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엇모리장단 지도 방안 연구-혼소박의 박 개념 형성을 위한 교육적 제언-

        이장원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2

        The honsobak jangdan with coexisting 3-sobak and 2-sobak as common beat has its own unique rhythm structure, an important jangdan type used for overall folk music. Recognizing the necessities to teach honsoebak jangdan in school field, it is suggested to instruct the musical pieces composed of Eotmori jangdan. However, there is no clear solution to the problems caused by jangdan educa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measures necessary for teaching Eotmori jangdan and establish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for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concept of jangdan. First, this study reconsidered the problem with the time signature method for Eotmori jangdan commonly marked as 10/♪. It would be necessary to unify to the time signature of presenting the denominator as a form of sobak composing one beat and the numerator as the number of sobak, based on the theory of sobak just like other jangdan types. Through this, it would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form of sobak through the time signature and include the Eotmori jangdan in a system of four beats. Moreover,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Eotmori jangdan, this study designed a step-by-step learning procedure to distinguish honsobak with the spatial area of Jeonggan. Through the analysis of jangdan patterns, students are ask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composed of irregular beats of 3·2·3·2. After forming the concept of honsobak, students are asked to examine various uses and characteristics of Eotmori jangdan through physical expression and instrumental performance on the janggu and gayageu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a means to understand the traits of Eotmori jangdan composed of honsobak through activities of various field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studies on other honsobak jangdan types used in folk music are actively conducted, thus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nables jangdan instruction in more in-depth areas. 여느박으로 3소박과 2소박이 공존하는 혼소박장단은 고유한 리듬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민속악 전반에 사용되고 있는 중요한 장단이다. 학교 현장에서도 혼소박장단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엇모리장단으로 구성된 악곡을 지도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단 교육 시 야기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명확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엇모리장단 지도를 위해 필요한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장단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체득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먼저 10/♪으로 통용되는 엇모리장단의 박자 표기 방식의 문제점을 재고했다. 다른 장단과 같이 소박론에 의하여 분모는 1박을 이루는 소박의 형태, 분자는 소박의 개수로 제시하는 박자 표기 방식으로 통일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하여 박자표로 소박의 구성 형태를 파악하고 4박의 박 체계에 엇모리장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더불어 엇모리장단의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 혼소박을 정간의 공간 면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단계별 학습 설계 절차를 고안했다. 장단꼴 분석을 통하여 3·2·3·2의 불균등박으로 이루어진 장단의 특징을 이해하도록 했다. 혼소박의 개념을 올바르게 형성한 이후에는 신체표현과 장구, 가야금의 악기 연주를 통하여 엇모리장단의 다양한 쓰임과 특징을 체득하고 조사해 보도록 했다. 본 연구는 혼소박으로 구성된 엇모리장단의 특징을 다양한 영역의 활동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방편을 마련했다는 데 의의를 들 수 있다. 앞으로 엇모리장단 외에도 민속악에서 쓰이고 있는 다양한 혼소박장단에 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서 보다 세부적인 영역의 장단 지도가 가능한 교육 여건이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梅花點式 長短記譜法 硏究

