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윤정호(Jeong-Ho Youn),이재필(Jae-Pil Lee),김두환(Doo-Hwan Kim)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1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생산 특허 기술과 국내 잔디생산 특허기술의 산업화 사례를 소개하여 특허기술의 권리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48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기술의 사업화 사례는 특허등록번호 제 434389 호(다용도파종장치)와 제 478194 호(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잔디 특허 검색대상은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잔디 특허 생산기술은 합성수지로된 플라스틱 필름 이용한 방법과 천연수지를 이용한 방법 있으며, 국외는 합성수지를 깐 후 상토층의 구성과 배합비율에 관한 내용으로 조사되었다. 2. 특허 등록된 다용도파종장치는 모래, 토양개량제, 비료, 농약 및 종자의 균일한 혼합뿐만 아니라 일시에 혼합토를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영양번식 하는 지피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상토와 혼합하여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특허 등록된 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은 용도별(스포츠용, 조경용, 옥상용) 적합 상토의 조합 및 배합비율을 제시하였다. 조합 및 배합비율은 입자 직경이 0.002~2.0㎜인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50~90%, 펄라이트가 3~40%, 토탄이 1.5~20%, 피트모스가 1.5~20%, 버미큘라이트가 2~25%, 제오라이트가 1~20% 및 숯이 1~20% 내외의 비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잔디 관련 원천 특허기술은 주로 국외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특허 출원의 목적은 판매나 계약의 수단, 벤처기업 확인, 정부의 정책적 금융적 중소기업 지원 혜택을 기대하면서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성, 독창성 및 사업성이 높은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 couple of commercialized patented technologies in the area of turfgrass production. All sod production related pate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Dec. 20, 1948 to Dec. 30, 2005 were reviewed. Details of two patents (patent No. 0434389 and 0478194) were inclu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e of the domestic patents on sod production was the technique using natural and plastic films. Information on topsoil mixtures was also reviewed form foreign patents. 2. Patented multi-purpose sowing equipment can evenly mix soil, sand, fertilizer and other soil conditioners with seed, stolon and rhizome of turfgrass. 3. Patent on cool-season turfgrass sod production provide topsoil mixture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for sports field, landscape area and roof garden.

      •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윤정호,이재필,김두환,Youn, Jeong-Ho,Lee, Jae-Pil,Kim, Doo-Hwan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생산 특허 기술과 국내 잔디생산 특허기술의 산업화 사례를 소개하여 특허기술의 권리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48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기술의 사업화 사례는 특허등록번호 제 434389 호(다용도파종장치)와 제 478194 호(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잔디 특허 검색대상은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잔디 특허 생산기술은 합성수지로 된 플라스틱 필름 이용한 방법과 천연수지를 이용한 방법 있으며, 국외는 합성수지를 깐 후 상토층의 구성과 배합비율에 관한 내용으로 조사되었다. 2. 특허 등록된 다용도파종장치는 모래, 토양개량제, 비료, 농약 및 종자의 균일한 혼합뿐만 아니라 일시에 혼합토를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영양번식 하는 지피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상토와 혼합하여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특허 등록된 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은 용도별(스포츠용, 조경용, 옥상용) 적합 상토의 조합 및 배합비율을 제시하였다. 조합 및 배합비율은 입자 직경이 $0.002{\sim}2.0mm$인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50{\sim}90%$, 펄라이트가 $3{\sim}40%$, 토탄이 $1.5{\sim}20%$, 피트모스가 $1.5{\sim}20%$, 버미큘라이트가 $2{\sim}25%$, 제오라이트가 $1{\sim}20%$ 및 숯이 $1{\sim}20%$ 내외의 비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잔디 관련 원천 특허기술은 주로 국외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특허 출원의 목적은 판매나 계약의 수단, 벤처기업 확인, 정부의 정책적 금융적 중소기업 지원 혜택을 기대하면서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성, 독창성 및 사업성이 높은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troduce a couple of commercialized patented technologies in the area of turfgrass production. All sod production related patents in Korea during the period from Dec. 20, 1948 to Dec. 30, 2005 were reviewed. Details of two patents (patent No. 0434389 and 0478194) were includ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e of the domestic patents on sod production was the technique using natural and plastic films. Information on topsoil mixtures was also reviewed form foreign patents. 2. Patented multi-purpose sowing equipment can evenly mix soil, sand, fertilizer and other soil conditioners with seed, stolen and rhizome of turfgrass. 3. Patent on cool-season turfgrass sod production provide topsoil mixture combination and mixing ratio for sports field, landscape area and roof garden.

