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의 생물학화: 자연주의적 오류와 반자연주의적 오류를 넘어서

        류지한 ( Ji Han Lyou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3 No.1

        다윈의 진화론에 의해 서막을 올린 윤리의 생물학화 시도는 스펜서에 의해 사회적 다윈주의로 이어졌다. 그러나 19세기의 윤리의 생물학화 시도는 무어가 제기한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에 의해 사실상 폐기된 연구 프로그램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서 윌슨은 사회생물학을 바탕으로 윤리의 생물학화를 시도한다. 윌슨은 윤리의 생물학화를 통해서 윤리의 기원과 발달을 진화적으로 해명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윤리 규범을 평가하고 새로운 윤리 규범을 도출한다. 나아가 윌슨은 무어의 ‘자연주의적 오류론’ 자체가 오류라고 비판한다. 윌슨의 비판은 무어의 비자연 주의를 논박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흄의 법칙을 넘어서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자연적 사실과 도덕 규범이 무관할 것이라고 가정하는 것은 역으로 ‘반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는 것이다. 윤리의 생물학화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과제는 자연주의적 오류와 반자연주의적 오류를 넘어서 현대 과학-정합적인 윤리학, 특히 생물학-정합적인 윤리학을 정립하는 것이다. 레이첼즈는 흄의 법칙에 대한 보다 온건한 접근 방법으로 귀추법을 제안한다. 귀추적 추리에 의해서 ‘사실/존재’와 ‘가치/당위’는 논리적 함의 관계가 아니라 ‘증거’ 또는 ‘지지’ 근거의 실제적 관계를 형성한다. Charles Darwin made an attempt to study the biologicization of ethics on the basis of his own theory of evolution. Darwin’s attempt to biologicize ethics was led to social Darwinism which H. Spencer ardently espoused. However, the study for the biologicization of ethics in the 19th century was criticized for committing the ‘naturalistic fallacy’ by G. E. Moore. As a result, the research program was actually regarded as discarded. In the 20th century, E. O. Wilson tried again the biologicization of ethics on the basis of sociobiology. Wilson attempts to explain the biological origin and development of morality, to evaluate the traditional ethical norms, and to produce the new ethical norms by means of sociobiology. Furthermore, he criticizes Moore’s theory of naturalistic fallacy itself as an error. However, though Wilson may succeed in refuting Moore’s non-naturalism, he fail to overcome Hume’s Law.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theories which presume that moral norms are irrelevant to natural facts commit the ‘counter-naturalistic fallacy’. The most important theoretical challenge for biologicization of ethics is to establish modern science-coherent ethics, especially biology-coherent ethics beyond naturalistic fallacy and counter-naturalistic fallacy. J. Rachels propose abduction as a moderate approach to Hume’s Law. According to Rachels, fact/‘is’ can not logically entail value/‘ought’, but evidence or support value/‘ought’ by abductive reasoning.

      • KCI등재

        플로리디(Luciano Floridi) 정보 윤리학의 자연주의 재구성 :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을 넘어서