        김영운 한국국악학회 2011 한국음악연구 Vol.50 No.-

        ‘매화점장단’은 장우벽(張友璧, 1735~1809)이 고안한 것으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악곡인 가곡(歌曲)의 장단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가곡 장단은 한 장단이 10점 16박이며, 3+3+2+3+3+2박으로 구성되었다. 가곡의 주된 연주가 계층인 가객들에게 이 장단은 그리 어려운 것이 아니었으나, 가곡을처음 배우는 비전문가 초보자에게는 비교적 어려운 장단이었다. 따라서 ‘매화점장단’은 복잡한 10점 16박 한 장단을 그 절반인 5점 8박 단위의 규칙적인 장단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매화점장단은 다섯 개의 작은 원과 이를 연결한 직선으로 표기되는데, 검은 원은 음점이고, 흰 원은양점이 된다. 이 매화점당단이 가곡 한 장단의 절반에 해당된다는 점은 장사훈박사에 의하여 오래 전에밝혀졌다. 그러나 매화점장단처럼 음점과 양점으로 가곡 한 곡 전체의 장단을 표기하고 있는 『가곡원류』(1876)의 <장고장단점수배포>의 장단표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이 연구는 매화점장단처럼 음점과 양점을 활용하여 가곡의 장단을 표기하는 기보법을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이라 부르고자 하며, 몇몇 고악보에서 발견되는 이 기보방법을 소개하고, 악보에 따라 다르게표기된 장단의 해석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이 처음 사용된 『가곡원류』 <장고장단점수배포>의 장단 해석 방법을 찾아보고, 『가곡원류』의 이본 중에서 이 기보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채로 옮겨 적는 과정에서 생긴 일부 오류를 지적하였다. 『가곡원류』 이후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은 시조의 장단을 표기하기 위하여 활용되기도 하였는데, 시조장단 역시 『가곡원류』의 가곡 장단처럼 전곡의 장단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곡원류』의 이본중 하나인 『청구영언(하합본 가곡원류)』에서는 가사 장단을 표기하기 위하여 활용되었고, 19세기 말경의 악보인 『서금가곡』에서는 기악곡인 영산회상의 장단을, 그리고 20세기 초의 가야금악보인 『동국대학교 소장 율보』(1921)에서는 산조의 장단을 이 기보법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이같은 점으로 보아 매화점식 장단기보법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반세기 가량 일부 악보에서 성악곡과 기악곡의 장단을 기보하기 위하여 사용된 독특한 기보법임을 알 수 있었다. Devised by Jang Woo-byeok (1735-1809) maehwajeom (apricot-stroke) jangdan is used to notate the jangdan (rhythmic patterns) of Gagok, a genre of vocal music representative of the late Joseon period. One rhythmic cycle of Gagok with 16 beats is made up of the complex structure of 3+3+2+3+3+2 beats. Such Gagok jangdan was not so much difficult for the gagaek, the main performing group of Gagok. However, the compound beat structure of Gagok jangdan was a great obstacle for beginning amateur learners. The system of maehwajeom jangdan was designed to help people to easily understand the 16-beat rhythmic pattern as a repetition of eight beats. The maehwajeom jangdan consists of five small circles and straight lines that connect them. Black circles represent yin and white ones yang. It has long been proved by the late Dr. Jang Sa-hun that one cycle of maehwajeom jangdan corresponds with half cycle of Gagok jangdan,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to interpret the rhythmic pattern of Gagok Wollyu (1876) where the entire rhythmic pattern of Gagok is illustrated with yin and yang circles In this paper I term the method of notation which employs yin and yang circles to describe Gagok jangdan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since the system is adopting the ‘maehwajeom notation system’. Then I introduce and interpret some examples of using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found in old notation book(goakbo). To this end, I first analyzed the notations in this system written in Gagok Wollyu, the first book to use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and I have discovered that various copies of the book simply copied this notation without adequate understanding. Since Gagok Wollyu, this ‘maehwajeom style jangdan system’ has been applied not only to Gagok, but also to Sijo. The entire rhythmic pattern of Sijo has been described as it was for Gagok in Gagok Wollyu. Moreover, the system was used to notate the rhythmic pattern of Gasa in one of the copies of Gagok Wollyu. In Seogeum Gagok, a music book of the late 19th century,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is used for the Yeongsan Hoesang, an instrumental suite. Yulbo in the Possession of Dongguk University, an early 20th-century music book for gayageum, even notated the rhythmic patterns of Sanjo using this system. Based on the above founding,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significations of the ‘maehwajeom style jangdan notation system’ as a ‘unique and effective’ notation system adopted to notate the rhythmic patterns of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in many old notation books for nearly half a century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 KCI등재

