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지경(Ji Kyeong Park),김지온(Ji On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3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s,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이용률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청소년기와 성인기 사이의 성인진입기로 자아정체감 확립과 성인생활을 준비해야 하는 대학생의 상태자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올바른 상태자존감을 확립하고 SNS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B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9일부터 3월 15일까지 Goog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6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부정확한 응답이 이루어진 2부를 제외하고 25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ANOVA, Duncan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상태자존감은 하위요인 중 ‘기능적 자존감’은 학년 및 SNS 사용시간, ‘본질적 자존감’은 성별, ‘사회적 자존감’은 성별, 학년,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중독경향성은 성별, SNS 사용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 중독경향성은 기능적 자존감, 본질적 자존감, 사회적 자존감과 모두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여자 및 SNS 사용시간은 양(+)의 영향, 기능적 자존감 및 사회적 자존감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첫째, 대학에서 SNS 중독예방프로그램 운영 시 성별에 따른 특징을 반영하면서 ‘본질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과도한 SNS 이용을 하지 않으면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낮출 수 있는 관계 형성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올바른 SNS 사용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우울감 · 불안감을 낮추고 ‘기능적 자존감’과 ‘사회적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자존감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elf-esteem of university students who need to establish self-identity and prepare for adult life at the present time when SNS (social network services) use rate is rapidly increasing. It was attempted to help establish the right state self-esteem by identifying the impact and to help prepare measures to prevent SNS addic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rom March 9 to March 15, 2023,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located in B city. 26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2 copies with incorrect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state self-esteem, 'functional self-esteem'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 and SNS usage time, 'essential self-esteem' by gender, and 'social self-esteem' by gender, grade level, and SNS usage time. Seco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nd SNS usage time. Third, SNS addiction tendenc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functional self-esteem, essenti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Fourth, as for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gender female and SNS use time had a positive (+) effect, functi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had a negative (-) effect. In conclusion, first, when operating an SNS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at a university,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ogram that can increase 'essential self-esteem' whil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ender. Second, a relationship building program that can reduce the difficult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out excessive use of SNS should be conducted. Third, it is necessary to apply a self-esteem strengthening program that can lower depression and anxiety and increase 'functional self-esteem' and 'social self-esteem' as well as educational programs on the correct use of SNS.

      • KCI등재

        아동의 자존감, 자기자비가 자존감 안정성,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에 미치는 영향

        양곤성,김광수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0 초등상담연구 Vol.19 No.3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 및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과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았다. 서울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336명을 대상으 로 자기자비,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외적 자기가치 수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들 변인 간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과 독립적으로 자기자비가 자존감 안정성, 외 적 자기가치 수반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였으며, 자존감과 자존감 안정성의 관계 및 자존감과 자기가치 수반성의 하위영역인 학업성취 자기가치 수반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존감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자기자비의 특성과 활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the contingencies of self-worth.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The Self Compassion Scale,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were administered to 3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 higher self-compassion scores was associated to higher scores for stability of self-esteem and lower scores for external contingency of self-worth. According to the results, self-compassion play a independent role in the hierarchical effects on stability of self-esteem and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tability of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contingencies of self-worth,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was significant. The conceptual implications of self-compassion which can complement the limits of self-esteem and the usefulness of Self-compass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 -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김은희,강승호 한국교정학회 2010 矯正硏究 Vol.- No.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stee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aggressiveness of the convicts incarcerated in a correctional institution. Fiv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04 convicts.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among the self-esteem subtypes on aggressiveness, anger ex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ir scores on the SES and NPDS; high self-esteem, defensive self-esteem, and low self-esteem group. For this, ANOVA was conducted. And then, the study identified mediation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anger expression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elf-esteem group showed lower anger, hostility, and physical aggression than the defensive and low self-esteem groups. The defensive self-esteem group showed higher hostility and verbal aggression than the other groups did. Second, The defensive and low self-esteem groups showed higher anger-out and anger-in than the high self-esteem group did. Furthermore, the low self-esteem group showed the highest difficulty in anger-control. Third, The high self-esteem group utilized mor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ut the low self-esteem group utilized more maladaptive strategies. For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daptive anger expression. Also,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aladaptive anger expression. 본 연구에서는 교도소 수용자를 대상으로 자존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공격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존감 척도(SES), 자기애성 성격장애 척도(NPDS),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CERQ), 공격성 질문지(AQ-K),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가 실시되었으며, 총 304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먼저, 자존감 유형에 따라 공격성과 분노표현 양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차이가 있는지를 ANOVA와 Tukey 사후비교를 통해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첫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감, 적대감, 신체적 공격행동이 가장 낮았으며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에서 적대감과 언어적 공격행동이 가장 높았다. 방어적인 자존감 집단과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경향이 동일하게 높았지만,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 분노통제의 어려움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높은 자존감 집단에서 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낮은 자존감 집단에서는 부적응적인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더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자존감과 분노표현 양상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예측대로,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부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은 자존감과 부적응적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자존감의 안정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장재원,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3