        김유민,목광수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0 No.1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탑재한 서비스나 장치의 사용이 점점 익숙해지고, 디지털 기기와 인간과의 상호작용의 범주가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포스트 휴먼(post human), 인공지능 로봇 등의 다양한 존재자가 등장하리라는 예견이 더 이상 공상 과학에 불과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인간 이외의 새로운 존재와 인간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이러한 문제에 대응할 윤리는 기존의 윤리를 새로운 존재에게 확장하여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 새로운 윤리 제시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위치에 있을 것이다. 플로리디(Luciano Floridi)는 정보 윤리학(ethics of information), 즉 피동자와 존재 중심적 거시 윤리학(patient-oriented, ontocentric macroethics)을 이러한 과도기적 윤리로 제안한다. 플로리디는 인간 중심주의적 관점을 벗어나 정보(information) 존재 자체에 도덕 지위(moral status)를 부여하고 정보의 관점에서 도덕 원칙을 구성한다. 이러한 자연주의적(naturalistic) 시도는 탈-인간적인 논의에서 필수적인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 중심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인간적 관점과 거리 있는 자연(nature)으로부터 도덕 평가를 끌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플로리디는 자신의 논의 토대에 해당하는 자연주의 해석에 대한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에 대해 비판 자체를 거부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근대 이후의 사고방식에 익숙한 학계에서 설득력을 얻기 어려운 한계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맥도웰(John McDowell)의 감수성 이론을 통해 플로리디의 자연주의를 보완하여, 플로리디의 정보 윤리학이 갖는 자연주의적 성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자연주의적 오류 비판을 극복하고자 한다. 맥도웰의 감수성 이론을 통해 보강한 자연주의 방식, 즉 호모 포이에티쿠스인 인간의 감정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정보 존재에게 가치를 부여하는 방식은 플로리디의 자연주의를 이해하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탈-인간 중심주의적 윤리를 통해 도덕 존재 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들에도 유용한 전략으로 보인다. The paper aims to overcome the critiqu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faced by Luciano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Floridi proposes patient-oriented, ontocentric macroethics as the informaional ethics for the era of information. His main argument attempts to expand moral status to all beings, which was originally confined to humans, claiming that all informational entities have an intrinsic moral value due to their existence, which entails that human beings, animals, plants, and even non-biological entities deserve moral respect. Floridi’s ethics of information has been criticized for committing the naturalistic fallacy. This is because, according to G.E. Moore, when moral propositions are derived from natural facts, or 'ought' is derived from 'is' as Floridi does, it necessarily commits a naturalistic fallacy. However, Floridi does not take this critique seriously and it seems to be a critical weakness of his theory. This paper attempts to reinforce Floridi's naturalism through sensibility theory advocated by John McDowell, in order to overcome the critiqu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while also maintaining Floridi's naturalistic perspective. The sensibility theory argues that moral values are simultaneous combinations of external properties and subjective minds. The paper argues that agents, understood as conceptualized in sensibility theory, can not only epistemically but also ethically reconstruct the world through the levels of abstraction. In his argument, Floridi did not verify how the levels of abstraction method can make agents reconstruct the world ethically, which falls prey to the naturalistic error. The argument of this paper expands the role of the levels of abstraction for both epistemic and moral reconstruction, with sensibility theory helping to defend against the naturalistic error and strengthen Floridi's naturalism.

      • KCI등재

        논문 : 진화론적 윤리학과 자연주의적 오류

        정상모 한국과학철학회 2012 과학철학 Vol.15 No.1

        자연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윤리설이 공통적으로 봉착하는 문제 중 하나가 자연주의적 오류이다. 진화론적 윤리설은 자연주의 윤리설의 최신 버전이다. 대표적인 진화론적 윤리학자 루스(M. Ruse)는 자신이 제시하는 진화론적 윤리설에는 자연주의적 오류 문제가 아예 없다고 주장한다. 당위의 근거가 되는 도덕률이 유전자가 산출한 일종의 집단적 환상이며, 환상으로부터는 당위를 포함해 무엇이든 자유롭게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윤리설은 자연주의적 오류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있으며, 도덕률이 유전자에 의해 마치 환상이 아닌 것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의무의 근거 역할도 충실히 한다고 주장한다. 인간의 도덕적 발달은 유전자에서 그 씨앗이 발원하여 진화적 이타성을 거쳐 심리적 이타성으로 진행한다. 최종적으로 심리적 이타성과 문화와의 공진화를 통해 비로소 도덕성이 성립한다. 이 논문은 루스의 도덕성 발생론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주의적 오류에 대한 그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진화적 이타성에서 심리적 이타성으로 나아가는 과정과 심리적 이타성에서 다시 도덕성을 나아가는 과정을 집중 분석하여 그의 윤리설 체계 내에서 그가 말하는 도덕성은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해진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그리하여 루스의 주장과 달리 진화론적 윤리설은 아직도 자연주의적 오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논증할 것이다.

