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분석

        이병준,위미나 한국문화교육학회 200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2 No.2

        앞으로 박물관·미술관의 활성화와 개인 및 지역사회의 문화적 역량 강화로 지역문화 시설로서의 박물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다. 박물관·미술관이 지역문화시설로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자원봉사의 활용을 통한 시민 및 지역사회 역량 강화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박물관의 자원봉사는 기존의 자원봉사활동 영역인 교육 프로그램 진행 보조 전시설명 및 안내에서 더욱 확장될 수 있다. '소장품 관리', '조사연구', '전시설명', '교육 및 문화행사 진행', '박물관 안내 및 소개', '문화교류 홍보 및 홈페이지 관리작업보조' 등 다양한 활동 영역에서 자원봉사를 운영할 수 있다. 이처럼 박물관·미술관에서 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이를 관리할 관리자가 부재한 것이 현실이다. 박물관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문화시설에서 자원봉사관련 업무만을 전담하는 관리자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미술관의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직무를 분석하고 향후 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가능하도록 직무의 모형도를 추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task analysis of Museum Volunteer Manager. The tasks of museum volunteer are extending not only in the existing volunteer area as assisting of education program instructing, explaining and guiding of exhibition but also in the various area as 'collection managing', 'survey study', 'exhibition explaining', 'lecturing and cultural event managing', 'museum guiding and introducing', 'cultural exchange promoting and homepage management assisting'. This study abstracts the task modeling of museum volunteer manager to improving the professional of museum volunteer manager.

      • 타임뱅크 방식의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김자옥(ja-ok Kim) 한국자원봉사학회 2022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타임뱅크 방식을 적용하여 만든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의 지역밀착형 자원봉사 안녕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자원봉사 활동과 관리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타임뱅크 운영방식을 적용한 ‘안녕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 6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은 4가지 범주로 자원봉사 환경변화에 적응, 쌍방향의 교류과정이 있는 자원봉사, 현장 욕구에 부응하는 연계 전략, 실질적 교류 성과 확인이라고 나타났다. 자원봉사 관리자는 타임뱅크 방식의 참여경험은 새로운 자원봉사 유형을 이루는 도전이고 세밀한 과정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여기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volunteer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Volunteer Center's community-based volunteer well-being network project created by applying the time bank method. As a research metho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volunteer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Hello Network Project’ to which the time bank operation method was applied at the Seoul Volunteer Center.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volunteer managers fall into four categories: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volunteering environment, volunteering with an interactive exchange process, linkage strategy to meet the needs of the field, and confirmation of practical exchange results. Volunteer managers consider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time bank method as a challenge to form a new type of volunteer work and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detailed process.

      • KCI등재

        자원봉사관리자 교육의 현황과 과제

        황성동,권현수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원봉사관리자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자원봉사관리자 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방법으로는 현재 자원봉사관리자교육을 실시하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기관, 단체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하였으며, 응답기관 15개 기관의 응답내용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자원봉사관리자 교육의 현황과 실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우리나라 자원봉사관리자교육은 교육유형, 교육내용, 교육대상, 교육체계 및 인증주체 등과 관련해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주요 논의사항으로는 첫째, 자원봉사관리자교육이 자격과정(양성과정)과 재교육(보수교육)으로 구분되어 실시되어야하며, 이러한 교육과정에 대한 공식적인 인증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원봉사관리자의 자격과 신분이 제도적으로 인정되고 보장되어야 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자원봉사관리자 교육내용의 적합성, 유효성 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충남 시·군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를 중심으로

        손석현(Son Suk-Hyun)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21 지역복지정책 Vol.32 No.-

        이 연구는 자원봉사센터와 자원봉사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충청남도 시·군 자원봉사센터의 관리자들이 필요한 직무능력 및 자질, 직무에 대한 전문성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능력 및 자질이 자원봉사 직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 직무 전문성은 대체로 보통에 해당하지만, 사회과학적인 의미에서 보통은 부정적 평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은 그들의 직무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그러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지 않다. 이는 업무에 밀려(정규직), 정보를 알지 못해서(계약직) 교육 참여가 원활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보다 다양한 교육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outcom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volunteer center, and ultimately to find ways to revitalize volunte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job competence, qualities, and expertise required by volunteer managers at the Chungcheongnam-do, and to find out how job abilities and qualities affect expertis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volunteer education. To summarizes, first, volunteer managers competence, qualities, and job expertise for volunteering are generally average, but in the social science sense, they are usually close to negative evaluation. Second, the voluntary skills and qualities of volunteer managers affect job expertise. Thir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o strengthen job expertise. However,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r and contract worker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y are participating is not high. Due to the lack of work (regular workers) and unaware of information (contract workers), participation in training is not smooth.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job expertise through more diverse training.

