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이지(方以智)의 자연인식(自然認識)

        임종수 동양철학연구회 2007 東洋哲學硏究 Vol.49 No.-

        這篇論文擬將方以智的自然認識置于明淸之際的學術思潮背景中可以考察, 以了解其自然認識的性格和意義. 方以智所著物理小識包括了天文, 數學, 地理, 生物, 醫學, 文學, 藝術以及文字言語各學科的知識. 他的自然認識主要見諸其物理小識的券次按排. 其實這一套自然認識的架構竝不是他的獨創, 而是傳承了中國歷史的類書傳統. 物理小識中西方自然科學作了批判的吸收, 反映了從古以來至明代後期關于自然科學的硏究成果和傳說. 宋明理學中因對於格物解釋的不同而有求理於外物與求理於內心的不同, 前者以程朱爲代表, 後者以陸王爲代表. 明末因求理於內心發展之極端而産生流弊, 方以智反對王學末流之掃物存心, 程朱學的舍物言理之弊. 方以智主張盈天地間皆物也. 因此他所謂的物除了書籍文獻以外, 還包括自然界的萬物, 所以他在從事經史考據的同時也從事自然科學的硏究, 換言之, 當時的自然秩序之學, 方以智總稱之爲物理, 他强調硏究客觀物理的重要. 一般的解釋以爲質測等于現今所言自然科學, 通幾相當于現今所言哲學. 則質測與通幾相通相益, 其意義自然就在于提唱自然科學與哲學互補互濟. 只有這種科學與哲學的相互依賴, 才是全面而又合理的方法. 方以智所謂的質測實際上是關于現象界的認識方法, 而所謂通幾也就是關于本體界的認識方法. 由于方以智認爲超然不能脫離本然, 所以他强調通幾于質測. 方以智所接受的西學是科學技術, 而不是宗敎神學. 西方科學有詳備者, 他總是肯定地接受. 但是對於未備的科學, 他却是終批判. 在西學新潮面前, 方以智傾注了極大的關注. 十七世紀的西學新潮, 不僅刷新了他的耳目, 開拓了他的視野, 而且促進了他以質測通幾之學特質的實學思想的形成.

      • KCI등재

        아나키즘 시문학에 나타난 자연 인식 연구

        조동범(Cho Dong Beom)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3

        본 논문은 아나키즘 시문학에 나타난 자연 인식을 근거로 하여 유치환 시의 아나키즘적 자연 인식을 파악하고자 했다. 지금까지 유치환의 시는 대체적으로 허무 의식, 생명 의식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자연 인식에 대한 연구 역시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전체 연구 성과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유치환 시에 나타난 자연 인식의 경우, 아나키즘적 세계관이 제시되지 못함으로써, 자연을 통한 시인의 아나키즘적 지향 의지를 명확히 밝히지 못했다. 그러나 유치환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아나키스트로서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다. 그런 점에서 유치환 시를 관통하는 중심 사상은 단연 아나키즘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연 인식 역시 아나키즘적 세계관 위에 구축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나키즘은 자연의 질서를 통해 유토피아를 추구했다. 따라서 아나키즘 문학이 자연을 추구하고자 한 태도는 지극히 자연스런 태도라고 볼 수 있다. 한국 아나키즘 문학 역시 이와 같은 자연의 질서를 적극적으로 작품 안에 수용한다. 유치환의 시 또한 아나키즘적 특성과 관련하여 아나키즘과 연관된 자연 인식을 보여준다. 유치환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은 아나키즘적 세계관을 통해 형성된 것들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유치환의 시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아나키즘적 세계관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마련하지 못했기 때문에, 유치환 시의 자연 이미지를 아나키즘적 관점으로 파악하지 못했다. 이상향에 대한 지향 의지 등이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해석되기도 했지만, 자연의 경우 보편적 양상의 자연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았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자연물을 보편적 자연으로서의 의미가 아닌, 아나키즘적 자연 인식으로 이해하려면 시인의 아나키즘적 인식이 명확히 전제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유치환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에 아나키즘적 의미 부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아나키스트로서의 유치환의 생애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아나키즘적 세계관에 집중하여 작품을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치환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생애적 사실은 명백하다. 그런 만큼, 유치환의 시를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은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아나키즘 문학의 자연 인식을 밝히고, 그것을 바탕으로 유치환 시에 나타난 아나키즘적 자연 인식을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아나키스트로서의 유치환의 생애적 사실을 근거로 하여, 유치환 시의 자연물에 드러난 아나키즘적 세계 인식을 밝히고자 했다. 유치환의 작품에 등장한 자연을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분석하면, 유치환이 제시하고자 했던 아나키즘적 자연 인식의 지향점과 의미가 확연히 드러나게 된다. 지금까지 제시된 유치환 시의 자연 인식 위에 아나키즘적 관점이 더해짐으로써, 유치환 시의 자연은 비로소 온전한 의미 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그리하여 유치환의 시는 그간의 연구가 밝히지 못했던 아나키즘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게 되며, 자연과 아나키즘의 상관관계를 비롯한 새로운 연구에 대한 단초를 마련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유치환 시의 자연은 그간의 분석과는 다른, 새로운 지위를 부여받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헤겔에서의 경험의 의미 : '자연적 의식'과 '감각적 확실성'을 통해서 본 감성의 의미와 그 한계