      • KCI등재

        진화론적 윤리학의 자연주의적 오류와윤리적 구성주의

        소병철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科學 Vol.117 No.-

        The aim of this essay is to propose a reasonable conceptual framework of ‘ethical constructivism’ as an antithesis of ‘ethical naturalism’ through the medium of the semantic examination of ‘naturalistic fallacy’, one of the main issues of philosophical ethics. To achieve this, first I defined the ‘naturalistic fallacy’, with a semantic strictness, as the ‘logical fallacy of deducing the judgements of value from the judgements of fact’, namely the ‘fallacy of appealing to the natural facts discovered by science as a measure of distinguishing moral good and evil, right and wrong’. Next I suspected the ‘kin altruism’ and ‘reciprocal altruism’ hypothesis of contemporary evolutionary ethics of a typical case of the very fallacy and critically analyzed a few aspects of its fallacy. Finally I proposed the perspective of ‘ethical constructivism’ to the effect that the moral is a construct of human reason projected into the amoral natural world as an antithesis of ‘ethical naturalism’ and vindicated a non-naturalistic method of connecting the moral values to the scientific facts, which is not the ‘reduction’ but the ‘mediation’, under the thesis of ‘complementarity of ethics and science’. 이 글의 목적은 철학적 윤리학의 주요 쟁점 중 하나인 ‘자연주의적 오류’의 의미론적 고찰을 매개로 ‘윤리적 자연주의’와 대비되는 ‘윤리적 구성주의’의 합당한 개념틀을 제안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맨 먼저 논자는 ‘자연주의적 오류’를 ‘사실에서 가치를 연역하는 논리적 오류’, 즉 ‘과학이 발견한 자연적 사실을, 도덕적 선악과 정사를 판별할 척도로 호출하는 오류’로 한정하는 의미론적 사전 작업을 수행했다. 다음으로 논자는 그러한 오류의 유력한 전형으로 오늘날 유행하는 진화론적 윤리학의 ‘혈연 이타성’ 및 ‘호혜적 이타성’ 가설을 지목해 그 안에 스며든 오류의 양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끝으로 논자는 ‘도덕이란 무도덕적 세계에 투사된 인간 이성의 구성물’이란 취지의 ‘윤리적 구성주의’ 관점을 ‘윤리적 자연주의’의 대립항으로 제시한 후 도덕적 가치를 과학적 사실과 관련짓는 비자연주의적 방식, 즉 ‘환원’이 아닌 ‘매개’의 방식을 ‘윤리와 과학의 상보성’ 테제 아래 옹호해 보았다.

      • KCI등재

        진화 심리학의 도전 - 사기꾼 탐지 모듈과 자연주의적인 오류를 중심으로 -

        조현진 ( Jo Hyeon-jin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7 No.-

        이 글에서 나는 진화 윤리학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모색하는 진화 심리학의 시도가 과연 성공적인지의 여부를 검토했다. 진화 심리학자들은 인간에게 주어진 진화된 인지 기제인 사기꾼 탐지 모듈을 통해 사기꾼을 분별하고 처벌함으로써 협동이 가능해지고 도덕성이 진화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또, 진화 윤리학이 자연주의적 오류에 빠진다는 비판에 대해 진화 심리학자들은 자연주의적 오류를 피하기 위해 사실 판단과 가치 판단의 엄격한 분리를 고수하거나, 사실 판단과 가치 판단의 관련성을 강조하거나, 가치 판단을 심리학적 사실 판단으로 환원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나는 이런 주장들에 대해 다음처럼 논증했다. 첫째, 사기꾼 모듈의 경험적 증거로 제시된 실험에 대한 상이한 해석이 가능하고 신경과학적 증거 역시 불충분하다. 둘째, 사실 판단과 가치 판단을 엄격히 분리함으로써 자연주의의 오류를 피하려는 전략은 은연 중 사실 판단으로부터 가치 판단을 도출하거나 가치 판단과 관련을 맺게 된다. 셋째, 윤리적 논의가 모종의 자연적 사실임을 주장하는 반-자연주의적인 오류 전략은 상대성과 규범성의 문제에 직면한다. 넷째, 윤리적 가치 판단을 심리학적 사실로 환원하려는 전략은 도덕성 자체를 해체할 위험이 있고 흄의 철학을 지나치게 생물학화 한다. 이상의 논의로부터 나는 도덕을 자연화 하려는 진화 심리학의 시도가 아직까지는 성공적이지 못하다고 결론 내렸다. In this paper, I examined whether the attempt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find a new approach to evolutionary ethics was successful. Evolutionary psychologists argue that cooperation and morality could evolve by detecting and punishing cheaters through the Cheat Detection Module, which is an evolved cognitive mechanism given to humans. In order to avoid the naturalistic fallacy, in addition, evolutionary psychologists presented three alternatives. One alternative is to stick to the strict separation of fact judgment and value judgment. The other is to emphasize the relevance between fact judgment and value judgment. The third is to reduce value judgment to psychological fact judgment. I argued against these claims as follows. First, empirical evidence of the Cheat Detection Module allows for different interpretation of the experiments presented and neuro-scientific evidence is also insufficient. Second, the strategy of avoiding naturalistic fallacy by strictly separating fact judgment and value judgment makes it possible to derive implicit value judgment or to make a relation with value judgment. Third, the strategy of Anti-naturalistic fallacy, which argue that ethical judgment is some kind of natural fact, face the problem of relativity and normativity. Fourth, the strategy of reducing ethical value judgment to psychological fact has the risk of dismantling morality itself and over-biologicizing. From the above discussion, I have concluded that the attempt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naturalize morality has not been successful yet.