      • 일본의 한국잔디의 재배, 생산 및 현별 브랜드화 현황

        장덕환,박남일,양승원,심규열,Jang, Deok-Hwan,Park, Nam-Il,Yang, Seung-Won,Sim, Gyu-Yul 한국잔디학회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2

        일본의 총 잔디재배면적은 6.623 ha로 이바라키현이 3,900 ha로 일본잔디재배면적의 약 58.9%를 차지하였고, 톳토리현이 779 ha로 11.8%를 차지하여 일본의 한국잔디 재배생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일본에서 고품질 잔디뗏장 생산 및 유지를 위해 잔디 품질인증서 발급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품질관리 항목 중 이형초종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또한 잔디 깎는 높이는 고라이시바 품종은 10 mm 내외, 노시바 품종은 25 mm 내외 이었으며, 잔디 뗏장 두께는 1.5 cm 정도로 생산하여 매우 고품질의 잔디를 생산하고 있었다. 잔디 운반비를 제외한 잔디 뗏장의 출하 단가는 300엔/$m^2$ 정도였으며, '쓰쿠바그린' 품종의 경우에는 600엔/$m^2$에 출하하고 있었다. 납품방식은 크게 3가지로 도매, 직판, 위탁형태로 출하되고 있었다. 잔디 품질 유지를 위한 잔디품질보증서는 품질등급기관인 쓰쿠바시 일본농업협동조합에서 주관하여 발급하고 있었으며, 3명의 평가위원을 구성하여 연간 3회 품질평가를 실시한 후 잔디품질보증서를 발급하고 있었다. 잔디밭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선택적 제초제를 사용하여 잔디밭내에 혼입된 이형의 잔디 종(種)을 방제하고 있었으며, 잔디밭의 지력을 유지하기 위해 5-6년 단위로 배추와 윤작을 실시하여 잔디 뗏장 생산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바라키현의 잔디브랜드화 추진을 위해 쓰쿠바 잔디사업협동조합내 쓰쿠바잔디진흥협의회에서 주관하여 '쓰쿠바히메', '쓰쿠바카가야키', '쓰쿠바타로우', '쓰쿠바그린' 등 4개 품종에 대한 특허 등록을 실시하여 쓰쿠바시를 대표하는 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recent information on zoysiagrass (Zoysia spp.) sod production in Japan. Total zoysiagrass sod production acreage in Japan was 6,623 ha. The acreage by prefecture was 3,900 ha (58.9%) in Ibalaki, 779 ha (11.8%) in Tostoli, 609 ha (9.2%) in Kagosima, and 550 ha (8.3%) in Sijeumoka, respectively. Sod was harvested by 1.5 cm sod thickness. Mowing height of Goraisiba (Zoysia matrella) and Nosiba (Zoysia japonica) cultivars was cut by 10 mm and 25 mm height, respectively. Japan agricultural cooperative issued a warranty of sod production quality to zoysiagrass consumers. A quality evaluation for sod production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to maintain a reasonable degree of uniformity and hight quality of sod production three times a year. Also, zosiagrass sod production was rotated with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 for improving fertility of soil every five to six years. Patented cultivars for promoting bland in Ibaraki prefecture of Japan were 'Tsukuba himae', 'Tsukuba kagayaki', 'Tsukuba Talou' and 'Tsukuba green'.

      •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최준수,양근모,Choi, Joon-Soo,Yang, Geun-Mo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6년 산림청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ha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ha(48%), 전북 442ha(14.9%), 경기 344ha(11.6%), 경남 248ha(8.4%), 충남 240ha(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times}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6%로 가장 많았다. 출하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sim}2,730$원$/m^2$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ha.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ha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ha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ha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times}18cm $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sim}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 KCI등재

