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전적 기억의 특성 분석과 적용 가능성의 탐색

        진영선(Jin, Young-Sun),김영경(Kim, Young-Kyou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3 No.2

        개인사에 관한 기억인 자전적 기억(autobiographical memory)에 대한 연구는 그 정보 처리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인지심리학적 연구 주제로서 뿐만 아니라 자아를 중심으로 하는 재구성적 특성으로 인해 성격 및 발달적 연구 주제이기도 하다. 또한 우울이 있는 경우 나타나는 인출 결함을 통해 임상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에서도 내담자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끌어내는 연구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자전적 기억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전적 기억의 구성 요소, 재구성적 특성, 위계적 구조, 발달 과정, 측정 방법, 회상 양식, 연령차, 인지신경과학 측면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자전적 기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전적 기억의 실제적인 적용으로서 노인 자서전 쓰기와 우울검사 도구 개발에 대해 제의하였다. 이와 같은 고찰과 제의가 자전적 기억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키고 실용화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utobiographical memory is a valuable human faculty which provides us not only the insights about how we process incoming knowledge but also a variety of applications in developmental, social, counseling and clinical areas of psychology. Nevertheless, the research for autobiographical memory has been very scarce and limited in its scope and there were few attempts to capitalize on research findings in practical settings. In first part of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the multi-faceted concept of autobiographical memory and to provide a synopsis of the research findings that are relevant for our discussion. More specifically, we have looked at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utobiographical memory, it"s accuracy and measurement methods, the course of change along on the axis of age, age-related changes in the aspect of retrieval and finally the search for its neural origin. In the second part, we introduced two areas of application. The memoir writing program has shown that participating in this type of activity will not only help boosting the self efficacy of the elderly people in their cognitive ability but also encourage them to establish a better communication network with others. It has been also confirmed that autobiographical memory of depressed people shows a sign of overgeneralization in their retrieval performance which can be used as a diagnostic measure in clinical setting.

      • KCI등재

        노화와 자전적 기억: 회상유형과 사상유형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기억 양상 간 비교

        김영경,진영선,이장호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2 No.3

        자전적 기억은 자신의 삶에 관한 개인적인 기억으로, 주관적인 의식경험이 수반되며 자기도식에 의해 재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전적 인터뷰(Autobiographical Interview: AI)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일화 및 비일화적 요소의 인출 양상에서의 연령차를 인출지지와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사상의 정서에 따른 일화 및 비일화 회상량의 연령차를 살펴보았다. 노인은 탐문회상에서 청년보다 일화의 회상량이 적었고, 인출지지는 노인과 청년 모두에게 일화 및 비일화의 회상을 촉진시켰는데, 인출지지로 인해 증가한 일화기억의 범주유형 중 시간, 지각, 사고/정서에서 연령차가 나타났다. 그러나 비일화 회상에서는 연령과 회상유형 간 상호작용이 없었고, 자전적 기억의 회상에서 정서의 이득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와 그에 관한 논의를 통해 자전적 기억의 특성과 연령에 따른 기억체계의 변화, 정서와 기억 간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고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It has been postulated that as people get older, the episodic information in our auto biographical memory should be deteriorated faster than the semantic aspect of it. To examine the thesis, the present study measured the probed retrieval performances of young and old group in their autobiographical memory using a technique called, Autobiographical Interview(AI). It was also examined if the probed retrieval was in any way effected by the emotional valence of the events recalled.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re was clear age deficits in episodic memory but not in semantic memory. (2) Retrieval support helped young adults more in recalling episodic memories than older adults and this trend was quite visible in the category of time, perception and thought/emotion. (3) There was no evidence of the advantage in recalling the emotional events in both episodic and semantic aspects of autobiographical memory. (4) The recall for negative events in older adults interacted with rehearsal. It can be safely argued that the nature of tools and techniques administered to study cognitive aging will determine the level of validity of the data collected.

