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법적 사고와 피니스의 신자연법이론

        하재홍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35 No.3

        As the era of natural law came to an end in the late 18th century, natural law reasoning has been preserved in the area of practical ethics. Modern jurists regard natural law theory as an alternative to positivist legal theory. However, the way natural law reasoning works and internal logic has been studied and inherited more deeply in the area of theology and ethics. Modern lawyers are usually familiar with legal reasoning, or thinking like a lawyer, but things are different with natural law reasoning. In modern times, academic interest in John Finnis’s theory of natural law(the New Natural Law Theory) is increasing. However, the lawyer’s unfamiliarity with natural law reasoning hinders access to his practical philosophy, causes to mystify his natural law theory.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Finnis’s theory of natural law as a type of natural law reasoning. Natural law reasoning is a systemic theory that induces moral principles according to natural justice by use of practical reason. In natural law reasoning, man-made law operates as an external cause that leads humans to moral behavior. Practical reason provides some precepts according to natural justice, and if man-made law is contrary to natural justice, the law cannot work as a moral principle and becomes void. Since Finnis’s practical philosophy contains scholastic terms, this article explained fundamental concepts and uses. It also explained the basic structure, outline, and methodology. Finnis’s theory inherits Aquinas' theory of natural law. However, it was modernized and reconstructed in line with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the non-metaphysical trend. His natural law reasoning is different from Aquinas' natural law reasoning. That is because it presents the concept of basic good as self-evident and derives particular oughts from it. His strategy is to remove the theological atmosphere from Aquinas' theory and put moral rationality at the forefront. It shows the limitations of preserving conservative moral views in individual ethical issues. 18세기 후반에 자연법 시대가 종말을 맞으면서 자연법적 사고는 윤리영역으로 자리를 옮겨 보전되어왔다. 현대에 법학자들은 자연법이론을 실증주의 법이론에 대항하는 법적 사고로 중요시하지만, 그 작동방식이나 내적 논리에 대해서는 신학이나 윤리학 영역에서 더 깊이 연구되고 계승되어왔다. 그래서 현대에 법률가들이 대개 실정법의 조문 해석을 중심으로 한 법률적 사고에 익숙하고 자연법적 사고에 대해서는 낯설게 느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최근에 피니스의 신자연법이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 자연법적 사고에 익숙하지 않은 사정은 그의 실천철학에 대해 접근하는데 장애가 되면서 그의 이론을 신비화하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피니스의 신자연법이론을 자연법적 사고의 한 유형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자연법적 사고의 특징을 법률적 사고와 비교해 설명했다. 자연법적 사고란, 실천이성에 따라 도덕적 원칙에 입각한 행위를 이끌어내고 수행하게 하는 이론이다. 자연법적 사고에서 법은 행위의 도덕성을 이끄는 외적 원인으로 작동한다. 실천이성은 자연적 본성에 따른 정당한 행위규범을 제공하며, 만약 인정법이 자연적 정당함에 반하는 것이면 그 인정법은 도덕적 행위를 이끄는 원리로 작동할 수 없으며 무효로 된다. 다음으로 피니스의 실천철학은 스콜라틱 용어를 담고 있으므로 기본적인 단어와 용법에 대해 설명했고, 이어 그의 이론의 기본적 구성과 개요, 방법론에 대해 설명했다. 피니스의 신자연법이론은 아퀴나스 자연법이론을 계승하면서도 현대의 과학혁명과 탈형이상학적 사조에 맞추어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것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자연법적 사고는 아퀴나스의 자연법적 사고와 몇 가지 차이를 보이는데, 실천이성에서 자명한 것을 ‘선을 추구하라’ 대신 기본적 선 개념으로 제시하고 그로부터 구체적인 당위를 도출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이다. 그의 전략은 아퀴나스의 자연법이론에서 신학적 분위기를 제거하고 도덕적 합리성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으로서 개별 윤리 문제에서 보수적인 도덕관을 노정하는 한계를 보인다.