        한국 자연동요 수행에서 장단 주기 박자구조 생성론

        이보형(Lee Bo hyung)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8 No.-

        인간의 음악 수행능력에 의하여 음악이 먼저 생성되고 이것을 체계화한 것이 음악문법체계라 하는 것이 옳다면 음악의 장단 주기 박자는 음악수행에서 어떻게 생성되었겠는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수행에서 장단 주기 박자구조가 어떻게 생성되는가 하는 것을 한국의 자연동요 수행에서 풀어봤다. 필자는 이미 장단 주기를 박자로 적는 것을 장단 주기 박자 라 이르고, 장단 주기로 생성되는 박자의 계층적 집합구조를 주려서 박자 구조 라 이르고,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음악의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의 계층적 집합구조를 장단 리듬 통사구조(統辭構造) 라 이르고, 이 장단 리듬 통사구조가 어떻게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가를 푸는 장단 리듬 통사론 이라는 이론을 밝힌 바 있다. 다시 말해서 음악이 수행 되면서 장단 주기 박자구조라는 음악문법체계가 만들어지는 생성원리가 장단 리듬 통사론 인 것이다. 필자가 이미 밝힌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장단 리듬 통사적 생성 원리는 일정한 세(勢)와 길이를 생성하는 음이 2~3개가 집합하여 최소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 유형 이 구성되는데 이 구성성분을 주려서 리듬소(素) 라 일렀다. 이런 세(勢 액슨트)와 길이를 생성하는 리듬소가 2~3개가 집합하여 장단 주기보다 작은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 유형 이 구성되는데 이 구성성분을 주려서 소(小)리듬형 이라 일렀다. 이런 세와 길이 를 생성하는 소리듬형 이 2 ~ 3개가 집합하여 여느(보통) 장단 주기 리듬 통사적 구성성분 유형 이 구성되는데 이 구성성분을 주려서 여느(보통)리듬형 라 일렀다. 이 여느리듬형 이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이와 같이 음악 수행에서 박자구조를 생성 원리가 바로 필자가 이미 밝힌 음악의 장단리듬 통사구조가 장단 주기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원리 그것이다. 그러므로 음악 수행에서 박자구조라는 음악분법체계를 생성하는 원리는 이미 밝혀진 셈이다. 그러나 호택 전통음악에서 중중모리 장단이 느려져서 중모리 장단이 이루진다든가, 중중모리 장단 빨라져 닷모리가 이뤄진다든가, 세영산 장단이 느려져 상영산 장단이 이뤄진다든지 하는 것처럼 기왕에 이뤄진 장단 리듬 통사구조가 전이되어 다른 박자구조를 생성하는 장단 리듬 통사구조가 이뤄지기도 하므로 본 논문에서는 기왕에 이뤄진 장단이 어떻게 전이되어 다른 장단리듬 통사구조가 이뤄지는지는 원리를 살핀 것이다. 기왕에 이뤄진 장단 리듬 통사구조에서 구성음의 각 층위 박뿐만 아니라 리듬소-소리듬형-여느리듬 등 각 층위 통시축 구성성분이 연장-확대, 단축-촉소, 팽창-확대 , 수축축소와 같은 전이를 일으켜 다른 리듬 통사구조가 이뤄지는데 이렇게 장단끼리는 1차 전이되는 1차관계 뿐만 아니라 원근관계에 따라 2차관계 3차관계가 이뤄진다는 밝힌 것이다. How is the musical grammar of a music generated? Men do not perform music according to the subscribed musical grammar, if the music is a traditional children s song. Rather, the musical grammar is a systemized unit of music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men s musical competence. Then, what is the musical performance model that generates the musical grammar of the music? I believe that the musical performance model that generates the musical grammar in Korean traditional children s song lies in jangdan, or rhythmic cycle. The jangdan is commonly recognized as the drumming pattern in Korea. However, it is a constituent of musical form composed of two rhythmic meters. There are three hierarchical meters in the system of jangdan in Korean children s songs. The rhythmic meters are distinguished one from the other due to the different levels of additive rhythms in the melody of a song. The basic meter of among the hierarchy is the small beat, or sobak. The next level is the common beat, or botong bak, which is recognized as the common beat for Koreans to count the rhythm in a song. The highest level is the large beat, or daebak. In Korea, the rhythmic cycle consists of four beats (or common beat) of triple (small) meter (12/8 in Western notational system) is the most common one. This kind of rhythm is found in Indian or Middle Eastern music. The neighboring cultures, China and Japan for instance, mostly exhibit the rhythm of four beats (or common beat) of duple (small) meter (4/4 in Westem notational system). There are many jangdan consisting of a variety of meters in Korean music. I reconfirmed that they get to have tones with durations and accents different from each other depending on the elements of rhythmic syntax such as a basic unit of rhythm, small rhythm type, common rhythm type in jangdan.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usical grammar of beat is not autonomously formed but is generated in the performance of music in terms of the constituent elements of rhythmic syntax structure of jangdan.