      • KCI등재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 회상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자전적 기억의 기능을 중심으로

        이소정,이훈 한국호텔관광학회 2022 호텔관광연구 Vol.24 No.2

        코로나19로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되며 과거 해외여행을 회상하는 현상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회 변화를 배경으로 본 연구는 관광 이후 단계에서 행복감을 지속하는 방법으로 회상의 인지적 역할을 논하고 장기적으로 기억되는 관광경험의 차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발 이전 지난 5년간 해외여행 경험을 한 국내 관광객을 대상으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자전적 기억의 기능, 주관적 웰빙의 영향 관계를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4가지 속성의 경로계수는 관광지에 대한 열정, 학습, 신기성, 사회적 상호작용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자전적 기억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시적 기능, 자기 기능, 사회적 기능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전적 기억의 기능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지시적 기능, 사회적 기능, 자기 기능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관광경험의 회상단계/에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자전적 기억의 기능을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기억의 인지적 역할과 그 가치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고 코로나 시대 관광객들의 추억을 자극하는 전략과 관광환경 및 서비스 조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KCI우수등재

        관광객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나는 관광경험 구조의 이해: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접근

        한석호,윤지환 한국관광학회 2020 관광학연구 Vol.4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mon and connotation structure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formed by tourism experience. Based on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contents of common autobiographical memories in the retrospective of tourism experience was summarized in an intensive structure. Specifically,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n the pre-trip stage was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Travel planning', 'Self-directed planning', and 'Expectation and anxiety'). The on-site stage was structured into a single category(‘Unusual experiences’). Lastly, the post-trip stage’s autobiographical memory was structured into three categories(‘Discovering new meanings’, ‘Positively distorted emotions’, and ‘Savoring memories’). The tourism experience shown in autobiographical memory is derived from experiences that have given subjective meanings according to cognitive and affective self-consciousness. It may include past experience or unconsciously, automatically, or reflexively by certain external conditions or stimulation. In particular, prior knowledge and external stimulation accumulated from past experience acted as crucial influence factors of tourist behavior and decision-making, and the process of such selection was also a part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autobiographical memory could be reconstructed and distorted by various factors. Our findings may help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mechanism in tourist autobiographical memory, and devise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evoking and promoting memory. 이 연구는 관광객의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나는 관광경험 구조에 대한 탐색과 함께 회고 내용에서 드러나는 관광객의 행동 기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Collaizzi(1978)가 제안한 기술적 현상학 중 경험적 현상학적 심리학적 체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관광경험에 대한 자전적 기억을 여행 전, 여행 중, 여행 후 단계에서 7개 범주, 13개 주제묶음, 29개 주제로 구조화하였다. 구체적으로 여행 전 자전적 기억은 ‘여행 계획 구상’, ‘주도적 계획 수립’, ‘여행 전 기대와 불안’의 3개 범주로 구조화되었으며, 여행 중 단계는 ‘비일상적 경험’으로, 마지막 여행 후 단계의 기억은 ‘새로운 의미 발견’, ‘감정의 긍정적 왜곡’, ‘기억의 저장 및 향유’의 3개 범주로 구조화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합된 결과를 통해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난 관광경험은 개인이 인지적, 정서적으로 자기의식에 따라 주관적인 의미를 부여한 경험 또는 과거 경험이나 외부의 특정한 조건이나 자극에 의해 무의식적, 자동적, 반사적으로 행해진 경험 등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과거 경험으로부터 축적된 사전지식이나 외부의 자극은 관광객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자전적 기억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재구성 및 왜곡될 수 있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관련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관광객 자전적 기억에서 나타난 의사결정 구조나 작용 원리와 같은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기억의 환기 및 촉진을 위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전쟁관련 사진전에 나타난 공식기억의 양상과 분단이미지 -기록과 예술의 매체로서의 사진-

