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생골재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혼합잔골재의 최적배합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한천구,윤기원,이건철,박용규,Han, Cheon-Goo,Yoon, Gi-Won,Lee, Gun-Cheol,Park, Yong-Kyu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2 No.1

        최근 콘크리트용 골재의 활용실무는 골재의 품질 및 공급상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2종류 이상의 골재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2종류 이상의 골재를 혼합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고, 그에 따른 최적배합 평가 방법의 도입도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잔골재, 부순잔골재, 재생잔골재의 3종의 혼합모래를 혼합율 변화에 따른 시멘트 모르터의 굳지 않은 상태와 경화 상태의 제반 물성실험을 통하여 최적배합평가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플로우는 천연잔골재와 부순잔골재의 혼합 비율이 클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압축강도 및 휨강도도 천연잔골재와 부순잔골재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경우는 부순잔골재와 유사한 강도를 나타내지만, 재생잔골재가 혼합된 배함에서는 강도가 조금씩 저하되었다. 건조수축은 재생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가 건조수축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수치의 표현은 아니지만 3종류의 잔골재를 사용할 경우의 최적배합 표현방법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어 최적배합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도상화 수법을 제안하였다. It is now established that more than two types of blended aggregate have beneficial effects on quality and supply of concrete in the long run. However, studies on blended aggregate have not widely been progressive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its most favorable mixture proportion is still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st favorable mixture proportion through the physical experiment of fresh and hardened state's cement mortar, in response to three types of composite ratio, natural fine aggregate(Ns), crushed fine aggregate(Cs) and recycled fine aggregate(Rs). Test showed that increase of blending ratio of Ns and Cs improved fluidity of mot1ar. For the properties of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mortar blending Ns and Cs properly, exhibited similar value to one using only Cs, while mortar mixing Rs showed lower strength value as less as 6% of control one. Mortar using only Rs exhibited the largest drying shrinkage value. In addition, even thought it is not a clear quantitative analysis, technical-imaging-skill presenting the most favorable mixture proportion 3-dimensionally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notify the proportion easily.

      • KCI등재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송하영,이상수,이도헌,이종구,김재환,임현웅,Song, Ha-Young,Lee, Sang-Soo,Lee, Do-Heun,Lee, Jong-Gou,Kim, Jae-Hwan,Lim, Hyon-U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2 No.1

        순환잔골재의 고부가가치 활용촉진 및 이를 사용한 콘크리트구조물의 건조수축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배합설계자료로 제시하고자 천연잔골재에 대한 고품질 순환잔골재의 대체율별 굳지 않은 콘크리트 성상 및 경화성상 그리고 건조수축특성등을 실험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슬럼프, 공기량, 압축강도 및 인장강도는 대체율에 관계없이 유사한 수준을 보였으나, 구속 및 비구속상태에서의 건조수축특성은 큰 차이를 요였다. 구속 및 비구속상태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량은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제율 30%까지는 천연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오히려 건조수축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조체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고품질 순환잔골재를 30%까지 대체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다. 반면,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체율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천연잔골재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구속 및 비구상태에서의 건조수축 저항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고품질 순환잔골재 대체율 100%의 경우에는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량이 다른 시험체에 비해 급격히 증가되어 구속상태에서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발생 시점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recently it is urgently required that demolition waste concrete has to be recycled on the construction because urban development is accelerated and redevelopment project is rapidly expanded, production quantity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concrete is being increased. As a results of drying shrinkage test under restrained and unrestrained condition, although workability and mechanical properites of concrete using HQRS were similar to that of concrete using natural sand, there were a great difference in deformation characteristic of dry shrinkage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of HQRS. And, it makes sure that use of HQRS instead of partial nature sand was effective because drying shrinkage of concrete using 30 volume percentage of HQRS was smaller than that using only natural sand. Therefore,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bout the re-application as an analysis of the drying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concrete using HQRS and it is able to creta a high value-added by using HQRS.

