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경계

        장슬기(Jang, Seul-G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12

        본고는 기왕의 보편적이고 국제적인 영화문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장률 영화를 독해하고자 한다. 단일한 국민국가의 서사나 보편적 스펙터클의 이미지의 체계화로 회수되지 않는 장률 영화는 기존의 영화 미학적 이해나 서사 구조의 분석으로 해소되지 않는 일종의 잉여 지점을 남긴다. 그리하여 본고는 ‘로컬’과 ‘서발턴’이라는 ‘아래로부터의 시선’을 그의 영화를 이해하기 위한 비판적 입론으로 받아들인다. 이 같은 위치에서 영화를 사고하게 되면 영화는 더 이상 보편적 커뮤니케이션이나 커뮤니티를 (재)생산하는 자본기계가 아니며, 이질성과 차이에 주목하는 공통기계로 이동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고는 우선 극영화와 다큐멘터리라는 영화적 경계를 횡단하는 장률의 영화 문법을 살펴본다. 그의 카메라는 종종 허구에서 실제로, 실제에서 허구로의 전환을 꾀한다. 장률은 이 차원을 두드러지게 함으로써 오히려 영화적 경계를 넘어설 때에만 로컬과 로컬주체를 혼종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투영한다. 장률은 영화적 경계를 넘는 것과 같이 텍스트 내부에서도 장소의 경계를 넘는다. 특히 장률은 사막, 강과 같은 자연의 경계 위를 이동?이주하는 인물들에 주목한다. 이 이동은 최종 목적지가 정치적 헤게모니에서 우위에 있는 국가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다만 타자와 만나고 그와 삶을 공유하기 위해서라는 점에서 자연의 경계에 선 삶은 긍정된다. 이를테면 자연의 경계를 넘는 힘겨움은 이동성에 내재된 전지구적 신자유주의의 폭압성, 강요성과 같은 배제의 원리로 이끌도록 하지만, 이곳은 그 폭압을 언제든 거부하고 타자성을 공유할 수 있는 장소로 의미화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률의 영화는 이러한 자연의 경계를 넘는 영화 속 주체들 중에서도 특히 여성에 주목한다. 그의 영화는 여성을 남성보다 더욱 주요한 주체로 승격시켜 그들의 목소리-의식을 중요하게 포착한다. 특히 장률은 이들을 능동적으로 말 하지 않는 주체로 설정함으로써, 그들이 침묵하거나 혹은 외침/비명을 발설하는 순간을 주목할 만한 것으로 그린다. 카메라는 여성을 시각적 대상으로 포착하던 기존의 재현체계로부터 미끄러져나가, 여성으로 하여금 공간의 역사와 현재를 기억하고 각인하는 증인의 자리에 위치시킨다. 주변부적 존재인 여성은 장률 영화 속 장소인 로컬과 공명하며 장률이 가진 경계의 사유를 드러내는 긍정적?보편적 주체로 구성된다. This article aimed to comprehend the Zhang Lu’s movie in a different way from past universal and international grammar of a film. The movie by Zhang Lu that cannot be recalled by a description of a single nation-state or systematization of universal spectacle image leaves a sort of surplus point that cannot be resolved by an aesthetic comprehension of movie or structural analysis.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accepts ‘view from below’ which are ‘local’ and ‘subaltern’ as a critical argument to understand his movie. When we consider the movie from this perspective, the movie is no longer a capital machine that (re)produces universal communication or community because it can transfer to a common machine that focuses on the heterogeneity and differences. Based on such critical mind, this article first examines the grammar of Zhang Lu’s movie that traverses a cinematic boundary of film drama and documentary. His camera often plots the switch from fiction to reality and from reality to fiction. Zhang Lu, by emphasizing this dimension, projects a critical mind that going beyond the cinematic boundary rather can catch the local and local subject. Zhang Lu even goes beyond the local boundary within the text just as how he goes beyond the cinematic boundary. Especially, Zhang Lu pays attention to the figures that transfer/move above the natural boundary like desert and a river, etc. This transfer does not set its final destination as a nation superior at the political hegemony, but a life by the boundary of nature is affirmed to a point to meet other and share life with him. For example, the difficult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nature makes one to lead by the exclusion principle such as oppression of global neo-liberalism inherent in mobility and coerciveness, but this place is signified as a place where we can reject the oppression and share the otherness. Lastly, Zhang Lu’s movie focuses on women, in particular, among the subjects of movies that cross the boundary of nature. His movies capture the women’s voice and awareness as important by promoting women as a subject more important than men. Especially, Zhang Lu sets them as subjects who don’t actively speak in order to draw the moment they get silent or let out their cry as something to focus on. The camera slips off from existing system of reappearance that captured women as a visual object, and positions them as a witness who remembers and carves the history of space and present. Women of marginal existence resonates with a local, which is a place inside the Zhang Lu’s movie and is composed as a positive, universal subject that shows the reason of boundary Zhang Lu had.

