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사박물관 연구 지원 실태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조준오,이창진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4

        이 연구는 세계적인 자연사박물관의 예·결산 내역을 기능 항목 기준에 맞추어 정리한 후,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여 장차 한국에 세워질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예산배정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세계적인 국립자연사박물관인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 뉴욕 아메리카자연사박물관, 영국 런던자연사박물관,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 일본 국립자연과학박물관의 연차보고서, 예산요청서, 재무제표,회계장부의 예산 사용과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자연사박물관의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에 관련된 예·결산 세부 내역을 미국 국립자연사박물관의 예·결산 자료 기준에 맞추어 재분류하였다. 자연사박물관별로 재분류한 세부 항목에 해당하는 예·결산 내역을 정리한 후, 각 자연사박물관의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의 금액에대하여 국제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교육, 전시, 출판 기능이 가장 활성화 되었다고 평가받는 미국과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통합 연구 기능과 일반 행정 기능의 예산 지출 비율이 평균 약 6:4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자연사박물관의기능이 극대화되기 위해서는 통합 연구 영역 지원 비율이 높아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budget and settlement of global natural history museums into functional criteria, to compare and analyze the integrative research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s of these museums,and to suggest the standard of budget compilation of the Kore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which will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Annual reports, documents of budget request, financial statements and account books were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museums: SNMNH of The U.S.A, AMNH of the U.S.A, NHM of England, MNHN of France and NMNS of Japan. The integrative research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s of the studied museums are reclassified into the criteria of budget and settlement data of the Smithsoni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After arranging the details regarding budget and settlement of each museum, the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as investigated on the amounts of the integrative research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s among the studied museum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show the ratio of integrative research function and general administrative function in budget expenditure standard at 6:4 in natural history museums of the U.S.A and England, of which the functions of research,education, exhibition and publication are considered to be the most activated in the world. This implies that museums should increase the budget for support of integrative research to allow them to maximize their functions.

      • KCI등재

        알렉산더 훔볼트와 ‘크리오요’ 自然史학자의 식민적 문화융합

        이종찬(Lee Jongchan)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4 No.-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관된 문제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첫째, 열대 自然史는 에스파냐의 식민화 전략에서 어떤 위상을 갖고 있었기에, 에스파냐는 60여 차례의 왕립 自然史 탐험대와 훔볼트를 아메리카로 파견했는가. 둘째, 훔볼트는 유럽과 아메리카의 自然史와 人類史가 서로 공명한다는 것을 어떻게 인식했는가. 셋째, 훔볼트는 아메리카의 ‘크리오요’ 自然史 학자들과 어떻게 ‘식민적 문화융합’을 하면서 열대 自然史 탐험을 했는가. 이런 물음을 탐구하는 본 논문은 세 가지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먼저 근대 역사학의 정립 과정에서 배제되었던 自然史를 복원함으로써, 自然史와 人類史의 공명 관계를 탐구했다는 점이다. 훔볼트는 플랜테이션 공간에서 발생한 흑인 노예혁명이 아메리카의 自然史와 人類史를 변화시키는 것을 지켜보면서, 유럽과 아메리카의 人類史와 自然史가 어떻게 공명하는지를 예의주시했다. 또한 열대 自然史 탐험은 18세기 세계사를 인식하는 데 결코 빼놓을 수 없는 탐구 영역이다. 이 시기 열대 自然史 탐험은 유럽의 제국적 욕망이 어떻게 열대의 식민적 지배로 전환되었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주제이다. 마지막으로, 훔볼트의 열대 自然史 탐험은 역사학이 그동안 은폐 · 침묵시켰던, 서구와 열대 사이의 식민적 문화융합을 탐구해야 할 정당성을 보여준다. 이는 서구가 아메리카의 발전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서구 중심적 역사가 틀렸음을 말해준다. The objective of my paper is to investigate three interrelated questions: (i) how the Spanish Empire perceived natural history as a significant colonial policy strategy, and dispatched José Celestino Mutis and Alexander Humboldt to America; (ii) how Humboldt recognized that Europe’s natural and human history were deeply associated with America’s ones; and (iii) how Humboldt explored tropical natural history through colonial transculturation with creole naturalists. The article has three significant historical meanings. First, I try to restore natural history removed from modern history to analyze its resonance with human history. While Humboldt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black slave revolution in the plantation complex of Saint-Dominique transformed America’s natural and human history, he identified that Europe’s human and natural history were to be thoroughly associated with America’s ones. Second, the tropical natural history exploration is an inescapable academic subject in understanding a global history in the eighteenth-century. It must be an inexorable topic in proving the transformation from Europe’s imperial desire into colonial governance over the tropics. Finally, 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have hided and kept silent over colonial transculturation between Europe and the tropics, Humboldt’s tropical natural history exploration clearly provides ample justification for analyzing it historically and literally.