      • KCI등재

        재생잔골재 및 플라이애시 대체율에 따른 재생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에 관한 연구

        김무한(Kim, Moo-Han),김규용(Kim, Gyu-Yong),김재환(Kim, Jae-Whan),조봉석(Cho, Bong-Suk),김영선(Kim, Young-Sun),문형재(Moon, Hyung-Jae)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05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1 No.1

        최근 천연골재 자원의 고갈과 환경규제의 강화로 인해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수급문제가 건설산업분야에서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폐기콘크리트를 활용한 재생잔골재의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의 활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화학발전소 및 열병합발전소에서 발생되는 석탄회는 그 발생량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석탄회중 플라이애시를 콘크리트용 혼화재료로서 사용할 경우 시공성 및 점성 개선, 장기강도 증가 및 수화열 저감 등 많은 장점으로 인하여 보통 콘크리트에서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재생콘크리트의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재생잔골재 및 플라이애시 대체율에 따른 굳지않은 특성, 경화특성, 내구특성을 실험 실증적으로 검토 분석함으로서 재생잔골재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이애시를 재생콘크리트의 혼화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재생잔골재를 대체한 경우 굳지않은 성상, 정화성상 및 내구성상이 재생잔골재 100%을 치환했을 때 천연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나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서 재생산골재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플라이애시를 고품질 재생잔골재를 사용한 재생콘크리트용 혼화재로 활용함으로서 시공성, 공학적 특성 및 내구특성 등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for the problem solution of demand and supply imbalance of fine aggregate due to the shortage of natural fine aggregate resource and the environment regulation on sea sand extraction in the construction field, the studies for the application of recycled fine aggregate using waste concrete are being progressed versatilely. 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of fly-ashes that of industrial by-product originated in the steam power plant is discussed by the continuous increasing of origination quantities. In the ease of using fly-ash, advantages are the improvement of workability, viscosity and long-time strength, and the reduction of hydration heat under the early ages, as the admixtures for concrete, but the studies for the application of fly-ash as recycled concrete admixtures are inadequacy. There fore, in this study, through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of fresh, hardened and durability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recycled fine aggregate and fly-ash, it is intended to propose the fundamental data for structural application of recycled concrete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 and fly-ash.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y arc shown that the engineering properties and durability, in the case of replacement ratio 100% of recycled fine aggregate, arc similar to those of concrete using natural fine aggregate, so it is considered that recycled fine aggregate could be used as the fine aggregate for concrete. Also, the performances of recycled concrete are improved by replacing fly-ash.

      • KCI등재

        바텀애시 잔골재를 활용한 빗물 침투·저류 포장 블럭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 평가

        김황희(Kim, Hwang-Hee),오리온(Oh, Ri-On),이재영(Lee, Jae-Young),박성기(Park, Sung-Ki),차상선(Cha, Sang-Sun),박찬기(Park, Chan-Gi)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5

        본 연구는 바텀애시 잔골재를 이용한 빗물 침투·저류 기능이 있는 콘크리트 포장 블록의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바텀애시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능을 평가하여, 빗물 침투·저류 포장 블럭의 최적배합비를 도출하였다. 천연 잔골재의 중량에 0%, 10%, 및 20%를 바텀애시 잔골재로 대체하였으며, 단위시멘트량은 410 kg/㎥와 450 kg/㎥를 변수로 하였다. 역학적 특성 및 내구성 평가를 위한 시험은 압축강도, 휨강도, 마모저항성, 미끄럼저항성, 동결융해저항성 및 투수계수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험 결과, 단위시멘트량 450 kg/㎥, 바텀애시 잔골재의 천연잔골재 치환율 10%일 때, 목표 성능을 만족하고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또한 도출된 배합을 이용하여 빗물 침투·저류 콘크리트 블록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작된 바텀애시 잔골재를 이용한 빗물 침투·저류 콘크리트 블록은 목표로한 성능을 모두 만족하였다.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durability of rainwater penetration and retention pavement concrete blocks incorporating bottom ash fine aggregate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pavement concrete blocks that could reduce the rainwater leakage of impervious concrete structures. Pavement concrete blocks were prepared by replacing 0%, 10%, and 20% of the weight of natural fine aggregate with bottom ash fine aggregate for 410 and 450 kg/㎥ cement contents. Experimental tes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brasion resistance, slip resistance, freeze-thaw resistance, and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pavement concrete blocks. Pavement concrete blocks produced with a cement content of 450 kg/㎥ and a 10% replacement ratio of bottom ash fine aggregate satisfied the target performance and exhibited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Theseoptimal mix parameters were applied in this study to design and manufacture pavement concrete blocks for rainwater penetration and retention that satisfied the target performance.