      • 조선후기 목활자 ‘장혼자(張混字)’ 명칭의 재검토

        박철상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보 Vol.0 No.31

        장혼은 19세기를 대표하는 여항지식인이다. ‘장혼자(張混字)’는 바로 장혼이 만들어 사용했던 활자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장혼이 활자를 만들었다는 근거는 어디에서도 확인할 수 없다. 초기의 인출본들이 장혼과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혼이 만든 활자로 인식되어 왔을 뿐이다. 본 논문에서는 ‘장혼자’가 어정규장전운을 자본으로 만든 활자임을 고증하였다. 어정규장전운은 당시의 경박한 글씨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던 정조가 당시 사자관이었던 이명예(李命藝)에게 글씨를 쓰게 한 다음 이를 목판에 새겨 간행한 것이었다. 이는 ‘장혼자’가 이명예의 글씨를 자본으로 만든 활자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혼자’란 명칭은 더 이상 타당하지 않다. ‘장혼자’란 명칭의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장혼자’에 새로운 명칭을 부여해야 한다. 이제 ‘장혼자’는 ‘이명예자’로 고쳐 불러야 한다. Zhang Hon was a famous middle class intellectual. Zhang Hon Type was regarded as a Zhang Hon's own creation. But there are no evidence that Zhang Hon cast the type. Some early printed books were related with Zhang Hon but the original of the type was originated from EoJeongGyuJangJeonUn(御定奎章全韻). EoJeongGyuJangJeonUn was written by Yi MyongYe(李命藝). King JeongJo(正祖) was discontent with the frivolous handwriting in those days, so he made Yi to write the pattern and then engraved it on wood. T91his means Zhang Hon Type was originated from Yi MyongYe's handwriting. So it is not reasonable that we call it Zhang Hon Type. The new title of the type is needed. Yi MyongYe Type is a proper name of it.

      • KCI등재

        장(醬) 명칭의 분화 양상 연구(1)- 경상북도 영천, 경산, 영덕 지역을 대상으로 -

        김지숙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ang's lexical items and the Jang-related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area of Yeongcheon, Gyeongsan, Yeongdeok in Kyungsangbuk-Do, and then to examine out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of the Jang's lexical items as a main category including various kinds of Jang and of the Jang's lexical items according to period, method as a subcategory. It is found out that in the first place ‘the Jang’ in the area of Kyungsangbuk-Do is being used in two ways. Jang is expressed into the same meaning as ‘Kong-Jang’, ‘Meju-Jang’ which are the generic term for Doenjang, Ganjang as a main category. Additionally, it is expressed into something which is in a state of not being divided into Doenjang, Ganjang. These lexical items of Jang are used divided into ‘Doenjang’ and ‘Jireong, Jirang, Jirangmul, Jangmul’ according to the food finally made, which in the second place is divided by ‘period, method’, and finally its lexical items are subdivided. ‘Jeongwoljang’, ‘Aedarassuneunjang’, ‘Ppakkumjang’, and so on are being used as the lexical items according to ‘period, method’. And ‘Deotjang’ and other names are being used as the lexical items according the condition of Jang. Apart from the lexical items, interesting idioms about Jang are found out, which are mostly of the taste of Jang and taboo expressions. All these expressions are being used as a meaning of a secret magic method to protect any disasters which may happen in ordinary lives. The various lexical terms and idiomatic expressions of Jang tell us that the making of Jang is very important to a family, because the taste of food in a family depends on Jang.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천, 경산, 영덕 지역의 장의 명칭과 장 관련 관용표현을 조사해 여러 종류의 장을 포함하는 상위범주인 장의 명칭과 하위범주인 시기, 방법에 따른 장 명칭의 분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경상북도 지역에서 ‘장’는 두 가지 의미로 나타나고 있었다. 상위범주로 된장과 간장을 통칭하는 ‘콩장’, ‘메주장’과 같은 의미로, 또 된장과 간장을 가르기 전의 상태를 ‘장’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장의 명칭은 일차적으로는 최종적인 식품에 따라 다시 ‘된장’과 ‘지렁, 지랑, 지랑물, 장물’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었고 이는 다시 이차적으로는 ‘시기, 방법’으로 구분되어 그 명칭의 세분화가 이루어졌다. 시기, 방법에 따른 명칭으로 ‘정월장’, ‘애달아쑤는장’, ‘빠꿈장’ 등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방법 또는 상태에 따른 명칭으로 ‘덧장’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장의 명칭 외에도 장에 관한 재미있는 관용표현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대부분의 표현이 금기 표현과 장맛에 관한 표현이었다. 이들 표현들은 모두 생활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앙을 대비하기 위한 비방(秘方)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경상북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장의 명칭과 관용표현을 통해 그 집안의 음식 맛을 좌우하는 장 담그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전통음악의 양악보에서 장단주기박자와 강약주기박자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09 한국음악연구 Vol.45 No.-