      • KCI등재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 -몇 가지 주요 특징들에 대한 탐구-

        임경헌 ( Im¸ Kyungh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0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관한 주요한 논쟁 중의 하나는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에 관한 것이다.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에 관련된 논쟁은 내용상 2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이 어떻게 파악되는지를 묻는 인식론적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들이 행위의 규범성과 관련하여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를 묻는 질문이다. 이러한 논쟁은 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자연법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지지하는 학자들과 신자연법이론을 대표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발생했다. 전통적 해석에 따르면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이 파악되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사변적 탐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그렇게 파악된 제일 원리들은 또한 행위와 관련된 규범적 성격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신자연법이론에 따르면 제일 원리들은 실천이성에 의해 직관적으로 파악되고, 어떠한 규범적 성격도 가지지 못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텍스트에 근거해서 이러한 두 해석을 조화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제일 원리들의 인식과 관련해서는 신자연법이론이 토마스를 올바르게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제일 원리들의 규범성과 관련해서는 전통적 해석이 토마스에 관한 올바른 해석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핵심적으로 신데레시스, 원리들의 이해, 직관적 지성, 그리고 능동지성 등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있으며, 또한 사변이성과 실천이성의 구분과 역할에 대해서 논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토마스의 자연법을 근본적으로 이해하려고 할 때, 영원법의 의미와 역할을 애써 부인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도 부분적으로 긍정한다. An important debate over Thomas Aquinas’ natural law is about the first principles. This debate can be divided into two questions: how are they epistemologically grasped, and can they have a normative force or not? This controversy is mainly discussed between the scholars who follow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omas Aquinas’ natural law and the scholars who represent the so-called New Natural Law Theor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human nature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first principles of natural law; because of this, they can also have a normative character. But the New Natural Law Theory maintains that the first principles (or basic goods) are intuitively grasped by practical reason and have no normative forc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strictly based on the texts of Thomas Aquinas, which can harmonize the two controversial interpretations. To do so, this article is devoted to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ynderesis, intellectus principiorum, intellectus agens, and intuitive intellect. In add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peculative and practical reasons and their roles are discussed. This paper partly accepts the thesis arguing that it is necessary to fully understand the Thomistic theory of natural law to know the meaning and role of the eternal law.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onclude that the New Natural Law Theory is correct concerning the epistemological matter of the first principle of natural law; but in respect to normativity,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is the better one.

      • KCI등재

        루소는 자연법 사상가인가?

        하재홍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법학논고 Vol.- No.80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whether Jean-Jacques Rousseau has a natural law theory or not. Researchers on Rousseau’s Thought are mainly interested in his educational theory, social contract theory, and the concept of the general will, and tend to ign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ousseau and natural law theory. Even if some leading opinions classify him as a natural law thinker, it is superficial, making it difficult to know the exact reasons. Compared to the theological natural law theory represented by Aquinas, Rousseau's assertions in The Social Contract or Discourse on Inequity shows a sudden break from the medieval tradition, which hinders considering him a natural law theorist. To evaluate Rousseau’s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al law tradition,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discussion of the natural state and social contracts attempted by Hobbs, which became a trend of political thought, and the Science Revolution in his times. Because the concept of the general will is regarded by many as Rousseau’s main idea, some researchers say that he replaced nature with the general will. But such an expression makes Rousseau’s natural law theory misunderstood as if it were a theory without nature. All natural law theories include explanations of their source, the methodology for discovery, purpose, working principle, and the role of natural law. We can find such elements in Rousseau’s philosophy. This paper argues that Rousseau constructed the theory of natural law in a way that he put nature and freedom on the one side and social contracts and sovereign republic on the other side and made each direct their purpose toward the other. 본 논문의 목적은 루소가 자연법 사상가인지 검토하는 것이다. 루소 연구는 주로 교육론이나 사회계약론, 일반의지에 관심이 집중되며, 루소와 자연법의 관계는 외면받는 경향이 있다. 그를 자연법 사상가로 분류하는 견해가 있어도 상세한 이유를 알기 어려웠다. 아퀴나스로 대표되는 중세 신학적 자연법이론과 비교해 볼 때 루소가 「사회계약론」과 「인간불평등기원론」에서 전개한 논지는 전통과의 갑작스러운 단절을 보이므로 그의 자연법이론을 이해하는 데 걸림돌이 된다. 루소와 자연법의 관계를 이해하려면 먼저 루소 시대까지 진행되었던 과학혁명과 홉스 등에 의해 시도된 자연상태 및 사회계약을 바탕에 두고 논의하는 방식이 정치적 사유에서 유행이 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루소의 사상은 일반의지로 대표되므로 자연법과의 관계에서도 그가 일반의지로 자연법을 대체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이러한 평가에는 모호한 점이 있는데, 루소의 자연법이론이 자연이 없는 이론인 것처럼 오해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모든 자연법이론은 자연법의 근원과 발견 방법, 목적과 작동원리, 역할에 관한 설명을 포함한다. 루소의 사상에서도 이에 관한 요소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루소가 한편에 자연과 자유를, 다른 한편에 사회계약과 국가를 놓고서 각자가 서로를 향해 목적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자연법이론을 구성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헤겔의 계약 이론과 자유주의적 자연법 이론