        김상미 ( Sang Mi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7

        이 글의 목적은 한국전쟁 관련 사진전(展) 속에 드러난 공식기억의 양상을 살피고, 특히 전후세대 사진가들의 사진전에서 나타나는 공식기억(반공이데올로기)의 해체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특정시기(1960∼90년대)에 개최된 사진전에는 독특한 공식기억이 작동함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전쟁과 분단의 기원 이미지인 보도사진의 선택적 재구성으로 기억이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전시의 주요 매체인 사진은 역사적 기록임과 동시에 반공(反共)교육매체로서 한국의 분단의 역사를 재창출하는 것에 일조(一助)했다고 할 수 있다. 논의를 통해 살펴본 바, 한국전쟁을 기념하는 사진전의 역사는 2000년대를 기점으로 큰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전후세대의 사진은 공식기억을 대상화(對象化)하면서 동시에 이에 대항(對抗)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1960-90년대에 체험한 공식기억의 산물을 대상화하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기록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서 공식기억을 해체하게 되는 현상은 1960-90년대에 개최된 사진전을 통해 형성된 공식기억 때문이었던 것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전쟁과 분단의 사진이미지는 동시대의 ``자전적 기억``을 부각시키려는 시도로서 그 예술적 성향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극단의 대립적 성격의 이미지를 제시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즉 전쟁과 분단이미지의 사진을 예술의 대상으로 변모시키는 과정은 1960-90년대의 사진전을 보고 겪어온 동시대 사진가들의 기억을 통해 형성되어 온 것으로 이를 검토하는 것만이 동시대의 분단이미지의 흐름과 기원(Orign)을 분석할 수 있는 핵심적 요소일 것이다. 정전 6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속된 남/북간의 심리적 평행선은 갈등의 골을 고착화 시키고 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 대안은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전후세대의 사진과 그의 전시를 통해 문화적으로 분단현실의 극복을 도모하는 사례를 검토하고자하는 본 연구논문은 세대간·지역간·이념간의 갈등이 해체되는 현상에 대한 검토를 가능케 하는 단초가 된다. 이러한 현상의 규명은 예술문화의 분야에서 한국전쟁을 대상화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반공교육이라는 공식기억을 해체하는 과정으로 기능한다. 또한 전후세대의 사진작품과 사진전을 통해 형성된 전쟁 이미지는 한국 사진사의 변모과정과 더불어 사진의 예술적 가치를 찾을 수 있는 단적인 예이다. 전쟁으로 인해 우리가 당면한 분단현실에 대한 정치·사회·문화 등의 각 분야에서의 인식은 이미지를 통해 점차 그 본래적 의미조차 희석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갈래로 파생된 전쟁에 대한 기억은 그 기원(Orign)인 ``보도사진``의 재구성으로 인해 점차 신뢰성을 확보하며 지금도 전혀 다른 이미지로 생성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official memories which are showed in Korean War related photo exhibition, and to examine deconstructing features of official memories(ideology of anticommunism) focusing on photo exhibitions of post-war photographers. For example, the exhibitions held during a certain period especially 1960s to 1990s have a extraordinary characters, for the memories of photographers were formed by selective procedure affected by documentary photos that were the origin of the War and the division. Hence, the major medium of photographies have helped Korean government`s reproducing the division images project as historical records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anticommunism. The research tells us that the history of photo exhibitions, commemorating the Korean War, had two turning points, which could be before 1990s and after 2000. Photographies of post-war generation show mostly two main features; they objectified official memories and against them at the same tim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showed especially after 2000. Besides, the photos objectified official memories of 1960s-1990s as well. Those features are the very reason of dissolving official memories, pursuing documentary value and artistic value at the same time. Overall, images of the war and the division have concentrated on more artistic value, showing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memories``. Meanwhile, it shows whole different images emerging opposite view with it. In other words, photographers` memories which had been formed by experiencing photo exhibitions of 1960s-1990s made photos of the War and the division change into the artistic objects. Therefore, examining these changes could be a significant procedure to analyze all the images remained. The constant history of 60 years and parallel-psychological confli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never better without a certain fundamental solution. To examine the possible solution of these conflicts among generations, regions, and ideologies,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history of trial overcoming the division situation, researching the exhibitions of post-war generation. This is a trial of understanding the dissolving procedure of official memories that objectified the Korean War and created an anticommunism. That is, the images made by post-war generation could be examples to prove the changes of the history of photographies and the artistic values. Division images of photographies have perverted the original meaning of War in political·social·cultural ways. Thus, these transformed images made by reorganizing documentary photos have been obtaining more reliability than ever, creating more different images from the origin.