        In this study, limitations of Rosenberg Self-Esteem Scale often used in measuring Global Self-Esteem were discussed and a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Self-Esteem is one of the most common topics in many areas of psychology. Recent studies showed that, a level and stability of self-esteem develops differently across lifespan. Additionally, previous research illustrated that Stability of Self-Esteem is the protective factor to many mental diseases and psychological disorders. However, no validated self-report scale is yet available to measure Stability of Self-Esteem. In the current study, a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s usefulness and validity was demonstrated by convergent, criterion and incremental validity.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자존감을 측정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고 있는 Rosenberg 자존감 척도(Self-Esteem Scale)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존감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존감은 심리학적 문헌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주제 중 하나이며 가장 관심을 가지는 주제이다. 그러한 관심을 반영하듯 자존감의 측정방식에 대한 문제가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자존감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전반적인 자존감의 수준과 자존감의 안정성이 서로 다른 발달적 과정을 가지는 구성개념이며, 자존감의 안정성은 여러 정신질환에 대한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자존감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된 자기보고식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과 상황에 걸친 자존감의 안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Rosenberg 자존감 척도에 기초하여 ‘자존감의 안정성 척도(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SSE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와 수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정신질환에 미치는 자존감 안정성 척도의 증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존감 불안정성, 자존감 수준, 방어성에 따른 자존감 유형 탐색 연구

        김민정,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esteem types based on self-esteem instability, self-esteem level, and defensiveness. One hundred and fifty undergraduate students have completed the first survey measuring demographic information, self-esteem level, defensiveness, and defense mechanism. After the first survey, 14 times of state self-esteem were measured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subject was considered as an index of his self-esteem instability. The data of 105 subjects was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has shown four types of self-esteem, which are ‘active self-esteem’, ‘refined self-esteem’, ‘suppressed self-esteem’, and ‘maladaptive self-esteem’. The result of MANOVA has presented the groups have different levels of adaptive/maladaptive defense mechanism. Proper Counselling approach for each type is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자기 방어의 성공 여부에 따라 자존감 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자존감 불안정성, 자존감 수준, 방어성을 기준으로 집단을 나누고 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1차 설문조사를 통하여 인구학적 변인 및 자존감 수준과 방어성, 방어유형을 측정하였고, 자존감 불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태적 자존감 수준을 14회 반복측정하여 각 개인의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세 변인을 근거로 군집분석을 실시하는 과정에서는 통계적 검증력을 높이기 위하여 위계적 군집분석과 비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네 집단이 나타났다. 다변량분석을 통해 각 집단이 주로 사용하는 적응적/부적응적 방어유형들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각 집단들의 특징에 따라 ‘적극적 자존감’, ‘세련된 자존감’, ‘억제적 자존감’, ‘부적응적 자존감’의 네 집단으로 명명하고 집단별로 상담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자존감 불일치와 SNS에서의 과시적 자기표현 간의 관계