      • KCI등재

        장단의 세(勢) 지도에 관한 연구 - 민요 제재곡을 중심으로

        이성화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2

        한국음악을 구성하는 토대가 되는 장단은 박을 짚어주는 것 뿐 아니라, 박(拍), 세(勢), 한배 등이 포함된 복합적 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단은 고정된 장단 가락에 얽매이지 않고, 각 노래, 춤, 연주의 흐름에 따라 장단 가락을 적절히 변화시키며 연주하는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현재 7차 교육과정의 음약교과서에 수록된 국 악 제재곡을 살펴보면 대부분 천편일률적인 장단의 세를 제시하고 있다. 또 현행 교과서에 수록된 대부분의 국 악 제재곡은 오선보와 서양음악의 박자체계를 빌려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기보법에서 장단은 마치 서양 음악의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리듬 체계를 대신하는 요소로 여겨지며, 현장에서는 익곡의 흐름이나 선율선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의미한 반복을 요구하는 장단의 세를 학습하게 된다. 이러한 학습으로 인해 리듬체계를 표 현하는 장단의 부분적인 역할이 장단역할의 전부인 것으로 잘못 이해하게 하며, 나아가 장단의 총체적 역할을 왜곡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제재곡의 ‘장단 세’를 살펴 그 문제점을 지적하 고,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올바른 장단의 세 지도를 위한 교수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장단은 박자 이상의 개념으로 악곡의 가사와 선율선 등에 따라 악곡에 어울리는 다양한 장단의 세를 필요 로 한다. 둘째, 제재곡은 그 곡에 알맞은 기본 장단을 제시하지만, 가사의 말붙임새에 따라 변형장단이 필요하며, 이때 장 단의 구성요소인 장단의 세도 달라져야 한다. 셋째, 12박 장단을 3박자의 네 마디로 기보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장단의 총체적 특징이나 악곡에서의 역 할을 고려할 때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넷째, 제재독에 따라 지정된 장단이 하나 이상일 경우, 단지 박이 맞는다고 해서 각각의 장단을 붙여 사용하는 것은 옳지 못하며 이럴 경우 각각의 경우에 좀 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학습내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장단의 세는 기존에도 학교 현장에서 다뤄왔고, 교과서에 수록된 악곡에도 나타나 있지만 학습 면에서 체계적이 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우리 음악에서 장단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만큼 장단의 구체적인 요소들의 구체적인 학습방법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우리 음악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는 장단학습이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 이다. Jangdan includes the beats, Se(勢, accent), phrasing, tempo, and rhythm pattern foundational to Korean music. Even though these characteristics of jangdan are essential to the Se of jangdan, Korean music scores in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represent the Se of jangdan as monotonous. From these scores, jangdan appears to mimic the regular, repetitive rhythm system of the Western music. The resulting misunderstanding of jangdan means that students are deprived of a true appreciation of the Se of jangdan. The simplified, Westernized portrayal of the rhythm system unfortunately distorts the whole concept of jangdan. To remedy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four strategies for a more authentic presentation of the Se of jangdan of Korean folk songs. First, the study recommends the presentation of a melody and text of song, dance or music as opposed to a fixed form of jangdan. Second, the study proposes the presentation of both the standard as well as transformed jangdan with the various Se of jangdan, since they can be transformed by the beat or text of a song. Third, the study asserts that although a 12 beat jangdan can be divided into four units of 3 beats, this division is not desirable as it distorts essential musical characteristics. Fourth, the study maintains that if a song has more than one jangdan, each jangdan should be approached separately in detail. In summar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various Se of jangdan should be appreciated according to the flow of songs, not just the rhythm system. As a result of the proposed approaches, jangdan can be more correctly understood by students as the core concept of Korean music.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굿거리장단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이상규,조수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2 국악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teaching the gutgeori jangdan shown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examined the problems of gutgeori jangdan teach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mprovement plans based on i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contents of the gutgeori jangdan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or each of the 8 publisher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utgeori jangdan is mainly introduced in the sixth grade course in the form of jeongganbo including janggu marks, gueum, and accents and appears four times on average for each publisher based on the unit or song materials. Also, it was found that the gutgeori jangdan mainly appeared in the form of accompaniment to vocal songs, and activities such as singing along with the gutgeori jangdan or singing while playing the gutgeori jangdan are mainly suggested Next, the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in teaching the gutgoeri jangdan such as lack of exposure to the gutgeori jangdan, inconsistency between gueum and actual notation, insufficient explanation of special playing techniques and lack of activities, lack of activities in various jangdan forms, and incompatible accent marks. Finally, as a way to improve these, the contents of the gutgeori jangdan and the teaching method were presented respectively. Improvement plans for the gutgeori jangdan contents include rearrangement of the gutgeori jangdan contents by grade level, notation faithful to the technique of rolling a stick, and changing gueum of the technique of rolling a stick. Improvement plans for teaching the gutgeori jangdan include teaching gutgeori jangdan variations, step-by-step instruction of the technique of rolling a stick, and effective teaching of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effective teaching of gutgeori jangd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n-depth follow-up research will continue. 이 논문은 초등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굿거리장단 지도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초등학생 대상 굿거리장단 지도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8종 출판사별 초등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굿거리장단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굿거리장단은 주로 6학년 과정에서 장구 부호와 구음, 강세 등이 포함된 정간보 형태로 소개되고 있으며, 단원이나 제재곡 기준으로 출판사별 평균 4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굿거리장단은 가창제재곡의 반주 형태로 주로 등장하고,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거나 굿거리장단을 치면서 노래 부르는 활동이 주로 제시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굿거리장단 노출 빈도 절대적 부족, 구음과 실제 악보의 표기 불일치 문제, 특수 주법 설명 미흡과 활동 부족, 다양한 장단꼴 활동 부족, 호환성 부족의 강세 표시 등을 굿거리장단 지도의 문제점으로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굿거리장단의 내용과 지도 방안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굿거리장단 내용의 개선방안으로 굿거리장단 지도내용의 학년별 재배치, 주법에 충실한 채굴리기 주법 표기, 채굴림 구음 변경을 제안하였고, 굿거리장단 지도의 개선방안으로 다양한 굿거리장단꼴 지도, 채굴림 주법의 단계적 지도, 효과적인 특별 주법 지도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초등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굿거리장단 지도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심도있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악 제재곡 중 동일 악곡에 두 가지 장단 사용에 관한 연구