      •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 직무능력 및 자질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충청남도 시·군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를 중심으로

        박성순(Park Seong-Soon),손석현(Son Suk-Hyun) 한국지역복지정책연구회 2020 지역복지정책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outcome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al factors of the volunteer center, and ultimately to find ways to revitalize volunteer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job competence, qualities, and expertise required by volunteer managers at the Chungcheongnam-do, and to find out how job abilities and qualities affect expertise.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evance of volunteer education. To summarizes, first, volunteer managers competence, qualities, and job expertise for volunteering are generally average, but in the social science sense, they are usually close to negative evaluation. Second, the voluntary skills and qualities of volunteer managers affect job expertise. Third,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to strengthen job expertise. However, education satisfaction is low. From the perspective of regular and contract workers,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y are participating is not high. Due to the lack of work (regular workers) and unaware of information (contract workers), participation in training is not smooth.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job expertise through more diverse training. 이 연구는 자원봉사센터 별 조직적 요인에 따라 나타나는 자원봉사 성과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궁극적으로는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충청남도 시·군 자원봉사센터의 관리자들이 필요한 직무능력 및 자질, 직무에 대한 전문성의 상호 관계를 확인하고, 직무능력 및 자질이 자원봉사 직무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원봉사 교육와의 관련성도 살펴보고자 한다. 요약하면, 첫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 직무 전문성은 대체로 보통에 해당하지만, 사회과학적인 의미에서 보통은 부정적 평가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원봉사센터 관리자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능력과 자질은 그들의 직무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그러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으나,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지 않다. 이는 업무에 밀려(정규직), 정보를 알지 못해서(계약직) 교육 참여가 원활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보다 다양한 교육을 통해 그들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자원봉사활동 지속과 중단요인 인식유형에 대한 Q방법론 연구

        최유미(Choe, You-Mi)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최근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흐름을 살펴보면,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의 상승과 더불어 활동중단도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활동 지속과 중단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개인적 특성요인, 심리적(동기) 요인, 조직의 특성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자원봉사활동 현장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우 활동을 지속하거나 중단을 하게 되는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또한 자원봉사자가 인식하는 관점과 자원봉사관리자가 인식하는 관점의 차이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봉사활동 지속과 중단요인에 대해 경북지역의 자원봉사 관리자들은 어떠한 주관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자원봉사 지속과 중단요인에 대한 인식유형으로, 심리적 만족과 심리적 인정이 강조되는‘심리적 만족-인정지향’관점과 사회적 참여의 기회와 개인의 책임의식이 강조되는‘사회참여-책임지향’관점, 자원봉사의 기본 가치지향과 사회적 참여의 기회가 강조되는‘사회참여-가치지향’관점등 세 요인을 발견하였다. 또한 세 요인의 공통점을 분석한 결과,‘사회참여의 기회제공’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세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원봉사자의 관점으로부터, 자원봉사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지닌 자원봉사관리자가 생각하는 자원봉사 지속과 중단요인의 인식유형분석을 통해 자원봉사자와 관리자간의 관점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자원봉사관리자 직무분석 및 직무모형 개발

        최권호(Choi, Kwonho),김준표(Kim, Junpyo),김진원(Kim, Jinwon) 한국자원봉사학회 2020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특정 취약계층을 원조하던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공동체 영역에서 변화를 모색하는 시민주도의 자원봉사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며, 자원봉사활동을 기획하고 관리하는 전문가로서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은 어떠한지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향후 자원봉사관리자의 자격제도 도입 및 관련 학문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자격제도와 직무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자원봉사활동이 오래전부터 사회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한 서구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이었으며, 이로 인해 관련 자격제도 역시 난립한 상황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분석 및 직무모형 개발을 위해 국내 9명의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진행하는 질적연구와 122명의 자원봉사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양적조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최종적인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모형을 도출하였다. 국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는 9개의 책무와 41개의 작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41개 작업요소 별로 중요도와 수행빈도를 비교하는 IPA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ave the way forintroducing the volunteer manager licensure and related area by suggesting the job modeling as plan maker and manager in the midst of changing paradigm from supporting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to groping change in various community settings which are led by citizen. To achieve this, the study reviewed current volunteer manager certificate system in Korea and abroad, and existing study about their job modeling.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the study about volunteer manager job model was limited on the contrary of the population in western countries, and the vasious certification system were mushroomed and individualized due to the jumbling of private licensure institu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researchers suggested a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 by mixed method which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experts in the field, and survey with 122 volunteer managers. In detail,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 in Korea was developed with nine duties and 41 works. The study performed IPA analysis which compares importance and job frequency in each works, and suggested its results and implications.