      • KCI등재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 및 연출기법 분석

        김선영(Kim, Sun Young),권병웅(Kwon, Byung Woong)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을 대상으로 전시매체와 연출기법에 있어서 매체와 기법의 중요성과 만족도 관계를 실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 및 연출기법의 중요도-만족도 관계 분석은 대응표본 t-test 및 IPA 격자도 분석, 다중회 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사박물관의 방문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연출기법과 전시매체 보다 전시주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사박물관은 전시매체와 연출기법의 관계에 있어서 전시매체가 연출기법 보다 체험효과를 높이는데 더 우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시구성의 최적화된 연출을 위해서 자연생태에 대한 지식정보와 전시내용의 사실성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자연사박물관 전시매체별 중요도-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시매체별 중요도는 ‘실물전시’(M=4.31), ‘표본전시’(M=4.25), ‘체험전시’(M=4.15), ‘모형전시’(M= 4.0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연사박물관을 방문하는 대중들에게 현장 체감형 실물전시가 가장 선호하는 연출기법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연사박물관 전시매체 가 전시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표본전시(β=.252, p<.001), 실물전시(β=.190, p<.01), 패널전시(β=.154, p<.05), 음향전시(β=.141, p<.05)가 전시관람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연사박물관 직접적 체험전시의 연출기법이 전시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작식전시(β=.218, p<.01), 실험전시(β=.180, p<.05), 현장체 감형전시(β=.155, p<.05)가 전시관람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콘텐츠 구축시 공간구성 및 매체의 선택과 연출기법의 체계적 개발에 도움을 주리라고 기대한다. 장기적으로는 자연사박물관이 대중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서 매체와 표현 그리고 전시기술 R&D 방향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평가된다. This Research deals with exhibition media and directing method of natural history museum, a platform of sensibility communication based on natural ec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n exhibition media and directing method of natural history museum is analyzed by t-test and IPA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und out that exhibition media hold better educational effects than directing method in natural history museum. Furthermore, it i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xhibition directing of natural history museum is reality of knowledge and expression. As the method of delivering exhibition topic and contents, Hands-on method is figured out to be the most adequate method. Life-sized model holds the highes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in exhibition media. Site experience directing method holds the highest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evel in directing methods. Such results mean that Life-sized model with site experience is the most preferred directing media by the mass visiting natural history museum.

      • KCI등재

        한국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방안 연구

        이창진,조준오 한국지구과학회 201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6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이 극대화된 국립자연사박물관을 설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1987년부터 2009년까지 국내외 자연사박물관에 대한 방문 조사와 학술적 연구를 통하여 자연사와 자연사박물관의 기원과 변천 과정을 정리하였으며, 국내 자연사 관련 박물관의 질적 양적 수준을 국제적으로 비교 하였다. 한국의 자연사박물관 수는 세계 100위권 밖에 머물러 있고 학문적 연구 능력과 표본 관리 능력 및 출판 능력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연구원의 수가 너무 적고 연구 기반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며, 전시-교육 전문가도 턱없이 부족하여 연구결과물과 학술지를 발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적화된 국립자연사박물관을 건립하기 위해서는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전에 연구-표본 관리-출판-전시-교육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master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natural history and the natural history museum were surveyed by visiting not only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but also foreign ones from 1987 to 2009. Bas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atus of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was comparatively analyzed in terms of globalization. Results indicated that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ranked more than 100th in the world, and the research, management, and publications were situated in a rudimentary stage. Particularly, the number of researchers within the area was too small, and the research environment was poor in its function and resources. In addition, the specialists on exhibition and education of the museums were too few to publish the research product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For that matter, a strategy as the research-specimen management-publication-exhibition-education functions should be in place to operate before the construction of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begins.

