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로뜨만 구조 시학의 국내 수용 분석

        유재천(Yoo, Jae Cheon),어건주(Eo, Keon Joo),김소정(Kim, So Jeun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예술 작품 분석 방법에는 다양한 분석 방법론이 존재한다. 그러한 다양한 방법론들 가운데 과거 국내에서는 주로 순수 문학적인 입장을 지향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그러한 가운데 1980년대 들어 서구의 기호학이 국내에 소개되기 시작하면서, 국문학 작품들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경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그러한 경향은 국문학 작품 분석에 있어서의 다양성과 유연성을 제공하였다. 그러한 기호학적 문학 작품 분석 방법을 통해 문학 작품의 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들이 나타나게는 되었으나, 실제 작품 분석에 있어서는 해당 분석 방법에 대한 피상적이고 개략적인 적용으로 인하여 어느 정도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1990년대 들면서 국내에 다양한 기호학적 연구 경향의 도입과 더불어 로뜨만의 구조 시학 또한 국내에 소개되면서 문학 작품 분석에 활용되게 되었다. 그렇지만 로뜨만의 구조 시학은 그 방법론적 독창성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호학적 연구 방법론과 거의 동일하게 취급되었다. 로뜨만에게 있어서 예술 텍스트는 고도로 질서화된 체계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그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로뜨만은 그러한 예술 텍스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이해를 위하여 형식주의의 문학 이론과 구조주의의 언어학적 연구방법론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면서 텍스트를 다층적으로 구분하여 각 층위별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로뜨만의 분석 방법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원전에 대한 주의 깊은 독해와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진다.그런데 국내에서 문학 작품들을 분석하며 인용하는 로뜨만의 이론과 연관된 부분들을 살펴보면 여러 문제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로뜨만의 이론에 대한 깊은 이해 없이, 피상적인 어구의 인용에 의지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경우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로뜨만의 문학작품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있는 다양한 논문들에서 나타나는 작품 분석 방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함 더불어, 그것을 통하여 로뜨만의 이론에 기초한 올바른 문학작품 분석 방법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을 통해 국내에서의 로뜨만의 구조 시학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해 볼 것이며, 어떠한 점이 부족한가를 파악해볼 것이다. This study addresses the Lotman's structural poetics and its application to korean artistic text. Language constitutes a material of the verbal art by its high degree of cognitive power, meta-linguistic function. And literary communication results from the conflict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modeling system of literary composition and their semiotic interaction. In connection with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reality Lotman expressed that the poetic world is a model of the real world but is correlated with it in an exceedingly complex fashion. And the poetic text is a powerful and deeply dialectical mechanism of the search for truth, for understanding the surrounding world and our orientation in it. Then analysis on artistic text depend on accurate and consistent arguments. Lotman's theory of poetic language is based on the supposition that meaning arises not only from phonological oppositions, but from every kind of opposition that the devices of poetry can construct. And for the full understanding of literature Lotman employs the various linguistic methods in the text analysis. Nevertheless most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didn't take full advantage of Lotman's structural poetic theory. It is due to insufficiency of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or researcher's naive ignorance. The Lotman's literary work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last 1980s - early 1990s. Because of defect of study through the korean translations, accurat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Lotman's theory fall into a difficult situation. Because structure of russian language is essentially different from korean. Especially, the principles of morphological poetic analysis, that Lotman showed marked prominence in analysis, do not apply to korean texts. Besides that, unsatisfactory researches were found. The causes of mistakes were subjective application of concepts, imperfect of understanding of the Lotman's theory and superficial and individual use of each concepts. But recently properly analysed works are on the increase.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작품분석을 통한 미술교육 비평 연구

