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태 ( Sang Tae Park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7

        이 논문은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자연과학 캠퍼스)에서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전공 연계적 글쓰기 과목인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가칭)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현대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의 주요한 특성, 즉 수리적·통계적 도표를 활용하는 표현상의 특성, 가설-연역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적 특성, 팀별 협동 작업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실천상의 특성 등을 반영하여 ‘자연과학 및 공학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은 ‘분석 → 평가 → 작성’이라는 일련의 단계들에서 읽기와 쓰기를 병행하면서 텍스트의 양과 질을 점진적으로 강화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 프로그램의 1단계에서는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의 수리적·통계적 도표를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작성하기 위한 해설적 글쓰기를 실습한다. 그리고 2단계에서는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의 가설 혹은 모델의 형성 및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텍스트의 가설 혹은 모델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평가하는 논증적 글쓰기를 실습한다. 끝으로 3단계에서는 현대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의 환경을 모방한 팀별 활동을 통해 연구 제안, 연구 논문, 연구 소개에 관한 다양한 글쓰기를 실습한다. 비록 해결되지 않은 몇 가지 행정적·제도적 문제들이 남아 있지만, 이상의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기초한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 과목은 이공계 대학생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연구 활동이 지닌 사회적·윤리적 의의까지 고려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양기초 교육 분야에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한 가지 구체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writing course,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in Natural Sciences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In order to accomplish it, this study proposes a new writing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which is called as ``science & engineering writing competence program``. Especially this writing program considers 3 major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es- mathematical·statistical charts or diagrams, hypothesis-deductive method, team-based cooperative work. ``Science & engineering writing competence program`` consists of three major steps, which steps are gradual in reading and writing level. The first step of this writing program is to analyze mathematical·statistical charts or diagrams, and to practice expository writings. The second step of this writing program is to estimate the validity of hypotheses and models, and to practice argumentative writings. The third step of this writing program is to simulate practical writings in the field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actice ethical writings. Although som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problems are unsolved, the new writing course on ``science & engineering writing competence program``, which is called as <Scientific & Engineering Writing>, will offer the advancement of writing skills and the ethical reflection on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achievement to th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So <Scientific and Engineering Writing> in Natural Sciences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will be a successful case of writing course curriculum in the relation with the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 KCI등재

        자연계열 글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경희 이화어문학회 2008 이화어문논집 Vol.26 No.-

        본고는 자연계열 전공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수업의 현 단계를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계열 글쓰기 교육에서 수강생들과 공유할 수 있는 문제와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사례들을 조사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연계열 전공생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수업에서, 전문화되고 특화된 전공 영역의 문제의식과 글쓰기 형식, 표현 방식 등을 타 영역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실습함으로써 전공 영역을 뛰어넘는 의사소통의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모형을 제시한다. 이러한 글쓰기 교육은 자연계열 전공 수강자들의 글쓰기, 말하기 등의 의사 전달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타 영역과 공유할 수 있는 표현 방식을 훈련하여 제반 학문과 소통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heck the present stage of writing class that students who major in natural sciences take. It is also to examine and to show the problems that the students recognize in writing class and the example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 Writing class for students who major in natural sciences will give them a chance to find ways to share a critical mind for their major, the form of writing and ways of expression with other provinces. This class gives an example to have them improve their communication capacity beyond their major. This writing education aims at helping communication between specialized studies by practicing ways of expression that are shared with other provinces as well as improv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natural sciences.

