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마케팅 전략의 문화적 개념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이무용(Mu-Yong Lee)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1

        장소마케팅 전략은 도시문화의 발전이냐 혹은 파괴냐를 둘러싼 다양한 의미와 담론 및 실천들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서로 부딪히며, 교섭하는 문화정치의 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장소마케팅 전략이 지니는 문화적 함의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이해가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이 논문은 장소마케팅 전략이 도시문화발전 전략으로서 자리매김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공간의 문화정치학과 장소마케팅에 대한 문화정치적 관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도시문화발전 전략으로서 장소마케팅의 문화적 의의를 도출하고, 장소마케팅 전략의 개념과 특성을 문화적인 관점에서 재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과정을 장소 전략과 마케팅 전략의 차원에서 정립하고, 마케팅믹스 요소(O_IPTCR)와 문화정치적 요소(SAUNE 요소)를 도출하여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의 방법론을 체계화하였다. Place marketing strategy is an research or policy field of cultural politics on which various meanings, discourses and practices are deployed, contested and negotiated surrounding the development or destruction of urban cultures. So it is needed to correct and concrete understanding about the cultural significations of place marketing strategy. In that sens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place marketing strategy as urban culture development strategy. At first, the theory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and cultural political approach to the place marketing strategy are reviewed. And then, basic concept of place marketing strategy and the process of place marketing strategy are established. Finally, with drawing the cultual political factors(named SAUNE factors), the methodology of place marketing strategy is systematized.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교육특구 부산 금정구의 장소마케팅 방안

        윤영득(Yoon, Young Dea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장소 마케팅은 장소, 즉, 특정 공간이나 지역을 마케팅의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장소의 상품화를 의미한다. 장소마케팅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자 하는 공간의 생산자와 이러한 공간을 방문하거나 체험하는 공간의 수용자, 그리고 소통의 매체로서 장소가 되어야 하는 공간과 그와 결부된 장소관련 문화콘텐츠로 구성된다. 부산 금정구는 수려한 자연과 도시서비스, 공업, 농업, 교육, 관광 등이 어우러진 발전의 잠재력이 큰 도농복합지역으로서 2013년 정부로부터 문화예술교육특구로 지정되어 각종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큰 잠재력과 정부지원을 받는 지역의 발전은 전략적인 장소마케팅의 견지에서 검토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그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현실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부산 금정구는 체험사회를 대표하는 제3의 공간의 특징인 몰링, 컨셉트 라인, 코어 어트랙션에 유의해서 공간배치와 활용을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금정구의 고유한 문화콘텐츠를 발굴하여 그것을 확장하여 부산금정구의 매력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부산금정구의 고유하면서도 매력적인 문화콘텐츠 형성을 위해서는 우선 부산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를 발굴하거나 새롭게 인식하여 확산하여야 한다. 이 때 부산 금정구와 관련이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그것을 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산업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화콘텐츠와 그것의 산업화는 그것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과 관련이 있는 문화가치의 이식과 확장, 그리고 향후 금정구 지역을 넘어서서 부산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함으로써 강력한 추진력과 공감대 형성을 이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일의 추진 과정에는 지역의 문화예술인과 기업인, 학계 등이 참여하는 금정문화위원회를 결성하여 산학관 협력의 거버넌스를 확립하여야 할 것이다. Place marketing takes specific space or region as objects of marketing and means commercialization of place. Place marketing is composed of producers of space who intend to make space as place, the receivers who visit or experience the place, the space which should become place as media of communi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s relatedwith the place. Pusan Kumjungku is city-rural complex region which is composed with city services, industry, agriculture, education, and tourism, and so has big potential for development. It has been nominated as cultural artistic and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by central government in the year of 2013.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with such big potential and government support can be realized enough only when the policy is supported with the examination of the region with the strategic place mark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usan Kumjungku as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identity of Pusan region and has the large symbolic meaning and importance In Pusan Kumjungku , the allocation and use of space should be done in accordance to the concepts of mall, concept line, and core attrac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rd space in experience society. Nextly, the attractiveness of Pusan Kumjungku should be heightened up through searching and expending cultural contents specific to the place. At this time, cultural primitive type related with Pusan Kumjungku should be searched and be developed into cultural contents and utilized not only in artistic creation but also in cultural industry. This kind of cultural contents and its commercialization should, not just finish as itself, but excercise the power of affection all through the Pusan, so achieve strong propelling power and consensus. In the process of these job, the governance system of cooperation among citizen, bureaucracy academic and industrist through forming Kumjung. Cultural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 스포츠 이벤트 공간 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동기,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기정훈,허근영,하철수 한국정책과학학회 2007 한국정책과학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그 지역을 광고함을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획의 정도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 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서 스포츠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 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이벤트 공간 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 도시들에게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별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 유치를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들이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또한 외부에 알리고자 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 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분류와 전략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본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하였다. 남해군 스포츠 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며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이 되며, 장소 전략과정에서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 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 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하여 지역을 변화시켰던 리더쉽의 역할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의 이익의 재분배를 통해서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서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를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써 제시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

