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성(自性)의 의미변화에 관한 일고찰 - 『구사론』, 『중론』, 『단경』 을 중심으로

        윤희조 ( Youn Hee-jo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초기불교와 상좌부불교 그리고 『대비바사론』에서 자성은 다르마를 구분하는 근거로서 인식론적 의미로 사용된다. 『구사론』에서 자성은 단독성의 용법에 의해서 실체론적 함의를 가지게 된다. 나가르주나는 『중론』에서 실체론적 함의를 가진 자성을 전적으로 부정한다. 그러나 짠드라끼르띠에 의해서 자성은 긍정적 의미의 승의자성과 부정적 의미의 세간자성으로 구분된다. 인과 연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은 세간에서 인정하는 자성이고, ‘만들어지지 않은 것’은 승의적인 의미에서 자성이다. 이러한 승의자성에 대해서는 자성=공성=무자성=진여의 공식이 성립한다. 초기불교부터 짠드라끼르띠까지 자성은 인식론적 지평위에서 논의되지만, 『단경』에서 자성은 상태와 기능의 측면에서 새롭게 정립되면서, 자성은 항상 긍정적인 개념으로 사용된다. 『단경』에서 자성은 청정한 상태로서의 자성과 반야의 기능으로서의 자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청정자성과 반야자성은 개개인의 자심 가운데 원래부터 있었지만, 다만번뇌에 의해서 덮여 있을 뿐이다. 혜능은 짠드라끼르띠가 부정했던 세간자성을 자성중생으로 긍정적으로 인정한다. 그리고 만법이 개개인의 자심에 있는 것으로 자심도 또한 긍정한다. 단지 문제는 번뇌로부터 자심이 미혹하는지, 개오하는지의 여부이다. 청정자성은 자심의 본래 청정한 상태이지만 형상이 없고 이는 진여, 본심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청정자성의 상태에서 반야자성이 기능하게 된다. 반야자성은 이원적 구분을 하지 않기 때문에 부동, 공, 무자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반야자성의 비추는 기능을 통해서 혜능은 삼독심을 제거하고, 불지에 도달하지만 어떤 것도 얻는 것이 없다. 반야자성은 본래 얻을 것이 없고, 형상이 없는 기능으로 작용한다. From Early Buddhist period to period of Abhidharma-mahavibhasa-sastra, the self-nature had been used to basis of classifying dharmas in epistemological aspects. In Abhidharmakosabhasya substantial implication had been included in the self-nature by the exclusive usage. Nagarjuna totally denied the self-nature in Mulamadhyamakakarikah. But Candrakirti divides the self-nature into conventional meaning and ultimate meaning, conventional one is negative and ultimate one positive. ‘One which was made by cause and condition’ is the conventional self-nature, ‘one which was not made by cause and condition’ is the ultimate one. Ultimate one is equal to sunyata, naihsvabhava and tathata. From Early Buddhism to Candrakirti the self-nature had been debated in the horizons of epistemology. The self-nature in the Platform Sutra was established in the aspects of state and function, was always used in positive meaning. The self-nature in the Platform Sutra is used as the self-nature in pure state and the self-nature as wise function. Both of the self-nature were equipped in everyone``s mind, temporally covered by defilement. Huineng positively admitted the conventional self-nature as ‘sentient being with the self-nature’, which was denied by Candrakirti. Everyone``s mind was approved as having the all dharmas in mind. The mind was deluded or awakened is the problem. The self-nature in pure state is inherently pure, has no shape, is related with tathata and innate mind and from which the self-nature as wise function is derived. The self-nature as wise function doesn``t discriminate, has the feature of sunyata, naihsvabhava and non-movement. The self-nature as wise function eliminates the three evil roots and attains the stage of Buddha. But it obtains no gain and no shape.