        한국 전통음악인들은 박자라는 개념이 아닌 장단이라는 개념에 익숙해 있어 전통악보 기보법에 장단보(長短譜)는 있어도 박자표는 없었다. 그래서 그런지 근래에 한국 전통음악을 서양음악 기보법으로 채보하여 기록한 악보에는 서양음악의 박자를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도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로 기보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의 개념은 무엇이며 이것이 또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와 어떻게 다른가를 규명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필자는 우선 양자를 변별하는 용어가 필요다고 생각하여, 장단을 주기로 하는 박자표가 지시하는 박자를 ‘장단주기박자’라 일렀고, 장단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장단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상대 개념으로 서양음악에서 말하는 박자를 ‘최소 강약주기박자’라 하고 이를 줄여서 ‘강약주기박자’라 일렀고, 강약주기박자를 지시하는 박자표는 ‘강약주기박자표’라 일렀다. 그 동안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를 변별하지 않고 그냥 써왔던 이유는 양자의 차이를 규명하는 이론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그래서 필자는 이미 다른 논문에서 장단주기박자를 규명하는 이론을 만든 바 있었다. 이 이론은 장단의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로 규명하고 이것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원리를 규명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장단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는 세 층위를 이룬다. 즉 자연태 음악에서는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최소 리듬 구성성분 요소’(줄여서 ‘리듬소’라 함)라 일렀다.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중간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장단 주기보다 작은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소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소리듬형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을 이루는데 이를 ‘보편적인 장단 주기의 리듬 구성성분 유형’(줄여서 ‘여느리듬형’이라 함)이라 일렀다. 이 여느리듬형이 장단주기박자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 이론에 의하여 장단주기박자를 규명되었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장단주기박자표를 바르게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이론을 서양음악문법으로 된 노래의 박자, 즉 강약주기박자에 적용하여 봤더니 자연태에 가까운 노래에서는 리듬 구성성분이 두 층위를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을 알았다. 즉 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하 층위 구성성분인 ‘리듬소’를 이루고, 리듬소들이 2~3개가 집합하여 상 층위 구성성분인 ‘소리듬형’을 이르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즉 소리듬형이 강약주기박자를 생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봐서 강약주기박자는 장단주기박자의 절반 시가를 이루는 일이 보편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를 적용하여 한국전통음악의 여러 장단 유형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박자표와 강약주기박자표로 적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지금까지 잘못 기보된 한국전통음악의 강약주기박자를 정리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서 한국 전통음악에 나타나는 여느장단(보편적인 장단)에 나타나는 장단주기를 강약주기박자로 적게 되면 흔히 두 개의 강약주기박자표로 적게 되는데 앞뒤가 대칭 구조로 된 장단에서는 장단주기의 절반이 되는 강약주기박자표 두 소절을 적으면 되고, 앞뒤가 비대칭 구조로 된 장단의 경우에는 두 가지 서로 다른 강약주기박자로 된 변박자 두 소절로 적게 된다. 이 이론을 적용하여 앞으로 한국 전통음악을 박자표로 적을 때 반드시 이것이 장단주기박자표인지 강약주기박자표인지 표기해야 박자를 바르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한국전음악을 적은 악보에 박자표를 적을 때 장단주기박자로 적을 것인지 강약주기박로 적을 것인지 정하고 그것들은 장단 리듬 통사론에 의하여 어떤 박자표로 적을 것인지 검증하고 이를 바르게 적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s many of other traditional music shares similar quality in this particular matter, traditional music of Korea is not written in such way where they notify detailed articulations and dynamics. Rather, they simply show types of ‘jangdan’(rhythmic pattern) that the music supposed to be perform with. Recently, many musicians have tried to write out traditional music that is being transmitted orally with the use of western notation. But even when these western notational method is being used, many musicians intentionally write out a type of ‘jangdan’ when designating the rhythmic pattern of the piece prior to the ‘time signature’. In this paper, I have attempted to find out what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two systems, ‘jangdan’ and ‘time signature’ is and how these two