        윤삼석 한국헤겔학회 2023 헤겔연구 Vol.- No.5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osely analyze Hegel’s contract theory which was founded in the ‘contract’ section of Hegel’s Philosophy of Law, and based on th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contract theory and the liberalistic theories of natural law. To this end, I first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Hegel’s contract theory through an analysis of the general nature of the contract and its components, and then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Hegel’s contract theory with the liberalistic theories of natural law. First, in considering the general nature of the contract, I explained the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concept of the contract, where its nature was defined as ‘the mediation of an identical will within the absolute distinction between owners of property who have being for themselves.’ Second, I defined the essence of the contract more strictly through an analysis of its components.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the contract. The first component is ‘the arbitrary will’, the initial condition for contract establishment. The second component is ‘the common will as the identical will posited by the contracting parties’, the essential condition for contract establishment. And the third component is the individual external ‘thing’ that is the object of the contract. The three components of the contract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arbitrary will’ means freedom of choice of free and equal persons, ‘the common will’ appears to be legal binding power through an external form of the contract, stipulation, and the forms of the ethical life such as marriage or the state are excluded from ‘the object of the contract.’ Third,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I explained the relationship of hegel’s contract theory and the liberalistic theories of natural law by analyzing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Hegel’s contract theor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liberalistic theories of natural law in that it actively recognizes the freedom of persons and their equality. And then, Hegel’s contract theory differs from those theories in terms of the conditions for contract establishment and the object of the contract. According to this, Hegel, unlike those theories, insists on the substantive equality between persons and excludes the forms of the ethical life, such as marriage or the state, from the object of the contract. 본 논문은 법철학 의 ‘계약’ 편에서 정초된 헤겔의 계약 이론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계약 이론이 자유주의적 자연법 이론들과 맺는 관계를 해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계약의 일반적인 본질과 계약의 구성 성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헤겔의 계약 이론의 특징을 해명했으며, 다음으로, 이를 바탕으로 헤겔의 계약 이론이 자유주의적 자연법 이론들과 공유하는 면과 구별되는 면을 분석했다. 첫째, 계약의 일반적인 본질에서는 계약 개념에 내재하는 모순 관계가 규명되었는데, 이를 통해 규정된 계약의 본질은 ‘대자적으로[독자적으로] 존재하는 소유자들의 절대적 구별 속에서의 동일적 의지의 매개’로서 규정되었다. 둘째, 계약의 구성 성분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는 계약의 본질을 더 엄밀하게 규정했다. 이에 따라 계약의 구성 성분으로서 세 가지가 분석되었는데, 첫째는 계약 성립의 시초적 조건인 ‘자의’이고, 둘째는 계약 성립의 본질적 조건인 ‘자의를 통해 정립된 동일적 의지로서의 공통의 의지’이며, 셋째는 계약의 대상인 개별적이고 외적인 ‘물건’이다. 이때 ‘자의’는 자유롭고 평등한 인격들의 선택의 자유를 의미하고, ‘공통의 의지’는 약정이라는 외적 형식을 통해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나며, ‘계약의 대상’에서는 혼인과 국가와 같은 인륜성의 형식이 배제되었다. 셋째,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헤겔의 계약 이론과 자유주의적 자연법 이론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계약 이론이 이 이론들과 맺는 관계를 해명하였다. 먼저, 헤겔의 계약 이론은 권리의 주체로서의 인격의 자유와 인격들의 평등을 적극적으로 인정한다는 점에서 이들과 공통점을 지닌다. 다음으로, 그의 계약 이론은 계약의 성립 조건과 계약의 대상에 관한 규정에서 저 이론들과 차이점을 지니는데, 이에 따를 때, 헤겔은 저 이론들과는 달리 인격들 간의 실질적인 평등을 주장하고 또한 혼인이나 국가라는 인륜성의 형식을 계약의 대상에서 배제한다.