        이강화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4 No.2

        절대지의 확보를 위해 의식적 경험이 그 필연성에 따라 나아가는 과정이 하나의 학으로 성립되는 헤겔(Hegel)의 경우, 의식의 변증법적 경험이 어디에서 출발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는 그의 학적 체계의 근본적인 단초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헤겔은 자기의 인식과정을 전개시키기 전에 전통적 인식이론의 비판부터 시작하며 그 대표적인 경우로 칸트(Kant)의 예를 든다. 헤겔이 보기에는 칸트는 인식행위를 인식도구를 사용하는 능동적 작업으로 여기거나 인식대상이 인식형식을 통해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그 어느 경우에도 인식은 인식되어야 할 본래적인 것과 순수하게 일치할 수 없다. 왜냐하면 이 때의 인식은 인식도구를 통해 변형된 대상이거나 인식매체를 통해 수동적으로 인식주관에 굴절된 대상만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식과 물자체는 절대적으로 분리되며 동시에 절대적인 것과 인식주체 역시 분리된다. 이러한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일체의 인식론적 전제를 제거하고 가장 직접적이고 확실한 인식에 착수하는 것이다. 헤겔은 여기에서 현상지를 참된 인식에로 전진해 가는 자연적 의식을 추적한다. 이어서 자연적 의식을 벗어난 지는 의식 장에서 다시 구체적 감각적 대상을 만나게 되고 헤겔은 이를 감성적 확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지는 다시 가장 구체적인 감각적 대상에서 출발하는 동시에 자연적 의식에서와 동일한 극복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헤겔은 최초에 가장 순수한 존재와 가장 풍부한 인식 그리고 진리의 본질이라고 본 감성적 확실성을 곧 가장 추상적인 그리고 가장 빈곤한 진리로 파악한다. 그러나 헤겔의 이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가장 실재적인 대상의 현실성의 성급한 부정으로 귀결되었고, 이리하여 개인은 직접적-감성적 인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인식내용을 사유된 것으로 바꾸어 버린다. 이것은 헤겔 자신의 표현처럼 직접적인 현실성에 대한 의식의 파악을 절멸시켰을 뿐이다. 이것은 가장 구체적인 인식의 단계인 감성적 확신의 단계에서부터 사물의 객관성이나 현실성이 별 다른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이리하여 칸트 속에 잔존해 있던 최소한의 유물론적 경향은 언어로 대표되는 일반자 개념에 의해서 곧 사라져버렸고, 이처럼 사물의 객관성이나 현실성 대신 언어 속에서 개념의 진리가, 즉 보편적 본질이 반영된다고 주장함으로써 헤겔은 자신의 출발점과는 모순되게 자연적 의식과 감각적 확실성의 입장을 처음부터 거부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인식론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나타나는 헤겔의 이와같은 감성에 대한 경시와 물질에 대한 몰이해가 시대적 상황과 유리된 사변적인 자연철학을 가능케 하였고 결국 포이엘바하(Feuerbach)와 마르크스(Marx)로 대표되는 유물론의 저항을 불러 온 것이다. In case of Hegel whose science is to establish the course of the conscious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inevitability in order to approach the absolute knowledge, the matter where the consciousness's dialectic experience to start is to form the fundamental beginning of his scientific system. Hegel had criticized the traditional epistemological theory before he developed his own epistemological process. The most representative epistemological theory that Hegel criticized was Kant's theory. Hegel thought Kant had considered epistemological behavior as an activity of using an epistemological instrument positively or believed that the epistemological objects are accepted passively through epistemological forms. But in any case cognition itself cannot be the same as the object itself recognized purely because cognition is the object that is transformed through epistemological instrument or can only figure out the objects reflected on the cognition subjectivity through an epistemological medium. Therefore cognition and thing-in-itself are absolutely divided and at the same time the absolute and the epistemological subjectivity are divided. The only way to solve this kind of dilemma is to eliminate the whole epistemological premise and to start hating the most direct and concrete cognition. And so Hegel traces the course of the phenomenological knowledge's developing into natural consciousness. The knowledge which get out of the natural consciousness meets the concrete and sensuous object which is named emotional confidence by Hegel. Knowledge starts from the most concrete and sensuous object and shows the process of overcoming which was performed on the natural consciousness. But Hegel thought that the emotional confidence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the purest existence, the most abundant cognition, and the nature of the truth was the most abstract and the poorest truth. The minimum of material tendency remained in Kant's thought disappeared because of the concept of the average person which was representative of language. Like this, instead of the objectivity of things or reality, Hegel shows to refuse the point of view that emphasizes the natural consciousness and sensuous confidence which are contradictive to the starting point of his thought by arguing that the truth of the concept, the universal nature is reflected on the language. Hegel's ignoring human's emotion and the misunderstanding of material shown from the beginning stage of his epistemological theory makes it possible for him to develop his speculative natural philosophy and results in the resistance of the representative materialists, Feuerbach and Marx.