represent differentiated meaning within the score. First, I felt the need of treating these two different terms - ‘jangdan’ and ‘time signature’ - separately from each other. In order to separate these two concepts, I have used two terms ; ‘rhyth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beat that is being made due to the cyclic patterns of grouped rhythm which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piece, and ‘rhyth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o refer the signature for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mparative two terms, related with western notational system which are; ‘dynamic cyclic pattern’ for designating the ‘time signature’ that is being used throughout the score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and ‘dynamic pattern signature’ for the signature indicating such pattern. So far, these terms have been used without any distinction due to the lack of particular theory that supports the difference in the usage of these terms. I have written the ‘jangdan’ theory for many years, which specifically deals with the ‘synthetic constitution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composed by the former. The key point of the ‘jangdan’ theory is that, there are three major groups consisting the music. The first, and the smallest unit is ‘small rhythm’ that is composed with two to three small notes. This is the lower level rhythm, the ‘basic rhythmic unit’ of music.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 are being combined, it makes ‘small rhythmic pattern’, the medium level rhythm. Finally, when two to three of these ‘small rhythmic pattern’ are combined, it produces the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which is the last and the upper level of the rhythm of the rhythmic hierarchy structure.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specify these rhythmic structure and its synthetic constitution, and its adaptation in scoring the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n this paper, I have concluded that the rhythmic structure of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style music differ in the composition of its rhythmic cyclic pattern. While the traditional music is consisted with three layers of rhythmic structures which are ‘small rhythm’, ‘small rhythmic pattern’ and ‘common rhythmic pattern’, the western style music only have two layers that are ‘small rhythm’ and ‘small rhythmic pattern’. In the western style music, the ‘small rhythmic pattern’ is the key unit that produces the ‘dynamic cyclic pattern’, which in other words, is represented as ‘time signature’ in the score. In this view, we can say the western ‘time signature(dynamic cyclic pattern)’ has half the length of ‘grouped rhythmic cyclic pattern’, that is found in the traditional musical score. I hope this could be used when clarifying the rhythmic pattern and related matters found in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compared to that of western music. In the actual scores, I would like to suggest two ways in its adaptation; In case of the ‘jangdan’ which is composed with symmetrical structure, two grouped ‘dynamic cyclic pattern(time signature)’ can be put together and regarded as one ‘jangdan’. When the ‘jangdan’ is consisted asymmetrically, it can be interpreted by putting two different time signature together as one passage. When writing down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estern notational system, I would like to suggest to clarify whether the score is written using the ‘rhythmic cyclic pattern’ or the ‘dynamic cyclic pattern’(western time signature). I also would like to address that these matters need to be dealt more prudently.