        김영길(Kim, Young-G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1

        예비교사들의 작품에 나타나는 여러 가지 양상을 분석하는 일은, 그들이 어떻게 현대의 삶과 소통하고, 어떻게 미술작품을 이해하며, 어떤 방식으로 사고하는지를 가늠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또한 작품 제작 과정에서 체득되는 경험들은 순환이 되어 학교현장에 자연스럽게 투영되기 때문에 예비교사의 작업과정을 분석하는 것은 좋은 수업을 만들기 위한 근본적 실천방안이다. 본 연구자는 5년 동안 수행한 프로젝트학습의 내용을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경험과 창의성의 논리를 고찰 하였으며, 적절한 작품분석을 위해서 프로이드와 융의 논리를 제시 하였다. 또한 미술교육 비 평적 측면에서 작품분석을 시도하고 실제적 교수-학습 분석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프로젝트 전 과정에 나타나는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는 일과, 작품의 주제 설정과 제작 동기의 교육 심리적 분석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미술교육 비평의 주된 의미와 역할은 미술교육의 현실을 정확히 통찰하고 교실 안과 밖에서 수행된 교육의 질적, 양적 측면을 철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It could be a crucial clue that criticizing the intrinsic aspect of the student teacher's art works to evolve their own stream of consciousness and to grope for cognitive stage: how they communicate with their own life, how they approach the art in culture and how they get the way of thinking. The analysis of their process of making art works make a considerable impact on creative instruction as an experience to get appropriate adaptation in the art classroom. I analyze the Project-Based Learning which performed for 5-years with my students in a point of view the Constructivism in art education. I explore the theory of John Dewey's experience and the diverse logic of Creativity to make a clear definition in the category of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 suggest the psychology of Freud and Jung to interpret student teacher's art works evolving authentic teachinglearning methods. Particularly, I am very inspired to criticize the psychological aspect of my student in the procedure of making art works. And also, it is worth analyzing the motivation and exploring the subject matter in the classroom to make a successful project. Therefore, the Criticism for Art Education takes a role of insightful instrument to improve the classroom circumstance including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analyz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 KCI등재

        문화콘텐츠작품분석을 위한 스토리공학적 모델설계에 관한 연구

        조해진(Cho Haejin) 인문콘텐츠학회 2015 인문콘텐츠 Vol.0 No.37

        대중문화콘텐츠는 대중, 문화, 콘텐츠의 세 요소가 유기적으로 상관하게 됨으로 그 정체성을 확보하게 되는데 스토리는 그 과정에서 중심 매개의 역할을 한다. 스토리와 스토리산업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학자들과 산업계 종사자 그리고 문화콘텐츠산업 진흥기관들은 저마다의 연구 과제를 수립하고 스토리와 스토리산업진흥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문화콘텐츠작품이 대중적 성공과 뗄 수 없는 태생적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토리에 관한 공학적 접근은 문화콘텐츠작품들을 분석함에 있어서 객관성과 예측가능성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영화콘텐츠에 있어서 기존의 작품분석방법론만으로는 대중문화콘텐츠 리터러시에 한계를 보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영화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상호관계를 통한 입체적 분석은 영화콘텐츠 분석과 비평에 일정부분 준거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결과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대상으로는 작가와 감독을 포함한 ‘영화제작자’, ‘영화제작사’, ‘영화진흥기관’, ‘영화제작 관계자’ 등이 될 것이다. 이번 연구의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자면 영화콘텐츠의 작품분석에 있어서 스토리공학적 접근은 우선 영화제작의 주요 창작자인 시나리오작가, 감독, 프로듀서의 스토리텔링 영역을 먼저 구분함으로서 분석지표를 설정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시나리오작가는 하이컨셉트, 시퀀스, 에피소드, 모티프의 4개 요소를 통해 작품분석과 작품간 비교분석이 보다 객관적으로 가능함을 밝혔다. 그리고 감독의 경우엔 이야기구조, 영상구성, 편집스타일, 연기표현의 4개 지표를, 프로듀서는 제작관련 인적자원구성, 제작비 규모, 마케팅 전략, 목적관객층의 4개 지표를 통해 스토리공학적 분석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특히 장르영화는 영화산업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스토리공학적 접근은 앞으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Popular culture contents made of general public, culture, contents and these three components are relative each other organically. The story carries the most importance through them. so researchers, businessman and public servants are interested in this field and working for the success in that kind of industry. Culture contents has main purpose of public success from its birth, The engineering approach on stroy and stroy-business is necessary because of risk avoid. The purpose of story-engineering appoach means more objective and more predictable. There are some limits on film contents analysis with former analysis methodology which is from literature. so the multi-aspect analysis is needed for the film for the researchers and business parts and film-promotion civil servants. The summary of this work are follows. The three creative roll of making film are writer, director and producer. so as looking of three part of creative storytelling, the story-engineering methodology would be made. As a result, High-concept, Sequence, Episode, Motif are the analysis elements for the writer. story-structure, composition of visual-audio, editing style, acting expression for the director and constituent of human resources, the scale of production cost, marketing strategy and target audience for the producer. Especially genre film is main stream in film industry, The Story-engineering approach of that kind films is necessary and I hope that continuous study should be made.