        변미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7 국악교육연구 Vol.1 No.1

        국악곡을 지도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반드시 장단을 파악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교과서 제재곡에 표기된 장단명은 국악곡을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대상이다. 그런데, 교과서별로 통일 곡 에서 장단명을 다르게 표기하고 있어서,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통일 곡에서 다른 이름의 장단을 사용할 경우, 장단명만 다를 뿐 같은 장단형인지, 잘못 표기된 장단명인지에 대한의문이 제 기된다.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볶는 타령(자진 타령)과 자진모리 두 가지 장단으로 모두 설명되고 있는 ‘경복궁 타령’, ‘군밤타령’, ‘자진 방아타령’, ‘궁초댕기’, ‘통영 개타령’과 자진모 리 장단으로만 설명된 ‘쾌지나 칭칭나네’, ‘자진 강강술래’, ‘청어 엮기’, ‘고사리 꺾자’, ‘둥당애 타령’ 익곡의 한배, 사설 붙임새, 장단형 등의 비교를 통하여 각 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악곡과 장단과의 관련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볶는 타령(자진타령)과 자진모리 장단은 한 배와 한 장단의 박 수는 같으나 사설 붙임새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좀 더 많은 분석 대상 악곡을 선정하지 못한 점이며 각 장단마다의 한배 기준 및 사설 붙임새에 대 한 세밀한 분석이 미흡하다고 본다. 아직까지 학교 현장의 국악교육은 시작에 불과하다. 우리음악의 참 모습을 찾고 이해하기 위해서 는 장단 교육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요구된다. It is one of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eaching Korean Music to understand Jangdan necessarily. That is to say, the name of Jangdan indicated in a Korean musical piece in textbook is the first teaching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work. In that point we need to explain the reason why we write down two kinds of name of Jangdan for same musical piece in textbooks. In this cas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y are same types of Jangdanhyeong in spite of different names or one of them is incorre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look into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in each case by comparing Hanbae(tempo), Saseolbuchimsae(attachment of words), Jangdanhyeong in Korean musical pieces in textbooks and to clarify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piece and Jangdan. Subjects for examination are 'gyeongbokgungtaryeong', 'gunbam-taryeong', 'jajin- angataryeong', 'gungchodaenggi', 'tongyeong-gaetaryeong' which are called boggneun taryeong(jajintaryeong) jangdan or jajinmori-jangdan, and 'kwaejinachingchingnane', 'jajin- ganggangsullae', 'cheongeoyeokgi', 'gosarikkeokgi', 'dungdangae-taryeong' which are only called jajinmori jangdan in textbooks of grade 7 to 10. As a result, I founded that boggneun-taryeong(jajintaryeong) jangdan and jajinmori jangdan have same Hanbae and beats, but they have obvious difference in Saseolbuchimsae. Now, Education of Korean music is in the beginning stage.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continuously how to teach Jangdan in order to retake Korean Music as it really is, and to understand it more deeply.

      • KCI등재

        판소리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희 한국국악학회 2012 한국음악연구 Vol.51 No.-

