준이 어떤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경상북도에 소재한 일반초등학교(1개교)의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494명과 경상북도 및 대구광역시, 서울․경기도에 소재한 특수학교 4개교, 복지관 2개소, 장애인주간보호센터 5개소의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초등학교 4-6학년 아동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으로는 SPSS 12.0 프로그램에서 빈도분석, Cronbach's α,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장애형제자매 유무에 따른 아동의 어머니 기대를 살펴 본 결과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이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보다 지각하고 있는 어머니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이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보다 외로움을 훨씬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이 장애형제자매를 두지 않은 비장애 아동보다 훨씬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어머니 기대, 외로움,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어머니 기대와 스트레스, 외로움과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loneliness, Str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In this study, sample consisting of 125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he four-six form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with disabled sibling versus 494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the four-six form in North Gyeonsang Province, Daegu Metropolitan City, Seoul & Gyeonggi Province without disabled sibling were recruited, measure level of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loneliness, stres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While child with disabled sibling likely to gains higher score in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than child without disabled sibling. Second,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children's lonelin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While child with disabled sibling likely to gains higher score in children's loneliness than child without disabled sibling. Third, difference is significant in children's stress depending on the existence/non-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While child with disabled sibling likely to gains higher score in children's stress than child without disabled sibling. Fourth, correlation is significant in children's of their mothers' expectation and children's stress, children's loneliness and children's stress. Especially, existence of a disabled sibling child's loneliness is high correlation showed in the domain stress exclude school part.

      • KCI등재

        미술치료가 장애아동을 둔 비장애형제의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양유리 한국예술치료학회 2015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장애아 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자매를 대상으로 미술치료가 장애아동을 둔 비장애형제자매의 우울 및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2014년 5월 12일부터 약 5개월에 걸쳐서 주1회 80분씩 총 15회기 동안 지적장애 1급 형제자매를 둔 초등학교 1학년 비장애아 동 4팀(8명)의 형제자매를 선발하여 미술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적검사로는 우울척도(CDI척도), 스트레스척도(QRS척도), 장애형제를 대하는 행동평 가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질적 검사로는 KHTP 그림검사, DAS 그림검사, 빗속의 사람검사를 사전·사후검사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양적검사와 질적검사 모두 미술치료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을 둔 비장애형제자매의 우울 및 스트레스 감소 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rt therapy using drawing test and index test on normal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affects their depression and stress. For this study, normal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were subscribed to select a total of 4 teams (8 children) of normal siblings. Each team consisted of one normal child in 1st grade with a sibling who is diagnosed with Class 1 Mental Disability and one disabled child. They participated in 15 sessions of art therapy program in the form of individual therapy at an independent space in the center for about 5 months. Each session took place once of week for 80 minutes. In order to rate the effect of program, depression scale (CID scale), stress scale (QRS scale), and survey of behaviors around disabled siblings were used for quantitative surveys, while KHTP drawing test, DAS drawing test, and person in rain test for qualitative surveys for pre-test and post-test.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individual art therapy program can effectively reduce the depression and stress of normal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은진 ( Eun Jin Lee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을 형제로 둔 비장애형제자매의 형제관계와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발달장애아 20명과 그들의 비장애형제자매 20명, 총 40명을 중재집단으로 선정하여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주 1회 60분씩 30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후, 결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 않거나 중간에 탈락한 자, 결석률이 높은 8명을 제외한 32명의 결과를 사전·사후 변화 차이를 비교,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형제관계지각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발달장애아 형제자매를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형제자매의 상호작용의 효과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형제자매의 형제관계와 상호작용 개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지원한다면, 발달장애아 당사자는 물론, 그들의 형제자매 교육과 양육, 사회적응 등에 바람직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observed what influenc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gave on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is, an Group Art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program involved as many as 32 non-disabled sibling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ducted. This results are follows: This result significantly mean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pos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up of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ncreases. In bldition to that, the sibling relationship from child`s traits reported a strong tendency to decrease nearly at.10 level, though it was a sta watically significant resulth ilthough this result was confined to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are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worth being studied bect,se therthoas difference at least to be noticed and therthoas increased influence. To sesuup, the study found ot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program could difference at t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improvem proof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On the platat moof this result, the study suggests the panthed support in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improving the sibling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in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자매와의 관계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사라 한국예술치료학회 2012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자매의 관계향상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OO광역시 장애부모회에서 형제관계 척도 및 어머니(아버지)가 지각한 형제관계 척도의 점수가 낮은 학령기의 형제자매 12쌍 중 통합예술치료 참여 를 희망하는 9쌍을 선정하였으며, 중도탈락자를 뺀 나머지 5팀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1회 90분 총18회기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 하였다.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자매의 관계향상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회기별 행동 관찰분석, KHTP 그림검사, KFD그림검사, 형 제관계 척도, 어머니(아버지)가 지각한 형제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 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과 비장애형제자매 관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 비장애형제자매 아동에 대한 상담연구동향 분석