      • KCI등재

        정신분석학과 문학치료학의 융합 가능성에 대한 고찰- 꿈 분석 실천과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김서영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9 No.-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대중 치유를 위한 가장 실천적인 저서는 꿈의 해석 이다. 꿈의 해석을 통해 의식과 무의식을 융합하고, 이드, 자아, 초자아 사이에서 균형을 찾으며, 소원의 길을 걷는 여정은 정신분석학적 치유 과정의 중심이지만, 그 방법론은 압축, 전치, 이미지화라는 다소 추상적인 이론으로 설명된다.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은 꿈 분석의 체계와 방법론을 구체화하고 체계화하는 데 필수적인 원리를 제시할 수 있다. 서사이론은 꿈에 나타난 작품서사를 치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꿈꾼 이가 작품서사를 전개하는 방식을 통해 그의 자기서사가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 추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틀이 갖춰진다면, 정신분석의 치유 효과는 증폭될 수 있을 것이며, 대중을 위한 더욱 강력한 실천이론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문학치료학의 실천 영역에서도 꿈은 상담사가 내담자의 자기서사를 이해하고 그 변화과정을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다. 또한 초기 꿈에 나타난 자기서사와 이후 꿈에 언급되는 작품서사를 통해 상담사는 내담자의 무의식이 작동하는 방식과 지향을 추적할 수 있다. 꿈은 새로운 작품서사와의 접속이 어떻게 내담자의 무의식을 움직이고 있는지 알려주며, 작품서사의 어떤 지점에서 자기서사의 변화가 유발되는가를 파악할 수 있는 표상들을 제시할 수 있다. 꿈의 해석은 표상의 분석으로 시작되는데,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표상은 ‘내면의 문학’으로 간주할 수 있는 분석의 중심 요소로서, 어떤 표상에 주목하여 분석을 진행하는가에 따라 꿈은 다양한 서사의 분기점(分岐點)과 각 갈림길에 대한 시각적 시뮬레이션을 제시할 수 있다. 꿈을 통해 내담자는 현실에서는 가보지 못했던 길에 들어설 수 있으며 새로운 현실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도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지속되는 반복을 극복하고 새로운 선택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새롭게 해석하는 시도로서, 그 중심을 성 이론에서 꿈의 해석으로 이동시킨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거세 공포, 리비도 발달 단계 등의 성 이론을 보편적으로 적용할 때 다양한 자기서사의 탐색은 불가능하며, 이 경우 개별적인 사연과 개인의 특별한 경험은 분석에서 배제될 수밖에 없다. 정신분석학의 근본정신은 개별적인 이야기에 주목하여 ‘한 사람을 위한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며, 성 이론이라는 보편적 틀을 적용하고 단일한 방향성 속에서 하나의 정답을 지정하는 것은 이러한 개별성과 대치되는 방법론이다. 꿈 분석의 실천 속에서 문학치료학과 정신분석학이 연대한다면, 작품서사를 통해 꿈에 길이 제시되고, 꿈이 드러내는 새로운 표상 속에서 내담자는 자기서사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문은 정신분석학의 꿈 분석이 문학치료 과정의 일부가 되고,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가 꿈을 분석하는 이론 틀이 될 수 있길 꿈꾸며, 이와 같은 연대의 희망 속에서 꿈 분석 사례를 제시하였다. Dream analysis is the most powerful therapeutic tool of psychoanalysis. Freud’s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is placed at the center of his theoretical and practical approach to the human mind, and is the very reservoir of all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psychoanalysis. However, the methodology of analyzing dreams by tracing the ideas in the process of condensation, displacement, and visualization is simple and abstract. Literary therapy and the theory of the story-in-depth can offer a way to elaborate the psychoanalytic methodology of dream analysis. A dream is a place where one can observe the changes of the story-in-depth of the self in the process in which a new story-in-depth of the text is integrated. Dreamers use the material of the story they have read and understood to create their dreams. Consequently, the dream changes according to the state of mind of the dreamer. In psychoanalysis, dream analysis begins with analyzing the central idea depicted in the dream, which can be regarded as an internal story-in-depth. Different ideas can lead to various ways to develop each story-in-depth. Thus, dreams can be an experimental field to test the possibilities of the plausible paths of the future. This study attempts to systematize the psychoanalytic dream analysis with the help of literary therapy and aims at supplying the tool of dream analysis as a method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ory-in-depth of the client. This can eventually offer us a more powerful therapeutic basis for both theories.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무용 작품분석 연구 동향: 1970년부터 2022년까지 전문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태연,이윤경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2