        장단은 우리음악의 3요소(장단ㆍ선율ㆍ시김새)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장단은 일반형의 박자구조나 리듬형이 일시적으로 재구성된다든가, 어떤 장단이 다른 장단을 일시적으로 내포하는 중첩구조가 쓰일 때가 많다. 그러나 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가 창작에 응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치 않은데다, 기존연구결과들은 창작에 바로 응용하기에는 적합지 못한 면이 있다. 따라서 본고는 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현상이 다양하고 빈번하게 나타나는 대표적 장르인 판소리를대상으로 각 장단의 리듬형이 재구성된 유형을 사설․선율형․리듬형의 세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그구체적 기법을 밝혀 전통어법을 바탕으로 한 창작활동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브리태니커 판소리 다섯바탕 전집 중에서 장단별로 리듬형이 재구성되는 부분을 찾아, 각 유형의대표적 사례를 실음 기준으로 채보 후, 채보 악보를 토대로 가사와 선율, 리듬의 세 가지 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진양조에서는 진양조 2장단이 느린 중중모리 3장단으로 재구성된 예와 진양조 2/3장단이 엇중모리 1장단으로 재구성된 예를 찾을 수 있었다. 중모리에서는 중모리 1장단이 4/4박자로 재구성된 예와 중모리 2장단의 경계에 걸쳐 4/4박자로 재구성된 예, 그리고 중모리 반 장단이 중중모리 1장단 으로 재구성된 예와 중모리 4장단이 불규칙박자로 재구성된 예를 살펴보았다. 중중모리에서는 중중모리3장단이 단위박이 유지되면서 불규칙박자로 재구성된 예와 중중모리 2장단이 중모리 1장단으로 재구성된 예, 그리고 중중모리 2장단이 4/4박자 3마디로 재구성된 예를 살펴보았다. 자진모리에서는 자진모리3장단이 세마치(민요) 4장단으로 재구성된 예와 자진모리 2장단이 중중모리(잦은 중모리) 1장단으로 재구성된 예, 그리고 자진모리 4장단이 휘모리 6장단으로 재구성된 예와 자진모리 3장단이 빠른 진양조(세마치) 1장단과 엇중모리 1.5장단으로 복합적으로 재구성된 예, 또 자진모리 2장단이 불규칙박자로재구성된 예를 살펴보았다. 이는 다시 단위박이 변하지 않고 박자구조만 재구성되는 유형과 단위박이재설정되면서 박자구조와 리듬형까지 재구성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경우는 다시 규칙적 박자로의 재구성과 불규칙 박자로의 재구성으로 나뉠 수 있으며, 규칙적 박자로의 재구성은 다시 균등형 박자로의 재구성과 비균등형 박자로의 재구성으로 나뉠 수 있다. 판소리장단의 리듬형 재구성 원리는 일정한 강약의 주기를 가진 특정 리듬형이 일정한 범위의 빠르기로 계속 반복되는 우리장단의 구조 내에서 통일성 속의 다양성, 일관성 속의 가변성, 안정 속의 변화를 추구하는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우리전통음악에 이미 쓰이고 있는 이러한 뛰어난 기법들이 창작곡에도 널리 응용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며, 본 연구가 전통어법을 바탕으로 창작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다소의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Jangdan or the rhythmic patterns is the most important one of the three factors(jangdan,melody, sigimsa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Korean music, the generalized rhythmic structure or rhythmic forms are often reconstructed, and the reiterated structures in which a certain jangdan temporarily includes some other jangdan are often used. But the researches on the typ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of jangdan have not been made enough to apply in composition and the studies already made are not appropriate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Pansori is the representative genre in which such reconstruction phenomena happen variously and frequently. In this essay, the typ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of pansori is going to be examined in the three viewpoints: text, melodic types and rhythmic forms. That will help to clear the concrete techniqu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and contribute to the composition based on the traditional expressions. From the collection of Britanica Pansori Daseot Batang, the parts in which rhythmic forms are reconstructed were chosen and the representative examples were transcribed at the actual pitch. On the basis of the transcription, text, melody and rhythm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In jinyangjo, two kinds of reconstructed examples are found; ① two jinyangjo jangdan change into three jungjungmori jangdan, ② two thirds of one jinyang jangdan is reconstructed into one eotjungmori jangdan. The reconstructed examples in jungmori jangdan are ① one jungmori jangdan is reconstructed into 4/4 time, ② 12 beats are reconstructed into 4/4 time across the boundary of two neighboring jungmori jangdan, ③a half jungmori jangdan is reconstructed into one jungjungmori jangdan and ③ four jung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irregular time. In jungjungmori, the following examples are examined. ① three jungjung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irregular time maintaining the unit beat, ② two jungjung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one jungmori jangdan, ③ two jungjung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three bars of 4/4 time. The examined examples of jajinmori jangdan are ① three jajin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four semachi jangdan, ② two jajinmori jangdan reconstructed into one jungjungmori jangdan ③ four jajin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six huimori jangdan and ④ compound reconstructions in which three jajin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one fast jinyang jangdan and one and a half eutjungmori jangdan and ⑤ two jajinmori jangdan are reconstructed into irregular rhythm. These reconstructions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n one type, only the beat structure is reconstructed without any change in unit beat. Both the beat structure and the rhythmic forms are reconstructed in the other type. Each can be subdivided into regular and irregular reconstructions. The regular reconstructions can be divided into two, regular forms and irregular forms. The principles of reconstructing the rhythmic forms in pansori jangdan can be very effective means to pursue variety in unity, variability in consistency, and change in stability. I wish these kinds of techniques could be applied in composition, and this essay would be of some help to those who compose on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expressions.