      • KCI등재

        자연사의 알레고리적 초상 – W.G. 제발트의 산문시 『자연을 따라. 기초시』를 중심으로

        이영기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4

        Der 1982 veröffentlichte Aufsatz Zwischen Geschichte und Naturgeschichte ist ein früher Entwurf zur Züricher Poetikvorlesung Luftkrieg und Literatur (1997), in der W.G. Sebald den alliierten Bombenkrieg gegen deutsche Städte während des Zweiten Weltkriegs auf die Formel von ‘Naturgeschichte der Zerstörung’ gebracht hat. Dazwischen liegt Sebalds literarisches Debüt Nach der Natur. Ein Elementargedicht (1988), in dem seine Idee der Naturgeschichte in ihrer poetischen Bildlichkeit zum Ausdruck gebracht wird. Das poetische Triptichon, das sich aus drei Einzelgedichten zusammensetzt, erzählt jeweils von den Viten des Renaissancemalers Matthias Grünewald, des aufgeklärten Naturforschers Georg Wilhelm Steller und des autobiographischen Erzählers, durch deren Lebensläufe die Verfallsgeschichte der Natur und Geschichte chronologisch entwickelt wird. Das zwischen Faktum und Fiktion gespannte Leben von Grünewald und dessen Malerei zeigt den Verfall der menschlichen Körper und die Neige der Zeit. Der Lebenslauf von Steller, der vor allem Vitus Bering auf dessen zweiter Expedition nach Alaskar begleitete, erweist sich als “das marginale Unterkapitel” des natürlichen und geschichtlichen Prozesses. Indem er seine eigene Biographie referiert, schildert der Erzähler eine Art Naturgeschichte der Nachkriegszeit. Die bergige Schnee- und Eislandschaft, die im Text beschrieben wird, wird zu einer Chiffre einer anorganischen und zeitlosigen Weltgegend, die jenseits des natürlichen Lebens und der menschlichen Geschichte liegt. In diesem Sinne enthält die Prosalyrik Nach der Natur den elementaren Kern des naturgeschichtliches Denkens, das sich noch in den späteren Texten Sebalds entfaltet. 1997년 취리히 대학에서 행한 강연 「공중전과 문학」에서 제발트가 정식화한 ‘파괴의 자연사’는 1982년에 발표된 에세이 「역사와 자연사 사이」에서 이미 윤곽이 드러난 바가 있다. 시기적으로 그 사이에 위치한 제발트의 문단 데뷔작인 시집 『자연을 따라. 기초시』(1988)는 그의 자연사적 사유에 대한 문학적 대응물이다. 세 편의 산문시로 이루어진 이 시집에서 제발트는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그뤼네발트, 계몽주의 시대의 자연연구자 슈텔러, 그리고 작가 자신과 동일시 될 수 있는 일인칭 서술자의 초상을 통해서 몰락과 파괴의 자연사적 과정의 파노라마를 보여준다. 전기적 사료와 허구 사이에서 직조된 그뤼네발트의 생애는 무엇보다도 그의 중요한 회화작품에 묘사된 인간 육체의 쇠락과 시간의 소멸을 배경으로 전개되며, 비투스 베링의 알래스카 탐험에 동행했던 슈텔러의 삶은 자연의 근원적 힘에 대한 경험을 통해서 인간의 삶이 자연사의 “주변부적 사건”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일인칭 서술자는 ‘개체’인 자신의 기원에 대한 탐색으로부터 출발해서 역사적 파국의 현장에 이르는 “전후 시대의 자연사”를 기술한다. 무엇보다도 설국(雪國)의 풍경은 인간의 자연적 삶과 역사 너머에 자리한 무기적(無機的)이고 무시간적 상징이다. 따라서 이 시집은 이후 제발트의 문학적 작업에서 전개될 자연사적 인식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학적 중핵을 담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될 수 있다.