      • KCI등재

        『단경』에 나타난 자성의 심리학

        윤희조(Youn, Hee-jo)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본고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인 선심리학을 혜능의 『단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심리학은 불교심리학의 분류에 따라서 선심학, 선심소학, 선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하에서 혜능의 선심리학은 자성의 심리학으로 볼 수 있고, 본래적 의미의 자성과 포괄적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학에서 심은 자성을 기반으로 드러난다. 본래적 자성이 드러나면 본심이 되고, 포괄적 자성이 드러나면 인심이 된다. 본래적 자성은 만법건립성, 불가득성, 불가명성, 청정성, 평등성, 자불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론에서 법은 불이이고 평등하지만, 인간론에서 인간은 근기의 예둔과 돈점에 따라서 범부와 성인, 하근기와 상근기로 나뉜다. 마음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연기론에서 자성의 은현, 미오, 범성을 오가는 두 가지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서 펼쳐지는 세계와 현상은 자성의 작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소학은 선심리학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기능 즉 반야와 중생심을 다룬다. 반야는 자성으로부터 발생하고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형상이 없는 지혜인 반야는 전체와 하나를 동시에 아는 것이고, 수많은 번뇌를 지혜로 바꾼다. 또한 이법(二法)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반야이다. 중생심은 이러한 반야의 기능을 덮고 있는 내부의 중생을 말한다. 중생심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참회와 서원이 있다. 신심리치료는 인간의 예둔과 법의 평등의 괴리를 없애기 위해서 견성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혜능은 전통적인 계정혜의 방법론을 마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함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삼무를 제시한다. 분별, 염오, 집착이 없는 무상·무념·무주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경』의 선심리학은 자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자성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Zen Psychology refers to the psychology of Zen Buddhism a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focusing on the “Platform Sutra” written by Huineng, the founder of Patriarchal Zen, and the southern Zen schoo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psychology, Zen psychology is divided into theory of Zen mind, theory of Zend mind function, and Zen psychotherapy. In theory of Zen mind, Huineng explains the mind based on self-nature, and explains the theory of dharma, theory of humanity,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worldview though self-nature. Every human mind has its own original character of self-nature. When one’s own mind with self-nature is revealed, it is the basic mind. When it is covered, it is the mind of common people. Self-nature is characterized by dharma construction, incompetence, non-naming, cleanliness, equality, and self-Buddhahood. In the theory of dharma, dharma is non-dual and is equal. The theory of humanity i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arpness and dullness or capacity of the human being. From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you can see the mobility of cover and revealment, enlightment and delusion, sacred and common. In the worldview, the world and phenomena are the functions of self-nature and one’s own mind. he theory of Zen mind function deals with wisdom and defilement of common people. The function of wisdom is to know the whole and one at the same time, and is intangible. Defilement of common people is an inner common people that cover the functions of wisdom. In Zen psychotherapy, in order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human and dharma, seeing into self-nature is suggested and the goal. In teleology, the goal is to reveal and see the self-nature covered by defilements. As a methodology from cover to revealment, Huineng interprets the traditional methodology as a new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mind, and presents Sammu as its own methodology. Based on the absence of attachment, Huineng proposed a methodology of No-abiding, No-thought and No-form, to gather mind on reality and treat all things equally. Based on this, Huineng proposed a new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karma through repentance and vows, and a methodology for edification. In view of the Four Noble Truth, it is the phenomenon that self-nature is covered, the cause of defilement and the mind, the aim of seeing the self-nature which is covered, and the way of revealing the covered self-nature is presented. In this sense, the Zen Psychology of Platform Sutra is psychology of self-nature.