      • KCI등재

        영화 <장한가(長恨歌)>와 새로운 도시의 서사 ― 소설 《장한가(長恨歌)》와의 비교

        김태연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中國文學 Vol.76 No.-

        上海作家王安憶的《長恨歌》敍述上海的歷史變遷和王琦瑤的人生曲折, 成爲21世紀最有成就的中國長篇小說之一。 《長恨歌》曾獲得第五屆茅盾文學藝術?和上海文學藝術?。香港導演關錦鵬的《長恨歌》是根據王安憶的小說而拍成電影的。 但是關錦鵬在編劇《長恨歌》時進行了大幅的改編, 結果電影《長恨歌》呈現了許多與小說《長恨歌》不同之處, 引起小說《長恨歌》迷的失望。 本文認爲關錦鵬的電影《長恨歌》應當與王安憶的小說《長恨歌》分開進行分析。 因爲關錦鵬從小說《長恨歌》中選取了一些?架, 然後塑造了他自己的《長恨歌》。 爲了關錦鵬的《長恨歌》, 他在人物形象上進行了巨大的改編。 電影中的有些人物是結合小說中兩個以上人物的一定特徵。 由此關錦鵬將故事集中到王琦瑤一個人的身上。 幷且電影《長恨歌》對上海的描寫是?有突破性的。 電影里幾乎沒有上海這個城市的風景, 關錦鵬利用自己製作的道具和設計來表現出來了一個上海的形象。 從此關錦鵬創造了與王安憶的上海不一致的一個獨特的上海想像。 作爲香港導演, 對關錦鵬而言上海是一個香港文化的原型。 他探討老上海的文化以探討香港文化的未來。

      • SCOPUSKCI등재

        장결핵 환자에서 감염후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빈도와 임상양상

        이종수 ( Jong Soo Lee ),정성애 ( Sung Ae Jung ),염혜정 ( Hye Jung Yeom ),조유경 ( Yoo Kyung Cho ),김성은 ( Seong Eun Kim ),이시내 ( Si Nae Lee ),문일환 ( Il Hwan Moon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1

        목적: 최근 급성 또는 만성 장염이 과민성 장증후군의 위험인자로서 관련이 있다는 많은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장결핵 치료 완치 후 지속되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임상양상과 대장내시경검사에서 점막의 침범정도 및 조직검사에서 세로토닌의 증가여부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장결핵으로 진단되어 항결핵제를 투약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 종료 1년이 지난 후, Rome II 진단기준에 합당한 군, 단순한 배변습관의 변화만 있는군, 무증상군으로 구분하여 대장내시경 검사에서의 점막병변의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증상없이 종합검진을 위해 대장내시경검사를 받은 11명을 정상대조군으로 하여 결핵환자와 세로토닌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장크롬친화성 세포의 염색 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14명의 장결핵 환자 중 8명(58%)은 전혀 증상이 없는 상태이나, 3명(21%)은 과민성 장증후군의 기준에 합당한 증상이 있었고, 3명(21%)은 기준에는 합당하지 않지만 일부 배변습관의 변화를 보였다. 평균 연령이 46세이고, 남녀의 비는 1:1이었다. 과민성 장증후군에 합당한 3명은 모두 남자였고, 증상이 있는 6명 중 5명이 남자로 정상인 군에 비해 남자가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과민성 장증후군이 발생한 군은 대장내시경 소견에서 병변의 정도가 중증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장결핵환자는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병변의 대장점막에서 세로토닌 염색세포가 증가되어 있으며(8.4/HPF vs. 0.2/HPF, p<0.05), 장결핵환자의 평균 23개월 후에 시행한 추적검사에서 대장점막의 세로토닌 염색세포는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장결핵 치료 후 감염후 과민성장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병변이 중증인 경우와 관련이 있었다. 정상대조군에 비해 결핵환자의 조직검사에서 세로토닌의 염색수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추후에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Background/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PI-IBS after intestinal tuberculosis and the correlation of serotonin-containing EC cell and PI-IBS after intestinal tuberculosi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4 patients with intestinal tuberculosis between January, 2001 and September, 2002. The diagnosis of PI-IBS was based on Rome II criteria.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stain of serotonin antibody on colonoscopic biopsy specimens from 14 patients with tuberculosis and 11 asymptomatic controls. Results: Eight (58%) of 14 intestinal tuberculosis patients had no symptom and 3 patients (21%) had persistent IBS by Rome II criteria. Three patients with PI-IBS were all male. The severity of lesion by colonoscopy was severe in patients with PI-IBS (p<0.05). Serotonin-containing EC cell counts were higher in 14 patients with intestinal tuberculosis compared with 11 patients of normal controls (8.4/HPF vs. 0.2/HPF, p<0.05) and increased EC cells persisted after treatment of tuberculosis. Conclusions: PI-IBS was increased in patients with severe intestinal tuberculosis by colonoscopy. Serotonin-containing EC cells were increased in patients with intestinal tuberculosis. (Intest Res 2005;3:55-60)

      • KCI등재

        부르디외와 라투르의 대질과 수정: 사회과학 지식체계에서 장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김동일 ( Dong Il Kim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18 No.2