      • KCI등재후보

        장단교육을 위한 연구현황 검토와 연구방향 모색

        장희선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In this research, to realize the value of jangdan education, I paid attention to the changes in education environment after the 7th curriculum and developed discussions for future improvement. I also contemplated precedent jangdan related studies in Gugak education, reviewed trends and problems represented by the discussions on free[脫]-western music viewpoint and free[脫]-goyhung education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its early stage, the nature of Gugak was not studied because of a comprehensive (non-Gugak-specific) curriculum which appeared to be dependent on Western-centric musical interpretation and approach. Research on Jangdan education mainly dealt with it as a supplemental concept biased by the Gohyong-theory[鼓型論]. There has been gradual improvement in jangdan education because of a number of studies which have pointed out problems with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review, the topics of the studies are discussed in relationship to studies which have influenced concepts and components of Jangdan in the curriculum and from the Western music viewpoint. These are studies on hierarchy in the components of Jangdan, musical analysis and discussions supporting quality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of Gugak. Studies on vocal music-centric lyrics and notation, interests in the value of  experience jangdan  by expansion of materials related research. The following are key directions to be examined as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viewpoint and development of a unique approach are required. Second, systemization of a comprehensive Jangdan concept and its components in curriculum is needed. Third, discussion for establishing a hierarchy in Jangdan education is needed. Fourth, discussion on musical analysis and comprehensive Jangdan education is needed. Fifth, in-depth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of lyrics and unification of notation structure is needed. Sixth, discussions on various materials development for more effective jangdan education is needed. I hope that education specialists and resear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angdan amongst the various components from the correct viewpoint of gugak educ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gugak education by researching various and more essential topics and approaches. I also hope this small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ugak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장단교육의 가치를 인식하고자 제7차 교육과정 이후 교육환경의 변화에 주목하고 향후 발전을 위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지금까지의 국악 교육학의 장단관련 선행연구를 주제별로 고찰하여 탈서양리듬 관점의 논의와 탈고형 교육 논의로 대표되는 경향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초기 연구의 경향으로는 포괄적 영역의 관점에서 구성된 교육과정으로 인하여 국악의 본질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서양음악식 해석과 방법론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했으며, 장단교육 연구에서 반주 개념의 고형론에 편중되어 주로 다루어왔다. 점차 이러한 교육환경에 문제를 적시한 연구가 등장함에 따라 점차 장단교육의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논의의 주제를 살펴보면, 교육과정의 장단의 개념과 구성요소의 수립에 영항을 끼친 연구성과와 그에 따른 서양음악의 관점에 의한 논의, 장단요소의 위계성, 악곡분석 및 장단지도 등이 연구의 중심을 이루면서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뒷받침하였으며 성악곡 중심의 노랫말과의 연관성 및 기보법, 제재곡 확대를 통한 장단을 경험하는 가치에 대한 관심 또한 장단관련 연구의 깊이를 더했다. 장단교육에 관련하여 본고에서 고찰, 제시한 연구방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관점의 탈피, 고유한 방법론의 개발이 시급하다. 둘째, 교육과정의 포괄적 장단 개념 및 구성요소의 체계화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장단교육의 위계성 구축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악곡분석 및 포괄적 장단지도를 위한 논의가 요구된다. 다섯째, 노랫말과의 연관성, 기보법 구조의 통일에 대한 심층적 논의가 요구된다. 여섯째, 효과적인 장단교육을 위한 다양한 제재곡 개발의 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 교육전문가와 연구자들이 국악 요소 중 장단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욱 다양하고 본질적인 연구 방법과 주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국악교육이 한 단계 더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음악교육적 활용을 위한 장단의 학습 요소별 특성과 장단별 기보 방식 고찰

        성기련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Jangdan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nd is a major learning element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an authentic manner. Since the 2007 revised curriculum,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jangdan, including Jangdankkol (patterns), Se(accent) of Jangdan, and Hanbae(tempo) of Jangdan, have been selected, and the corresponding teaching and learning take place within the music curriculum.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jangdan on a per-element basis and explored the level and instructional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related to Jangdan that should be taught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In addition, in this paper, to deal with the time signature of Jangdan according to the types of “beat grouping” when transcribing Korean music pieces onto musical staff notation, it is divided into the case of ‘two sub beats’ and ‘three sub beats’ and the case of ‘mixed sub beats’. As a result, to notate Korean music pie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Jangdan, it was recommended to indicate a quarter note in the denominator part for the ‘two sub beats’ type of jangdan and a dotted quarter note in the denominator part for the ‘three sub beats’ type of jangdan. Thus, it was considered most optimal to indicate the type of “beat grouping” of Jangda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the “mixed sub beats Jangdan”, it is most desirable to mark the time signature such as 3+2+3+2/8 and 3+2+3+2/♪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while adhering to the principle of marking the time signature in the staff notation system. 장단은 국악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이며, 국악을 국악답게 가르치기 위한 주요 학습 요소이다. 2007 개정 교육과정 이후 장단과 관련한 학습 요소로 장단꼴, 장단의 세, 장단의 한배 등이 선정되어 관련 교수ㆍ학습이 음악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장단과 관련한 학습 요소의 특성을 요소별로 살펴보고 공교육 현장에서 가르쳐야 하는 장단 관련 음악 교육의 수준과 지도 방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국악 제재곡을 오선보에 기보할 때 ‘박 모음’ 유형에 따른 장단의 박자표 표기 방안을 다루기 위해 2소박 모음 및 3소박 모음의 장단과 혼소박 모음의 장단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악 제재곡을 장단의 특성에 맞게 기보하기 위해서는 2소박 모음 장단인 경우 분모 부분에 사분음표를 제시하고 3소박 모음 장단인 경우와 분모 부분에 점사분음표를 제시하여서, 그 장단이 몇 박 모음의 장단인지를 표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보았다. 또한 혼소박 모음 장단의 경우에는 오선보 기보 박자표 표기의 원칙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국악 제재곡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3+2+3+2/8와 혹은 3+2+3+2/♪의 박자표 표기가 가장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 KCI등재