      • KCI등재

        『단경』에 나타난 자성의 심리학 - 본래적 자성과 포괄적 자성의 역동성을 중심으로

        윤희조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6 No.-

        본고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인 선심리학을 혜능의 『단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심리학은 불교심리학의 분류에 따라서 선심학, 선심소학, 선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하에서 혜능의 선심리학은 자성의 심리학으로 볼 수 있고, 본래적 의미의 자성과 포괄적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학에서 심은 자성을 기반으로 드러난다. 본래적 자성이 드러나면 본심이 되고, 포괄적 자성이 드러나면 인심이 된다. 본래적 자성은 만법건립성, 불가득성, 불가명성, 청정성, 평등성, 자불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론에서 법은 불이이고 평등하지만, 인간론에서 인간은 근기의 예둔과 돈점에 따라서 범부와 성인, 하근기와 상근기로 나뉜다. 마음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연기론에서 자성의 은현, 미오, 범성을 오가는 두 가지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서 펼쳐지는 세계와 현상은 자성의 작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소학은 선심리학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기능 즉 반야와 중생심을 다룬다. 반야는 자성으로부터 발생하고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형상이 없는 지혜인 반야는 전체와 하나를 동시에 아는 것이고, 수많은 번뇌를 지혜로 바꾼다. 또한 이법(二法)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반야이다. 중생심은 이러한 반야의 기능을 덮고 있는 내부의 중생을 말한다. 중생심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참회와 서원이 있다. 신심리치료는 인간의 예둔과 법의 평등의 괴리를 없애기 위해서 견성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혜능은 전통적인 계정혜의 방법론을 마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함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삼무를 제시한다. 분별, 염오, 집착이 없는 무상・무념・무주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경』의 선심리학은 자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자성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Zen Psychology refers to the psychology of Zen Buddhism a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focusing on the “Platform Sutra” written by Huineng, the founder of Patriarchal Zen, and the southern Zen schoo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psychology, Zen psychology is divided into theory of Zen mind, theory of Zend mind function, and Zen psychotherapy. In theory of Zen mind, Huineng explains the mind based on self-nature, and explains the theory of dharma, theory of humanity,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worldview though self-nature. Every human mind has its own original character of self-nature. When one’s own mind with self-nature is revealed, it is the basic mind. When it is covered, it is the mind of common people. Self-nature is characterized by dharma construction, incompetence, non-naming, cleanliness, equality, and self-Buddhahood. In the theory of dharma, dharma is non-dual and is equal. The theory of humanity i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arpness and dullness or capacity of the human being. From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you can see the mobility of cover and revealment, enlightment and delusion, sacred and common. In the worldview, the world and phenomena are the functions of self-nature and one's own mind. The theory of Zen mind function deals with wisdom and defilement of common people. The function of wisdom is to know the whole and one at the same time, and is intangible. Defilement of common people is an inner common people that cover the functions of wisdom. In Zen psychotherapy, in order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human and dharma, seeing into self-nature is suggested and the goal. In teleology, the goal is to reveal and see the self-nature covered by defilements. As a methodology from cover to revealment, Huineng interprets the traditional methodology as a new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mind, and presents Sammu as its own methodology. Based on the absence of attachment, Huineng proposed a methodology of No-abiding, No-thought and No-form, to gather mind on reality and treat all things equally. Based on this, Huineng proposed a new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karma through repentance and vows, and a methodology for edification. In view of the Four Noble Truth, it is the phenomenon that self-nature is covered, the cause of defilement and the mind, the aim of seeing the self-nature which is covered, and the way of revealing the covered self-nature is presented. In this sense, the Zen Psychology of Platform Sutra is psychology of self-nature.