        부르디외는 주관주의와 객관주의를 비판적으로 종합함으로써, 동시대 사회과학의 지식생산과 축적과정에서 참조할 만한 중요한 성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부르디외의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장 개념은 그것의 성과와 장점뿐 아니라, 몇 가지 한계들을 노정하고 있으며, 사회과학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다. 연구자는 이점들에 대한 비판과 수정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장-아비튀스 개념을 사회과학의 지식생산체제에 적용하려는 부르디외의 성찰적 사회학의 가능성 역시 일종의 규범적인 요구(normative requirement)에 불과할 수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첫째, 부르디외는 장의 자율성을 이념형적으로 규정하는 반면, 그것의 자율성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차별성에 관해서는 달리 고려하지 않고 있다. 둘째, 부르디외는 장의 자율성에 지나치게 경도한 나머지, 장과 장들, 장과 사회공간 사이의 상동성의 테제에 관해서는 차별적인 설명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셋째, 부르디외는 실천을 장내 위치와 관련시킴으로써, 장의 자율성에 상응하는 실천이론을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다. 연구자는 논문에서, 부르디외의 아비튀스와 장 개념의 기본내용과 사회과학 자체에 대한 성찰적 함의를 검토하고, 그의 장이론이 갖는 몇 가지 한계들을 논증할 것이다. 아울러, 부르디외의 장 개념이 갖는 한계를 부르노 라투르의 `이해관계번역`(translation of interests) 개념과 대질시킴으로써 부르디외 뿐 아니라, 라투르의 이론에 내재된 한계 또한 우회하는 또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부르디외와 라투르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정하는 작업은, 부르디외 사회학의 정점에서 핵심적인 실천과제 가운데 하나였던 사회과학 장 자체의 자율성을 제고하는 과정에도 나름의 긍정적인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Pierre Bourdieu, a French sociologist, brought meaningful, important outcome to which can be referred, by critically synthesizing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in procedure of producing and accumulating knowledge of contemporary social science. But, I think that there are not only productive outcome and strength, but also some serious limitations in Bourdieu`s concept of `field`, and these could be obstacles in achieving autonomy of social science, if not treated carefully. I will argue in this paper that without criticizing and revising these limits in Bourdieu`s social theory, Bourdieu`s attempt of reflexive sociology that tries to apply the conceptual combination of field and habitus to system of production in social science could become no more than an `normative` requirement at most. First, almost every case, Bourdieu supposes autonomy of field as ideal level, but doesn`t consider the concrete differences among different sub fields. Second, Bourdieu does not develop further explanation on homology thesis between a certain field and other fields, and social spaces, but gives his theoretical energy excessively to explaining and investigating the autonomy of field. Third, Bourdieu does not develop theory of practice corresponding to autonomy of field by relating practice to the position of actors in field. I will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cepts habitus-field and reflexive sociology on social science itself, and argue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Bourdiue`s social theory. In this course, I will introduce another French sociologist of science Bruno Latour`s `translation of interests` and confront it with the limit of Bourdieu`s field theory. In doing so, I will try to find another way to detour the limitations of not only Bourdieu but also Latour. This attempt to examine critically and remodify mutually both Bourdieu and Latour can provide the positive possibility in the procedure of trying to increase the autonomy of social science field that is one of the key subjects in Bourdieu`s reflexive sociology.

      • KCI등재

        장이론(Field theory)의 자본 개념을 이용한 중국 우한(武漢) 홍강성(紅鋼城) 주거 공간 변천 연구

        묘장,윤재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4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10 No.6