        한국 전통 성악곡 중 6박 계통 장단의 말붙임새와 교육 활용 방안 -도살풀이, 도드리, 엇중모리장단을 중심으로-

        배인교(Bae, Ihn-gyo)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2 No.-

        이 글에서는 경기도당굿의 도살풀이장단과 정가나 잡가의 도드리장단, 그리고 판소리 엇중모리장단의 말붙임새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전통 성악곡 장르 중 6박 계동 악곡의 특성과 말붙임새의 친연성 및 특장점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초중등 음악교과서 교재 개발 및 가사 창작을 위한 활용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경기도당굿에서 사용하는 도살풀이장단은 6박계통의 장단 중 가장 지역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장단의 구조적 특징은 가사가 2소박2박을 단위로 붙되 마지막 두 박은 채우지 않으며, 노래에서 변화를 줄 경우에는 “2+2소박/2+2소박//2+2소박”의 구조를 도살풀이춤에서 혼용하는 “3+3소박//3+3소박”의 자진굿거리로 바꾸어 강세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노래에 집중하게 하거나 단조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도살풀이장단의 말붙임새를 유지하였다. 3소박6박의 도드리장단으로 부르는 12가사과 12잡가는 대체로 4 · 4조의 노래말을 2장단에 배치하되 1∼6장단까지 다양하게 붙여 부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박을 늘려 붙여놓았다 하더라도 말붙임새는 3박+3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혹 3+3박의 말붙임새에서 벗어나 2+2+2박으로 변화를 준 경우도 있으나 박을 늘리는 것에 집중한 결과 말붙임새의 변화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엇중모리의 말붙임새는 기본적으로 3+3박이다. 그러나 살펴본 판소리 마무리 대목에서는 2+2+2박의 말붙임새가 많이 쓰였다. 그리고 3+3박의 말붙임새를 쓰는 경우에도 “2+2+2소박//2+2+2소박”이 아닌 “3+3소박//3+3소박”의 3소박4박자 형태가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박 위주의 국악 교육에서 나아가 6박 계통 장단 악곡의 이해를 통해 전통음악의 다양한 박자와 말붙임새를 이해하고 음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In this article, by examining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of the dosalpuri jangdan(rhythmic pattern), the dodri jangdan of the Jeongga and Japga, and the eotjungmori jangdan of the Pansori,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m, the characteristics of 6-bak(beat) rhydmic pattern song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genres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I proposed a plan to use it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 creation of lyrics. The dosalpuri jangdan used in Gyeonggi Dodanggut is said to have the strongest locality among the 6-beat rhythm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is rhythm is that the lyrics are added in units of 2 sobak(small beat) and 2 bak(beat), but the last two beats are not filled i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2+2+2+2+2+2” to the structure of “3+3+3+3”, the position of the stress was changed to focus on the song or reduce monotony. In the 12 Gasa and 12 Japga sung in Dodri-jangdan, 4 and 4 song words are usually arranged in 2 jangdans, but you can see that they are sung in various ways up to 6 jangdans. Also, there are cases where a change was made from 3+3 beats to 2+2+2 beats, but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on increasing the bea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a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phrasing. Eotjungmori used in pansori is basically 3+3 beats. However, in the closing part of the pansori we looked at, the lyrics were often used in the form of 2+2+2 beats. And even when using the 3+3 bak of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you can see that the 3 sobak 4 beat form of “3+3 sobak//3+3 sobak” is used instead of “2+2+2 sobak//2+2+2 sobak” This understanding of 6-beat rhythmic music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entered on 4-beat music. It will be important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various beats and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of Korean mus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