        우혜진,박지윤,탁현아,이규연,이지혜,성용준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t patterns in conspicuous self-expression on S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steem discrepancy and its’ subtypes(higher explicit self-esteem and lower implicit self-esteem vs. lower explicit self-esteem and higher implicit self-esteem). Prior research suggested that the greater self-esteem discrepancy people experience, the more materialistic they become. Based on this prior research, it was anticipated that people with greater self-esteem discrepancy would use more materials on SNS to conspicuously express themselves than those with less self-esteem discrepancy. However, two subtypes of self-esteem discrepancy are also known to have notably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narcissism and modesty. Thus different usage of subjects(material, experience, relationship, pet) and methods (picture, hashtag) are expected in their conspicuous self-expressions on SNS depending on the self-discrepancy subtypes. 127 students and their Instagram accounts were recruited to conduct a survey and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participants with greater self-esteem discrepancy uploaded more pictures featuring materials with clearer vision of its’ brands and more hashtags mentioning materials than their counterparts. Furthermore, two subtypes of self-esteem discrepancy employed different subjects and methods to manage their impressions on SNS. While participants with higher explicit self-esteem and lower implicit self-esteem preferred to choose relationship as a subject and hashtag as a method, those with lower explicit self-esteem and higher implicit self-esteem rather chose pet as a subject and picture as a metho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자존감 불일치란 자아에 대해 두 가지 개별적 태도(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가 동시에 존재하며, 각각의 태도가 일치 혹은 불일치할 수 있음을 뜻하는 개념이다. 특히 자존감이 불일치하는 경우, 명시적 자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과 반대로 명시적 자존감은 낮지만 암묵적 자존감이 높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존감 불일치 수준 및 두 하위 유형에 따라 SNS에서 네 가지 과시 대상(물질, 경험, 친분, 펫)을 통해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사진 업로드, 해시태그 사용)을 보이는 정도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내용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존감 불일치 수준이 높을수록 SNS에 물질이 나온 사진을 더 업로드하고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더 선명히 드러내며, 물질이 언급된 해시태그를 더 사용했다. 더불어 자존감 불일치 두 하위 유형에 따라 SNS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을 위한 대상 및 방식의 차이 또한 나타났다. 과시 대상의 경우, 물질 및 경험을 통한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명시적 자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은 낮은 유형은 친분을, 반대의 유형은 펫을 통해 과시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아가 명시적 자존감은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은 해시태그를 통해 과시 대상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낸 반면, 반대 유형은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가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비교적 간접적으로 과시적 자기표현을 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SNS에서의 자존감 불일치와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존감 유형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 간 차이: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중심으로

        정수정 ( Jung¸ Soojung ),송연주 ( Song¸ Yeonjoo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0 人間理解 Vol.41 No.2

        본 연구는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른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적응적인 SNS 이용을 돕고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SNS 중에서도 인스타그램을 사용하는 대학생 471명을 대상으로 자존감, 조건부 자존감, SNS 이용동기 및 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였고, 군집분석 및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및 SNS 중독경향성 간에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조건부 자존감은 SNS 이용동기와 중독경향성 간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자존감과 조건부 자존감 수준에 따라 ‘안정된 높은 자존감’ 집단,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 ‘자존감 중간’ 집단, ‘불안정한 낮은 자존감’ 집단의 4개 군집이 도출되었다. 셋째, 각 군집별 SNS 이용동기의 차이에서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의 대인관계동기와 정보동기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SNS 중독경향성에서는 불안정한 높은 자존감 집단과 불안정한 낮은 자존감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 이용 및 중독경향성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는 내담자와의 상담 장면에서 실질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ifferences in SNS users’ motiv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as based on both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A total of 471 students who used Instagram were recrui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contingent SNS users’ motivation, and SNS addiction tendencies. Second, four cluster types were found relat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and contingent self-esteem: “stable high self-esteem,” “unstable high self-esteem,” “unstable low self-esteem,” and “moderate self-esteem.” Third, “stable high self-esteem” type showed differences on motivation and addiction tendencies, and “unstable high self-esteem” and “unstable low self-esteem” types showed high addiction tendencies.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people experiencing SNS problems so that counselors may find strategies to decrease SNS addiction tendencies.