      • KCI등재

        자연계열 대학 글쓰기 수업의 창의성 활용 사례 - 충남대학교 교과 <자연과학글쓰기> 수업을 중심으로

        김현화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0 No.-

        This paper contains teaching methods that utilize creativity in writing classes at natural science universities. I divided the teaching methods into three stages to utilize the necessity and creativity of creative writing. It is a method of writing individually, which is a symbol of students, a writing activity through one-on-one dialogue, and a cooperative writing activity based on team discussion and presentation. This three steps ar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sequentially in the 15th class. The goal is ‘to otherize in the self’, ‘to date the self and the self’, and ‘to communicate with the self’. Students experience the otherized of their self by writing as a symbol of me. The example is "I am confident today!" And "I dream of an original wrong answer". It presents a new self as a symbol of his psychology or situation. This course is linked to self-introduction. Students perform one-on-one conversational writing. It is a writing class where self and self are connected. The professor presents the data on the conversation. You can use the actual scientists' conversational data. Or you can write another. This writing is linked to science essay classes. Students discuss and present their teams and collaborate. It is a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self and social discourse. Through discussions, knowledge that has stayed in the major area is linked to social problems. The work to be done by collaborative writing is the introduction of the paper. This writing is linked to graduation papers or academic papers. It is the goal of cooperative writing to enhanc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이 논문은 자연계열 대학 글쓰기 수업에 창의성을 활용한 교수 방안에 주목하였다. 창의적 글쓰기의 필요성과 창의성을 실제 활용해 볼 수 있는 교수 방안을 3단계로 나누어 제시했다. 학생들의 상징어로 글쓰기를 수행하는 개별 글쓰기 활동 방안과 일대일 대담 역할을 통한 글쓰기 활동 방안, 팀별 토의 및 발표를 기반으로 한 협동 글쓰기 활동 방안이 그것이다. 이 3단계는 15주차 수업 가운데 순차적으로 실행해 볼 수 있는 구성이며, ‘자아의 타자화’, ‘자아와 자아의 연대’, ‘자아와 담론의 소통’을 목표로 하는 교수 방안이다. 학생들은 ‘나를 상징하는 상징어’를 활용한 글쓰기로 자아의 타자화를 경험한다. “네”라는 명명법은 사회 통념으로 굳혀진 자아이다. “오늘도 자신 있게!”, “독창적인 오답자를 꿈꿉니다”처럼 현재 자신의 심리나 상황을 담은 상징어로 새로운 자아를 제시한다. 이 과정은 자기소개서와 연계해 수업하면 효과적이다. 일대일 대담 형식의 글쓰기는 자아와 자아가 연대해 수행하는 작업이다. 교수자가 대담 자료를 제시한다. 실제 과학자들의 대담 자료를 활용해도 좋고, 대담하기 편하도록 단락 나누기가 가능한 내용의 자료를 활용해도 무방하다. 이 방안은 세 단락 이상의 글쓰기로 전이가 가능하므로 과학에세이 수업과 연계해 진행한다. 팀별 토의 및 발표 활동을 활용한 협동 글쓰기는 자아와 사회적 담론의 소통 과정을 기반으로 한다. 토의를 통해 전공 영역에 머물던 지식이 사회 제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한다. 협동 글쓰기로 수행할 글은 논문의 서론 부분이다. 이 과정은 졸업논문이나 학술논문 작성으로 연결된다. 학교 밖 일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살아 있는 의사소통능력, 바로 그 지점에 협동 글쓰기의 지향점이 있다.

      • KCI등재후보

        이덕무 산문의 생태적 글쓰기와 그 의미

        박수밀 ( Su Mil Park ) 한국작문학회 2010 작문연구 Vol.0 No.10

        본 논문은 고전의 ‘생태적 글쓰기’를 탐구하여 오늘날 생태 교육에 이 바지하고 작문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자연 사물에 꾸준한 관심을 갖고 글쓰기에 실천했던 이덕무의 산문을 그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이덕무의 생태 작가로서 면모와 자연 심미관을 살폈다. 이덕무는 하찮은 사물과 귀한 것의 존재 가치를 동등하게 보고 사물의 소소한 모습에서 지극한 이치를 찾았다. 그 바탕 아래 형암이 자연 경물이나 사물에서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 자연 사물을 어떤 방식으로 써갔는지를, ‘사물의 이치에서 인식을 전환하기’와 ‘사물의 생태로부터 빗대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형암은 사물의 생태로부터 발견한 이치를 인간 행위와 결부시키는 글쓰기를 보여주었다. 또한 형암은 자연의 정경으로부터 내면의 치유를 경험하는 글쓰기를 보여주었다. 자연 사물에 대한 수사적 표현에서는 전범에 기대지 않는 새로운 비유를 구사하여 자기만의 개성을 이룩해냈다. 이덕무의 사물 인식 태도가 작문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생각해 보았다. 첫 번째는 관찰의 중요성이다. 둘째는, 사물의 묘사에는 요령이 있다는 것이다. 자연 사물에 대한 섬세한 관찰과 이해는 새로운표현 능력을 길러준다. 생태적 글쓰기는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고 글쓰기 훈련을 키우는데 보탬을 준다고 본다.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ecological writing of the classics, to apply it for the education of ecology and to find out the possible approach to the education of composition. The prose of Lee Duk-Mu is chosen in this study, because he wrote with deep concern to the things of nature. Firstly, it approaches the position of the writer as an writer of ecology and his esthetic point of view. He considered the insignificant things as the equal value as the priceless things, and found the high reason in the meticulous images of things. On this base, it found what Hyung-Am learned from the natural features of the season and the things, how he approached writing the things of the nature, especially, with two points of ``the change of recognition in the reason of the things`` and of ``the allusion from the ecology of the things”. His writings show that the reason revealed in the ecology of the things is associated with the activities of human being. And Hyung-Am showed in his writings of healing the inner mind from the natural features of the season. He achieved his own unique personality to reveal the new comparison, not following the precedent. The ecological writing of Lee Duk-Mu makes sense in today`s education of composition. Firstly,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 Secondly, there is a skill in describing the things. Thirdly, the deep investigation into the things of the nature and the understanding of it can develop the new capability of writing. The ecological writing can make certain role in healing the mind of human being and developing the training of writing.