        본 연구는 1970년부터 2022년까지 장시간 지속된 무용 작품분석 관련 연구주제와 동향을 다양한 각도로 분석하여 무용계 지식구조를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게재된 무용 작품분석 관련 논문 627건의 주제와 국문초록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1기에서는 ʻ자유주의 사상ʼ, ʻ해외 무용 작품ʼ, ʻ안무 요소 분석ʼ의 3가지 토픽이, 2기에서는 ʻ안무 요소 분석ʼ, ʻ시대적 분석ʼ, ʻ한국 신무용 분석ʼ, ‘동양적 사상 관점에서의 분석’, ʻ발레 작품 분석ʼ의 5가지 토픽이, 3기에서는 ‘무용 콘텐츠 개발’, 안무 요소 분석’, ‘무용수의 기능’, ‘실기기반 연구’, ‘무용의 세계화’, ‘전통춤 분석’, ‘민족무용 분석’의 7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무용 작품분석 연구동향 결과는 무용 분야의 향후 방향성과 발전 방안 도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문학작품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통한 독서치료적 요인 분석

        임성관 한국독서교육연구학회 2013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No.1

        독서치료는 1960년대 국내에 소개된 이후, 그 연구와 실행에 있어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독서치료가 대상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는 있지만, 그 개선을 촉진한 구체적인 조건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은 채 실행되고 있다. 따라서 독서치료 실행을 위한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고, 대상자에 대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독서치료에서 활용되는 문학작품이 지닌 치료적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독서치료 문학작품은 다양한 심리학적 원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학과 분석심리학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들을 설명한 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했던 상징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은 심리학적 상징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도와 독서치료 문학작품에 담긴 상징성에 대해 적절히 분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또한 독서치료 문학작품에 대한 분석 틀을 제시해 줄 것이다.