      • KCI등재

        자연주의적 인식론과 신빙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4 No.3

        In recent decades, there is a strong trend in philosophy to "naturalize" normative concepts under the framework of naturalism. Epistemology is not an exception. Some epistemologists attempt to naturalize epistemic justification and other epistemic concepts. The attempt results in naturalistic epistemolog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critically examine reliabilism, a deviated form of moderately naturalized epistemology. Reliabilism has been modified from a simple to a sophisticated form. It started as process reliabilism and developed into rule reliabilism in the light of criticisms against process reliabilism, maintaining its core idea. I argue that rule reliabilism has not completely overcome the difficulties leveled against process reliabilism, and that it is not a successful naturalistic theory. I present virtue epistemology newly introduced to the epistemology literature, and explore whether objections to reliabilism can be diffused with an appeal to virtue epistemology. I show that some of the objections can be diffused, but that virtue epistemology cannot meet all the objections. Given that reliabilism and virtue epistemology are radically different methodologies, the discussion about virtue epistemology is meaningful not because it solves the problems with reliabilism but because it is a starting point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to reconcile reliabilism with virtue epistemology. 오늘날 철학에서는 자연주의를 기본신조로 삼는 철학의 “자연화” 운동이 활발하다. 인식론에서도 “인식적 정당성” 개념을 비롯한 여러 인식적 개념을 자연화하려는 운동이 활발하며, 인식론에서 자연화 운동은 자연주의적 인식론의 대두로 귀결된다. 이 논문은 자연주의적 인식론의 두 입장 중에서 온건한 자연주의적 인식론의 한 변형이라고 할 수 있는 신빙론을 소개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빙론은 좀 단순한 형태에서부터 점점 더 세련된 형태로 다듬어져왔다. 그래서 신빙론은 과정 신빙론으로 시작했다가 여러 반론에 부딪히자 규칙 신빙론으로 변신을 꾀하면서 그 핵심 내용을 보존하려고 노력해왔다. 하지만 필자는 이 규칙 신빙론이 처음에 제기된 반론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으며, 결과적으로 자연주의적 이론으로서 완전히 성공한 것도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러고 나서 현대 인식론에 새로이 도입된 덕 인식론을 소개하고, 덕 인식론을 통해 신빙론에 제기된 문제들의 해결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빙론이 해결하지 못했던 일부 반론들을 덕 인식론이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겠지만, 덕 인식론 역시 신빙론에 대해 제기된 모든 반론을 다 해결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신빙론의 문제에 대한 해결 차원이 아니라 덕 인식론에 대한 검토는 전혀 다른 두 연구방식인 신빙론과 덕 인식론의 조화가능성을 모색하는 출발점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심각성에 미치는 효과