      • KCI등재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탐색

        고현석,김민희,민경환 한국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1 No.3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content and structural aspects of self-concept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tability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variabl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Self-concept was measured by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Stability of Self-Esteem Scale, and Self-Concept Clarity 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three variables. Hierarchical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mental health index as criterion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and the individual’s psychological adjustment.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at after controlling for self-esteem, the stability of self-esteem strongly predicted subjective well-being and accounted for an additional variance; however, self-concept clarity did not explain any incremental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self-esteem is the most predictable variable for subjective well-being, but self-concept clar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 However, the mental health index constructed with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had a discriminative pattern. Regression controlled for self-esteem and demonstrated that the stability of self-esteem and self-concept clarity explain any incremental variances. The variances were higher than those of self-esteem in every criterion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also showed that the stability of self- esteem is the most accountable variable in predicting the mental health index, and that the variance of self-esteem was lower than that of self-concept clarity. Finally, a number of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개념의 내용적 측면과 구조적 측면을 구분하고, 이를 대표하는 구성개념인 자존감,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 간의 관계 및 이들 변인과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자존감 척도(RSES), 자존감 안정성 척도(SSES), 자기개념 명료성 척도(SCCS)로 자기개념을 측정한 결과, 세 변인 간에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이들 변인과 개인의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주관적 안녕감과 정신건강 지표를 준거변인으로 하여 위계적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주관적 안녕감의 경우, 자존감을 통제한 위계적회귀분석에서 자존감 안정성은 유의미한 증분 설명량을 보였으나, 자기개념 명료성은 증분 설명량을 나타내지 못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존감은 주관적 안녕감을 예언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개념 명료성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우울, 불안, 스트레스로 구성된 정신건강 변인에서는 차별적인 패턴이 발견되었다. 자존감을 통제한 회귀분석에서 자존감 안정성, 자기개념 명료성 모두 증분 설명량을 보였으며, 우울, 불안, 스트레스 모두에서 자존감보다 설명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자존감 안정성이 정신건강 변인을 예언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존감의 설명력이 가장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형자들의 교정프로그램과 범죄경력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Kim, Eun-Young),강소영(Kang, So-Young) 한국범죄심리학회 201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8 No.3

        수형자들의 자존감 수준에 관한 연구는 두 가지의 연구방향이 있는데 이는 두 가지의 상반되는 자존감과 범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주장들에 근거하고 있다. 첫 번째 연구방향은 낮은 자존감과 범죄자들의 공격성과 관련을 지지하는 연구이론에 근거한 접근이며 두 번째는 왜곡된 형태의 높은 자존감인 방어적 자존감과 범죄의 증가가 관련이 되어 있다는 이론적 주장에 근거한 접근방향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주장들을 검증하는 다수의 경험적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부정적 자존감과 범죄의 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적 주장 중 Baumeister 등이 주장한 수형자의 수형생활 및 범죄경험이 방어적 자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양적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여 경험적 검증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과장된 수형자들의 자존감과 그들의 수형기간의 경험 등을 포함한 범죄경력의 긍정적인 관계에 대해 주장한 Baumeister와 그의 동료들의 주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장기간동안 수형되고, 청소년기의 유죄판결경험이 있고, 전과기록이 더 많은 수형자들이 더 높은 과장된 형태의 자존감을 나타내게 될 것이고, 둘째, 반대로 수형자들의 다양한 재활프로그램들에의 참여가 수형자들의 자존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의 검증이다. 분석을 위해서 384명의 성인 남자수형자들의 표본을 사용하여 범죄경력, 교정기관프로그램에의 참여, 그리고 수형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들이 이들의 자존감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다중회귀분석기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낮은 자존감을 지닌 범죄자들이 높은 범죄율을 가지고 있다는 관계를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즉, 다수의 교정기관에의 수형경험이 있는 수형자들이 그렇지 않은 수형자들에 비해서 더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분석결과 교정기관의 프로그램의 참여와 수형자들의 자존감 수준과의 관계에 혼합적인 결과가 발견되었다. In the field of corrections research, i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tested topics that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level of self-esteem among inmates. In relation with this line of research, there are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that applied in examining the level of inmates' self-esteem. One of the theoretical perspective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reased criminal behavior and low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the other one, which has a rival viewpoints, argues that elevated and defensible self-esteem may be related to criminal offending. This current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ontroversial self-esteem and criminal offending nexus by using a sample of 384 male adults inmates in nine prisons in Korea. To conduct analysis, a mulit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to explore this nexus by examining the impact of criminal history, participation in prison program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inmates on the level of the participants' self-esteem. Overall, this study found supportive evidenc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low-self-esteem. That is, inmates who have multiple incarceration history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 of self-esteem than counterparts. Also, it found that there are some mixed results suppor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ison program participation and inmates' level of self-esteem.