      • KCI등재

        1905년 작성 平安北道 慈城郡 호적 검토

        이정주(Lee, Jung-Joo)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9

        이 논문은 1905년에 조사․작성된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을 검토한 것이다. 1905년 당시 자성군은 세종대 4군 가운데 여연․자성․우예의 3군 영역에 해당하는 방대한 지역을 아우르고 있었다. 총 1,806㎢으로 1,848㎢의 제주도와 거의 비슷한 규모이다. 1433년 세종은 4군을 개척하고, 1442년에 4군 지역에 대규모의 徙民을 실시했다. 하지만 1459년에 세조가 4군을 철폐한 뒤로 1869년 자성군이 다시 설치되기까지 이 지역은 여진족이 횡행하는 곳이었다.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은 1905년 평안북도 자성군 호적은 자성군이 다시 설치되고 불과 36년이 경과한 시점의 기록이다. 현존하는 자성군 호적은 다른 지역에 비해 인쇄나 기록 상태가 매우 좋지 않다. 항목명이나 칸이 제대로 보이지 않고, 먹이 번지거나 흐려서 내용을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질이 좋지 못한 값싼 먹과 종이를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기록자의 글씨체도 매끄럽지 못하고 졸렬한 편이었다. 게다가 1905년 자성군 호적은 戶口의 누락이 심하고, 직업 기재시 날품팔이를 빼거나 상공업 종사자의 비중을 축소하는 등 부실하게 기재되었다. 이처럼 성의가 부족하고 부실하게 작성한 호적이라는 커다란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성군 호적은 당시 해당 지역의 상황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자성군 호적을 분석한 결과, 1905년 자성군에는 兩班戶가 존재하지 않았고 커다란 집도 없었으며, 사회․경제적으로 매우 균질적인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성군에는 당시 한반도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던 동족촌도 없었다. 가옥의 형태도 한반도의 여타 지역과 달랐다. 가옥은 통나무로 만들었으며, 지붕은 약 2cm 두께의 참나무 판을 50cm 정도로 잘라 얹는 형태로 조성하였다. 이러한 가옥을 ‘板家’라고 표현하였는데, 자성군의 모든 가옥이 板家였다. This study reviewed the family register of Jasung-gun, Pyunganbuk-do, which was made in 1905. In 1905, Jasung-gun covered large area, composed of 3 guns (i.e., Yeyoun, Jasung, and Wooye) among Sejongdae 4 guns. The total area was 1,806㎢, which was about the size of Jeju island (1,848㎢). King Sejong established the 4 guns in 1433 and moved a large number of people to the 4 guns in 1942. However, Jurchen dominated the land after King Sejo closed the 4 guns until Jasung-gun was reestablished in 1869.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n 1905 was a record only 36 years after it was reestablished. The existing Jasung-gun family register has poorer print and recording condition than other regions. Item name and squares are barely readable and often it was impossible to read the contents because Chinese ink was spread or lightened. It would be because low quality Chinese ink and paper was used. Moreover, the recorder’s handwriting was not smooth, rather poor. Moreover,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n 1905 was poorly recorded. For example, it seriously missed too many houses; it omitted day labor in job recording; it reduced the number of commercial and industrial workers.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is a valuable historic record showing the status of the region at that time, although it was poorly and incompletely recorded<SUP>*</SUP>. Analysis on the Jasung-gun family register showed that Jasung-gun was composed of socially homogenous groups in 1905 and it did not have a house of nobleman and a mansion. The Jasung-gun did not have a town of a same last name, which was very common in the Korean peninsula<SUP>**</SUP>. The shape of houses was also different with that in other regions. All houses were made out of log and roof was made of 2㎝ thick and 50㎝ wide oak board. It was called ‘board’ house and all houses in the Jasung-gun were board houses.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직접성(直接性)의 문제와 『육조단경(六祖壇經)』의 "자성자도(自性自度)"

        안호영 ( Ho Young Ah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불교는 自覺의 종교이며, 깨달음의 종교이기 때문에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나``와 ``깨달음``의 문제가 『六祖壇經』에서는 ``自性自度``라는 한 句를 통해서 드러난다. 그러나 만약 이 句를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의 방법론과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깨달음의 본질로 구분하여 표현함으로써 두 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깨달음은 간접적이며 매개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이런 이유로 우리는 어떤 매개도 없는 ``直接性``의 문제를 마주해야 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自性自度``는 의미와 논의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본 논의의 목적은 慧能이 설하는 실천적인 의미에서 ``자성 보는 법``의 대의가 ``自性自度``라는 한 句에 담겨있음을 논증하려는 것이다. 먼저 자성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실천[行]과 ``자성 보는 법``이 동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것을 논의한다. 이어서 이러한 실천[行]은 慧能의 삶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으며, ``자성 보는 법``을 체득하는 과정을 재구성함으로써 ``자성 보는 법``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그리고 慧能이 ``실천적으로 자성 보는 법``을 ``自性自度``와 연결시킴으로써, 自性을 건네야 할 필요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건넬 것인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네다[渡]에서 비롯된 옮김의 개념을 건네다[度]와 直接性을 어떻게 연결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For the buddhism is the religion which is self-awakening and accomplishes the nirvana, the problem of both ``I`` and the ``nirvana`` is particularly important. This problem is disclosed through the one phrase as the ``Cross-the-Self- Nature-Over(自性自度)`` in Altar Sutra of Hui-Neng(『六祖壇經』). But if we would see this phrase separately by expressing between the methodology of the process which approaches to the nirvana in the formal aspects and the essence of the nirvana in the contextual aspects, the nirvana would be going to the indirect and mediated thing. By this reason, we should confront the problem of the ``immediacy`` without any mediated things, then we could immediately enter into the region of the meaning and the discussion on the ``Cross-the-Self-Nature-Over``.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argue in practical aspects Hui-Neng(慧 能)``s addressing the primary summary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自性)`` which is contained in that one phrase.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meaning of the self-nature, it is simultaneously both the practice[行] and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therefore we could discuss the argument which is related to the ``how to practically examine the self-nature``. Then we could find intactly this practice[行] in Hui-Neng``s life, accordingly reconstituting the self-experience of the ``how to examine the self-nature``, we could go forward the argument on the importance of this way. And then by connecting the ``how to examine practically the self-nature`` to the ``Cross-the-Self-Nature-Over``, we would discuss what is the necessity to cross the self-nature over and how is to cross over. Finally we would discuss how we could connect the cross-over[度] and the immediacy through the concept of the move based on the cross-over[渡].