        송해룡(Hae-Ryong Song),김원제(Won-J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본 연구는 자연재해에 대한 공중의 위험특성과 위험인식이 위험 심각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재해 위험평가 차원에서 일반 공중이 인식하는 자연재해의 심각성을 분류한 결과, 지변재해, 풍수해, 한해로 분류되었고, 자연재해 중 태풍을 가장 심각한 자연재해로 인식하였다. 자연재해 대한 위험특성은 ‘친근하지 않은’, ‘과학에 의해 알려지지 않은’, ‘발견할 수 없는’ 등이 비교적 높은 평균을 보여 자연재해를 미지의 위험영역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둘째, 공중이 인식하는 자연재해 위험특성과 위험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특성이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위험특성은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연재해 중에서도 호우나 태풍, 홍수와 같은 풍수해를 지변재해나 한해보다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공중의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이 위험평가 차원의 심각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인식은 자연재해의 심각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자연재해 심각성 중에서도 풍수해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characteristic and risk perception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were classified into geographical disaster, storm and flood damage, drought damage. Typhoon among storm and flood damage showed high scores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Moreover participants showed high scores on unfamiliar, undiscoverable, and unknown by scientific knowledge among risk characteristic of natural disaster. Second, risk characteristic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risk perception. Third, risk characteristic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Especially, risk characteristic had great effect on storm and flood damage among natural disaster. Fourth, risk perception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severity of natural disaster. Especially, risk perception had great effect on storm and flood damage among natural disaster.

      • KCI등재

        인식론적 수반과 자연화된 인식론

        이종왕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어떻게 믿음이 참이 되기 위해서 정당화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이런 기여를 어떻게 인식론적 용어들이나 속성들이 이 세계에 닻을 내리고 있는가에 대한 논점을 심도 있게 검토하면서 달성하려고 한다. 이런 의미에서 이 논문의 주장은 인식론적 정당화의 어떤 이론과도 중립적인 위치를 차지 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 필자는 먼저 인식론적 속성들이 자연적인 속성들에 의해 결정되고 또는 그들 위에 의존되어 있다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김재권에 의해서 확립되었던 수반(supervenience)개념을 간략하게 제시하고 검토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인식론적 수반(epistemic supervenience)개념의 가능성을 도덕수반(moral supervenience)개념에 대한 김의 기술적인 논변을 이 인식론적 수반이란 개념에 응용함으로써 발전시키려고 노력할 것이다. 이렇게 하면서 필자가 의지해서 보이고자 하는 하나의 개념은 바로 자연적 속성들이 인식론적 속성들을 비대칭적으로(asymmetrically) 결정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로 참의존(genuine dependency) 개념이며 이 논문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개념은 저명한 철학자인 폴란드에 의해서 구성되었다. 이 논문은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필자는 용어 "정당화된(justified)"을 분석하면서 검토할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서 필자는 도덕적인 속성들의 경우처럼 이 "정당화된" 더 나아가서 인식론적 속성들이 사실/가치의 간극(fact-value gap)의 문제에 연루되어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바로 평가적인 속성들(evaluative properties)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그렇게 하면서 인식론적 속성들과 도덕적인 속성들 사이에 유추관계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 두 부분에서는 주로 인식론적 수반개념을 확립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그래서 세 번째 부분에서는 인식론적 수반의 경우가 가치론(value theory)에서 문제가 되는 수반의 경우와 유사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인식론적 속성들이 자연적인 속성들에 강하게 수반한다는 것을 김의 도덕수반에 대한 기술적인 논의를 응용하면서 주장할 것이다. 그렇게 한 후 필자는 만약 인식론적인 것들과 자연적인 것들 사이에 참의존 관계가 존재한다면 이것이 바로 자연화된 인식론(naturlaized epistemology)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라 주장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how or in what way beliefs must be justified in order for them to be true; the understanding of how epistemic terms or properties are anchored in the world is examined. Hence the claim of this paper is neutral with respect to any doctrine of epistemic justification. In particular, in claiming that epistemic properties are determined by, or dependent upon, natural properties,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espoused by Jaegwon Kim is presented and examined. Furthermore, the concept of supervenience concerning epistemic superveninece is develped, by applying Kim's technical claim about moral supervenience to the possibility of spistemic supervenience, in a way that shows that natural properties strongly and asymmetrically determine epistemic properties. This paper consists of four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I examine the term "justified" by analyzing it. In the second section, I claim that, like the case of ethical properties, the term "justified," and furthermore, epistemic properties, are committed to the matter of fact-value gap because they are evaluative properties; in so doing, it is claimed that there is an analogy between epistemic properties and moral properties. In the final two sections, I concentrate on the concept of epistemic supervenience: In the third section, I hold that the case of supervenience is analogous to the case of supervenience in value theory, and, in the final section, after claiming that epistemic properties strongly supervene on natural properties by applying Kim's technical claim about moral supervenience to epistemic supervenience, I argue that, if the so called genuine dependency exists between the epistemic and the natural, then it is possible that it vindicates naturalized epistemology.