      • KCI등재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

        하재홍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1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s and natural rights has many controversial subjects. While the tradition of natural law theory originated in ancient Greece, they usually consider the concept of natural rights the product of the modern civil-political revolutions. Among the researchers on natural law theory, some assume that natural right is a product of the political Revolutions of the 17th and 18th century. The medieval historians who agreed on natural rights before the modern Revolutions are divided again over the interpretation of William of Ockham and St. Thomas Aquinas. Some assert that Ockham has a subjective concept of rights, and studies of natural law in jurisprudence widely accept that Ockham discarded natural law and natural law theory. Whether St. Aquinas used modernized natural rights is controversial too. M. Villey denies it, but J. Finnis affirms in some conditions. This article discusses issu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law and natural rights. Firstly, this article asserted that M. Villey’s natural law reasoning rightly criticizes the subjective rights-centered approach of lawyers nowadays. Secondly, it reviewed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at William of Ockham denied natural law theory and traditions and argued for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William of Ockham and his natural rights. Thirdly, it argued that Finnis was wrong in interpreting ius as synonymous with rights and understanding both as interchangeable in St. Thomas Aquinas’s writings, but because by a notion of the natural order, ius and rights are common in principles and pursue the same purpose and in that case, it accepted Finnis’s interpretation.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의 관계는 논란이 많은 주제이다. 흔히 자연법이론의 전통은 고래 그리스까지 소급하지만, 자연권 개념은 근대 시민 혁명의 산물로 여긴다. 자연법 이론가 중에도 자연권 개념을 근대 이후의 산물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반대 견해도 있다. 근대 이전에도 자연권 개념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견해는 다시 아퀴나스와 오캄의 해석을 두고 의견이 나뉜다. 오캄이 개인의 주관적 권리를 절대화했으며 근대적 자연권 개념의 기원이라 보는 견해가 있지만, 국내 법학계에서는 오캄이 자연법을 부정했고 그것이 유명론의 귀결이라 보는 것이 통념이다. 아퀴나스에 자연권 또는 권리 개념이 있었는가도 논란이 있는데, 빌리는 부정하지만 피니스는 긍정한다. 본 논문은 자연법이론과 자연권 개념의 관계에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를 검토했다. 첫째, 자연법이론의 전통이 자연권과 관계되는 측면인데, 빌리의 자연법적 사고는 근대의권리 중심 접근법을 정당하게 비판한다고 보았다. 둘째, 오캄에 대한 이해인데, 오캄이 자연법을 부정했으며 그것이 그의 유명론의 귀결이라고 보는 국내 학계의 통념을 비판하고 오캄의 자연권 개념에 대해 정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셋째, 아퀴나스와 자연권 개념에 대해 피니스가 ‘ius’를 권리와 동의어로해석하고 양자를 치환할 수 있다고 본 것과 관련된 논쟁에 대해 자연법적 질서를 매개로 양자는 결국 원리에서 상통하며 같은 목적을 추구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 KCI등재