        기정훈(Ki, Jung-Hoon),허근영(Huh, Keun-Young),하철수(Ha, Cheol-S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07 공간과 사회 Vol.28 No.-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 획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도시들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가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외부에 알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와 전략 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했다. 남해군 스포츠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자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장소 전략 과정에서는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해 지역을 변화 시킨 리더십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이익의 재분배를 통해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ing various efforts in marketing their places. Recently, sports marketing becomes popular in Korea cities since Incheon and Daegu have succeeded in place marketing with hosting major international sports event. Place marketing is generally referred a city’s strategy to attract tourists, companies, and residents by digging and developing the city’s identity or specialties and advertizing them. Place marketing i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degree of space planning and its major target. Existent local human capital, new local image slogan and place brand, local cultural event, new local landscape, new local land use, new local industry and sports event are effective sources for place marketing, although some are overlapping in their outcomes. This study adopt Lee(2006a, 2006b)’s place marketing classification and author’s space planning framework to analyze Namhae sports marketing process. Namhae sports marketing, characterizing regional economy-seeking and space planning-centered, has been successful so far with its (1) place strategy that includes the school lawn soccer ground project, Seo-Sang land reclamation lawn ground, the rape flower festival, and the Namhae Sports Park project, and (2) marketing strategy that comprises hosting the 2002 Worldcup camp and other sports events. Namhae county’s place marketing ultimately triggers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residents’ income growth. Local lead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Namhae sports marketing because they build a long-term comprehensive space planning for this project, persuaded local residents, and went through al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Namhae’s space market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place marketing in terms of local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eventual people’s prosperity beyond place’s prosperity.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장소마케팅 전략 모델에 관한 연구

        주가혜,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정보화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터넷, 빅데이터, 5G 등으로 대표되는 정보기술이 도시 발전의 새로운 동력이되고 있다. 특히 소셜 미디어의 성행으로 도시 간 거리는 좁혀지고 개인의 힘은 점차 커지면서 각 국가와 도시는 새로운 변혁에직면해 있다. 소셜 미디어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 장소 마케팅 전략은 장소 브랜딩의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장소 브랜딩 개발에서 빅데이터에 따른 소셜 미디어 마케팅의 중요한 역할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사람의인식과 요구를 기반으로 브랜딩 장소의 발전을 시킬 수 있는 마케팅 전략 모델을 도출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온라인시대의 소셜 미디어를 기반으로 장소 마케팅의 개념과 전략, 소셜 미디어의 변화를 조사하고 소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장소 마케팅의 발전추세를 제시하였다. 둘째, 빅데이터 시대에 본 연구는 파이썬 (Python) 기술을 기반으로 ‘씨트립’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장소에 대한 대량 설명 및 코멘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키워드 분석을 전개하였다. 셋째, 수집된 데이터를 정리·분류하여 프레임워크에 따라 요소에 대해 클라우드의 클러스터 분석을 진행하고 데이터 특성을 기반으로 장소 마케팅 전략을 요약하였다. 이를 통해 사례분석 모델을 도출하였다. 넷째, 중국에서 대표적인 장소를 선정 및 분석하여 마케팅 효과와 마케팅 방법을 평가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입증하는 동시에 개선 제안을 추가로 제시하였다. (결과) 마케팅 전략을 도출하였고, 마케팅 전략은 서로 다른 장소의 현황과 자원을 기반으로 네 가지 요소 단계와 세 가지 특징 요소를 제시하였다. 세 가지 사례를분석하여 장소 마케팅 전략의 다양한 요소를 잘 반영하여 마케팅 전략의 객관성과 포괄성을 충분히 입증하였다. 그 중 둔황 막고굴 사례의 핵심은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개발과 마케팅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다탕불야성 사례에서는 지역의 전통문화를 이용하여 문화혁신과 몰입형 체험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였다. 친황다오 아나야 사례에서는 예술을 활용한 정신생활 창출을 위한 마케팅 활동을 혁신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마케팅은 장소 브랜딩을 관통하는 중요한 사고이며,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코멘트를 포착하면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이해하고 해당 요구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찾을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마케팅단계에 따라 총 네 개의 부분으로 나뉘며, 각 부분에는 세 개의 요소 유형이 포함되어 총 열두 개의 전략적 요소가 도출되었다. 우선 마케팅 단계에 따라 기존 자원의 개발, 장소의 이미지 포지셔닝, 차별적 가치 창출, 전파차원의 확산의 네 단계로 나눴다. 둘째, 네 단계는 요소의 특징에 따라 각각 고유 자원형, 이벤트 체험형, 서사적 공감형의 세 가지 요소 유형을 포함하였다. 장소 마케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마케팅을 보다 포괄적이고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위의 요소를 포함하는 전체 프로세스 설계를 충분히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소비자 장소에 적용된 레트로 마케팅과 소비자 반응 - 장소 노스탤지어와 장소애착을 중심으로