      • KCI등재후보

        전쟁관련 사진전에 나타난 공식기억의 양상과 분단이미지 -기록과 예술의 매체로서의 사진-

        김상미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科學 Vol.0 No.47

        이 글의 목적은 한국전쟁 관련 사진전(展) 속에 드러난 공식기억의 양상을 살피고, 특히 전후세대 사진가들의 사진전에서 나타나는 공식기억(반공이데올로기)의해체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특정시기(1960∼90년대)에 개최된 사진전에는 독특한 공식기억이 작동함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전쟁과 분단의 기원 이미지인 보도사진의 선택적 재구성으로 기억이 형성되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전시의 주요 매체인 사진은 역사적 기록임과 동시에 반공(反共)교육매체로서 한국의 분단의역사를 재창출하는 것에 일조(一助)했다고 할 수 있다. 논의를 통해 살펴본 바, 한국전쟁을 기념하는 사진전의 역사는 2000년대를 기점으로 큰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전후세대의 사진은 공식기억을대상화(對象化)하면서 동시에 이에 대항(對抗)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아울러 1960-90년대에 체험한 공식기억의 산물을 대상화하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기록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서 공식기억을 해체하게 되는 현상은1960-90년대에 개최된 사진전을 통해 형성된 공식기억 때문이었던 것이다. 시간이 흐를수록 전쟁과 분단의 사진이미지는 동시대의 ‘자전적 기억’을 부각시키려는 시도로서 그 예술적 성향이 점차 짙어지고 있다. 하지만 반대로 극단의 대립적 성격의 이미지를 제시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즉 전쟁과 분단이미지의사진을 예술의 대상으로 변모시키는 과정은 1960-90년대의 사진전을 보고 겪어온동시대 사진가들의 기억을 통해 형성되어 온 것으로 이를 검토하는 것만이 동시대의 분단이미지의 흐름과 기원(Orign)을 분석할 수 있는 핵심적 요소일 것이다. 정전 6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지속된 남/북간의 심리적 평행선은 갈등의 골을고착화 시키고 있으나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 대안은 없는 상태이다. 이에 전후세대의 사진과 그의 전시를 통해 문화적으로 분단현실의 극복을 도모하는 사례를 검토하고자하는 본 연구논문은 세대간․지역간․이념간의 갈등이 해체되는 현상에 대한 검토를 가능케 하는 단초가 된다. 이러한 현상의 규명은 예술문화의 분야에서 한국전쟁을 대상화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반공교육이라는 공식기억을 해체하는 과정으로 기능한다. 또한 전후세대의 사진작품과 사진전을 통해 형성된 전쟁 이미지는 한국 사진사의 변모과정과 더불어 사진의 예술적 가치를 찾을수 있는 단적인 예이다. 전쟁으로 인해 우리가 당면한 분단현실에 대한 정치․사회․문화 등의 각 분야에서의 인식은 이미지를 통해 점차 그 본래적 의미조차 희석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갈래로 파생된 전쟁에 대한 기억은 그 기원(Orign)인 ‘보도사진’의 재구성으로 인해 점차 신뢰성을 확보하며 지금도 전혀 다른 이미지로 생성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spects of official memories which are showed in Korean War related photo exhibition, and to examine deconstructing features of official memories(ideology of anticommunism) focusing on photo exhibitions of post-war photographers. For example, the exhibitions held during a certain period especially 1960s to 1990s have a extraordinary characters, for the memories of photographers were formed by selective procedure affected by documentary photos that were the origin of the War and the division. Hence,the major medium of photographies have helped Korean government’s reproducing the division images project as historical records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anticommunism. The research tells us that the history of photo exhibitions, commemorating the Korean War, had two turning points, which could be before 1990s and after 2000. Photographies of post-war generation show mostly two main features;they objectified official memories and against them at the same tim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showed especially after 2000. Besides, the photos objectified official memories of 1960s-1990s as well. Those features are the very reason of dissolving official memories, pursuing documentary value and artistic value at the same time. Overall, images of the war and the division have concentrated on more artistic value, showing contemporary ‘autobiographical memories’. Meanwhile, it shows whole different images emerging opposite view with it. In other words,photographers’ memories which had been formed by experiencing photo exhibitions of 1960s-1990s made photos of the War and the division change into the artistic objects. Therefore, examining these changes could be a significant procedure to analyze all the images remained. The constant history of 60 years and parallel-psychological conflic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been never better without a certain fundamental solution. To examine the possible solution of these conflicts among generations,regions, and ideologies,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history of trial overcoming the division situation, researching the exhibitions of post-war generation. This is a trial of understanding the dissolving procedure of official memories that objectified the Korean War and created an anticommunism. That is, the images made by post-war generation could be examples to prove the changes of the history of photographies and the artistic values. Division images of photographies have perverted the original meaning of War in politicalㆍsocialㆍcultural ways. Thus, these transformed images made by reorganizing documentary photos have been obtaining more reliability than ever, creating more different images from the origin.