        본 논문은 우한(武漢) 홍강성(紅鋼城)을 사례로 하여 주거 공간의 변천 과정을 탐구하였다. 계획 경제에서 시장 경제로 전환되면서 홍강성(紅鋼城)의 주거 공간은 여러 역사적 단계를 거치며 변천하였다. 본 연구는 장이론을 채택하고 사회자본, 경제 자본, 문화자본 등의 자본 개념을 결합하여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자본이 홍강성(紅鋼城)의 주거 공간 형태에 어떻게 작용하였는지 분석하였다. 홍강성(紅鋼城)의 시기별 주거 공간 유형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공간 변화에 있어 자본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첫째, 장이론, 장과 자본의 관계, 장의 특징에 대해 연구하고 장이론과 공간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선정된 사례를 바탕으로 시기별 주거 유형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셋째, 장의 성격, 장의 구조, 장의 특징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사례를 분석하였다. 셋째, 장의 성격, 장의 구조, 장의 특징 등 세 가지 관점에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우한(武漢) 홍강성(紅鋼城)의 공간구조 진화는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 발전 궤적은 장 구조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akes Wuhan Honggangcheng as a case study to explore the evolution process of its complex residential space. From a planned economy to a market economy, the residential space of Honggangcheng has experienced changes in many historical stages. Based on the field theory and the multiple capital concepts of social capital,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etc. This paper analyzes how these different types of capital affect the residential space in Honggangcheng. The in-depth analysis of the residential space types of Honggangcheng in different periods reveals the role mechanism of field capital in spatial changes. First, this paper studies field theory,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and capital, and field characteristics. It also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eld theory and space. Secondly, according to the selected cases, it sorts out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eriods of residential types. Then, from the three aspects of the nature of the field, the structure of the fiel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the case is analyzed.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spatial structure evolution of Honggangcheng in Wuhan, China, is jointly influenced by the economic capital, the cultural capital, and the social capital, and its development track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 in field structure.

      • KCI등재

        대학생의 브랜드화장품 판매직에 관한 직업 인식 및 이해

        최윤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미용 화장품 분야의 새로운 직군인 브랜드화장품 판매직의 직업적 인식과 이해와 관련하여 24개 문항을 설문 조사하였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을 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화장품 판매직은 조사대상의 40% 이상이 좋은 이미지로 인식하였고, 직업 인식의 경우 46.9% 가 호의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의 42.9%가 직업적 안정성이 가장 부족하며 꿈의 실현을 할 수없을 거라고 여겼 고 36% 이상이 미래 성장성이 없는 직업으로 인식하였다. 사 회적 지위 인식은 34.4%가 낮은 것으로, 57.3%가 전문성을 요구하는 직업으로 인식하였다. 하루 평균 8시간 이상의 근무 와 20대 중 후반에 어울리는 직종이라 여겼으며 노동의 강도 가 강하며 직무 만족도는 보통인 직업으로 느끼는 비율이 가 장 높았다. 업무상 불만족 요소는 고객 응대의 부담감이며, 직무 만족이 높은 이유는 쾌적한 환경에서의 근무로 조사되 었다. 그러나 대다수가 휴일과 휴식 시설이 부족할 것이라 여 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시작으로 브랜드화 장품 판매직의 직업적 인식이 사회적으로 향상될 필요가 있 으며 미용기술 외에 화장품의 이해와 브랜드의 특성, 감정노 동 등의 교과목 개발과 적용으로 새로운 직군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기관의 변화가 필요하다. 향후 본 연구 를 시작으로 새로운 직업군인 브랜드화장품 판매 직종의 근 무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92 university students on 24 questions regarding the pro fessional guidance and understanding of branded cosmeti cs sales staff, which is a new direct connection in the fiel d of beauty and cosmetic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 ysis and cross-sectional analysis. gone. As a result, it wa s investigated that more than 40% of the university stude nts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had a good image of a brand cosmetics salesperson, and 46.9% had a good ima ge of vocational guidance. 42.9% thought that their drea ms could not be realized due to lack of vocational stabilit y, and more than 36% recognized that they were professi ons with no potential for future growth. Social status rec ognition was as low as 34.4%, and occupational recogniti on requiring specialization was 57.3%. Also,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daily working hours is 8 hours or more, it is evaluated that it has a strong labor force in a profess ion suitable for the mid to late 20s. The cause of the com plaint was the burden of customer service, and we invest igated the reasons for high vocational satisfaction in a co mfortable environment. However, I knew that most peopl e had a negative perspective that there were no holidays or rest facilit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vocational awareness of brand cosmetics sales staff in thi s research, and in addition to beauty technology, stable a daptation to sales staff and work through the developmen t and adaptation of education on understanding cosmetic s, brand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labor. I hope it hel ps to improve the environment.