        자연주의적 자연법 이론의 가능성

        김현철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1

        The theory of natural law historically became the basis of the Western legal system and still has its influence in the name of the Constitution and human rights. The classic natural law theory is that there is a just law above the positive law and that the law has universal character and that the law can be found in human nature. But that theory has been criticized as a kind of logical fallacies by deriving the principle of law from human nature. Modern natural law theorists have been trying to avoid such criticism. But the argument of natural law based on human nature is not a logical fallacy that must be avoided. In particular, there is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normative implication in the discussion of human na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liberal naturalism, and there is still possibility of giving significance to the normative contents while taking the position of naturalism. This paper argues that the claim that there is a normative implication based on human nature can have a strong theoretical significance if it takes the position of liberal naturalism and acknowledges the supervenience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normative implications. If this is expanded, it may be possible to use liberal naturalism and accompanying theory as the evaluation theory of the positive law. Finally,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theory based on human nature, this is the significance of natural law theory in modern times as critical thinking style of the positive law. 자연법 이론은 역사적으로 서구 법체계의 근간이 되는 이론이었고 지금도 헌법과 인권의 이름으로 여전히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그러나 고전적 자연법 이론은 즉, 실정법보다 상위의 정당한 법이 존재하고 그 법은 보편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그 법은 인간이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본성 속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이론은 역사적으로 ① 존재론적으로 보편적으로 실재하는 법을 인식하는 데 실패했으며, ② 논리학적으로 인간 본성이라는 존재에서 법이라는 당위를 도출하는 것으로 일종의 오류 추론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왔다. 현대 자연법론자들은 자연법적인 함의를 놓지 않으면서도 이런 비판을 피해 가려는 여러 시도들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 본성에 근거한 자연법이라는 주장은 반드시 피해야만 하는 논리적 오류는 아니다. 특히 개방적 자연주의의 입장에 따르면 인간 본성에 대한 논의에서 규범적 함의를 연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여전히 자연주의의 입장을 취하면서도 규범적 내용에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논문은 개방적 자연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인간본성과 규범적 함의 사이의 수반 관계를 인정한다면 인간본성에 근거한 규범적 함의가 있다는 주장은 강력한 이론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확장하면 실정법에 대한 평가이론으로 개방적 자연주의와 수반이론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인간본성에 기반한, 실정법에 대한 평가이론의 가능성 이것이 실정법에 대한 비판적 사유양식으로서 현대에서 자연법 이론이 가지는 의의이다.