        윤현진(Hyun Jin Yun)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2 상담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2010년~2021년에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비장애 형제자매의 상담 분야와 상담 관련 논문 25편 선정 후 상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장애아동의 비장애 형제자매, 비장애 형제자매 아동을 키워드로 하여 발행연도, 연구 분야, 연구대상, 연구내용, 상담중재방법 동향을 분석한 결과, 첫째, 2010년~2021년까지 발행연도 동향은 2013년에 비장애 형제자매의 연구가 5편으로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 분야의 동향은 미술치료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의 동향은 비장애 형제자매 대상 연구, 초등학생 대상연구, 형제의 장애 유형은 혼합장애가 가장 많았다. 넷째, 연구내용에 따른 동향은 프로그램 효과검증 및 개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상담중재방법의 동향은 미술치료 적용 연구가 가장 많았고 상담중재방법이 다양화 되었다. 여섯째, 심리,정서적 측면의 동향 및 특성의 경우 단독 논문 5편, 비교 논문 1편, 부모 연구 논문 1편이다. 이를 토대로 시사점과 의의 및 한계를 제안하였다. Objectives: In this study, a total of 25 papers on non-disabled sibling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0 to 2021 in the field of counseling or related area were selected and the recent trends in the topic was analyzed. Methods: The major keywords such as ‘Non-disabled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and ‘young non-disabled siblings’ were used on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nd a total of 25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areas, research subjects, research contents, and trends in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Results: : First, the studies on non-disabled children who had disabled siblings were most actively conducted with five studies in 2013. 1 to 4 studies were conducted from 2013 to 2021. Second, in terms of research area, art therapy was conducted the most. Third, as for subjects, the studies conducted only on non-disabled children with disabled siblings and the on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Mixed disabilities were the highest for their siblings’ type of disability. Fourth,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research on verification of program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was the most common. Fifth, for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the research applying art therapy was the most frequent, showing the variety of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s compared to the past. Sixth,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non-disabled siblings, there were 5 papers on non-disabled siblings alone, 1 paper comparing disabled children with non-disabled siblings, 1 paper on studying non-disabled siblings and parents toge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due to various factors.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cademic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정서,행동장애연구 :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 개발

        홍화진 ( Hwa Jin Hong ),정대영 ( Dae Young J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의 형제자매들을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조사, 분석, 설계, 개발, 실시, 평가의 6단계로 구성된 음악치료 프로그램 모형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의 4개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 그리고 개인적 성장을 구성요인으로 하여 총 20회기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내용은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형제자매 136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의 62%를 설명하고 있는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지능 그리고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들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장애아동 형제자매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리적 안녕감과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해 개발된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 그리고 정서지능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며,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 therapy program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xamin its effects.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6 steps; survey,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program consists of sub-areas like parent-child communica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go-resiliency. To test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experiment was made on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ir 4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plac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each consisting of 8 members. Total 20 session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groups. Mann-Whitney U-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experimen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score for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whole(u=2.0, p=.001), especially even more in score for a sub-area of that well-being, that is,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u=2.5, p=.001).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developed here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동의 손아래 형제자매가 지닌 장애인관에 대한 질적 연구

        엄진명,전혜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view points of the non-disabled who have the elder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right directions of Korean children with disabilities’s family support and welfare polic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7 non-disabled brothers or sist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o to special schools in Dae Jeon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lower classes and of higher classes. And the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student subjects.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materials analysed qualitatively; themes like (1)beings who they want to hide, (2)precious beings, (3)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4)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nd 10 subsidiary theme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4 themes, there are differences in viewing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view points of the students of lower class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tudents of higher classes. As for the individual view points,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high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s a family, both the higher class students and the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precious beings’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Lastly,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The higher class students feel that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re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However,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of the lower class students, they aren’t aware of anything. Which direction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tak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as discussed in this thesi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손위 형제로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장애인관에 알아보고,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지원과 복지정책이 지향해야 할 바를 모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비장애 형제자매 중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1) 감추고 싶은 존재, (2) 소중한 존재, (3) 도움이 필요한 존재, (4) 가슴 아픈 존재로 주제와 10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를 살펴보면 개인, 가족, 사회 내에서 장애형제를 바라보는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에서도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개인적 관점에서는 장애형제를 ‘감추고 싶은 존재’로, 고학년의 경우 ‘가슴 아픈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가정 내에서는 저․고학년 모두 ‘소중한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관점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감추고 싶은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느끼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가족지원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무용/동작 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자기역량 지각 증진을 중심으로