        라선아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8 마케팅관리연구 Vol.23 No.4

        Recently, retro marketing, which evokes nostalgia for consumer places, is a hot topic. It is based on the way of restoring or preserving a consumer place that is in a loss or a crisis to be lost, but retro marketing is being implemented with diverse variations. Retro marketing applied to consumer places is currently getting positive responses from Korean consumers. A ‘consumer place’ is where a ‘commercial space’ has evolved into, on the ground of a subjective meaning created by a consumer. This study analyzes how place nostalgia is induced by retro marketing attempts which are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applied to consumer places. Just as the nostalgia for home or home town, the nostalgia of a consumer place can be linked to the memory of the place, attachment to the place, and loyalty toward the place in a consumer's life. After selecting the consumer places that can be regarded as the places that retro marketing is applied to, by referring to the press release materials, etc, the researcher have developed a typology framework of retro marketing for consumer places. The framework comprehensively covers various cases.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place’ as one axis and ‘the nature of the business’ as the other axis, seven types of retro marketing for consumer places were drawn. After selecting representative cases for each type, nar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texts which were collected from blogs’ or SNS posts, commentaries, etc. posted by the actual visitors of the places within 5 years. Particularly, consumers who have an experience directly related to the consumer place are categorized into ‘experiential nostalgia’ group and consumers who do not have experience nor memory of the place are categorized into ‘vicarious nostalgia’ group. Two types of nostalgia, experienced by two types of consumers in a consumer place where retro marketing applied, were contrasted with various aspects of consumer behaviors and place attachment.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the companies that are considering retro marketing strategy for consumer places by evoking place nostalgia. 최근 소비자장소의 노스탤지어를 자극하는 레트로 마케팅이 열풍이다. 레트로 마케팅은 상실한 또는 상실할 위기에 있는 소비자장소를 복원 또는 보존하는 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다양한 변화를 가미하여 실행되고 있다. 소비자장소에 대한 레트로 마케팅은 기업만의 관심사가 아니라, 실제로 현재 한국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본 연구는 집이나 고향과 같이 인간 누구나에게 뚜렷한 주관적 장소성을 배태한 장소가 아닌 상업 용도의 공간도 주관적 의미의 공간으로 진화하여 소비자장소가 될 수 있고, 역시 그리움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생각을 전제로 하여, 소비자장소에 레트로 마케팅을 적용하여 유발한 장소 노스탤지어가 소비자 각자에게 어떻게 체험되는지 분석하였다. 집이나 고향에 대한 노스탤지어와 마찬가지로 소비자장소의 노스탤지어도 소비자의 삶에서 장소기억, 장소애착, 장소충성도 등과 연결된다면 삶의 질과 행복까지 좌우할 수 있다. 우선, 소비자장소의 레트로 마케팅으로 볼 수 있는 장소들을 언론 보도 자료 등을 토대로 선정하여 검토하였다. 이어서, 다양한 사례들을 종합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소비자장소의 레트로 마케팅 유형화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소비자장소의 위치가 기존 위치냐 신규 위치냐를 한 축으로, 사업의 성격에 비추어 볼 때 레트로 마케팅이 사업의 본질에 적용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 및 본질에 적용되었다면 기존의 것을 유지 또는 수정한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또 다른 축으로 설정하여, 총 7가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각 유형별로 대표적인 장소 사례를 1~2곳, 총 9곳의 가게를 선정한 후, 인터넷 블로그, SNS 등에 포스팅한 5년 이내의 이용후기, 각종 댓글 등을 각 소비자장소별로 수집하여 내러티브 분석을 수행하였다. 직접적으로 해당 소비자장소에 관련된 경험을 가진 소비자의 경우는 체험적 노스탤지어로, 직접적인 경험이나 기억이 없는 소비자의 경우는 대리적 노스탤지어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두 유형의 노스탤지어 체험은 서로 대비되는 소비자 행태를 보여주었고, 장소애착 현상도 상이하였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레트로 마케팅을 소비자장소 노스탤지어 체험에 적용할 때 고려할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장소마케팅을 활용한 이순신 지역축제 사례연구