      • 한국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발전 방향

        김수현(Soo-Hyun Kim),김소영(So-Young Kim),임종덕(Jong-Deock Lim) 한국고생물학회 2006 고생물학회지 Vol.22 No.2

        본논문에서는 한국의 자연사박물관에 있는 고생물분야의 전시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발전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국내의 공립 자연사박물관들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전시와 교육의 기능이 활성화된 목포자연사박물관과 서대문자연시박물관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두 자연사박물관들의 고생물 전시는 화석을 중심으로 기획, 연출되어 있었다. 그리고 두 박물관들은 중앙홀에 공룡 골격모형을 전시하고 최신 전시경향까지 도입하는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 화석들은 유리진열장에 분류학적인 기법에 의하여 전시되어 있고, 차별화된 전시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동박물관과 소장품 대여프로그램이 그 대안으로 제안될 수 있다. While examining the current paleontology exhibition trend of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ssible future development for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 exhibitions. To do so, the study first examines paleontology exhibitions of major Korean public oriented-natural history museums, such as the Mokpo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These two museums provide academic information of fossils, as well as its value to visitors. In addition, two museums, exhibiting re¬constructed skeletons of dinosaurs at the main hall, shows progress by introducing current trends to Korean natural history museums. However, some exhibitions still respect a research-based exhibition model such as taxonomical display because of its limi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ore diversified programs such as traveling museum and collection loan program.

      • KCI등재

        자연사 특별기획전의 차별화된 전시기획 및 연출전략 연구 - 국립부산과학관 특별기획전 ‘다이노소어展’을 중심으로-

        김도연,김철기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3

        연구배경 ‘공룡’은 표본 및 움직이는 모형 전시물 중심의 대표적인 자연사 전시 주제이다. 과학 사료 측면에서 희소성이 높고 대중에게 흥미로운 주제인 만큼 국내 다수의 과학관과 자연사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공룡전시를 특별기획전으로 개최하여 관람객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기존 자연사 전시와는 차별화된 기획과 연출전략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공룡이라는 전시주제와 특별기획전이라는 전시 형태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주제(공룡) 및 자연사 전시의 특성, 자연사 전시의 주요전시 매체와 표현방법 및 유형, 자연사 전시에서의 최적화 연출요소와 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내 공룡展의 현황과 특성을 분석하여 차별화 요소를 도출하고 연출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실제 개최될 공룡展을 기획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결과물로 총 14가지의 최적화 연출전략을 5가지(표본·설명 자료, 공간구조, 체험·특수요소)로 구분하여 반영한 국립부산과학관 특별기획전‘다이노소어展’의 기획안을 최종 제시하였다. 결론 특별기획전은 콘텐츠와 스토리, 구성을 어떻게 기획하느냐에 따라 동일 주제의 전시도 관람객에게 다르게 전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상설전시관의 자연사 전시와 차별화된 전시 기획(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 과정을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특별기획전 기획 실무에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전시경향과 전시주제 연구

        김소영(So-Young Kim),김수현(Soo-Hyun Kim),임종덕(Jong-Deock Lim) 한국고생물학회 2008 고생물학회지 Vol.24 No.1

        본 논문에서는 자연사박물관 중앙홀의 전시경향과 전시주제를 분석하고 자연사박물관에 있어서 중앙홀 전시가 갖는 역할을 재조명하고, 새로운 전시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최근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ICOM에 등록된 국외 자연사박물관 중에서 중앙홀이 있는 박물관을 선별하여 전시 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연사박불관의 중앙흘 전시형태를(1)개념중심 전시(Concept-oriented exhibition) (2) 전시물중심 전시(Object-oriented exhibition) (3) 스토리중심 전시(Story-oriented exhibition)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자연사박물관의 중앙홀 전시의 주제는 지구환경의 중요성과생물의 다양성과 보존이 라는 메시지를 강조해 나갈 수 있어야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생대 척추동물에 국한되었던 중앙홀 전시 주제를 46억년 지질시대동안 출현했던 여러 종류의 고생물로 확대하고 이를 다양한 전시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trend and theme of how to exhibit the main hall in major natural history museums. In order to do the analysis, total forty well-known natural history museums all over the world were selected and investigated. Those forty natural history museums were selected from one hundred and thirty lists in TCOM, after we excepted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Museums that carry no main hall on the floor plan, the ones that exhibit themes other than natural history theme, and museums that exhibit only one theme-i.e. Dinosaur museum-in natural history. When scrutinizing, the features of main hall exhibitions can be described as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concept-oriented exhibitions, object-oriented exhibitions, and story-oriented exhibitions. The exhibitions that are concept-oriented are systematically structured, which implies several exhibits are composed within one, single unit of natural history. The exhibitions that are object-oriented carry one or more specimens (or replicas) are independently exhibited and symbolized. The exhibitions that are story-oriented are organized as the way in which each exhibit is formulated within a story. This research proves that the current exhibition trend is concept-oriented. The limitation of the main exhibitions in various natural history museums is that the theme of those museums is restricted to the Mesozoic vertebrates. The importance of earth's environment and Biodiversity has become an essential factor in the 21 st century. Natural history museums are responsible for building bridges of understanding speci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public.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the ways in which exhibiting main hall should be diversified so that those museums will be able to provide concepts of biodiversity and evolution of our lives.

