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작업모의평가도구 발파작업표본평가 2 size discrimination를 적용한 직업 복귀 능력평가

        민경철,정민예,이상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Object: This study was design to collect Korean normative data of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eets in performance and work hardening program through level of work adaptation and work rate described in manual. Methods: 50 university students(30 males, 20 females) performed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2 twice. The rate of work adaptation(Does not meet(A), Does not meet(B), Meets, Meets may exceed) and agreement between two administration(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assessed. Results: In men subjects, 15(50%) in Meets may exceed, 14(47%) in Meets, 1(3%)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97%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ial(total time of two administration). In Women subjects, 3(15%) in Meets may exceed, 14(70%) in Meets, 3(15%)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85%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ail. Conclusion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may be used to determine subjects who were need to join in work hardening program and to decide objectively function level of injured worker.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작업모의평가도구: 발파작업표본평가 #2(size discrimination)를 적용한 직업(복귀)능력평가

        민경철,이상헌,정민예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3

        Object: This study was design to collect Korean normative data of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eets in performance and work hardening program through level of work adaptation and work rate described in manual. Methods: 50 university students(30 males, 20 females) performed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2 twice. The rate of work adaptation(Does not meet(A), Does not meet(B), Meets, Meets may exceed) and agreement between two administration(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assessed. Results: In men subjects, 15(50%) in Meets may exceed, 14(47%) in Meets, 1(3%)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97%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ial(total time of two administration). In Women subjects, 3(15%) in Meets may exceed, 14(70%) in Meets, 3(15%)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85%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ail. Conclusion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may be used to determine subjects who were need to join in work hardening program and to decide objectively function level of injured worker.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작업모의 평가도구 : 발파작업표본평가 VCWS #2(크기구별)를 적용한 직업(복귀)능력평가

        민경철,정민예,이상헌 대한작업치료학회 200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근로자, 산업재해근로자 및 직업훈련생, 장애인의 기능능력평가도구 및 작업단련 프로그램(work hardening)도구로 쓰이는 작업모의 평가도구 미국인의 작업수행을 기초로 개발된 발파작업표본평가 중의 하나인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한국 정상인들의 수행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발파작업표본평가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직무 적합성과 작업율을 한국인에게 적용하여 직무적합성판정과 직업복귀 프로그램(작업단련프로그램)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신체적, 정신적 장애가 없는 20대 일반인 남자 30명, 여자 20명을 대상으로 발파작업표본평가 #2를 2회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를 발파작업표본평가 #2 에서 제공하는 직무에 대한 적합성(적합하지 않음A, 적합하지 않음 B, 적합함, 월등히 적합함)판정비율과 첫 번째 수행과 두 번째 수행에 있어 직무적합성 판정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15명(50%), 적합함이 14명(47%), 적합하지 않음(A)이 1명(3%)로 대상자의 97%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시도 1(첫 번째 수행시간 +2번째 수행시간)에서 월등히 적합함이 3명(15%), 적합함이 14명(70%), 적합하지 않음(A)이 3명(15%)로 대상자의 85%가 적합함 이상의 판정을 받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미루어 볼 때 발파작업표본평가 #2 매뉴얼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적합성 기준과 작업율을 근거로 한 직업단련 프로그램대상자 결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발파를 포함한 이외의 작업표준 평가도구에 대한 특성과 사용방법을 잘 알고 적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사가 직업복귀 프로그램의 팀원의 일부로 참여한다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직업복귀 훈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재해근로자의 기능수준을 파악하여 보다 객관적인 판정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Object: This study was design to collect Korean normative data of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and to ident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Meets in performance and work hardening program through level of work adaptation and work rate described in manual. Methods: 50 university students(30 males, 20 females) performed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2 twice. The rate of work adaptation(Does not meet(A), Does not meet(B), Meets, Meets may exceed) and agreement between two administration(assembly and disassembly) were assessed. Results: In men subjects, 15(50%) in Meets may exceed, 14(47%) in Meets, 1(3%)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97%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ial(total time of two administration). In Women subjects, 3(15%) in Meets may exceed, 14(70%) in Meets, 3(15%) in Does not meet(A). There were 85% of subjects performed above Meets in trail. Conclusions: Valpar Component Work Sample may be used to determine subjects who were need to join in work hardening program and to decide objectively function level of injured worker.