      • KCI등재

        <장자못> 전설과의 비교를 통해서 본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과 신화적 의미

        정제호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7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6 No.-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mythic meaning through the depiction of characters in a shaman song, <Jangjapuli>. In this study, the song is compared with <Jangjamot> passed down as a myth in order to analyze mythic meaning of <Jangjapuli>. Narrative structure in the introduction is analogous between the two pieces. However, the two pieces proceed separatively toward different endings as a result of Daughter-in-law's choices concerning salvation for a monk. The difference is decisive factor for figuring out the meaning of <Jangjapuli>. Daughter-in-low in <Jangjapuli> is not just a facilitator. She foresees Jangja's death, practices hospitality to messengers of death, and overcomes critical situations with her wisdom. This Daughter-in-low's conduct could not be considered an ordinary person and is dissimilar to Daughter-in-low in <Jangjamot>. Nevertheless, Daughter-in-low in <Jangjapuli> is not considered divine and not assigned holy duty. That is because she behaves as a middleman at home, in demonstrating abilities and between God and hum ans. Especially, she arbitrates in disputes between God and humans by practicing hospitality to God and consoling humans who are in crisis of death. In addition, she behaves as a middleman consistently, as a result, she cannot be considered as divine. However, she is analogous to a shaman. She presents the sense of afterlife and builds a chamber for comforting humans by connecting with God. In this context, <Jangjapuli> generates its own mythological world view as a shaman song by the depiction of charact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oint of <Jangjapuli> is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death angels. The characteristics appear clear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angja as a human, Daughter-in-law as a middleman, and God as death angels. 본고는 <장자풀이>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이 무가가 갖는 신화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장자풀이>가 갖는 신화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전설로 전승되는 <장자못>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장자못> 전설과 <장자풀이>는 초반부 서사를 거의 동일하게 가져간다. 하지만 도승의 구원 시도에 대한 며느리의 선택에서 두 작품은 엇갈리며 서로 다른 결말을 향해 달려가게 된다. 이렇게 <장자풀이>가 초반부를 <장자못> 전설과 유사하게 가져가면서도 며느리의 선택을 통해 후반부를 다르게 가져가는 것은 작품이 갖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지점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단순한 조력자가 아니다. 장자의 죽음을 정확하게 예견하고, 굿을 열어 저승차사들을 대접하고, 다시 장자를 잡으러 온 차사들로 인한 위기를 지혜로써 극복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며느리의 모습은 범인으로 평가할 수 없는 모습으로, <장자못>의 며느리와도 큰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그럼에도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신으로 좌정하거나, 신직을 받는 인물이 아니다. 이렇게 <장자풀이>의 며느리가 신격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은 그녀가 계속해서 ‘중간자’로 위치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며느리는 세 가지 층위, 바로 ‘집안 내에서’, ‘능력을 발휘함에서’, ‘인간과 신의 관계에서’ 중간자로 위치한다. 이러한 며느리의 위치는 인간과 신을 중재하는 인물로서 자리하기 때문에 중간자로 볼 수 있다. 죽음의 위기에 처한 인간을 위로하고, 인간에게 죽음을 내리는 신을 대접하여 양자 간의 상생을 이끌어내는 인물이 바로 며느리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장자풀이>의 며느리는 계속해서 ‘중간자’로 존재하기 때문에 신격으로 좌정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하지만 이런 며느리의 모습은 신과 인간을 대리하고 중계하는 무당들의 모습과 닮아 있다. 무당들은 <장자풀이>의 며느리를 통해 자신들의 존재를 투영하고, 무가 안에서 활약하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저승에 대한 관념을 제시하고, 그 안에서 신과 연결될 수 있는 자신들의 모습을 제시함으로써, 굿에 참여한 인간들을 위로 할 수 있는 지점들을 만들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장자풀이>는 며느리의 인물 형상화 방식을 통해 하나의 무가로서 갖는 신화적 세계관을 만들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한다면, <장자풀이>는 장자도 며느리도 신이 아닌 존재가 된다. 이렇게 신이 아닌 등장인물들이 제시될 수 있는 것은 <장자풀이>가 갖는 가장 중요한 지점이 바로 ‘명관’들의 성격을 제시하는 것에 있기 때문이다. 즉, <장자풀이>의 중심은 바로 저승차사와 같은 명관들이라는 것이다. 때문에 장자 등에 초점을 맞춰 <장자풀이>의 신성성을 약하게 평가한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오히려 <장자풀이>는 인간인 장자, 중간자인 며느리, 신인 저승차사의 관계 속에서 명관들의 성격을 제시하는 무가로서의 기능을 명확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를 통해 장자, 며느리의 인물 특성이 보다 분명하게 제시됨으로써 <장자풀이>가 명관들의 성격을 풀어주는 무가로서의 성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