      • KCI등재

        Autobiographical Memory in Robert Lowell's Life Studies

        강계유 미래영어영문학회 2013 영어영문학 Vol.18 No.3

        로버트 로웰은 『인생연구』를 통해서 엘리엇의 객관적 시론의 영향을 받은 초기시에서 벗어나 로젠솔이 고백시라고 이름을 붙인 미국시의 새로운 형식을 개척하였다. 1950년대 이후 많은 시인들은 자전적 자아와 기억을 그들의 주요 주제로 삼았다. 오거스틴과 루소의 고백록이 기억과 자아에 대한 당대의 개념을 드러내듯이, 로웰의 시들도 최근의 자서전 이론에 나타나는 자전적 기억의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 기억에 관한 최근의 이론들은 기억을 상상적 재구성으로 본다. 기억은 사실 이상의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자아의 허구화 과정을 나타낸다. 필자는 기억이 단순히 사실을 복사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창의적인 과정이라는 전제하에 로웰의 『인생연구』를 분석하였다. 이 작품 속에 있는 산문으로 된 회고록인 “리비어가 91번지”는 상상적 재구성인 기억의 시적 과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로웰에게 기억은 자아가 세계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는 과정이다. 『인생연구』에서 로버트 로웰은 끊임없이 자신의 사적인 과거로 되돌아가는데, 회상의 과정 속에서 그는 자신의 깊은 마음속에 있는 고통스런 기억들을 드러낸다. 그는 미국 문화의 배경 속에 자신을 위치시키고 자아 소외의 원인들을 찾고 있다. 그의 회상의 행위는 자신의 자아에 대한 이해로 이어지고, 그것은 마치 심리치료처럼 자신을 과거로부터 해방시킨다. 특히 그는 자신이 겪은 정신적 붕괴의 경험을 당대의 미국 문화로 확장시키고 있다. 로젠솔이 지적하듯이 로웰은 미국의 역사와 곤경을 자기 자신의 겪었던 사적인 경험 속에 구체화시키고 있다.

      • KCI등재

        한국성인의 자기 기술과 아동기 회상에 관한 발달적 연구

        김현정,방희정,조혜자,조숙자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descriptions and earliest childhood recollection of Korean Adults in terms of gender and 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the self-construal and autobiographical memory from life-span and socio-constructive developmental perspective. Korean Adults aged from 20' to 50' (N=352) were asked to make self-description on a shortened 20 Statements Test and to report their earliest memories by filling out questionnaires on memor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arliest memory, the average age at earliest memory of Korean adults was 4.8 years. They reported more positive and mild emotion in their memories. The younger reported earlier memories. Males and the younger reported more shortened and less other-related memories. The analysis for self-description of Korean adults, showed that both males and females placed more emphasis on individual attributes in describing themselves and that males and the younger reported more individual attributes and less other-related attributes.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relational self-construal they have, the more other-related and less emotional memories they provided and that the more positive self-evaluation they provided, the less emotional memories they reported. 본 연구는 성과 연령에 따라 성인들의 자기 기술과 아동기 회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구성물로서의 자기와 자전적 기억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대에서 50대에 속하는 성인 남녀 352명을 대상으로, 단축형 문장완성검사를 통해 자기-기술을 하게 하고 기억 질문지를 통해 최초 아동기 기억을 보고하게 하였다. 최초 기억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성인들이 보고한 최초 아동기 기억 나이는 4세 8개월이었고, 긍정적 정서와 중간 강도의 정서가 특징적이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더 이른 시기에 경험한 최초 기억을 보고했으며, 남성과 낮은 연령의 사람들이 최초 기억을 보다 짧게 보고했고, 타인을 낮은 비율로 언급하는 경향이 있었다. 한국 성인들의 자기 기술 내용을 분석한 결과, 남녀 모두 개인적 자기를 가장 많이 언급하였고, 연령이 어릴수록, 그리고 남성이 높은 개인적 자기와 낮은 관계적 자기를 보고했다. 자전적 기억과 자기 간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자기 성향이 높은 사람일수록, 기억에서 자신에 비해 타인을 언급하는 비율이 낮고, 정서와 관련된 언급을 더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자기평가 경향은 정서를 덜 언급하는 것과 관련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서구에서 실시된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함으로써, 기억과 자기가 함께 구성되며 이러한 양방향적인 과정이 개인의 전생애적인 발달을 통해 일어남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기억의 연금술