      • KCI등재

        성남시 건축물 미술작품의 재료분류체계에 따른 시대별 재료변화 특성 분석

        양태근,김성실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1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time-oriented material changes of building art works, focusing on Seongnam City of which a time-series analysis is meaningful, due to its development of a new town. For this, a classification system of building art works in Seongnam City was worked out first of all. And then based on it, data from a building art work DB were empirically analyzed. Finally, study findings were verified through a case stud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 classification system of building art works in Seongnam City was divided into such three kinds of materials as organic one, inorganic one and others in general. And these materials were sub-divided into 11 kinds of materials with a medium classification system and 51 kinds of materials with a detailed class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 of materials, 179 building art works in Seongnam City, over the period of 15 years from 1998 to 2012, were empirically analyzed, focusing on its actual use of materials. Results showed that before 2005, only a kind of material, such as bronze or granite, was frequently used, whereas from 2005 to the present, the use rate of stainless steel increased remarkably and the mixture of materials was frequently used as well. In order to verify these changes of material use, the changing modality of art works of eight middle-grade artists, who had the experience of installing building art works in Seongnam City, was presented as cases. In order to find out the cause of changes,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presented following causes of material changes: (1) the suitability of expression of shapes; (2) durability; (3) the harmony with modern buildings; (4) in consideration of weight of parking lo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building; and (5) the 3D program-based conception of works. The phenomenon of using only a kind of material (stainless steel) has been naturally taken place with complex factors and had many advantages from the aspect of material characteristics. However, this phenomenon has made the whole image of city uniformed and artists lose their artistry, thus causing severe side effects. In order to settle down these problems, it seems to be necessary to work out such systematic supplementary measures as increasing the selection rate of fine art works via appointing experts as deliberating council members, guaranteeing the proportion of production cost of works in the installation cost of works, and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to carry out the installation of building art works transparently. 본 연구는 신도시가 형성되어 시계열분석에 의미가 있는 성남시를 바탕으로, 시대별 건축물미술작품의 재료변화 현상을 진단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우선, 성남시 건축물미술작품 분류체계를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물미술작품 DB의 데이터를 실증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사례연구를 통하여 실증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성남시 건축물미술작품의 분류체계는 크게 유기물, 무기물, 기타의 세 가지로 구분되었으며, 이에 따라 11가지 중분류 및 51가지 소분류로 구분되었다. 재료분류에 따라 1998년~2012년 동안(15년간) 성남시 건축물미술작품 총 179점을 대상으로 재료 사용현황을 실증 분석한 결과, 2005년을 기준으로 과거에는 브론즈와 화강석 등의 단일재료 사용이 많았고, 현재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사용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혼합재료의 사용이 늘어난 현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재료사용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성남시에 건축물미술작품 설치경험이 있는 중견작가 8명의 작품변화 양상을 사례로 제시하였으며, 변화요인 도출을 위하여 개방형 설문을 병행하였다. 설문 결과, 재료변화 요인은 첫째, 형태 표현의 적합성 둘째, 내구성 셋째, 현대건축물과의 조화 넷째, 주차장 상부설치로 인한 하중 고려 다섯째, 3D프로그램에 의존한 작품구상으로 나타났다. 재료사용 비율이 한 가지 재료(스테인리스 스틸)에 집중되는 현상은 복합적 요인에 의해 자연스럽게 흘러왔으며 재료의 특성에 집중해 보았을 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전체 도시 이미지를 획일화 시키며 작가 고유의 예술성을 잃게 한다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전문지식을 보유한 심의위원 구성을 통한 순수작품 선정 비율의 확대와 미술작품 설치 금액의 중 작품제작비 비율 보장 및 투명한 진행을 위한 감시시스템 마련 등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서사적 창작춤 작품분석 방법론 연구

        백현순,백민경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본 연구는 서사적 창작춤 작품 분석 방법론에 관한 것으로, 이는 서사적 창작 춤 작품을 분석할 때의 방법을 제시하여 춤 작품이 관객과의 소통을 쉽게 하고 춤 작품의 바른 이해를 통해 작품의 질적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에 근거한 문헌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모든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는 춤의 길이(시간)와 상관없이 ‘서사’(storytelling) 가 있어야 한다. 둘째,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들어 있는 이야기는 오늘의 이야기 로 춤 작품의 내용으로 대치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으며, 이야기로 춤 작품을 구 성함으로써 관객은 안무자가 무엇을 표현하고자 하는지 이해하기가 쉽다. 셋째, 서사적 창작춤 작품에 있어서 이야기를 해야 하는 이유는 이야기가 있는 춤 작품 은 청중을 몰입시키고 춤의 내용전개에 관심을 가지게 만들며 무엇보다 이야기의 재미에 몰입함으로써 춤 공연의 대중성을 획득하기가 쉽다. 넷째, 시드 필드의 패 러다임 분석은 이야기의 극적 해결을 위한 치밀한 구조를 만들어 줄 수 있는 분 석표로 서사적 창작춤 춤 작품에 적용되었을 경우 춤 작품을 적절한 시간으로 배 분하여 지루함 없이 관객이 작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무용작품 분석에 관한 이론적 접근