      • KCI등재

        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개발 연구

        전병진,박경영,임승건,정승원,이기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장애와 고용 Vol.25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분류-배열 능력을 평가하는 Korea Employment Agency forthe Disabled(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도구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 직업재활, 직업평가, 작업표본검사, 분류-배열작업과 관련한 이론 및 국내외 관련 연구 검토하였고, 직업재활 및 직업능력평가와 관련된 전문가 집단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현황 파악 및 도구개발 제안사항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사용자 대상 면담조사, 자문회의와 연구진 회의를 통해 검사도구의 형태, 검사 매뉴얼을 완성한 후 도구의 예비제작과 수정과정을 거쳐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를 제작하였다. 이 후 일반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를실시하여 검사실시방법과 검사결과해석에 대한 매뉴얼을 수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KEAD 분류-배열 작업표본검사 항목으로 단순분류, 복합분류, 배열(크기, 길이,숫자, 문자), 복합배열(한글과 숫자 혼합)이 포함되었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결과 단순분류와 복합분류는 검사자간 피어슨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배열 항목의 신뢰도는검사자간 일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구성 타당도 검증에서단순분류와 복합분류는 모두 분류라는 1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크기와 길이, 문자와 숫자, 복합배열의 총 3개의 항목 마찬가지로 배열이라는 1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분류 항목의 경우에 Lo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와의 상관계수를 통해서 기준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비구조화와 구조화 모두에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분류·배열 능력을 포함한 KEAD 작업표본검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되어 향후의 분류-배열 능력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KEAD Worksample test including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unction and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Method: We searched thesis and books, scientific treatise related to disabled, occupationalrehabilitation, job evaluation, worksample test,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with literatureresearch. Second, we examined present condition and various opinions about tool developmentin-depth interview with the specialist related to occupational rehabilitation and occupationalability evaluation. Third, we made worksample test including composition of test items, testadministration, test scoring system, a general design of test. We reflected various aspect ofworksample tes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spot inspection and interview with user,advisors meeting and researchers meetings. Fourth, we made the preliminary manufacture ofthe tool and undergone modification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tool. and then user’smanual was made. Results: The KEAD Worksample test developed by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highinterrater reliability in all caterogization and arrangement items. Next, for construct validitywe perform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we confirmed that two factorsmodel was valid for simple categorization and complex categorization test and three factorsmodel was valid for arrangement items in Goodness-of-fit model. Third, for thecriterion-related validity we established that KEAD arrangement worksample test had moderatecorrelation with structured Riska sub-item and unstructured Riska sub-item of LOTCA. Conclusion: The KEAD worksample test including categorization and arrangement functiondeveloped through this research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tool had been established. we will look forward to having clinical utility of this tool inoccupational ability evaluati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Manual Function Test 간의 상관관계

        김지연,장기연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3

        본 연구는 경증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뇌졸중 상지기능 평가 (Manual Function Test : MFT)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경증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을 평가하는데 KEPAD 검사가 효용성이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브런스트롬 손의 회복단계(Brunnstrom recovery stage)가 5단계 이상인 경증 뇌졸중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KEPAD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와 뇌졸중 상지기능평가(MFT)를 실시한 결과, 경증 뇌졸중 환자 전체 및 환측의 브런스트롬 손의 회복단계별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와 뇌졸중 상지기능검사(MFT)는 모든 영역에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경증 뇌졸중 환자 전체 및 환측의 브런스트롬 손의 회복단계별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의 하위 영역 간(대, 중, 소, 양손) 상관관계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KEPAD 손기능 작업표본검사가 뇌병변장애 중 하나인 뇌졸중 환자의 손기능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초기 직업재활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KEPAD test on hand function assessment for mild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by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MFT and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When MFT and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were conducted on 62 patients from Cerebrovascular Accident, who were taking hospital treatment for Cerebrovascular Accident and came under Stage 5 or higher of Brunnstrom recovery stag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in all areas of MFT and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Moreover, for each of the Brunnstrom recovery stage,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was shown in all areas(large, middle, small, both) of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As see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found that KEPAD hand function work sample test was useful in hand function assessment for mild Cerebrovascular Accident patients as well as in establishment of initial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atients by estimating hand function.

      • KCI등재

        한국판 학업능력에 기반한 작업활동검사 (K-Academic Work Activities) 표준화연구

        서한나(Seo, Han Na),이상진(Lee, Sang Jin),이기학(Lee, Ki Hak) 한국직업재활학회 2022 職業再活硏究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여 회복탄력성 향상 및 구직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 강서구에 위치한 A병원에 요양기간중인 산재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과 목적을 공고하여 참가를 희망한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 총 2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기존의 근로복지공단에서 운영하고 있는 희망찾기 프로그램을 토대로 구성 되었으며, 상담심리 전문가 3인의 지도를 통하여 수정⋅ 보완 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 회기당 120분으로 구성되었고, 본 연구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회복탄력성 및 구직효능감이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강점을 기반으로 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검증한 점과 산업재해를 당한 산재근로자들에게 실시하여 긍정심리를 적용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심리⋅정서⋅직업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으므로 실용성이 높으며, 실제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lects 5 sub-tests among the Academic Work Activities that are known to be practical in domestic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aims to propose the standardization process and its result.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s validity suggestion of criterion establishment based on difference verification among individual subjects of K-Academic Work Activities(K-AWA), and further suggests measurable suitability via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Subject of the study has been collected via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capital area which includes Seoul and Gyeonggi region - 206 abled people at the age of 20s~30s, and 203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01 from supported employment, 102 from sheltered employment). Criterion has been established for both groups of abled people and disabled(supported employment, sheltered employment).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two groups have shown distinct difference. A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h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criteria have been suggested for each group - abled people, supported employment, sheltered employment.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abled was .60~.79, and reliability for the disabled has shown above .75~.91. Reliability between the test subject was above .90~.95. Convergent validity against Minnesota Manual Dexterity Test was .64~.85, and against Basic Academic Skills Assessment was .51~.69, which has shown valid value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ce in terms of secur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andardized K-AWA. We further expect establishment of suitable criterion establishment, which can be practical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 KCI등재

        비정상 상황에서 ‘놀람과 깜짝놀람의 영향(Surprise and Startle Effect)’이 헬리콥터 조종사의 작업부하(Workload)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격증명(자가용 및 사업용) 조종사의 비교 -

        이석종,이강석,박원태 한국항공운항학회 2022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0 No.2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workload of helicopter pilots flying in high-risk flight environments such as ground obstacles and weather effects at low altitudes. To evaluate the workload,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NASA-TLX evaluation method most suitable for the aviation field, and the workload score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analytical stratification method (AHP) to compare and analyze private and commercial pilot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ean between private and commercial pilots and the result of work load was obtained over 70%. This paper studied the 'surprise and startle effect' on the helicopter field for the first time. In the future,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safe operation of helicopters by presenting a method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by utilizing it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helicopter pilots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