      • KCI등재

        헤겔 법철학에서 자연법의 문제

        윤삼석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22 철학연구 Vol.- No.6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Hegel’s criticism and acceptance of modern natural law theories in his Philosophy of Law. To this end, I have clarified the ques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Hegel’s concept of law and the question of how he constructed his concept of law. First, Hegel argued that, on the one hand, the essence of law should be founded on the basis of reason and free will, not on the direct natural method, and paid attention to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natural law and establishing natural law as rational law in its development. These aspects were the direct motive for his positive acceptance of modern natural law theories. However, on the other hand, he took a critical stance on the fact that modern natural law theories regarded free will as an abstract and special will of the individual and used it as a principle of construction of society and the state. Accordingly, he showed some aspect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modern natural law theories by interpreting free will not only as an abstract individual’s special will, but also by extending it to a more fundamental and substantive freedom. Next, on the one hand, when constructing the concept of law, Hegel revealed the methodological similarity with modern natural law theories by using the ‘abstraction’ contrary to his explicit intention, but on the other hand, in the point of using the ‘dialectic’ method of grasping the movement of concepts, which is a dynamic development process, he showed some different appearances from modern natural law theories. 본 논문의 목적은 법철학 에서 나타난, 근대 자연법 이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과 수용의 측면들을 분석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헤겔의 법 개념의 원리적 출발점에 대한 물음과, 헤겔의 법 개념의 구성 방법에 대한 물음을 해명했다. 먼저, 헤겔은 한편으로는 법의 본질을 직접적인 자연의 방식이 아니라 이성과 자유의지에 기반해서 정초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근대 자연법 이론이 그 발전 과정에서 자연법 개념의 모호성을 극복하고 이성법으로서의 자연법을 정초해가는 과정에 주목했는데, 이것이 바로 그가 근대 자연법 이론을 긍정적으로 수용한 직접적 동기였다. 그러나 그는 다른 한편으로는 근대 자연법 이론이 자유의지를 추상적 개인의 특수 의지로만 파악하고 이를 사회와 국가의 구성 원리로 삼은 점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한다. 이에 따라 그는 자유의지를 추상적 개인의 특수 의지로서만이 아니라 이보다 더 근원적인 실체적 자유로까지 확장시킴으로써 근대 자연법 이론과 근본적으로 구별되는 면모를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헤겔은 법 개념을 구성할 때 한편으로는 자신의 명시적인 의도와는 달리 ‘추상’을 사용함으로써 근대 자연법 이론들과의 방법적 유사성을 노정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태 자체의 역동적 전개 과정인 개념의 운동을 파악하는 ‘변증법’적 방법을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근대 자연법 이론들과 구별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자연법이론을 통한 합법성의 재조명

        김호섭 한국정부학회 2014 한국행정논집 Vol.26 No.4

        이 연구는 자연법이론의 역사적 발전을 통해 자연법의 핵심 내용과 자연법과 실정법의 논리적 관계를 검토하고, 자연법이론이 합법성과 행정윤리에 시사하는 이론적?실천적 함의를 논한다. 이런 논의는 법을 수단이 아닌 목표로 인식하는 그릇된 관행을 불식하고, 단순한 법 집행에 안주하는 수동적 행정행태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합법성은 관료들의 행동을 유도하는 준칙이나 기준은 될 수 있으나 그 성격이 조건적이어서 행정가치가 될 수 없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윤리적 행정을 위해 자연법에 어긋나는 법을 적극 개정 또는 폐기하고 보다 정의로운 법을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실정법에 대한 맹목적 헌신에서 벗어나 비합리적?비윤리적 법에 대해 근본적 의문을 제기하고, 성찰적 자세로서 합법성에 접근할 때 공동선을 위한 행정의 봉사 기능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자연법에 대한 재음미는 바로 이러한 성찰적 노력에 첫 걸음이 되고, 자연법이론과 행정이론의 접목을 주문한다.

      • KCI우수등재

        헌법과 자연법이론

        하재홍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1

        헌법전문은 규범성을 인정받으며 헌법해석의 지침이 되고 또 모든 국가권력과 국민의 삶에 지도적 원리를 제시한다. 우리 헌법의 전문에는 “모든 사회적 폐습과 불의를 타파하며”라는 문구가 있다. 헌법학계에서는 위 문구를 거의 외면해 왔는데, 본 논문은 이 문구를 자연법이론에 따라 해명해보려는 시론적 탐색이다. 한국 현대사에는 많은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또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런 변화를 만들어낸 가장 큰 힘은 올바른 삶에 대한 열망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열망은 현재에도 다양한 목소리로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 공정하지 않은 사회적 관행의 폐지를 줄기차게 요구한다. 이런 목소리를 외면할 것이 아니라 헌법이 상정하는 사회상의 원리로 해명하고, 특히 ‘사회적 폐습과 불의의 폐지’라는 헌법정신의 실천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아퀴나스의 자연법이론과 공동선 개념을 통해 헌법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위 문구를 자연법이론의 공동선 개념, 즉 자유와 번영, 질서가 조화를 이루며 추구되는 사회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연법이론은 헌법에 많은 흔적을 남기고 있지만, 헌법을 이해하고 헌법 문제에 대처하는데 현실성은 없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지나친 개인주의와 집단적 이익의 추구로 점철된 헌법현실과 정치문제를 공동선 개념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으며 이를 위해 자연법이론의 전통과 공동선 개념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헌법해석론으로서 공동선 헌정주의가 제안되기도 했다. 헌법전문은 정치적 미사여구에 그칠 수 없다. 헌법의 관점에서 현실을 바라보고 헌법을 살아있게 하려면 헌법정신과 일상의 삶을 지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원리를 찾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연법이론은 상당한 유용성을 보여줄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헌법과 자연법이론