      • 자원봉사센터 재난자원봉사 담당자의 직무요구-자원(JD-R)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연구

        신지헌(Shin, Ji-Hun),정진경(Jung, Jin-Kyung)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전국의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재난자원봉사 업무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요구와 자원(JD-R)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 조사를 통해 수집된 165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자원봉사 업무 담당자들이 인식하는 직무요구 수준은 평균 3.01로 보통 수준이나 역할모호성 요인(3.13)이 비교적 높았으며, 이들을 지원하는 직무자원은 3.15점으로 평균 이상이었지만 자기개발(2.81) 요인은 낮았다. 둘째, 직무 열의는 평균 2.98점으로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재난자원봉사 업무에 대한 몰두(2.78)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재난자원봉사 업무 담당자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직무요구에서는 ‘희생’요인이 부정적인 영향(β=-.235)을 미치고 있으며, 직무자원에서는 도구적 지원((β=.193)과 자기개발(=.358)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재난자원봉사 업무에 대한 직무분석을 통해 역할을 명확히 하고 직무에 필요한 도구적 지원뿐 아니라 담당자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등 자기개발을 위한 지원 확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job demands and resource levels (JD-R) for disaster volunteers working at volunteer centers across the country,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ir effects on job enthusiasm.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165 peopl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demand level recognized by disaster volunteer work managers was average of 3.01, but the role ambiguity factor (3.13) was relatively high. The job resources to support them were 3.15 points, above the average, but the factor for self-development (2.81) was low. Second, the level of enthusiasm for the job(2.98) was lower than the average and in particular, the level of preoccupation with disaster volunteer work(2.78) was low. Thir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job enthusiasm of those in charge of disaster volunteer work, the sacrificial factor had a negative effect(β=-.235) in job demands, and instrumental support(β=.193) in job resources. and self-development(β=.358) had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disaster volunteer work was clarified through job analysis, and support for self-development such as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erson in charge as well as the instrumental support required for the job was suggested.

      •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

        최권호(Choi, Kwonho),권현수(Gweon, Hyunsoo),김준표(Kim, Junpyo),구지윤(Ku, Jiyoon),이종화(Lee, Jonghwa) 한국자원봉사학회 2021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자원봉사관리자 양성을 위한 교과목 지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와 전문가 워크숍, 심층인터뷰 등을 통해 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를 A. 자원봉사 활동 기획’, ‘B. 자원봉사 활동 연계’, ‘C. 자원봉사자 교육 및 훈련’, ‘D. 자원봉사 활동 지원’, ‘E. 지역 협력체계 구축 및 운영’, ‘F. 자원봉사 홍보’, ‘G. 행정관리’ 등 7개의 책무와 31개의 작업을 구성하였고, 각 작업 수행에 필요한 63개 단위의 역량(28개 단위 지식, 35개 단위 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63개의 역량을 클러스터링하여 각 역량을 교육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원봉사’, ‘시민사회와 자원봉사’, ‘자원봉사의 가치와 윤리’,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자원봉사 관리’, ‘자원봉사 행정’, ‘자원봉사 리더십’, ‘자원봉사 마케팅’, ‘사회조사 및 자료분석방법’, ‘자원봉사의 동향과 전망’ 등 10개의 교과목을 개발하고 각 교과목 별 개요와 목표, 내용 및 교수방법을 포함한 교과목 지침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urriculum guidelines for nurturing volunteer managers. First, we composed the seven responsibilities and thirty-one tasks based on the job model of volunteer managers. Each responsibility is as follows: A. Volunteer activity planning; B. Volunteer activity linkage; C. Volunteer education and training; D. Volunteer activity support; 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gional cooperation system; F. Volunteer Public Relations; G. Administrative Management. Next, we derived 63 competencies (28 units of knowledge, 35 units of skills) required for performing each task and clustered them into the ten subjects, which are as follows: Human and Volunteer Service; Civil Society and Volunteer Service; Volunteer Value and Ethics; Volunteer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Volunteer Management; Volunteer Administration; Volunteer Leadership; Volunteer Marketing; Social Research Methods; Volunteer Trend and Prospect. Finally, we proposed curriculum guidelines for each subject, including outline, goals, main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직업성 특성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권현수(Gweon, Hyun Soo) 한국비영리학회 2011 한국비영리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원봉사관리자가 전문직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와 태도인 전문직업성(professionalism)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을 결정짓는 영향요인들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직업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실천적, 제도적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으며 탐색적 연구의 성격을 띤다. 전국 247개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자원봉사관리자 전체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267부가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되었다. Hall(1968)과 Sneizek(1972)이 개발하고 박종우(1994) 등이 번역, 사용한 전문직업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한 자원봉사관리자들의 전문직업성 정도는 5점 척도기준 3.64로 보통이상의 전문직업성을 가져 초기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직업성 조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자원봉사관리자들의 전문직업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정규직 여부, 자원봉사경험, 학력 등의 순서였으며, 전문직업성을 결정짓는 변인으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재교육 경험은 전문직업성 전체 및 하위변인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자원봉사관리자의 재교육 역시 전문직업성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변수인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s main purpose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olunteer Manager’s Professionalism and to find ou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ir Professionalism. The volunteer management system is needed a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the spread of volunteer activation and civil participation in volunteer service in our country. For carrying out this purpose, the mail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toward entire volunteer managers working at the 247 places of volunteer centers. The total of 267 shee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level of professionalism of volunteer manager’s was 3.64, it was usual level, and it was approved that the status of job(permanent worker), volunteer activity experiences, and educational background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on their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volunteer manager, not only arrangement of contents and quantities of works, stabilization of status but also public and systemic supporting should b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