        일본의 한국잔디의 재배, 생산 및 현별 브랜드화 현황

        장덕환,박남일,양승원,심규열 한국잔디학회 2011 Weed & Turfgrass Science Vol.25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recent information on zoysiagrass (Zoysia spp.) sod production in Japan. Total zoysiagrass sod production acreage in Japan was 6,623 ha. The acreage by prefecture was 3,900 ha (58.9%) in Ibalaki, 779 ha (11.8%) in Tostoli, 609 ha (9.2%) in Kagosima, and 550 ha (8.3%) in Sijeumoka, respectively. Sod was harvested by 1.5 cm sod thickness. Mowing height of Goraisiba (Zoysia matrella)and Nosiba (Zoysia japonica) cultivars was cut by 10 mm and 25 mm height, respectively. Japan agricultural cooperative issued a warranty of sod production quality to zoysiagrass consumers. A quality evaluation for sod production was carried out continuously to maintain a reasonable degree of uniformity and hight quality of sod production three times a year. Also, zosiagrass sod production was rotated with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 for improving fertility of soil every five to six years. Patented cultivars for promoting bland in Ibaraki prefecture of Japan were ‘Tsukuba himae’, ‘Tsukuba kagayaki’, ‘Tsukuba Talou’ and ‘Tsukuba green’. 일본의 총 잔디재배면적은 6.623 ha로 이바라키현이3,900 ha로 일본잔디재배면적의 약 58.9%를 차지하였고,톳토리현이 779 ha로 11.8%를 차지하여 일본의 한국잔디재배생산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일본에서고품질 잔디뗏장 생산 및 유지를 위해 잔디 품질인증서발급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품질관리 항목 중 이형초종을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또한 잔디 깎는 높이는 고라이시바 품종은 10 mm 내외, 노시바 품종은 25 mm 내외 이었으며, 잔디 뗏장 두께는 1.5 cm 정도로 생산하여매우 고품질의 잔디를 생산하고 있었다. 잔디 운반비를 제외한 잔디 뗏장의 출하 단가는 300엔/m^2 정도였으며, ‘쓰쿠바그린’ 품종의 경우에는 600엔/m^2에출하하고 있었다. 납품방식은 크게 3가지로 도매, 직판, 위탁형태로 출하되고 있었다. 잔디 품질 유지를 위한 잔디품질보증서는 품질등급기관인 쓰쿠바시 일본농업협동조합에서 주관하여 발급하고 있었으며, 3명의 평가위원을 구성하여 연간 3회 품질평가를 실시한 후 잔디품질보증서를발급하고 있었다. 잔디밭의 균일도를 유지하기 위해 비선택적 제초제를 사용하여 잔디밭내에 혼입된 이형의 잔디종(種)을 방제하고 있었으며, 잔디밭의 지력을 유지하기위해 5-6년 단위로 배추와 윤작을 실시하여 잔디 뗏장 생산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바라키현의 잔디브랜드화 추진을 위해 쓰쿠바 잔디사업협동조합내 쓰쿠바잔디진흥협의회에서 주관하여 ‘쓰쿠바히메’, ‘쓰쿠바카가야키’, ‘쓰쿠바타로우’, ‘쓰쿠바그린’등 4개 품종에 대한 특허 등록을 실시하여 쓰쿠바시를 대표하는 브랜드화를 추진하였다.

      • KCI등재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양근모(Geun-Mo Yang),최준수(Joon-Soo Choi)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06 Weed & Turfgrass Science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 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 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5년 산림청 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 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48%), 전북 442㏊(14.9%), 경기 344㏊(11.6%), 경남 248㏊(8.4%), 충남 240㏊(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 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 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5%로 가장 많았다. 출하 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2,730원/㎡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x18cm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 ~ 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최준수,양근모,오찬진,배은지,Choi, Joon-Soo,Yang, Geun-Mo,Oh, Chan-Jin,Bea, Eun-Ji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 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 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 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 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and measu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s. Variation of leaf width, plant height, leaf angle, length of leaf sheath, trichome, stolon length, and color were measured. Six lines were selected by evaluating growth rates from one hundred one collected lines. Eight standard cultivars and three other superior lines previously collected were compared to 7 selected lines form Jang seong area by checking growth rat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 leaf blade width was 3.4 mm, leaf angle was 45.8 degree, plant height was 21.6 cm, height of lowest leaf was 5.0 cm, and length of leaf blade was 14.1 cm. Ground cover rates of selected lines 'CY6097' and 'CY6069' were 70% and 68.3%, respectively. These are believed to be faster than 60% ground cover rate of zoysiagrass 'Anyang', and also, twice as faster than the 31.7% ground cover rate of Z. matrella. Selected line 'CY6069' showed fast growth rate with shorter internode length (5.1 cm) compared to zoysiagrass 'Anya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lect useful fast growing zoysiagrass breeding lines from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Korea.