      • KCI등재

        롤즈의 자존감과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비판적 고찰

        목광수(Mok, Kwang-Su) 새한철학회 2017 哲學論叢 Vol.87 No.1

        롤즈(John Rawls)는 『정의론』(1971)에서 자존감 없이는 어떤 것도 할 만한 가치가 없으며,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가장 중요한 사회적 기본 재화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는 롤즈의 다른 사회적 기본 재화들과 달리, 그 내용이 무엇인지가 명시되지 않아 이에 대한 논란이 많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내용이 다른 재화들과 중복된다는 해석에는 대체로 일치하는데, 이러한 해석은 롤즈 논의가 갖는 단순함과 명료함의 미덕을 훼손한다. 이러한 훼손에도 불구하고 롤즈 논의에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려면, 이렇게 주장할만한 합당한 이유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합당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롤즈의 『정의론』에서 자존감과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의 역할과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역할과 의미가 롤즈 논의에서 필수적인지, 그리고 만약 롤즈의 논의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기에 부족하다면 어떻게 그 의미를 보완할 수 있을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절에서는 자존감의 의미와 특성을 검토하고 3절과의 관계성 속에서 보완할 부분을 제시하며, 3절에서는 이렇게 보완된 자존감을 토대로 제시된 자존감의 사회적 토대가 평등에 관한 문제, 사회적 연합체들의 사회적 연합으로서의 사회에 관한 문제, 자유의 우선성 등의 문제를 실제로 해결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검토와 규명을 통해, 본 논문은 『정의론』에 대한 체계화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2000년 전후로 활발하게 전개되다가 뚜렷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해 고착상태에 빠진 분배와 인정 논쟁에 새로운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A Theory of Justice (1971), John Rawls argues that nothing may seem worth doing without self-respect and t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the most important of the primary social goods. However, Rawls does not define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nd this has created much debate over w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re. Despite this, there is a sense of agreement that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overlap Rawls’s other primary goods. If this is granted, then it is impossible to escape from the critique that this overlap results in the loss of the advantages derived from Rawls’s clarity and simplicity in explaining the sophisticated arguments in A Theory of Justice. Despite this loss, should Rawls include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in the category of primary goods, his reasons for doing so must be explicated. It is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examine the meaning and role of self-respect and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in Rawls’s theories. I will examine the meaning of self-respect as well as the role of self-respect and the social bases of self-respect, as mentioned in the preface of A Theory of Justice. To complete this analysis of the role of self-respect in Rawls’s theories in a systematic and coherent way, I argue that his definition of self-respect should be re-interpreted dynamically and that his theory would benefit from adding self-respect to a hierarchy of other interests. Through these clarifications and claims, I will provid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Rawls"s theory of justice and suggest a new solution to the redistribution-recognition debate that reached a dead end despite active discussion in the early 200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