      • KCI등재후보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가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및 학교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인식 조사: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중심으로

        손정주 ( Jung Joo Sohn ),김이슬 ( Yi Sul Kim ),정종철 ( Jong Chel J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만족도와 학교 과학 교육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학교 밖 교육활동의 장으로서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립 자연사박물관으로서 최근 6년간 3만명 이상의 가장 많은 교육 프로그램 수강생을 유치했으며 매년 60여 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함으로서 안정적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소재의서대문자연사박물관을 대상 박물관으로 선정하였다. 2009년 여름학기 교육프로그램에 참가자 중 988명의 학생과 479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자연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학교 교육과의 연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로, 프로그램 내적으로는 전시물 활용 교육 강화와 실험시간의 확보가 중요하며 프로그램 외적으로는 교통 및 홍보에 대한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학교교육과의 연계는 지식적 측면 보다 탐구 능력 및 과학적 태도의 측면에서 연계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많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 satisfaction of public educational programs being carried out in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 contribution of these programs to normal school education and to suggest an improved framework for public education programs in Natural History Museum. For this study, we choos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Seodaemungu, Seoul, in which more than 30,000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last 6 years. This museum has been providing more than 60 science education programs every year. Based on a public census among participating students and accompanying parents, we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ratings of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Natural History Museum and their contribution to school science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desired to have the education program contents well connected to the exhibits of the Museum and to increase time for experiments and practice. (2)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ease of access and to enhance the public awareness about the program itself. (3) The biggest consensus among participants is that the education programs by Natural History Museum should be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research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rather than on acquiring knowledge, which will contribute to school education more significantly in the end.

      • KCI등재

        상부 자연사면 경사에 따른 깎기비탈면 안정해석 범위 연구

        김진환,유완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6 Crisisonomy Vol.12 No.12

        산지가 많이 분포하는 우리나라는 지형 특성상 도로, 철도, 건축물 등을 건설하는 과정에서 깎기비탈면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건설 과정에서 생성된 깎기비탈면의 상단부에는 기존 산지의 한 부분인 상부 자연사면이 위치하게 된다. 깎기비탈면의 안정성을 평가할 때, 상부 자연사면의 경사가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깎기비탈면 상단부에 위치한 상부 자연사면이 경사 및 해석 범위에 따라 달라지는 안전율의 변화를 검토해보고 안정해석에 반영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상부 자연사면의 형상이 비탈면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간단한 비탈면 모형을 가정하고 상부 자연사면의 경사 및 해석 범위를 조정하여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깎기비탈면의 안전율을 적합하게 도출하기 위해서는 상부 자연사면의 경사를 일정 부분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질토 특성의 비탈면의 경우, 최소 12m 이상, 점성토 특성의 비탈면의 경우 18m 이상을 안정해석 범위에 포함하여야 한다. Because of very mountainous topography features in Korea, cutting slope tends to be gener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road, railroad and the building structure. A natural slope is usually on the top of cutting slope created during construction. As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cutting slope, the effect of a natural slope on slope stability has not yet much been studied. This study thus is intended to review the safety of natural slope on cutting slope that may vary depending on slope and analysis scope and then seeks the way of incorporating it into stability analysis. A st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a simple model assumption while adjusting the slope and analysis scope in a bid to evaluate the effect of natural slope pattern on slope stability. Consequently, a certain part of natural slope should be included to adequately estimate the safety level of cutting slope. This study suggests that at least 12m should be included for sandy soil slope in the scope of stability analysis, while 18m for cohesive soil slo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