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영희,노지윤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4
This study analyzed the library’s library development policy at home and abroad, established basic principles and guidelines for the library’s library development policy, and proposed details of the library’s library development policy. In this study, the vision of the supreme court library was established as an open legal and judicial information center that provides services to the public at the eyes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a representative law library that focuses The five basic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book development policy to realize this vision are as follows: 1) Book development centered on mission and responsibility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legal library, 2) Development of books as an open legal/judicial information center for public service, 3) The development of books in line with the changing times and information environment, 4) Development of books by subject and languag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t library, 5) Development of a collection, preservation, and disposal of data based on consistency and systematicity.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or strategic book development can be promo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books in the court library based on policy documents.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법학 관련 도서관들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여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법원도서관 장서개발정책 개발(안)과 세부 내용을 제안하였다. 법원도서관의 비전은 크게 각국 법률자료의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수집과 법률정보 제공의 역할을 수행하는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과 법조 실무계와 학계종사자 뿐 아니라 일반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춰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는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장서개발정책 수립의 5가지 기본방향은 1) 국가 대표 법률도서관으로서의 사명과 책무 중심의 장서개발, 2) 대국민서비스를 위한 열린 법률․재판정보센터로서의 장서개발, 3) 변화하는 시대 및 정보환경에 부합하는 장서개발, 4) 법원도서관의 특성을 고려한 주제별․언어별 장서개발, 5) 일관성과 체계성 기반 자료 수집․보존․폐기 장서 개발로 제시하였다. 정책문서에 기반한 법원도서관의 장서개발을 통해 체계적 또는 전략적 장서개발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한 장서평가 지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오지은,정동열 한국정보관리학회 2015 정보관리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suggest various indicators of collection evaluation for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public libraries. For the sake of the exploratory research,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usability of indicators of collection evaluation through actual data of a case study. Also to analyze indicators of collection evaluation, this study used the ten years circulation records of the Gwangjin District Public Library in Seoul. Majors indicators of collection evaluation were the rate of use and use factor of purchasing books by annual, the rate of use and use factor of librarian’s recommended books by annual, the rate of non circulating books by annual, and the rate of use by residence annually. 본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장서개발정책 수립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서평가 지표를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탐색적 연구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의 실제 데이터를 개별 장서평가 지표에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통해서 그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장서평가 지표 분석을 위하여 서울시 광진구립도서관의 최근 10년간 장서대출 데이터가 이용되었다. 주요 장서평가 지표로는 연도별 구입도서의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연도별 사서 추천도서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연도별 비대출도서 비율, 대출자 거주지별 도서관 이용도 등이 분석되었다.
장혜란,홍현진,노영희,오의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No.4
정보자원의 지속적 증가와 다양화 그리고 네트워크를 이용한 정보 접근과 활용 등 정보환경의 변화로 도서관 장서개발 정책은 더욱 정교하게 변화되어야 하는 상황에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이러한 시대적 조류를 반영하고 그 역할과 사명을 다하기 위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국가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국립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가장서 구축을 위한 기본모형을 도출하였다. 기본모형은 크게 하이브리드장서 구축, 협동연계장서 구축, 장서 평가, 그리고 장서개발정책 성문화 등 네 가지의 서브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형별 세부 내용과 추진방안이 제시되었다. A more sophisticated library collection policy is required due to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 Both traditional resources and diversified networked information resources are increasing continuously.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hould construct a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order to fulfill its 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framework that is intended to improve the coverage of national collection.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the nationa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a model consisting of four sub-models has been proposed. It includes hybrid collection, cooperative linking collection, collection evaluation, and a collection policy statement. Details of the sub-models and strategies are described.