        박혜란 한국무용연구학회 2012 한국무용연구 Vol.30 No.2

        The twentieth century digital era brought a huge transformation in dance arts and this caused the continuous attempts to combine media and a dance work.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and dance and to present a theoretical approach to analyze a dance work in the modern time. Dance uses a human body as a medium and it reaches the best beauty when internal and external experiences are well converg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lf-evaluate dance since the main agent of expression and individual appearances are the same, and it is an instant art that banished after performing a movement. Thus, a dancer should put a lot of effort on analyzing and comprehending her dance work. This research suggests the critical elements that enable to expend dance area while studying technical, expressional, sociocultural, and hypothetical side of digital media.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the impact of changing media art on da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edia and dance in order to prospect the future research of digital dance work analysis. 20세기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면서 무용예술영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무용작품에서도 새로운 미디어 접목이 끊임없이 시도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바람직한 작품분석을 위해 디지털 미디어와 무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현 시대가 요구하는 무용작품 분석에 따른 이론적 접근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무용은 인간 신체를 표현수단으로 사용하며 내적 경험과 외적 경험의 융합이 잘 이루어질 때 예술 형식으로써 최고미를 갖는다. 그러나 무용은 표현주체와 개체적 외형이 동일하여 자기평가가 어렵고, 무용공연 또한 움직임과 동시에 사라지는 일회성의 순간 예술이므로 무용가는 스스로 작품을 분석하고 자신의 작품 의도를 되짚어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무용작품 분석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기술적, 표현적, 사회문화적, 가상적 측면을 연구하여 무용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논리적 분석을 위해 반드시 검토해야 할 항목들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발전으로 인하여 미디어 예술의 양상 변화에 따른 영향과 무용과 디지털 미디어의 관계를 제안함으로써 디지털 무용작품 분석 연구의 미래를 전망해 본다.