      • KCI등재

        자연주의적 오류와 자연화된 인식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9 No.4

        Can be naturalized epistemology conducted as a normative enterprise, or is it merely descriptive enterprise as traditional epistemologists maintain? This paper classify a broad spectrum of naturalized epistemologies into eliminativism, reductionism, and criterialism in terms of their attitudes toward naturalistic fallacy, and among them I seek to a strategy that can preserve normativity of epistemology. I maintain that first two strategies, viz., eliminativism and reductionism may have given the cause for the accusation of ruling out the normativity, and propose that the last strategy, viz., criterialism can preserve the normativity. Contrary to eliminativists and reductionists, criterialists may think normative concepts cannot be eliminated or defined by non-normative concepts but insist that there must be natural criteria for their application, i.e. the normative supervenes on the natural. Thus, I conclude that criterialists can have both the normativity and naturalistic element, so characteristic of epistemology. Finally, I discuss about what tasks criterialism must undertake in order to become satisfactory strategy. 자연화된 인식론은 규범적 기획인가, 아니면 단지 기술적 기획에 불과한가? 이 논문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자연화된 인식론들을 자연주의적 오류에 대한 태도를 기준으로 분류하고, 그 중에서 인식론의 규범성을 보존할 수 있는 입장이 어떤 것인지를 모색한다. 그 과정에서 제거론과 환원론은 인식론의 규범성을 보존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인식론의 규범성을 보존할 수 있는 가능한 입장은 기준론이라고 주장한다. 제거론이나 환원론과 달리 기준론은 규범적 개념들을 자연적인 기술적 개념들로 정의하거나 환원시키지 않으면서도 규범성에 대해 자연주의적 기준을 제시하려 한다. 따라서 필자는 기준론이 “자연주의적” 이론이면서도 “규범성”을 보존할 수 있는 가능한 입장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준론이 좀 더 완성된 이론이 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에 대해서 전망해볼 것이다.