        송철호(Song, Cheol H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7 이순신연구논총 Vol.- No.8

        최근 각 지역마다 지역행정에 마케팅 개념을 도입해 지역을 하나의 상품으로 생각하고 그지역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전략적으로 홍보해서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판매와 마케팅은 동의어로 취급되지만, 기업에서 조차 판매, 영업부서와 마케팅 부서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판매는 이미 만들어 놓은 상품을 파는 것으로 제품(Product)에서 출발하며, ‘우리가 팔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를 고민하게 된다. 반면에 마케팅은 팔릴 수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고객(Consumer)에서 출발하며, 고객이 구입하려고 하는 것은 무엇인가? 를 고민하게 된다. 그러면 지역의 상품화는 무엇을 말하는가? 지역자체를 하나의 상품이나 기업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장소마케팅은 장소를 관리하는 개인이나 조직에 의해 추구되는 일련의 경제적, 사회적 활동을 내포하는 현상으로 공적 및 사적 주체들이 외부의 기업가와 관광객, 지역 주민들에게 매력적인 곳이 되도록 하기위해 지역의 이미지, 매력물, 간접시설, 사람들의 친절도와 순박함을 개별적으로 판매하거나 총체적으로 판매하기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의미한다.우리나라의 장소마케팅 개념은 특정장소가 그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그러한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관련산업이나 인구, 관광객등의 고객을 유치하는 전략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한 주요연구동향은 장소마케팅을 문화전략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이 많으며 장소마케팅 시행의 과급효과에 관한 연구, 각종이벤트 및 축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축제이벤트는 장소마케팅의 핵심적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다. 여러지역 에서 축제 이벤트를 통한 장소마케팅을 활용하고 있는데, 본문에서는 이순신지역축제의 사례에 대해서 장소자 산활용에 입각한 인물중심 및 장소활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축제마케팅은 영역혁신 (territorial innovation)에 기반하고 있는 전략이다. 여타 지역이 모방하거나 따라 할 수 없는 특정한 영역만이 지니고 있는 자산의 가치를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기획력, 부단한 연구개발을 통해서 혁신적으로 증가시켜 지역의 경쟁력을 극대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The local administrative district is now trying to consider that the district is the product and it should be marketed to reinvigorate of local economy. The comparison of selling and marketing is generally the same meaning, company is now considering that the selling and marketing department are identical. Selling means the product already is manufactured, and it starts from product. Imagine what we are going sell? However marketing is not, company will develop a potential product, and it starts from consumer. Imagine what customer wants to buy? Hence what is commercialization of district? Simply say, district will be recognized as product or company. The place marketing is the economical or social activities with the various efforts to sell the images geographically with its place s own attractive things such as cultural attractive, historical moment, honorable place and memorial accessories, souvenir and etc especially for the tourists, organization or company even local residents. Place marketing in Korea is having a mix of various marketing tools to the targeted marketplace to achieve its goal, such as promotion of place s image, cultural architecture,events, various promotions, historical building and place, specialties with its place s image and creating of local brand (branding) and so on. The study of place marketing is now considering as part of cultural marketing strategy and also it has been studied as what is the effectiveness of place marketing events. Local events or festival is the mainly considered as marketing strategy. Many places have the events for place marketing, this study is focusing on Yi Sun Sin local festival with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 Event marketing is based on territorial innovation, it has to be developed with its locally unique characteristics that will beat the competitive of other place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목포시 원도심을 사례로 -