      • KCI등재

        동아시아 에코페미니즘적 글쓰기와 ‘자연-정동’의 구조화 과정

        신진숙 문학과환경학회 2018 문학과 환경 Vol.17 No.4

        Emotionality —feminist emotion and affect— has been regarded as women's primary agency in contemporary feminism. Affect and emotions are rendered as important keys to enable feminists to construct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between women who is differently situated. This reorientation named ‘affective turn’ in feminism can renew ecofeminist writings and perspectives, which also can help to think of ‘the East Asian’ ecofeminism discerned from the Western. In this sense, this essay surveys writings and structuring the affective life and emotional engagement with nature(human and non-human) labelled ‘nature-affect’ in the East Asian ecofeminist literature, focusing on works written by East Asian Woman Writers, such as Korean writer Han Kang’s novel Black Deer, Chinese writer Chi Zijian’s novel At the Peak and Japanese writer Tsushima Yuko’s works I. This essay illustrates how the affective life as bodily capacities which can ‘affect and be affected’ in encountering others and the ‘affect-nature’ (bodies affected by nature) as the material and symbolic interrelation between women marginalized and nature (non-human or animals), both act and transform the existing world. In the conclusion, it suggests why different and dissonant affect and emotions rather than the empathetic sameness are necessary to construct feminist solidarity for future. 이 글은 동아시아 에코페미니즘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최근 한중일 문학작품에서 자연과 여성이 조우면서 생성되는 다양하고 이질적인 정동과 감정들에 주목하고, 정동적 차원들이 글쓰기를 통해 이러한 정동적 관계들이 어떻게 구조화되고 공통적인 것으로 생산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감정, 즉 페미니스트의 감정(emotion)과 정동(情動, affect)에 관한 이론은 페미니즘 이론에서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정동과 감정을 기반으로, 국가와 민족, 상황과 위치의 차이들을 지닌 페미니스트의 연대를 재개념화하고 새로운 실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정동적 페미니즘의 경향은 여성과 자연의 관계성에 기반을 둔 에코페미니즘적 사유체계와 실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고는 이러한 가능성을 정동적 에코페미니즘(affective ecofeminism)이라는 관점으로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문학 작품들을 통해 논의하고자 한다. 문학작품을 통해 에코페미니즘을 사유한 것은, 젠더와 자연을 연결시키는 에코페미니즘의 대표적인 실천 전략이기도 한 ‘글쓰기’가 감정 그 자체를 다른 어떤 실천 전략에서보다도 중요하게 다룰 뿐만 아니라 여성의 자연-정동을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구조화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글쓰기는 여성 주체의 정동적 삶과 자연의 조우,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정치-경제-문화의 콘텍스트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동아시아라는 공간에서 사유하였다. 이 글에서 다룬 작품은 정동적 에코페미니즘의 함의를 풍부하게 지닌 한중일 여성작가의 작품들 중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주요 모티브로 활용하면서 자연과 여성 사이의 정동적 감응 과정을 풍부하게 반추할 수 있는 최근의 소설들로 하였다. 논의의 구체성을 위해, 작품의 배경을 동아시아의 변방(환동해지역)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압축적으로 근대화와 산업화 과정을 거친 한중일 국가에서 역사적으로 주변화 되어온 장소에서 여성 존재들(소수 민족/소수자)들의 자연-정동을 살펴보고, 이를 공통적인 것의 생태학이라는 관점에서 의미 부여하였다.