        河在洪 ( Jaihong Ha )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1

        헌법전문은 규범성을 인정받으며 헌법해석의 지침이 되고 또 모든 국가권력과 국민의 삶에 지도적 원리를 제시한다. 우리 헌법의 전문에는 “모든 사회적 폐습과 불의를 타파하며”라는 문구가 있다. 헌법학계에서는 위 문구를 거의 외면해 왔는데, 본 논문은 이 문구를 자연법이론에 따라 해명해보려는 시론적 탐색이다. 한국 현대사에는 많은 긍정적 변화가 있었고, 또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런 변화를 만들어낸 가장 큰 힘은 올바른 삶에 대한 열망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열망은 현재에도 다양한 목소리로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 공정하지 않은 사회적 관행의 폐지를 줄기차게 요구한다. 이런 목소리를 외면할 것이 아니라 헌법이 상정하는 사회상의 원리로 해명하고, 특히 ‘사회적 폐습과 불의의 폐지’라는 헌법정신의 실천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아퀴나스의 자연법이론과 공동선 개념을 통해 헌법을 조망할 수 있다는 전제에서 위 문구를 자연법이론의 공동선 개념, 즉 자유와 번영, 질서가 조화를 이루며 추구되는 사회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연법이론은 헌법에 많은 흔적을 남기고 있지만, 헌법을 이해하고 헌법 문제에 대처하는데 현실성은 없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도 지나친 개인주의와 집단적 이익의 추구로 점철된 헌법현실과 정치문제를 공동선 개념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으며 이를 위해 자연법이론의 전통과 공동선 개념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헌법해석론으로서 공동선 헌정주의가 제안되기도 했다. 헌법전문은 정치적 미사여구에 그칠 수 없다. 헌법의 관점에서 현실을 바라보고 헌법을 살아있게 하려면 헌법정신과 일상의 삶을 지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원리를 찾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자연법이론은 상당한 유용성을 보여줄 수 있다. In the preamble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re is a phrase, Breaking all social abuses and injustice. It’s widely accepted that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has normative nature, serves as a guide to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and presents principles to all official power and people. But this phrase was not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is phrase by the natural law theory. There have been many affirmative changes in modern Korean history, and it is still ongoing. It is thought that the greatest force that has made this change lies in the desire for a righteous life. This aspiration is still expressed in various voices today, and in particular, it constantly demands the abolition of unfair social practices. We should not turn a blind eye to this voice. It is necessary to accept it as the practice of the constitutional spirit of Breaking all social abuses and injustice and to explain it with the social principles assumed by the Constitu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onstitution can be viewed through Aquinas's theory of natural law and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and that the above phrase can be explained by the principle in which prosperity and freedom are pursued in harmony with the order. The theory of natural law leaves many traces in the constitution but tends to be considered unrealistic in coping with constitutional issues. However, there are many voices in the U.S. that the constitutional reality and political issues, which have been marked by excessive individualism and the pursuit of collective interests, should be dealt with with the common good concept. Attempts are being made to restore the tradition of natural law theory and the concept of the common good.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common-good constitutionalism has been proposed as a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theory. The full text of the Constitution is not political rhetoric. To look at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itution and keep the Constitution alive, it is necessary to find desirable principles that can guide daily life. Here, the theory of natural law can show considerable use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