      • KCI등재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남수영(Nam, Soo-you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①‘중론이 주장하는 연기는 상의성의 의미이며, 중론의 목적은 여러 법의 상의상관관계를 밝히는 것’이라고 하는 나카무라 하지메(中村元)의 견해와 ②‘상의성의 연기와 팔불연기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면서, ③‘팔불은 동시적이고 상대적인 부정을 통해 양항을 다시 긍정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고 하는 윤종갑의 견해, 그리고 ④‘팔불의 상반하는 둘을 하나로 묶음으로써, 그 둘 각각의 긍정을 함의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우에다 요시부미(上田義文)의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용수의 상호의존적 연기와 팔불의 연기를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월칭의 언급으로부터 12연기와 상호의존의 연기는 세속제(世俗諦)로서 동일 차원에서 설해진 것이고, 팔불의 연기는 승의제(勝義諦)로서 상호의존의 연기와는 다른 차원에서 설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럴 경우 상호의존의 연기와 팔불의 연기, 즉 세속제와 승의제의 분기점은 무자성과 공성의 개념이 된다. 그런 사실로부터 나카무라 하지메의 견해 ①과 윤종갑의 견해 ②는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2) 상호의존의 연기란 두 개의 사물이나 혹은 여러 개의 사물이 서로 의존해서 성립함을 설하는 것이다. 용수가 상호의존의 연기를 설한 목적은 인도의 대부분의 학파들이 실재로 간주하는 궁극적인 원인을 포함하는 모든 사물이 연기에 의해서 성립함을 밝히고, 다시 그로부터 모든 사물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궁극적 진실인 승의제를 드러내기 위한 것이다. 3) 팔불의 연기란 연기이기 때문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은 불생불멸 등의 여덟가지 특성을 지닌다는 의미이다. 팔불이 설해진 목적은 유자성론에 근거해서 설해지는 여러 학설들의 불합리를 비판하고, 무자성과 공성 등으로 설해지는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4) 팔불의 각각은 동일한 형식으로 설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 불생’, ‘자성으로서 불멸’등으로 종결되며, 거기서 불생과 불멸 등 두 항목을 하나로 묶어서 다시 발생과 소멸 등을 긍정하는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사실들로부터 윤종갑의 견해 ③과 우에다 요시부미의 견해 ④는 올바르지 못한 것임을 알 수 있다. 5) 팔불은 시종일관 무자성의 개념에 근거해서 설해지고 있고, 그럴 경우 무자성은 비유비무(非有非無)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와 같은 사실로부터 팔불은 비유비무의 중도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팔불의 각각은 자성으로서의 생멸, 자성으로서의 거래, 자성으로서의 일이, 자성으로서의 단상 등 불합리하고 극단적인 견해들을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팔불이 곧 중도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6) 월칭이 『중송』의 목적으로 제시했던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정인 열반’에 도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고 생각된다. 첫째, 세속제, 즉 상호의존의 연기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둘째, 승의제에 근거해서 팔불이 설해지고, 팔불을 통해서 유자성론에 뿌리를 둔 모든 희론들이 부정되는 동시에, 무자성인 모든 사물의 진실을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셋째, 그런 깨달음을 통해서 무명과 갈애가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고, 마침내 수행자는 ‘모든 희론이 멈추어서 길상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 The present writer raised questions to ①the opinion of Hajime Nakamura(中村元)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緣起) of Mūla-madhyamaka-kārikāh is the meaning of mutual dependence(相依性) and the purpose of Mūla-madhyamaka-karikah is to reveal the mutual dependence of things, ②the opinion of Jonggap Yun(윤종갑) whic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same wit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八不), ③which eight negations have the nature of affirming the both items through the coincidently and relatively negations, and ④the opinion of Yoshibumi Ueda(上田義文) which we can write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of the contrary two items of eight negations. So the present writer reconsidere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n Mūla-madhyamaka-kārikāh, and confirmed as follow facts. 1)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twelve elements and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re said in a same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unclear meaning scriptures, but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said in a different level as belonging to the teaching of clear meaning scriptures. So we could know that Hajime Nakamura’s opinion of ① and Jonggap Yun’s opinion of ② have no validity. 2)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is a theory that two or several things, action and actor, pure and impure etc., come into existence in a state of mutual dependence. The present writer thinks that the aim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of Nāgārjuna is to reveal the fact that all things are of no intrinsic nature(無自性), emptiness(空性), dependent designation(假名), and middle-way(中道), because they are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3)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is a theory that all things as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 have eight attributes of non-production(不生) non-extinction(不滅) etc.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has two aspects of the criticism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he truth of no int rin sic nature of all things. So we could know that the aim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eight negations are the negation of the irrational theories about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and the revelation of truth of all things of no intrinsic nature. 4) When we examin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 eight negations, we can se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come to a stop with no-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no-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but we could not find any case of writing affirmation into the both of the two items, by joining into one the contrary two items of production and extinction etc. So we can know that Jonggap Yun’s opinion of ③ and Yoshibumi Ueda’s opinion of ④ are not correct. 5) The eight negations are described by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from start to finish, and the conception of no intrinsic nature used as meaning of non-being and non-not-being(非有非無). Therefore we could know that eight negations must be comprehended by the middle way of no-being and no-not-being. Also because each item of the eight negations are denials to the irrational and extreme opinions of production as intrinsic nature and extinction as intrinsic nature etc., it is possible to think that the eight negations are exactly the middle way. 6) The meaning of Candrakīrti’s mention which he presented as the purpose of Madhyamaka-śāstra, ‘nirvana with auspicious feature because all of the irrational theories completely stoped’, is as follows. The truth of no intrinsic nature of all things has become known through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mutual dependence, and every irrational theory based on the theory of intrinsic nature is refuted by that truth.