      • KCI등재

        자연주의의 오류와 직관주의 윤리설

        류지한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5 No.-

        자연주의와 직관주의는 대립적인 윤리학의 방법론으로서 17세기 이래로 서로 경쟁하면서 발전해왔다. 그러나 전도유망한 것으로 각광받던 자연주의 윤리설은 무어의 ‘자연주의적 오류’ 논증에 의해 결정적인 타격을 입게 된다. 무어의 자연주의 비판에 힘입은 직관주의 윤리이론은 새로운 부흥기를 맞이하지만, 직관주의 역시 이론적 난점을 노정한다. 다양한 직관주의 이론은 다음 네 가지 논제를 가족유사적 특징으로 공유한다. 첫째, 비자연주의 논제 : 도덕적 용어는 자연적 속성을 나타내는 술어로 환원하여 정의할 수 없다. 둘째, 도덕 실재론 논제 : 자연적 대상으로 환원할 수 없는 도덕적 속성(사실)이나 도덕적 진리가 존재한다. 셋째, 인지주의 논제 : 도덕적 진술은 ‘참’ 또는 ‘거짓’을 가릴 수 있다. 넷째, 직관의 논제 : 도덕적 진술의 참 또는 거짓은 ‘직관’에 의하여 식별된다. 직관주의는 비자연주의 논제로 인하여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하지는 않지만, 도덕 실재론 논제와 직관의 논제를 설득력 있게 논증하지 못함으로써 이론적 난점을 드러낸다. 직관주의는 비자연적인 도덕적 속성 (혹은 도덕적 사실) 또는 자명한 도덕적 진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입증하지 못한다. 또한 ‘직관에 의한 인식’은 인식의 공인된 통로가 존재하지 않는 사적인 인식이기 때문에 우리가 어떻게 그것을 알게 되었는가를 해명하지 못한다. 무엇보다도 직관주의는 직관의 상충으로 인해서 생기는 도덕적 불일치를 해결할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함으로 인해서 상대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다. The Naturalistic Fallacy and the Intuitionist Ethical Theories ― Lyou, Ji-Han ― The naturalism and intuitionism had been developed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since 17th century. But G. E. Moore exposed that all forms of naturalism committed 'naturalistic fallacy' by means of 'open question argument'. Moore's criticism against naturalism inspired intuitionism to new endeavors. All forms of intuitionism are based on four theses. 1. The Nonnaturalism Thesis : Moral terms cannot be defined by nonmoral (natural) terms because moral terms refer to nonnatural properties. 2. The Moral Realism Thesis : There are sui generis moral properties or self-evident moral principles which cannot be reduced to natural properties or non-moral principles. 3. The Cognitivism Thesis : Moral Statements are either true or false and they can be known. 4. The Intuition Thesis : Moral truths are discovered by the intuition and they are self-evident upon reflection. While intuitionism doesn't commit the naturalistic fallacy owing to The Nonnaturalism Thesis, it is criticized for both The Moral Realism Thesis and The Intuition Thesis. Intuitionism has difficulty in demonstrating The Moral Realism Thesis because of the ontological queerness and mysteriousness of nonnatural properties. Also it is blamed for having the difficulty in justifying 'knowledge by intuition' because there are no accredited routes to the knowledge. Finally, intuitionism collapses into relativism because it cannot give the objective and rational methods except intuition which are capable of resolving the conflict of intuitions in moral disagreements. ※ Key Words : naturalism, intuitionism, naturalistic fallacy, nonnaturalism, moral realism, cognitivism.

      • KCI등재

        한스 켈젠의 자연법 무용론에 대한 비판적 논의

        이남원(Lee, Nam-won)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3 No.-

        이 논문의 목적은 법실증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인 한스 켈젠의 자연법론 비판을 소개하고, 이 비판이 안고 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적시하는 데 있다. 켈젠의 자연법론 비판의 핵심은 모든 자연법이 존재에서 당위를 연역하는 심각한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 본 논문은 켈젠의 시각이 지나치게 편협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가 법실증주의라는 진중(陣中) 논리에 지나치게 경도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첫째, 켈젠은 여러 가지 논리적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그가 말하는 자연은 오직 자연과학의 대상이 되는 자연이다. 따라서 자연에 대한 개념을 너무 좁히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셋째, 모든 자연법론자들은 자연, 즉 존재로부터 당위를 연역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켈젠 비판의 논리적 편협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넷째, 자연법론자들은 모두 자연법 체계를 연역적으로 도출한다고 켈젠은 주장한다. 그러나 켈젠의 이런 주장은 소수의 자연법론자들에게 만 타당하다. 마지막으로, 켈젠의 비판을 벗어날 수 있는 건전한 자연법론으로서 칸트의 자연법론과 마리땡의 자연법론을 짤막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들의 자연법론의 건전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Hans Kelsen, one of prominent advocators of legal positivism, insisted that every theory of natural law try to show that it is possible to deduce from the nature, that is to say from the nature of man certain rules which provide an altogether adequate prescription for human behavior. But it is impossible to deduce from the nature certain ethical ru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is insistence false. Firstly, He is based on false assumption that ‘nature’ in theory of nature law is ‘nature’ in natural science. Secondary, He is based on false assumption that the entire systems of natural law are deduced from only one first natural law. Thirdly, He makes logical fallacies, that is, straw man, false dichotomy and so on. Fourthly, in spite of his critique of every theory of natural theory, this study tries to certify that theories of natural law of I. Kant and J. Maritain and so on are very excellent.