국가장서개발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 호주, 네덜란드, 한국을 중심으로 -
유종연,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2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호주와 네덜란드 국립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국가장서개발정책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호주와 네덜란드 국립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사명과, 책무, 조직과 인력, 예산과 장서, 장서개발정책의 기본 방향과 원칙, 수집우선순위, 보존과 디지털화, 납본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호주국립도서관과 네덜란드국립도서관의 국가장서개발정책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NED 온라인납본시스템이나 e-Depot 디지털 저장과 소셜 미디어에 대한 수집정책의 변화를 새롭게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국의 국가장서개발에 있어서 핵심 요소를 확인하고 향후 국립중앙도서관의 국가장서개발정책에 개선해야 할 부분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 Trend Study o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Resources
이선희(Seon-Hee Lee),최희윤(Hee-Yoon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5
세계의 대표적인 국가 과학기술정보기관들은 국가 경쟁력을 증진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에게 연구개발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장서개발정책은 과학기술정보기관이 연구개발을 위한 정보자원을 선별하고 정보자원을 상호 연계하여 정보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다. 본 논문은 국가 과학기술정보기관의 장서개발정책의 주요 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 미국의 국가의학도서관 (NLM), 영국국립도서관 (BL), 캐나다과학기술정보연구원 (C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기술정보기관들이 장서개발정책 수립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orld leading national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provide scientists with R&D information for increasing national competitiveness.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the guidelines for the science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that identify information resources and connect them together to build an information network for supporting R&D. In order to draw main elements of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national leve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this paper analyzed the policies of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LM), British Library (BL), Canada Institute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CISTI), and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KISTI).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guidelines for the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institutes for establishing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다문화 밀집지역 작은도서관의 장서 대출 현황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 사례연구 -
박은경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이용자 밀집지역에 있는 도서관의 장서와 대출데이터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이용자들의 소장장서에 대한 장서활용도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다문화 도서관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안산다문화작은도서관을 대상으로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장서․대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도별, 언어별, 주제별로 소장도서수, 대출수, 비중,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를 산출하여 장서이용도를 파악하였다. 개별도서별 누적대출수를 기준으로 누적 합계를 산출하여 대출 분포와 장서이용율 추이를 살펴보았다. 다문화 장서의 평가와 장서활용도를 기반으로 증거 기반의 장서개발 지침에 활용할 근거를 제공하고 다문화 도서관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assess collection and circulation data of one small library in an area where multicultural users are concentrated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on improving multicultural services for public libraries. The Ansan Multicultural Small Library was selected for examining the library’s collection and circulation usages from 2016 to 2022. The numbers of collection and circulation, collection turnover rates and use factors were calculated by year, language, and KDC subject.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s the empirical evidence drawn from users’ circulation usage, which can be a basis for leading to valid collection development and multicultural service policies.
국가도서관 정책정보 개발 전략 연구- 국립세종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을 중심으로 -
윤희윤,장덕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3
국립세종도서관은 국내외 정책정보 개발 및 제공이라는 핵심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정책정보 개발에 있어서의 체계성과 실천적 전략 확보가 필수적이다. 즉 국립세종도서관이 범정부차원의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이라는 본질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서비스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국립세종도서관 중장기 발전계획에 입각한 정책정보 개발 전략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한 장서개발정책을 수립하여 실무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립세종도서관의 정책정보 개발을 위한 전략을 제안하고 이를 통하여 국립세종도서관이 ‘정책정보 특화도서관’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책정보 특화형 전문 장서의 필요성과 개발 방안, 그리고 정책정보와 일반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장서개발정책 기본지침과 정책정보에 특화된 장서개발정책의 실천적 세부지침으로 나누어 수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plays a central role in maximizing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 In order to perform its functions, systematic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policy information development are essential. Besides,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as a specialized library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s and to maximize the capacity,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policy information needs to be suggested. This study, in this regard, propos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y information collection. Specifically, we suggest that both guideline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r general collection, and practical guidelines of collection development specific to policy information.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 키워드 분석
이다현,신동희 한국문헌정보학회 202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8 No.1