        강헌국(Kang Hun-kook)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이광수에게 자전적 글쓰기는 인정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의 인정 욕구는 소설에서 자서전으로 향할수록 그 정체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소설에서 그의 인정 욕구는 간접적으로 표현될 수밖에 없다. 그는 인정 욕구를 현실에 투사하기 위해 「인생의 향기」와 「그의 자서전」과「나」를 쓴다. 본 논문이 유사자서전류로 규정한 그 세 편에서 그의 인정 욕구는 자기 과시로 발현된다. 그가 유사자서전류의 세 편에서 기억의 이름으로 전하는 이야기들은 상충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같은 사건에 대한 기억들이 글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글마다 선택적인 기억들이 서로 모순을 빚기도 한다. 그러한 현상은 자서전의 본질과 관련된 조작으로부터 말미암는다. 자서전은 기본적으로 기억과 서사라는 두 가지의 지향을 내포한다. 서사적 지향이 기억을 지배할 경우 자서전은 사실의 경계를 넘어 허구로 진행하는데 이광수의 유사자서전류가 거기에 해당하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유사자서전류에서 이광수는 자기 과시를 위해 현실적 자아가 아닌 이상적 자아를 형상화하고 그 과정에서 사실을 기억하기보다 서사를 구축한다. 그로써 자서전을 지향하던 그의 행보는 자서전에서 이탈한다. 그가 자서전을 두고 벌이는 지향과 탈주의 행보는 인정 욕구를 실현하면서 기억의 사실성에 대한 심문을 회피하려는 이중적 목적을 염두에 둔 것이다. 「나의 고백」은 그러한 모순적 행보가 불가능해진 자리에서 저술된다. 그 글에서 그는 기억을 조작하는 대신 친일행위를 변호하는 논리를 구축한다. 그러나 논리가 아무리 정교하고 교묘하다 한들논리는 사실을 초월하지 못한다. 그가 구축한 친일 변명의 논리도 결과적으로 그의 친일행위를 사실로 확인할 뿐이다. This article is projected to understand the autobiographical characteristic of Lee Kwang-Soo's writings. To perform this purpose, I choose three of Lee Kwang-Soo's texts. They are Perfume of Life, His Autobiography, and I. I call them pseudo-autobiographical type because they resemble autobiography but do not accurately become it. By writing pseudo-autobiographies, Lee Kwang-Soo wants to realize his desire for recognition and to escape from the inquires about his memory's reality. Those double aims make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inconsistent. Being headed for autobiography, he runs away from it. He tries to make a narrative while he looks back into the past. In that process, he dose not revive memory but creates memory. Memory can do no other than conform itself to narrative, and his autobiographical writing brings about fiction. Pseudo-autobiographical type is yielded in the course of such writing. But it is impossible for him to escape from autobiography after Korean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egime. he writes My Confession in that circumstance. So My Confession is his only autobiography.

      • KCI등재

        기억의 연금술 - 이광수 문학의 자전적 성격 연구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P>이광수에게 자전적 글쓰기는 인정 욕구를 실현하기 위한 시도이다. 그의 인정 욕구는 소설에서 자서전으로 향할수록 그 정체를 뚜렷하게 드러낸다. 소설에서 그의 인정 욕구는 간접적으로 표현될 수밖에 없다. 그는 인정 욕구를 현실에 투사하기 위해 「인생의 향기」와 「그의 자서전」과「나」를 쓴다. 본 논문이 유사자서전류로 규정한 그 세 편에서 그의 인정 욕구는 자기 과시로 발현된다. 그가 유사자서전류의 세 편에서 기억의 이름으로 전하는 이야기들은 상충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같은 사건에 대한 기억들이 글에 따라 다르기도 하고 글마다 선택적인 기억들이 서로 모순을 빚기도 한다. 그러한 현상은 자서전의 본질과 관련된 조작으로부터 말미암는다. 자서전은 기본적으로 기억과 서사라는 두 가지의 지향을 내포한다. 서사적 지향이 기억을 지배할 경우 자서전은 사실의 경계를 넘어 허구로 진행하는데 이광수의 유사자서전류가 거기에 해당하는 전형적인 사례이다. 유사자서전류에서 이광수는 자기 과시를 위해 현실적 자아가 아닌 이상적 자아를 형상화하고 그 과정에서 사실을 기억하기보다 서사를 구축한다. 그로써 자서전을 지향하던 그의 행보는 자서전에서 이탈한다. 그가 자서전을 두고 벌이는 지향과 탈주의 행보는 인정 욕구를 실현하면서 기억의 사실성에 대한 심문을 회피하려는 이중적 목적을 염두에 둔 것이다. 「나의 고백」은 그러한 모순적 행보가 불가능해진 자리에서 저술된다. 그 글에서 그는 기억을 조작하는 대신 친일행위를 변호하는 논리를 구축한다. 그러나 논리가 아무리 정교하고 교묘하다 한들논리는 사실을 초월하지 못한다. 그가 구축한 친일 변명의 논리도 결과적으로 그의 친일행위를 사실로 확인할 뿐이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