        백승호 ( Baek Seungho ),김미영 ( Kim Miyo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2 No.-

        이 연구는 활발한 신체활동과 다양한 표현을 경험할 수 있는 무용/동작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 자기역량 지각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부정적 심리 상태 개선을 위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의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프로그램의 취지와 목적에 동의하는 1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한 뒤 실험집단에 참여가 가능한 8명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했다. 프로그램 전,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아동에게 자아존중감 척도, 자기표현 척도, 자기역량 지각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고 집단 간의 차이, 검사 전후의 차이를 독립표본 t-test, 대응표본 t-test를 통해 각각 검증했다. 연구 결과는 무용/동작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기표현 증진, 자기역량 지각 향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신체활동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한 무용/동작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장애를 가진 형제자매를 둔 비장애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되며, 언어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비언어적 표현까지 다양한 표현을 경험하고, 신체활동의 극대치를 확인하는 체험은 자기표현과 자기역량 지각에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of the non-disabled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dance/movement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conducted for their experiencing physical activities and various express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18 participants from variou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fter dividing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applied to eight people who could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consisting of a self-esteem scale, a self-expression scale, and a perceived competence scale.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In addition,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test were verifi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corresponding sample t-tests,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dance/movement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self-expression, and perceived competence of the non-disabled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shows that the dance/movement 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s with active physical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help them experience not only verbal-language but also non-verbal expressions and realize their maximum capacity of physical activity. In conclusion, it is summarized that they were able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rough those bodily experiences.

      • KCI등재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대처․적응 및 자아개념

        이미숙,권회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1

        The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the coping․adjustment and the self-concept of sibl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lf-concept on the siblings' coping․adjustment. The study included 38 siblings who reside on D province, and the siblings responded on the Coping/Adjustment Scale for Children of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Self Concept Invento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evels of the coping․adjustment and the self-concept were the above of the mean. The study also resulted that the coping․adjustment and the self-concept were positively correlated. As well, the study showed that the sibling's coping․adjustment was influenced by the physical appearance and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which were factors of the self-concept. The study indicat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be able to assist the siblings' positive coping and adjustment. 본 연구는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대처․적응(coping․adjustment)과 자아개념(self-concept)의 수준 및 상관관계, 그리고 대처․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개념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D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아동의 형제자매 38명을 대상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 대처․적응 척도와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대처․적응과 자아개념의 수준은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대처․적응능력과 자아개념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대처․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개념의 하위영역은 신체외모와 부모관계에 대한 자아개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긍정적 대처와 적응을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형제자매 중재 연구의 동향 및 질적지표분석 연구

        장지은(Jee-Eun Chang)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위한 형제자매 중재 연구를 분석하여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국내외 학회지에 게재된 총 37편의 단일대상연구가 선정되었다. 연구 동향은 발표연도, 중재 동향(연구 환경, 연구 참여자, 독립변인, 종속변인, 결과), 중재 특성, 그리고 CEC의 질적평가지표에 따라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장애아동을 위한 형제자매 중재 연구는 1970년대부터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환경으로는 가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령전기 및 학령기 장애아동과 그들의 형제자매가 높은 비율로 참여하였으며,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능력 향상을 위해 그들의 형제자매들은 중재 실행자 및 참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중재를 위해 촉진, 모델링, 강화, 역할놀이 등 다양한 교수방법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증거기반 질적지표 충족도를 분석한 결과, 질적지표를 모두 충족시킨 국외연구는 1편, 국내연구는 단 한 편도 없었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sibl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formation was then analyzed with a CEC(2014) quality indicator to suggest appropriate future directions. To this end, a total of 37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by 2020 were selected.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intervention trends (settings, participant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outcomes),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nd CEC(2014) quality evaluation indica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ies of sibl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since the 1970s, and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at participants’ homes.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siblings participated at a high rate, and siblings played the roles as mediators and participants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and language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facilitation, modeling, reinforcement, and role play have been utilized for the interventions. As the result of analyzing a CEC(2014) quality indicator, there was one foreign study that satisfies all criteria, and no domestic study. Based on analyzed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