      • 용수의『중송』에서 고통의 발생과 소멸

        남수영(Soo-young Nam)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2 불교와 사회 Vol.4 No.-

        논자는 본 논문에서 용수가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사성제와 삼보가 모두 파괴된다고 주장하는 이유와 그가 무자성론에 근거해서 설명하는 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송』및 그에 대한 월칭과 청목의 주석을 중심으로해서 살펴보았다. 그것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은 인연(因緣)을 기다리지 않고 결정되어 있으며,자성은 변화하지 않는 것이라고 말해진다. 그러므로 유자성론에서 여러 법의 발생과 소멸은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으며,고통의 발생과 소멸을 중심으로 하는 사성제도 올바르게 설명될 수 없다. 또한 유자성론에서는 사성제가 성립하지 못하기 때문에 삼보도 성립하지 못한다. 한편 용수의 『중송』에서 고통의 발생은 공성의 비자각 → 희론의 발생 → 분별의 발생 → 번뇌의 발생 → 업의 발생 → 고통의 발생으로 설명되고 ,고통의 소멸은 공성의 자각 → 희론의 소멸 → 분별의 소멸 → 번뇌의 소멸 → 업의 소멸 → 고통의 소멸로 설명된다. 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과 용수의 무자성 론에 근거한 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즉부파불교의 유자성론에서 자성의 개념은 인연의 부정,인과의 부정,생멸의 부정을 내포하기 때문에,고통의 발생과 소멸에 대한 설명이 모두 힘들어지지만, 용수의 무자성론에서는 일체법이 비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발생을 설명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존재의 자성을 가진다고 말하지 않기 때문에 고통의 소멸을 설명하는 것도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용수에게 일체법의 무자성성과 공성을 자각하는 것은 고통을 소멸하고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이다. 그리고 무자성성과 공성에 대한 자각은 연기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얻어진다. 즉 연기인 사물은 무자성이고, 공이고, 가명이고, 중도인 것이기 때문에, 존재성과 비존재성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일체법이 연기의 결과물이라고 하는 진실을 깨달음으로써, 모든 사물들이 마치 석녀의 딸처럼 무자성이고 공인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자각에 의해서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차례로 소멸하고 나아가 윤회의 고통도 소멸하게 된다는 것이다. 『중송』에서 발견되는 세 종류의 연기설과 공성의 자각, 그리고 열반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즉 세속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12연기설과 상호의존적 연기설에 의해서 일체법은 무자성이고 공이라는 승의제가 알려진다. 또한 수행자는 승의제에 근거해서 설해진 가르침인 팔불연기설을 통해서 승의제를 더욱 분명하게 깨닫게 된다. 그리고 그는 그런 깨달음을 통하여 희론과 분별과 번뇌와 업이 소멸하고, 윤회의 고통도 소멸한 ‘길상(吉i洋)의 특징인 열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다. The present writer has examined the reason as to why Nāgārjuna asserts that the four noble truths and the three jewels are destroyed in the self nature theory of Sarvāstivāda, Nāgārjuna's explanation of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ased on the no-self nature theoty centered on Mūlamadhyarnaka-kārikā as well as in the commentaries of Candraldrti and Pirigala of this article. In summary, they are as follows. The Sarvāstivāda says that the self nature of dharma is determined to not wait for a cause and condition, and never change. Therefore, the self nature theoty of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dharmas and the four noble truths, which are the explan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If the four noble truths can not be established, the three jewels also can 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the non awareness of emptiness → the 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appearance of action → the appearance of suffering.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s explained as follows : awareness of emptiness → the disappearance of amplification → the disappearance of mistaken idea → the disappearance of affliction → the disappearance of action →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in Mūlamadhyarnaka-kārikā of Nāgārjuna. The comparison of the two explanations of Sarvāstivāda and Nāgārjuna o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shows the following facts. The Sarvāstivāda can not exactly explain the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the conception of self nature contains the negation of cause and condition, the negation of cause and effect, and the neg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However, Nāgārjuna can explain the 