      • KCI등재

        뗏장 재배기간에 따른 Zoysiagrass의 생육과 토양의 특성

        한정지,이광수,최수민,박용배,배은지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3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icient sod production and soil management, there is a need to perform research on the growing condition of zoysiagrass on soil environments. With an attempt to identify the growth of zoysiagras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according to different growing seas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separate areas where zoysiagrass has been grown for 1 year, 10 years, 20 years, and 30 years. As the growing season became longer, bulk density of the soil was increased, porosity and gaseous phase were decreased. The level of pH was highest in the area where zoysiagrass has been produced for 30 years, whereas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s were found to be the greatest in where zoysiagrass has been produced for 1 year. Accordingly,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were deteriorated more in the area with continuous cropping than in the area with 1 year of cropping. As the time period of producing zoysiagrass became longer, growth of shoot and root were decreased. In this study, it is required to produce zoysiagrass through soil improvement in areas that have been used for production for over 10 years. 잔디 뗏장의 효율적인 생산과 토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배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기위해, 토양환경에 따른 잔디의 생육상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뗏장 생산의 재배기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토양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뗏장재배기간이 1년, 10년, 20년, 그리고 30년 된 지역을 각각조사하였다. 재배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토양 용적밀도는 증가하였고, 공극률과 기상은 감소하였다. pH는 30년동안 재배된 곳에서 가장 높았고, 전질소와 유기물의 함량은 1년 동안 재배된 토양에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토양 화학적 특성은 1년 재배된 토양에서보다 계속적인 재배 토양에서 악화되었다. 잔디의 재배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계속적인 잔디 뗏장 생산 재배로 인한 토양 악화가 잔디의 품질과 생장을 감소시키므로, 10년 이상 연작된 지역에서는토양 갱신을 통해 잔디생육을 향상시켜야 한다.

      • KCI등재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최준수,양근모,오찬진,배은지 한국잔디학회 2012 Weed & Turfgrass Science Vol.26 No.1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and measu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s. Variation of leaf width, plant height, leaf angle, length of leaf sheath, trichome, stolon length, and color were measured. Six lines were selected by evaluating growth rates from one hundred one collected lines. Eight standard cultivars and three other superior lines previously collected were compared to 7 selected lines form Jang seong area by checking growth rat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 leaf blade width was 3.4 mm, leaf angle was 45.8 degree, plant height was 21.6 cm, height of lowest leaf was 5.0 cm, and length of leaf blade was 14.1 cm. Ground cover rates of selected lines ‘CY6097’ and ‘CY6069’ were 70% and 68.3%, respectively. These are believed to be faster than 60% ground cover rate of zoysiagrass ‘Anyang’, and also, twice as faster than the 31.7% ground cover rate of Z. matrella. Selected line ‘CY6069’ showed fast growth rate with shorter internode length (5.1 cm) compared to zoysiagrass ‘Anya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lect useful fast growing zoysiagrass breeding lines from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Korea.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 Evaluating Various Potassium Sources for Kentucky Bluegrass Growth

        이상국,Lee, Sang-Kook Turfgrass Society of Korea 2011 한국잔디학회지 Vol.25 No.2

        칼륨(K)은 식물체 성장을 위한17가지 필수 영양소중의 하나이지만 식물체를 구성하는 필수 구성물질은 아니다. 그러나 칼륨은 식물체내에서 여러가지 효소작용과 효소와 관련된 여러가지 대사과정에 관여를 하는 중요한 영양소이다. 칼륨이 잔디의 성장에 영향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결과들이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보고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칼륨의 종류에 따른 잔디의 생육에 관한 연구결과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6종류의 칼륨에 따른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칼륨의 종류로 potassium nitrate (13-0-44, PN), potassium chloride (0-0-60, PC), potassium sulfate (0-0-50, PS), polymer-coated potassium sulfate (0-0-45, PPS), potassium thiosulfate (0-0-25, PT), potassium sulfate granulated with methylene urea (20-0-25, PSU) 등 6종류가 사용이 되었다. 실험을 위해 질소와 칼륨이 각각 20와 $30g\;m^{-2}\;yr^{-1}$의 양이 4번에 나누어 실험구에 적용되었다. 칼륨의 종류에 따른 처리에 의해 잔디의 색, 품질, 엽록소 지수, 예지물생산량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성이 발견되었지만, 일관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에서 칼륨의 종류에 따라 켄터키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Potassium (K) is one of the essential nutrients for plants but is not a constituent of any plant compound. K is substances for activation of many enzymes and influences the process that the enzymes are involved in catalyzing. Although experimental results associated with the K effects with both benefits and no effects on turfgrass growth were reported, the limited research results of K effects on turfgrass among K sources are available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esponses of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treated by fertilizer treatments with six K sources. There were six fertilizer treatments as K sources applied to Kentucky bluegrass which were potassium nitrate (13-0-44, PN), potassium chloride (0-0-60, PC), potassium sulfate (0-0-50, PS), polymer-coated potassium sulfate (0-0-45, PPS), potassium thiosulfate (0-0-25, PT), and potassium sulfate granulated with methylene urea (20-0-25, PSU). Potassium of $8g\;m^{-2}$ and N of $5g\;m^{-2}$ was applied 4 times giving a total 20 and $30g\;m^{-2}$, respectively. Althoug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turfgrass color, quality, chlorophyll index, and clipping dry weight, no consistent results among K sources were found during the one year study. Overall, K treatments didn't affect turfgrass growth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