      • 순환잔골재를 활용한 시멘트 압축강도 시험용 숙련도 시료 개발에 관한 연구

        이기원 ( Ki-won Lee ),여운호 ( Woon-ho Yeo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최근 경제발전에 힘입어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발생하는 생활 및 산업폐기물이 크게 증가하여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산업 폐기물 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노후화, 열화 및 지역 재개발 등으로 인하여 구조물 해체에 의해 발생되는 폐콘크리트의 양도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도로공사용 순환골재처럼 단순 파쇄/선별로 생산가능한 시스템에서 콘크리트용 순환굵은골재나 잔골재처럼 구조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의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생산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잔존하는 부착모르타르의 영향으로 인하여 골재특성 중 중요한 요소인 밀도와 흡수율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리하여 부착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들이 여러연구를 통하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생산된 순환잔골재가 콘크리트에 혼입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콘크리트 벽돌과 같은 2차 제품에 혼입되어 사용되었을 때, 구조검토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압축강도시험이 정밀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시멘트 압축강도의 정밀한 측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선 균질한 품질의 재료와 정확한 시험편 제작, 숙련된 시험자에 의한 정밀한 시험장비로의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차요인들을 사전에 방지하여야 한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KOLAS 공인시험기관을 포함하여 다수의 시험기관들이 시멘트 압축강도 측정 시험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고강도 시멘트의 정확한 압축강도 값을 확인하기 위해선 앞서 언급한 시험기관들의 신뢰성 있는 시험결과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시험기관들의 시험결과 신뢰성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숙련도 시험(Proficiency Test)이 한국인정기구(KOLAS) 및 해외 숙련도운영기관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시험기관들은 정해진 기간안에 숙련도 프로그램에 참가함으로 해당 기관의 숙련도 및 신뢰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압축강도 시험용 숙련도 시료’ 개발을 최종 목적으로 하여, 숙련도 시료제조에 소요되는 시멘트, 천연잔골재, 순환잔골재 각각의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순환잔골재의 혼입율 별압축강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최종 결정된 순환잔골재 혼입율로 시멘트 모르타르를 배합 생산하여 28일 수중양생시킨 후 압축강도 특성을 파악하여 숙련도 시료의 균질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된 숙련도 시료의 운송조건을 감안한 단기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균질성과 안정성이 확인된 숙련도 시료를 다수의 시험자들에게 배포하여 시험자간 비교시험을 실시하였고, 각 시험자들의 시험결과를 회수하여 KS Q ISO 13528(시험소간 비교 숙련도 시험용 통계적 방법)을 통해 숙련도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수행도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잔골재 특성이 굳지 않은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조영훈(Cho, Young-Hoon),안응모(An, Eung-Mo),이수정(Lee, Su-Jeong),전철민(Chon, Chul-Min),김동진(Kim, Dong-Ji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4 No.2