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non-being to all dharmas, but can explain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because he does not claim the self nature of being to all dharmas. Therefore,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the most important requisite for the disappearance of suffering and for the achievement of nirvāna. Further, the awareness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is obtained by the awarenes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ll of the dependent originated things can not have self nature of being or non being, because they are non self nature, emptiness, provisional name, and the middle way. The disciplinant becomes aware that all things are non self nature and empty, similar to a barren woman's daughter by the awareness that all things are output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And through that awareness, the amplification cation, the mistaken idea, the affliction, the action disappear one by one; his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s last. The relation of the three kinds of theories on dependent origination, the awareness of emptiness, and nirvana is as follows. The highest truth of non self nature and the emptiness of all dharmas become known by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interdependent origination, which are suggested by the mundane truth. Also, the disciplinant becomes more clearly aware of the highest truth by the eightfold negation dependent origination, which is suggested by the highest truth. Finally, he obtains auspicious nirvana by clear awareness, in which amplification, mistaken idea, affliction, action, and the suffering of transmigration disappear.

      • KCI등재

        생리식염수와 증류수에 담긴 자성나노입자와 자성비드들의 자기저항 특성 연구

        최종구,강병욱,이상석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9

        Magnetic nanoparticles (MNPs) and magnetic beads (MB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mixed with red blood cells (RBCs) and physiological saline solution (PBS). The dependence of the resistance on the structure of and the existence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were investigated. The MNPs had a diameter of 460 nm in which the carboxyl group (COOH) was attached to the core Fe, and the MBs had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1 m with the SiOH group in the core Fe3O4. Four different types of RBCs combined with 7 to 9 MBs were foun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and the edge with normal round and abnormal RBC membranes. We observed the appearance of cluster flow in the shape of a swirling cluster when we used a permanent magnet with large amounts of MNPs and MBs combined with RBCs contained in PBS. The resistance values measured for 30 min in a 2.5 cc PBS solution containing 0.5 cc of a solution containing MNPs and MBs showed a different rates of increase that depended on the influence of the external magnetic field. On the other hand, the magnetoresistance ratio (MR) of MBs evenly mixed in deionized distilled water (ddH2O) was changed to about 36% in range of 1200 Oe. 자성나노입자와 자성비드를 구별하여 적혈구와 생리식염수(PBS)와 증류수(ddH2O)에 각각 혼합한 후구조의 차이와 외부자기장의 유무에 의존하는 저항 변화를 조사하였다. 카르복시기(Carboxyl, COOH) 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성입자의 평균 직경은 약 460 nm, 실라놀기(SiOH)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성비드의평균 직경이 약 1 m이었다. 7–9 개의 자성비드와 결합된 4가지 상이한 유형에 따라 적혈구(RBC)는 정상적인 원형 또는 비정상적인 타원형으로 변형되는 적혈구 막은 중앙과 가장자리에서 등방적으로 붙여있는형태에 대해 조사하였다. PBS 용액 내 RBC들과 결합된 다량의 자성나노입자들과 자성비드들에 영구자석을 사용해 클러스터 흐름의 모양이 굽이굽이 나타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자성나노입자와 자성비드가담긴 용액 0.5 cc를 각각 혼합한 2.5 cc의 PBS 용액을 30분 동안 측정한 저항값들은 외부자기장의 영향에 따라 다르게 증가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무이온 증류수에 골고루 섞인 자성비드들에 대한 1200 Oe 범위에서 얻은 자기저항비(MR)는 약 36%이었다.