      • 북한의 ‘이순신 소설’ 연구

        최영호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06 이순신연구논총 Vol.- No.6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우리 문학의 역사적 인물 재조명에 관한 여러 가지 논의에서 ‘이순신’만큼 자주 거론된 인물은 드물다. 이순신의 실제적 삶과 그가 남긴 역사적 업적들을 어떻게 파악하든, 또 각자의 이해 수준에서 재규정된 이순신에 대해 긍정적 혹은 부정적 입장을 취하든, 이 문제가 환기시키는 인간 존재와 역사적 현실에 대한 실천적 요구는 그보다 앞선 1907년 전(傳)의 형태로 집필된 신채호의 《리슌신젼》 발간 이래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과제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순신에 관한 ‘온전한’ 이해와 평가는 이순신 개인의 삶 자체나 이순신이 살았던 시대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각의 다양성만큼이나 다면적이다. 이러한 다면성은 각종 자료나 구체적인 삶 이면의 것들이 새롭게 발굴되고 기존의 것들이 재해석되면서 제기 되는 문제적 성격이 갖는 불가피함일 것이다. 그러나 이런 논의가 보다 생산적인 토론을 거쳐 지양되거나 의미 있는 수준으로까지 드높여져야 할 필요성 또한 절실하다. 그도 그럴 것이 1907년부터 제기된 이순신에 관한 ‘온전한’ 이해와 평가, 다양한 논의들이 새로운 밀레니엄의 시대로 진입했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종결되거나 소멸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새로운 밀레니엄시대의 시작과 함께 발족한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1999년)의 학술활동과 그간에 개최한 의미 있는 국제 · 국내 학술세미나, 그리고 자라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산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갖가지 문학 행사는 이순신에 관한 문학적 논의를 공개적으로 논의할 수 있게 하는 생산적인 계기였다. 그런 한편, 이순신에 관한 문학적 논의를 한층 더 고조시킨 것으로는 김훈의《칼의 노래》와 김탁환의 《불멸》의 인기를 빼놓을 수 없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이 두 작품이 던진 범국민적 감동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그 여파를 방송계가 무시할 수 없었는지, 두 작품을 하나로 결합시킨 대본 <불멸의 이순신>은 급기야 KBS-TV 드라마(2005. 8. 25일 종영)로 제작 · 방영되기까지 하였다. 2004년 8월 중순부터 2005년 8월 25일까지 100부작으로 방영된 TV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은 우리가 직면한 21세기를 “낡은 정치 청산, 분열된 국론 통일, 새로운 한국 건설”이란 과제를 안은 역사적 전환기이자 “무한경쟁시대, 제2의 경제 전쟁시대”의 시작으로 인식시켰을 뿐 아니라 이순신을 이런 전환과 위기의 시대를 이겨낼 인물로 주목한다. 특히나 국가 존망의 위기 앞에서 이순신이 가졌던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는 우리 민족의 강한 역동성을 불러내는 촉매제였고, 그의 예리한 상황 판단력, 혁신적인 사고, 공평무사한 마음은 지도자가 갖출 리더십의 핵심임을 재인식시켰다. 사실, <불멸의 이순신>은 먼저 오페라로 제작되었다. 김탁환은 같은 이름의 오페라 대본을 집필했고, 러시아 차이코프스키 음악원 아가포니코프 교수가 곡을 붙였다. 한국인 200명, 러시아인 40명으로 구성된 오페라단은 2003년 11월 러시아 쌍트 뻬체스부르크 발틱함대기념관에서 1주일 간의 해외 공연을 가진 후, 잇달아 2005년 6월 서울 한전아트센터 공연(1주일), 같은 해 12월 KBS 홀 공연(3일간)을 통해 이순신의 존재를 널리 알렸다. 이제, 이러한 열기가 차츰 가라앉는 시점에서 이순신과 관련된 문제의 근거를 좀 더 다채롭게 살필 필요가 있다. 본고는 그 하나로 북한문학에서는 어떻게 이순신을 다루고 있는지를 살핌으로써 이순신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문학적 진전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번에 논의할 문학 작품은 김현구의 장편소설《리순신 장군》인데, 이 작품을 선택한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무엇보다 필자 자신의 자료 섭렵 부족 탓이 가장 큰 이유겠지만, 그보다 더 주안점을 둔 것은 작품의 발표 시기와 작품 분량이다. 이 작품은 1990년에 발표되었고, 작품 분량도 200자 원고지로 2900매에 달한다. 그런즉, 발표 시기로 보나 작품 분량으로 보나, 우리는 이 작품이 이순신에 관한 북한의 문학적 관심들 가운데서 가장 최근의 것이라 해도 무방할 듯하다. 다만, 본고의 논의는 이 작품의 부분적인 재검토의 시야를 전제하는 것이므로, 이번 논의의 주된 목적을 작품의 내재적 분석에 집중하는 대신, 그 역사적 의의와 가치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제한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런 논의는 북한문학 작품을 어떤 시각으로 대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직결되는 탓도 있지만, 그보다 훨씬 더 폭넓은 문제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임의로 선택한 작품을 둘러싼 문학적 논의가 연구자의 주관적 관여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음을 고집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한 작품의 문학적 특징만을 조명하는 단계에서 동일한 비판적 검토가 가해지지 아니하는 한 다른 부분까지의 총체적 관련을 전제로 하는 해 When reviewing historical figures during the period of late 1990s to early twenty first century, Lee, Sun-shin is the most common person that arise. In whatever manner we understand Lee Sun-shin s actual life and the historical achievements, and whether we take a positive or a negative standards about the re-regulated Lee Sun-shin within each individual s level of understanding, the practical request of human existence and historical reality that this problem arouses is a theme that has been continued since Shin Chae-ho s Ree Sun-shin Gean which was written in the form of Gean(傳) in the former 1907. Lee, Sun-shin‘s sound understanding and appraisal has many sides as we look at the period, the diverse historical view and the personal life itself. But this kind of controversy should be sublated by productive discussion and enhance the value to the meaningful level. Diverse arguments and sound understanding which has been raised since 1907 about Lee, Sun-shin could not be automatically terminated or extinct although we have entered a new millenium era. Finding out how North Korean literature deals with Lee, Sun-shin although we are in a state of tragic division, this research is trying to figure out progressive ways of defining literature regarding Lee, Sun-shin. A novel Admiral Ree, Sun-shin by Kim, Hyun-gu is renowned as the ground of this research. There are two reasons why this novel is selected. One is the period of time that the book was published, and the other is the tremendous length of the book. This novel was published in 1990 as in the length of 2900 pages of 200 letter - manuscript paper. Considering both length and the time of its publishment, this masterpiece is the most recent one to draw our attention. However, this research premise this work s view of reappraisal. While we concentrate on this argument s objective of the literary work s internal analysis, we tried to limit the historical meaning and the values. This argument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how to treat North Korean literary works. But futhermore there are more broad problems. Circling on the argument of voluntarily selected work is not freed from researcher s subjective participation. It is right to reserve analysis and the evaluation of not lighting on the levels of work s cultural characteristics but rather premising to similar and even reaching further to critical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