        전소라(Jeon, Sora),정봉현(Jeong, Bonghyun)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개념을 정립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문헌연구를 기초로 관광기반형 장소마케팅의 개념을 정립하자면, 특정 장소가 관광객 또는 잠재관광객의 욕구에 따라 자신의 특성을 살린 전략을 펴고, 매력적인 장소이미지를 창출함으로써 관광객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해 그들로 하여금 관광목적지로서 방문·선호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소경쟁 시장에서의 발전수단 내지 성장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장소마케팅 전략을 현실화하기 위한 기법적 보완 차원에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목포시 원도심의 장소마케팅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장소마케팅 전략을 제시하였다. ➀ 근대역사문화를 활용한 관광상품화(다크투어리즘), 신중한 접근과 사회적 합의의 필요, ➁ 기존 산업에 역사·문화적 자산과 아이디어를 결합한 새로운 경제기반 구축, 유휴자원(공가)의 가치 재창출, ③ 체험·학습·교육 등 신규 수요에 대한 대응 및 세분시장 창출, ④ 관광정보 및 통계 데이터의 확대, 이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 전개, ⑤ 원도심과 인근 환경자산, 교통시설 간의 공간적·기능적 연계, ⑥ 다양한 영역과 수준에서 주민참여의 확대 등이다. 본 연구는 장소마케팅 가운데 가장 중점적으로 논의 되고 있는 관광분야를 심화 연구했다는 점, 현장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반영한 개선안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theory of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and to analyze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strategies using text mining.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academic discussions related to place marketing, and synthesized concept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was defined as the implementation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through tourism administration. In other words, a specific place is the process of creating an attractive place image through strategies that utilize their characteristics to attract tourists. The goal is for the place to be selected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to realize regional development. Second, the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strategy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original city center in Mokpo is ➀ development of tourism products such as dark-tourism utilizing modern history and culture, ➁ establishing a new economic base through the combin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nd ideas, re-creating the value of empty spaces, ③ responding to new demands such as education and experience, ④ expanding accurate tourist information and statistical data, ⑤ strengthening connectivity with transportation facilities, development of tourism courses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resources, and functional connection with surrounding core facilities, ⑥ activation of citizen"s particip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study of place marketing and a policy study in the tourism sector. On the other hand, further research needs to consider regional variables for a detailed strategy of tourism-based place marketing, and to proceed differentially, because problems in cities and regions cannot be solved en bloc.

      • KCI등재

        지역 개발을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 탐구 –경남 거제 지심도 중심으로-

        두정완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1

        In order to develop the local area,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marketing strategy of the place using the local property of the area. Though Jisim-do has a lot of suitable property assets, it has not been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the past since the ownership was transferred from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o Geoj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location-based marketing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systematic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place's property assets and application of location-based marketing strategy. In order to successfully perform location-based marketing, we proposed a systematic approach such as context analysis, mission, target group selection, place branding strategy and preparation of marketing communication program. It can be distinguished by emphasizing that it is an island with good preservation in ecology and historical aspects. To support this, ecological disturbance plants are removed to protect ecological resources and create ecotourism resources. We suggest creating and installing an ecological map that introduces the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of Jisim-do. We can enhance the convenience of tourism through the reno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remodeling of the National Defense Science Institute for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Develop a story about the main places of Jisim-do so that we can strengthen the location value of Jisim-do. If we increas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of potential visitor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Jisim-do Visiting Month' and the 'Camellia Island' campaign, Jisim-do can be the mainstay of regional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hat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residents should cooperate and establish strategies and systematically perform them. 지역의 개발을 위해서는 해당지역의 장소자산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지심도는 적지 않은 장소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방부로부터 거제시로 소유권이 이전 된지 얼마 되지 않아 그동안 전략적 접근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곳이다. 본 연구는 지심도의 장소자산의 확인, 장소마케팅 전략의 적용을 위한 체계적 분석을 통하여 지역 발전을 위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심도의 장소마케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서 컨텍스트 분석, 미션, 목표집단 선정, 장소 브랜딩 전략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준비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을 제안하였다. 생태보존 양호지역이면서 역사적 의미도 가지고 있는 섬임을 부각시켜서 차별화시킬 수 있다. 이를 뒷받침 할 수 있도록 생태교란식물을 제거하여 생태자원을 보호하고, 기존 탐방로 주변에 자생식물 식재로 생태관광환경을 조성한다. 지심도의 풍부한 생태환경을 소개하는 생태지도를 제작하여 설치하고, 탐방객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수목표찰 디자인을 개선한다. 관광객들에게 지심도 역사이해 도모를 위한 역사문화자원을 정비하여 관광객 편의를 제공한다. 국방과학연구소 숙소 등 옥상은 전망대로 우선 활용하고, 시험통제소는 리모델링을 통해 관광편의성을 제고한다. 지심도의 주요 장소들에 대한 스토리(story)를 개발하여 지심도 만의 장소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지심도 방문의 달’ 지정 운영과 ‘동백섬 지심도(Camellia Island)' 캠페인 전개로 잠재 방문객들에게 알림으로서 지심도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증대시켜 나갈 경우 지심도는 지역발전의 주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자체와 주민이 합심하여 전략의 수립과 체계적인 수행이 필수적이다.