        석탄재로부터 제조된 지오폴리머에 골재를 첨가하여 시멘트와 동일하게 모르타르와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잔골재의 특성이 지오폴리머 모르타르와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많지 않기 때문에 잔골재의 광물조성, 형상, 표면, 입도, 밀도 및 흡수율 등을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석영, 운모, 장석, 휘석 등의 광물 조성을 이루고 -0.60mm에서 +0.30mm까지의 입자크기가 전체의 96%이며 표면이 거칠고 각진 형상을 보이는 주문진 표준사와 대부분 석영으로 -1.40mm에서 +0.60mm까지의 입자크기가 전체의 51%를 보이고 동시에 다양한 입자크기를 보이면서 표면이 매끈하고 둥근 형상을 나타내는 ISO 표준사 다른 두 종류의 잔골재를 사용하였다. 배합비는 Si/Al=1.0-4.1의 범위에서 지오폴리머 페이스트를 실험한 결과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인 Si/Al=1.5는 모르타르, 가장 높은 반죽 질기를 보인 Si/Al=3.5는 콘크리트에 각각 적용하였다. 지오폴리머 모르타르는 잔골재를 20-50%의 범위에서 주문진 표준사와 ISO 표준사가 첨가된 모르타르는 각각 69.5-112.0mm, 70.5-126.0mm의 플로우 크기 증가를 보였고, ISO 잔골재 가 첨가된 모르타르의 플로우 증가율이 더 높았다. 지오폴리머 콘크리트는 ISO 표준사와 굵은 골재가 전체의 77wt.%를 첨가하였을 때 평균 압축강도가 32MPa로 나타났고 반죽 질기는 몰딩하기에 양호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양한 입도분포, 둥근 형상, 매끈한 표면, 낮은 흡수율을 보인 ISO 표준사가 지오폴리머의 반죽 질기에 유리한 특성을 보였기 때문에 지오폴리머 콘크리트에도 ISO 표준사와 유사한 잔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It is possible that aggregates add on to geopolymer based fly ash to mix mortar and concrete like cement. This is necessary to evaluate mineral composition, particle shape, surface, size distribution, density and absorption ratio for fine aggregates due to few detailed research to examine influence of fine aggregates properties on unhardened geopolymer concrete. In this research, used two different fine aggregates, Jumunjin sand(having quartz, mica, feldspar, pyroxene in mineral composition, more than 96% of total size between -0.60 and +0.30mm, angular shape and rough surface) and ISO sand(having almost all quartz in mineral composition, more than 51% size between -1.40 and +0.60mm, simultaneously varied size distribution, spherical shape and smooth surface). After an experimental result of the varied ratio of Si/Al=1.0-4.1 geopolymer paste, mix proportion respectively applied Si/Al=1.5 having the highest compressive strength to mortar and Si/Al=3.5 having the highest consistency to concrete. Geopolymer mortar by mixing with Jumunjin and ISO sand in varied range of 20-50wt.% showed flow size increase between 69.5 and 112.0mm, between 70.5 and 126.0mm respectively. Geopolymer concrete at an addition of 77wt.% of total aggregates ratio showed that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was 32MPa and the consistency was favorable to molding. Since ISO sand observing varied size distribution, spherical shape, smooth surface, low absorption ratio resulted in advantageous properties on consistency of geopolymer, geopolymer concrete can be suitable for using the fine aggregates similar to ISO sand.

      • 금강유역의 봉황천에 부존하는 잔골재 물성연구

        오근창,김주용,양동윤,이진영,홍세선,김정찬,Oh, Keun-Chang,Kim, Ju-Yong,Yang, Dong-Yoon,Lee, Jin-Young,Hong, Sei-Sun,Kim, Jeong-Chan 한국제4기학회 2007 제사기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에서는 금강 지류하천에 발달한 구하상에 부존하는 잔골재의 물성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KS 품질기준과 비교하여 잔골재로서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봉황천의 상류에 발달한 구하상에는 하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입도가 큰 잔골재가 선별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봉황천 구하상에 부존하는 잔골재 물성은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결과를 보여 준다. 즉, 기반암종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규모 수계일 경우 잔골재 물성은 퇴적물 입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봉황천 구하상 잔골재는 밀도와 잔입자량 이외에는 전반적으로 KS 규격기준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experiment on sand deposits (tine aggregates) taken from the old river-bed of the Bonghwang-cheon of Geum River Basin, and evaluate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in comparison to the KS quality regulation. As a result of experimentation, particle size of fine aggregates is generally smaller in the downstream area than in the upstream area. In addition,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ne aggregates tend to depend on the bedrock type.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show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particle size of old river-bed sediments. Finally, the general physical properties of fine aggregates are conformable to the KS quality regulation, except density and proportion of materials finer than $75{\mu}m$.