      • KCI등재

        초등 국어과 글쓰기 교육을 위한 AI 문장 생성 웹 서비스 개발

        유인근,박형용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3 교과교육학연구 Vol.27 No.2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introducing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I model that can automatically generate sentences as a writing aid in elementary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es. To this end, a web service was developed that can conduct writing in collaboration with AI by utilizing Kakao KoGPT, a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I model. In addition to that, the researchers verified the feasibility of A.I.- based language and writing class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a group of experts consisting of educational researchers and teacher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and writing classes using AI, the researchers conducted a pre- and post-lesson writing efficacy test fo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an AI writing efficacy test after the classes and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and an effectiveness verification survey for expert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web service and class was found to be hig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writ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utilizing the AI-based writing web servic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the AI writing efficacy test conducted after the class showed that compared to writing efficacy of students, AI wri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learners' interest in writing, skills, and confidence. 본 연구에서는 문장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모델을 초등 국어과 문학 수업에 글쓰기 보조도구로 도입하여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연어처리 인공지능 모델인 카카오KoGPT를 활용하여 인공지능과 협업하며 글을 쓸 수 있는 웹서비스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웹서비스를 활용하는 국어과 글쓰기 수업의 타당성을 전문가 그룹이 참여한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검증하였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국어과 글쓰기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 전후 쓰기 효능감 검사, 수업 후 인공지능 글쓰기 효능감검사와 학습 결과물 분석, 전문가 대상 효과성 검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발된 웹서비스와 수업의 타당도는 높게 나타났다. 인공지능 글쓰기 웹서비스 활용 수업 전과 후에 학생들의 글쓰기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하지만 수업 후 실시한 인공지능 글쓰기 효능감 검사 결과는 쓰기 효능감 대비 인공지능 글쓰기가 학습자의 글쓰기 흥미, 기능,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암의 자연 사물 관찰과 글쓰기 양상 분석 연구

        김다원(Da Won Kim)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5

        연암의 관찰법을 활용한 자연사물 글쓰기는 자연환경 관찰력을 배양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암의 『열하일기』 글을 대상으로 하여 연암이 활용했던 관찰법을 분석하였다. 연암의 관찰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연암의 관찰법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관찰이다. 둘째, 오감을 활용한 관찰과 오감 활용의 위험성과 한계 인식이다. 셋째, 자연과 인간에 대한 평등 의식을 지닌 관찰이다. 연암은 자연을 인간과 같은 위치에서 바라보았다. 넷째, 부분적으로 관찰한 것들을 형상화 기법을 활용하여 생동감있게 그리고 현장감있게 묘사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관점을 활용한 다양성 발견 관찰이었다. 이러한 연암의 자연사물 글쓰기의 원천은 자연사물에 대한 세부적 관찰과, 교감, 형상화, 다양한 관점과 다양성 발견에 기반하고 있다. Yeon-Am’s observation of natural object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observation skills. In this study, I analysed Yeon-Am’s observation skills in the book 『Yorha Ilgi』. Yeon- Am’s observation skills are as follows. First, Yeon-Am observed a specific and detailed. Second, Yeon-Am was examined by utilizing the five senses and presented its risks and limitations. Third, Yeon-Am observed with the equality between man and nature and looked at the same level of human and nature. Fourth, Yeon-Am expressed those observed by utilizing the shaping techniques vividly. Fifth, Yeon-Am found a variety of features by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orgin of Yeon-Am’s writing is based on specific and detailed observations of the natural objects, joining nature, shaping techniques and diversity in perspective.