      • KCI등재

        자연주의와 규범성 문제

        한상기 ( Sang Ki Han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1969년 콰인(W. V. Quine)의 “자연화된 인식론”(Epistemology Naturalized)이 나온 이래 인식론에서 자연주의는 하나의 커다란 흐름을 형성해왔다. 그렇지만 자연주의는 많은 지지자나 동조자가 있는 반면에 비판자들 역시 만만치 않게 있다. 자연주의에 대해 제기되는 비판들 중에서도 가장 많이 거론되는 비판은 이른바 “규범성 반론” 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인식론의 본질적 성격은 규범성을 갖는다는 것인데, 자연주의 자들이 천거하는 자연화된 인식론에서는 이 규범성이 제거되거나 변질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비판자들은 “자연화된 인식론”에서 인식론을 “심리학의 한 장”으로 만들고, 나아가 과학의 한 분과로 만들자고 주장한 콰인의 제안을 규범적 인식론을 버리자는 제안으로 간주하고, 콰인 식의 자연화된 인식론이 진정한 인식론이 아니라고 간주한다. 반면에 자연주의자들은 대체로 이러한 비판을 부정한다. 그들은 전통적 인식론을 버리고 자연화된 인식론을 추구해도 그 인식론이 본성상 매우 규범적일 수 있으며, 그래서 인식론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은 자연주의에 대한 이 규범성 반론과 관련하여 자연주의적 인식론에서 규범성이 어떻게 되는지를 살피려 한다. 그래서 필자는 먼저 자연주의가 여전히 규범적 기획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 아니면 전통적 인식론자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단지 기술적 기획에 지나지 않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그런 다음 새로운 무대에서도 여전히 자연화된 인식론이 규범적일 수 있다는 콰인의 주장을 소개하고, 콰인의 의미에서의 규범성이 어떤 것인지 음미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자연화된 인식론의 “규범성”이 전통적 인식론의 규범성과는 다른 의미의 도구적 규범성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필자는 자연화된 인식론이 설령 규범성을 갖는다 할지라도, 그 규범성은 제한된 의미를 갖거나, 위장된 경험적 진술의 성격을 띤다고 주장함으로써 비판할 것이다. Since W. V. Quine’s 1969 essay “Epistemology Naturalized”, naturalism has formed a big trend or wave in epistemology. However, there are critics as many as advocates of naturalistic approach to epistemology.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ons raised against naturalism is called “the normativity objection.” According to this objection, naturalized epistemology cannot account for essential character of epistemology. So, it is often accused of ruling out the normative element, so characteristic of epistemology. Critics maintain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is an impossible project since epistemology is a normative discipline, and a scientific discipline cannot be normative. They treat Quine’s proposal to make epistemology a “chapter of psychology” as a proposal for abandoning normative epistemology. Therefore, they conclude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is not genuine epistemology. On the contrary, naturalists deny that naturalized is not genuine epistemology. They maintain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can preserve the normative characteristic of epistemology, and so it does not abandon epistemology. The main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at becomes of normativity in naturalized epistemology. I investigate whether naturalism can be pursued as normative project, or it is a merely descriptive project. Then, I introduce Quine’s assertion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still can be normative in new settings, and examine what becomes this normativity in Quine’s sense. I maintain that “normativity” in naturalized epistemology is different from normativity in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point out that naturalized epistemology has a instrumental normativity. Finally, I conclude that even if naturalized epistemology has a kind of normativity, it has a limited sense, or a characteristic of disguised empirical statements.