      • KCI등재

        지역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어메니티 활용방안 연구

        정건용(Gen Young Jeo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최근 산업기술의 평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지역과 산업 간의 특성이 무력화 되었고, 무한경쟁 속에서 치열한 경제활동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천연자원과 산업적 기반 그리고 노동인력 등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간적 동질화 및 시간적 접근이 원칙적으로 불가능한 그 지역만의 독특한 문화자원을 발굴하여, 문화상품개발을 위한 도구로서 장소마케팅을 활용하게 되었다. 특정한 지역을 하나의 상품으로 보고 그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노력은 장소마케팅을 통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으나, 장소마케팅의 소재가 되고 있는 문화자원 발굴과정 및 접근전략은 다소 체계적이지 못한 사례들을 우리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지역 문화상품으로서 지역축제를 기반으로 성공한 장소마케팅은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하되, 광의로 해석한 에메니티적 개념으로 접근했다는 것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문화자원을 어메니티로 이해하고 구분하여, 활용가치에 따라 장소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주제어에 대한 용어정리와 함께 문화상품으로서 어메니티와 장소마케팅과의 특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정의하였으며, 국내·외 성공 사례지역조사를 통해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참고하였다. 또한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소 마케팅 추진전략과 함께 최근 변화된 소비현상을 제시한 후 결론으로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자원 개발 유형별 대응전략’ 및 ‘공간별 특성’에 의해, ‘목적에 따른 유형’, ‘장소자산에 따른 유형’ 그리고 ‘이미지 전략에 따른 유형’으로 살펴본 결과, 판촉 또는 소비자 중심모형으로 도시 지역보다는 환경지역, 농·산촌, 연안·어촌지역을 중심으로 우선 추진되어야 할 것이며, 문화적으로 우세한 지역보다는 산업적 그리고 생태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지역을 장소마케팅 범위로 지정하고, 이미지 강화와 창출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문화상품은 지역이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바, 지역 구성원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고유한 분위기로 지역만의 독특한 포지션을 전략적으로 수립해야할 것이다. 이를 위해 소비현상의 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문화상품개발과정과 운용 프로그램 및 이미지 구축과 더불어 위험요소에 대한 극복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소 보편적으로 예측 가능한 결과를 가지고 있으나,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정책수립에 불가피할 것이며, 지역별 또는 테마별 등으로 구체적인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equalization of industri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een economic activity constantly proceeds in limitless competition. Thus, areas where natural resources,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labor power are not enough have picked out their unique resources which are impossible for space homogeneity and time access and used place marketing as a mean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Although efforts to enhance local competition by seeing a specified area as one product have continuously made, the process of picking out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the material of place marketing and access strategies are not systematic and it is easy to see such examples. On the contrary, it is easily understood that place marketing which achieves success on the basis of local festivals as local cultural products uses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is approached in the concept of amenity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Thu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nd classify local cultural resources as amenity and explore methods to use them as a means of place marketing according to their value of application. Amenity as a cultural product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marketing were def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review along with terms definition for key words and successful examples at home and aborad were examined to show application method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was the whole country and strategies for place marketing and recent changes of consumption were presented. Finally, the results were drawn. The findings were examined in aspects of ``coping strategies of cultural resource development typ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rposes``, ``types of place assets``, and ``types of image strategies``. As a result, promotion or consumer-focused models should be promoted first in environmental, rural, mountain, coastal, and sea areas rather than urban areas. Moreover, the scope of place marketing should be limited to places easy of industrial and ecological access rather than culturally-dominated places and approach should be made to enhance and create an image. Considering that local cultural products hav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n area, a unique local position should be strategically established to form local residents` empathy and have a peculiar atmosphere.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es of consumption, construct the process of developing cultural products, an operation program, and an imag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inside and outside the area, and continuously prepare methods to overcome risk elements. Although the findings have universally predictable results, it is inevit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policie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areas or the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