      • KCI등재

        일반 논문 :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서 "자연스러움" -자연, 자연스러움, 그리고 자연주의적 오류-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본고는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개념이 학문의 영역에서 도덕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자연스러움이라는 개념의 일상적 의미와 철학적 한계를 논하였다. 일상적 의미의 자연스러움 개념은 대부분 가치중립적인 순수-기술적 개념이기 때문에, 자연 속에서 인간의 행위를 규정하는 도덕규범의 근거가 될 수 없다. 그리고 본고는 형이상학적 자연관과 자연과학적 자연관의 자연스러움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논구하였다. 형이상학적 자연관은 자연을 내재적 가치를 지닌 형이상학적 실재로 파악하기 때문에,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는 인간의 도덕 판단과 도덕적 행위 동기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연과학적 자연관과 인간중심주의에서 자연은 자연과학적으로 파악되는 대상이고, 인간의 욕구충족을 위한 도구적 가치로 간주되기 때문에, 자연스러움이라는 개념은 인간의 도덕 판단 과정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다. 본고는 생활세계적 자연관의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개념이 자연 속에서 인간의 적절한 행위규범을 근거지울 수 있으며, 인간과 자연의 도덕적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즉, ``질서정연한 좋은 세계``의 구성 요소로서 자연스러움이라는 (역사적으로 구성된) 가치-개념은 자연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는 기준이 되고, 어떤 행위가 ``질서정연한 좋은 세계``의 실현에 기여하는 자연의 질서에 부합하는 행위인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그리고 본고는 이와 같은 자연스러움이라는 가치-개념이 ``자연의 도덕화``(형이상학적 윤리학) 또는 ``도덕의 자연화``(자연주의적 오류)라는 비판에 직면하지 않음을 논구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question "Can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be a criterion of moral judgment?" For this purpose, I have discussed the meaning of naturalness in general use and its philosophical limits. Because the concept ``naturalness`` in general use is value-free and descriptive, it can`t be a moral norm or a criterion of moral judgment. And I have criticized the concept ``naturalness`` in a metaphysical view of nature and in a scientific view of nature. The former can`t play a role for our moral judgment and moral motivation, because the nature could be regarded as a metaphysical reality, which includes inherent value and could be considered to be the perfect place. The latter can`t play a important role for our moral judgment, because the nature in a scientific view of nature is a value-free and descriptive object of natural science. I have argued that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in a life-world can be a moral foundation for our moral judgments and obligations in the nature, and that we can define a moral relationship between human-beings and the nature with the help of such a concept. This is to say: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as one of important values of a well-ordered good world can be a criterion, by which the present state of nature can be evaluated as good or bad. And an action (x) can be evaluated as proper or not for the realization of a well-ordered good world based on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in a life-world. And lastly, I have argued that the value-concept ``naturalness`` in a life-world doesn`t meet with the criticism of the moralization of the nature (metaphysical ethics) or of the naturalization of moral norms (naturalistic fallacy).

      • KCI등재

        성즉리의 윤리학적 해석

        김철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ethical meaning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is principle’ by Zhu Xi. First, it means that all beings are advancing toward the moral standard of Taegeuk. Second, it means that human beings, like all beings, are designed to fulfill moral obligations. Third, it means that the purpose of all existence is to produce life (humanity). In this way, the work of establishing the origin of morality through metaphysical reason and Taegeuk is sometimes called moral metaphysics. It is also called correlative thinking in that it assumes that two domains that seem logically different (li and qi, yin and yang, value and fact, et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 is also a critical view that this way of thinking has committed a naturalistic fallacy in that it draws as a conclusion what was not in the premise. However, in Zhu Xi's world, all beings are functional concepts with a moral purpose, and values ​​and facts form an indistinguishable relationship. Therefore, these problems cannot be established in the first place. 이 글은 주희의 성즉리 개념의 윤리학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성즉리는 첫째, 모든 존재가 태극이라는 도덕적 표준을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모든 존재들과 마찬가지로 인간 또한 도덕적 의무를 행하도록 설계된 존재(所當然而不容已)임을 의미한다. 셋째, 모든 존재의 목적은 다름 아닌 생명을 피워내는 것(인)임을 의미한다. 이처럼 형이상학적 리와 태극을 통해 도덕의 기원을 정초하는 작업을 도덕형이상학이라고 명하기도 한다. 또는 논리적으로 서로 다를 것 같은 두 영역(리와 기, 음과 양, 가치와 사실 등)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는 점에서 상관적 사유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사유방식에 대해 ‘〜이다’로부터 ‘〜해야만 한다’를 도출하는 자연주의적 오류를 범했다는 비판적 시각도 있다. 그렇지만, 주희의 세계에서는 모든 존재들이 도덕적 목적을 지닌 기능적 개념들이며, 가치와 사실이 불일이불이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기에, 가치와 사실의 분리를 전제로 한 이러한 문제제기는 성립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