      •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여선혜 ( Yu Sun-hye ),김혜순 ( Kim Hye-soon ) 동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현장에서 생태유아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효능감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생태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함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강원, 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 318명이었다.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자연생태계 인식,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 교사효능감,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분석, 경로분석(Path Analysis),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 및 교사효능감의 평균점수는 5점 리커트식 척도에서 모두 4점 수준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연령과 학력 및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자연생태계 인식차이가 유의하였고, 교사의 연령과 학력, 근무기관유형 및 담당학급유형(영아반, 유아반)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가 각각 유의하였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 및 교사효능감 간에 모두 정적 상관성이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 교사의 자연생태계 인식과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생태유아교육효과 인식에는 자연생태계 인식이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는 간접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므로 생태유아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의 역할을 새롭게 이해하고 이를 높이기 위한 현장의 지원 노력이 다각도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ing effica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preschool teachers, analyze the roles of teaching efficacy in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e, and contribute to the basic research aimed at improving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318 teachers at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Gangwo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s.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collected data regarding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were process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Sobel test by using an SPSS 20.0 program. First, the preschool teachers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teaching efficacy, scoring an average of 4 out of 5 for each variable on a likert scal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by age, education, and institution type and in teaching efficacy by age, education, institution type, and class type (infants, young children). Third, pre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eaching efficacy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Fourth, preschool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and that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onclusion, pre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effects of eco-cente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not only directly affected by their awareness of the natural ecosystem but also indirectly affected through the medium of teaching effica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give on-site support with the objective of getting a new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teaching efficacy and improving them.

      • KCI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신,이달희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9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9 No.2

        이 연구는 중학생의 자연재해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성별, 학년별, 지역별로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재해 인식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4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학생들의 자연재해 인식을 성별로 분석한 결과, 정보습득 경로, 자연재해 심각성 인식, 교육 만족도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중학생들의 자연재해 인식을 학년별로 분석한 결과, 필요한 자연재해교육, 자연재해 심각성 인식 및 교육 만족도의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중학생들의 자연재해 인식을 지역별로 분석한 결과, 모든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차이는 면담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연재해 교육은 실천 위주의 자연재해 교육 프로그램과 학생들에게 적합한 ‘시청각 자료’를 포함한 교수학습 자료가 다양하게 만들어져야 하며, 학생들이 직접 경험 가능한 태풍과 미세먼지에 관련된 자연재해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초, 중, 고등학교 각각 급에 맞는 자연재해 교육의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그리고 여러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자연친화 활동에서 영유아가 나타내는 자연에 대한 태도와 인식과정 탐구

        박희숙(Park, Hee-Sook)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자연친화 활동에서 영유아가 나타내는 자연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소재 어린이집 2곳에서 2, 3세 영유아 48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던 3개월간의 자연친화 활동의 내용을 토대로 하였다. 자연친화 활동 안에 담겨져 있는 영유아들의 자연에 대한 태도와 인식의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자연친화 활동일지, 관찰일지, 활동녹화자료 및 포트폴리오 등의 자료 속 발화내용을 전사하여 중심어휘를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하였고 수업태도 평가지를 통해 활동 전-후의 수업태도의 변화를 양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가 가지는 자연에 대한 태도는 기대와 관심, 신기함과 호기심, 감정이입, 소통과 상호작용이었고, 자연에 대한 인식의 과정은 집중과 발견, 확장을 통해 자연의 생명, 성장, 변화의 내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주의집중, 지시 따르기, 협동, 참여, 타인 반응에 대처하는 행동을 포함하는 수업태도가 자연친화 활동 전-후 차이를 보였다. 부가적으로 교사의 자연과의 지속적인 만남을 제공하는 노력과 유아와 같은 눈으로 바라보고 표현하고 생명체의 입장을 생각해보도록 제안하는 교사의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ed at studying the effect of Nature-friendly activities on attitude and Knowledge comprehension proces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48 children who attend nursery.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dat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13 months in 2 nursery in Seoul. I maintained a teacher’s journal of observations, including children’s behaviors and remarks meaningful to examiners found during the observation. A variety of nature-friendly activities offered to children towards positive attitude toward Nature through interest, curiosity, empathy, interaction. And the same time, It became an efficient method in Knowledge comprehension process toward Nature through concentration, discovery and expansion. In addition, The nature-friendly activities brought total development in children’s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competence and made the children were able to get to understand about the concept of life, growth, change and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