      • KCI등재

        E´criture et pense´e abstraite : A propos de Roger Caillois(1913-1978) et de Paul Vale´ry(1871-1945) 로제 까유와와 폴 발레리 비교 연구

        Cho, Hwa-Rim 세계문학비교학회 200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 No.-

        본 논문에서 본인은 로제 까유와 작품세계와 폴 발레리 작품세계를 비교하면서 로제 까유와 작품의 기원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까유와는 자연과 직접적인 접촉을 하면서 농촌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는 자신이 자연에 속해 있으며 자연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잘 알고 있다고 고백한다. 또한 말년에 이르러서는 ≪단어들, 논쟁들, 미궁과 같은 사색들, 허망한 사유체계≫와의 결별을 선언한다. 그는 또한 문학을 현실과 대화하는 경험적 수단이자 증거로 여긴다. 물질성을 배제한 완전한 추상적 사상을 거부했던 까유와는 자연의 오브제들을 신비한 상형 문자로 해독하면서 이를 이해하기 쉬운 표의문자로 만들었다. 그는 더 잘 느끼기 위해 사고했으며 동시에 더 잘 사고하기 위해서 느끼고자 했다. 그런 점에서 까유와는 사유의 메커니즘과 양식을 영구하고 조절 불가능한 모호한 일상들을 지배하고자 한 발레리와 구별되는 것이다. 실물세계에 대한 까유와의 혐오감은 식물세계가 ≪빠져나 올 수 없는 견고한 왕국≫이라는 생각에서 연유한다. 식물은 인간에 앞선 자연이다. 반면에 돌들은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진 오브제다. 왜냐면 돌들은 인간의 손에 의해 끌어 모아졌고 선택되었으며, 이름을 부여받으면서 비로소 그 존재가 명백해지기 때문이다. 까유와는 돌들에게 감수성과 기억을 부여해줌은 물론 그것들이 지닌 아름다움을 여성의 아름다움에 비유하고 찬미한다. 돌들은 움직이고 살아있으며 느끼고, 사유하고, 생식한다. 그는 마치 돌들을 매개로 하여 가장 먼 태양계에서 미세한 먼지에 이르기까지 전 우주와 대화하는 것 같다. 발레리는 자신이 생각했던 것을 말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사유하기 위해서 글을 쓴다. 그의 글쓰기는 그래서 문학적이라기보다는 분석적이다. 그는 정신을 분석하기 위해서 물리적·수학적 모델들을 사용하고, 사물들의 세계를 구축하려는 노력보다는 그것들을 이해하고 지배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까유와에게 있어 글쓰기는 자유롭고자 하는 휴머니스트적인 계획이었다.

      • KCI등재

        구술성, 문자성의 교직(交織)과 언해력(言解力)

        최원오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thesis regards the literature created and written using letters as formed by an interweaving of orality and literality and examined how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orality are realized in these work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Yeunam Park Ji-won’s writing was analyzed. It is well-known that literacy is emphasized for understanding and writing various literary and linguistic expressions in a literate society. Literacy is the core of character-based expression. When compared with oral society and orality, it is observed that verbal comprehension is equivalent to literacy. Verbal comprehension refers to the ability to listen to and understand another person’s words, create words, and communicate with them fluently. “Language” here encompasses natural elements.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several works of oral literature have sought to reveal the existence of ma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man. Park Ji-won saw nature as the source text for writing, demonstrating how the verbal comprehension emphasized in oral literature could be effectively taught in character-based literature and how linguistic comprehension could renew character-based literature. In that respect, Park Ji-won’s writings are good examples systemat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cy and verbal comprehension as a key characteristic of oral comprehension. 최원오, 2022, 구술성, 문자성의 교직과 언해력, 어문연구, 196 : 87~110 본 논문은 문자 출현 이후에 문자를 수단으로 하여 창작·표기된 문학을 구술성과 문자성이 교직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고, 이들 문학에서 구술성의 본질적 특징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사례로 연암의 글쓰기를 간단하게 분석하였다. 문자사회 이후의 각종 문자 표현물(문학작품, 일상적 글쓰기 등) 문해력이 강조되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문해력은 문자성 기반 표현물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이를 구술사회 및 구술성에 대응시키면, 문해력에 상응하는 것이 언해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언해력은 상대의 말을 듣고 이해하여 말을 만들어내고 유창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언(言)’은 자연 요소까지를 포괄한다. 구비문학의 여러 작품들이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통해 인간의 현존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은 이와 관련이 있다. 그런데 박지원은 자연을 글쓰기의 원천 텍스트로 봄으로써, 구비문학에서 강조되는 언해력이 문자 기반 문학에서도 어떻게 훌륭하게 교직될 수 있는가를, 그리고 언해력이 문자 기반 문학을 얼마나 일신시켜 줄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 그런 점에서 박지원의 글쓰기는 언해력을 구술성의 핵심적 특질로 삼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