      • KCI등재

        설계기준강도별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 특성에 관한 연구

        윤상혁,이세현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2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10 No.4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에 따른 압축강도는 설계기준강도별 보통콘크리트 대비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에 따라 유사하거나 다소낮은 강도 발현을 보였으며, 순환 잔골재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령일이 증가할수록강도저하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설계기준강도 대비 강도 발현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순환 잔골재 15 %, 20 %, 25 %로혼합비율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길이변화 및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특성은 보통콘크리트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용 순환 잔골재의 비율은 총 골재량의 25 %(총잔골재의 50 %)까지 적용하면 슬럼프 및 공기량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판단되며, 설계기준강도에 따른 분체량과 단위수량 및 공기연행제량에 대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아토마이징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의 물리·화학적

        김범수,최선미,신상철,박선규,김진만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3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11 No.1

        Blast furnace slag, a by-product of the steel industry, is mostly recycled as concrete admixture, but electric arc furnace slag has not been recycled to date. In particular, since electric arc furnace slag partially contains free lime (free-CaO) in the discharge, it is necessary to r eview this i n order to r ecycle f or c onstruction materials. R ecently an a tomizing process which is a method of rapidly cooling electric arc furnace slag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fine aggregate of oxidized slag from electric furnace restored by this method as an aggregate for concrete, physical damage and chemical reviewing are required. In this study, a physical and chem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fine aggregate of Electr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EFOS) as a by-product of the steel manufacturing process with atomizing process. In this experimental study, EFOS was experimentally examined about whether it can be used as concrete fine aggregate. Also,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uture use of the EFOS fine aggregat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al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ine aggregate of the EFOS satisfied the quality standards of the fine aggregate for concrete in most items specified by Korean Standard. 철강산업 부산물인 고로슬래그는 대부분이 콘크리트 혼화재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지만, 제강슬래그는 아직까지 뚜렷한 재활용 용도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 특히 제강슬래그는 배출과정에 있어서 다량의 유리석회(Free CaO)를 함유하고 있어, 유리석회에 의한 팽창 붕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용 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고온의 액상 제강슬래그를 고압의 압축공기로 분무하여 슬래그를 매우 작은 크기의 입자로 공기 중에 노출시킴으로써 급냉하는 방식인 아토마이징 공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배출되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물리⋅화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E사에서 철강제조공정의 부산물로 배출되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를 대상으로 물리⋅화학적 검토를 실시하였다. 즉, 아토마이징 공정을통해 생산되는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가 콘크리트용 골재로서 사용 가능한가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의 활용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결과, 전기로 산화슬래그 잔골재는 대부분의항목에서 콘크리트용 잔골재의 품질규준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잔골재 입도분포와 섬유보강 모르타르 유변특성의 관계

        강수태 ( Kang¸ Su-ta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2

        이 연구에서는 잔골재의 최대입경 변화와 그에 따른 입도분포의 변화가 초고강도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유변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레올로지 실험을 통해, 항복응력과 소성점도에 대해 잔골재의 평균입경 크기 및 입도분포의 영향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체적으로 잔골재 입경이 작을수록 항복응력과 소성점도가 크게 나타났다. 각기 다른 잔골재 입도분포를 적용한 배합들에 대해 충전밀도 계산하고, 항복응력 및 소성점도와 충전밀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존 연구의 관계식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잔골재 입도분포와 유변특성 사이의 정량적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