장서개발 정책은 도서관 서비스의 근간이며, 도서관의 성격과 정체성이 드러나는 성문화된 문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 추출이 가능한 장서개발 정책 관련 원문 11개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토픽 모델링,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장서개발 정책과 관련된 주요 키워드를 추출하고, 해당 키워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후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관종 별 장서개발 정책의 특징을 도출하기 위해 파이 계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료’, ‘도서관’, ‘장서개발’, ‘이용자’, ‘수집’ 등의 키워드가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중심성에서 주요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파이 계수 분석 결과 대학도서관은 ‘대학(0.73)’, ‘구축’, ‘학생’, ‘대상’, ‘비용’ 등의 키워드가 나타나므로, 이용자의 학술적 요구와 디지털 자원에 대한 논의가, 공공도서관은 ‘성인’, ‘설문조사’, ‘특징’, ‘종교’ 등 다양한 이용자계층의 정보 요구와 관련된 키워드가 주요 쟁점으로 드러났다. For this article,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on eleven texts related to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found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e deduced the main keywords related to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subsequently conducted a pie coefficient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of university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by category. The results showed that keywords such as “material,”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user,” and “collection” were the main keywords in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centrality. Meanwhile, the pie coefficient analysis revealed that keywords such as “university,” “construction,” “student,” “target,” and “cost” were prevalent in university libraries, indicating that the academic needs of users and the discussion of digital resources were primary issues, while keywords related to the information needs of various user groups—including “adults,” “survey,” “feature,” and “religion” —appeared in public libraries.
남태우,김은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1
In Korea, more than half of medical libraries are small‐sized hospital libraries operated under the single‐librarian system, and it is keenly required to establish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for exchanging resources with other libraries and maintaining consistency. however, it is rare to set up their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on the web among the domestic medical librari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cases of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in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librari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ideas for Korean medical libraries that are preparing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As long as core requirements are satisfied,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do not have a way. Thus, this cas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deas to medical libraries developing their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2 survey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nvestigated one domestic and five foreign medical librarie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ses, we suggested 12 guidelines. 우리나라 의학도서관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1인 사서제로 운영되는 영세한 규모의 병원도서관으로 다른 도서관과의 자원협력과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라도 장서관리정책 수립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지만 국내의 경우 장서관리정책을 웹상에 올려놓고 있는 의학도서관은 거의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의학도서관의 장서관리정책을 사례로 조사하여, 장서관리정책을 준비하는 우리나라 의학 도서관을 위한 기초 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핵심요소만 충족이 된다면 장서관리정책은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사례조사는 장서관리정책을 준비하는 의학 도서관에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정한 12가지 항목을 사용하여 국내 의학도서관 1곳과 국외 의학도서관 5곳을 사례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들의 조사 분석을 통해서 12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윤희윤,오선경 한국정보관리학회 2021 정보관리학회지 Vol.38 No.1
대다수 국가에서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를 위한 지식정보 허브, 복합문화공간, 만남과 소통을 위한 제3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위한 공공도서관 업무 중에서 요체는 체계적인 장서개발이고, 구축된 장서는 모든 지식정보서비스에 필수적이다. 특히 지역대표도서관은 광역자치단체를 위한 종합지식정보센터로서의 법정 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다른 공공도서관이 수행하기 어려운 특화장서를 개발․제공․보존해야 한다. 이에 외국의 대규모 공공도서관과 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의 특화장서 개발 사례를 조사하고 경북지역 공공도서관 직원을 대상으로 특화장서 등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경북의 문화지형을 분석하였다. 이들을 배경정보로 삼아 ‘경북지식문화유산’으로 명명한 경북도서관의 특화장서 개발방안 및 구축전략을 제안하였다. In most countries, public libraries play a role as a knowledge and information hub for local communities,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a third place for meeting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work of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the key point is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ed collection is essential for all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In particular,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must perform legal duties as a comprehensive knowledge information center for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develop, preserve, and service specialized collections that are difficult for other public libraries. Therefore,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ases of specialize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large cities in foreign countries and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Korea, survey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specialized collections for employee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cultural to geography in Gyeongbuk region. Based on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 and establishment strategy of the Gyeongbuk Library specialized collection, which was named “Gyeongbuk Knowledge and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