      • KCI등재

        외전형 모터 무부하 역기전력의 THD 저감을 위한 자성유체 활용 연구

        김광수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

        모터를 설계함에 있어서 전자기 성능과 소음·진동은 서로 대립되는 요소로서 고출력·저소음 모터를 설계 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은 자성을 띠는 초미립 분말이 섞인 액체인 자성유체를 외전형 모터에 적용하여 모 터의 전자기 성능과 소음·진동을 동시에 개선시킨다. 다양한 종류의 자성유체에 대해 자기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 며 모터에 적용하기 적합한 자성유체를 선정하였다. 외부 인자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조물이 필요치 않 은 외전형 모터를 선정하였다. 유한요소법을 통하여 자성유체가 적용 가능한 구조에 따른 모터의 성능 변화를 분 석하였다. 외전형 모터의 회전자에 실제로 자성유체를 도포하였으며 모터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형태로 도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이나모 시험을 통하여 자성유체의 주입 여부에 따라 무부하 선간전압을 측정하였으며 전자기 성능의 향상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ferrofluid, which is a liquid mixed with magnetic ultrafine powder, is applied to an external motor to improve the electromagnetic performance and noise at the same time. Magnetic analysis was performed on various types of ferrofluids, and ferrofluids suitable for motor application were selected. To minimize external factors, an external motor that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structure was selected. Through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performance change of the motor according to the structure to which ferrofluid is applicable was analyzed. The ferrofluid was applied to the rotor of the external moto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rofluid was applied in the form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otor. Through the dynamo test, the improvement of electromagnetic performance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no-load line voltage depending on whether the ferrofluid was injected.

      • KCI등재

        한국 근대불교가사에서 자성 찾기와 시대의식

        이진오(Lee, Jin-Oh)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1 No.-

        본고에서는 1900년대를 전후하여 불교가사 작품에 나타난 자성 찾기 주제가 집중적으로 나타난 현상에 주목한다. 대중적 문학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가사 문학에 왜 갑자기 이 시기에 그 전에 없던 ‘자성 찾기’라는 특이한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가? 그리고, 그것이 당대 불교계의 다른 변화와 어떤 맥락을 형성하는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고의 취지이다.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되고 일본불교가 밀어닥치는 와중에서 불교계는 기회와 위기를 동시에 맞이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수행에 깊은 성취를 이룬 선승들이 나서서 제시했던 길은 진정한 자기, 참된 자성의 회복이었다. 이것은 거대한 시대의식을 품고 있는 것이었고, 그것은 격동의 시련을 극복하는 새로운 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졌다. 1900년대를 전후한 불교는 서구의 근대적 자아 개념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진면목, 참된 자성을 추구해 오던 유구한 전통을 가진 불교계에서는 불교식으로 진정한 개인의 재탄생을 추구하게 되었다. 이것은 시대의 위기에 대한 대응방식이었다는 점에서 강력한 시대의식을 품고 있는 것이었고, 그런 점에서 서구의 근대와는 다른, 한국적, 그리고 불교적 근대성의 추구라고 할 만하다. 근대불교에서 자성 찾기는 경허에서 학명, 용성, 만공, 한암으로 이어졌다. 이들은 한결같이 ‘자성’, ‘자기’, ‘마음’, ‘천진면목’, ‘나 속의 부처’ 등을 찾기를 촉구하였다. 경허는 사회적 실천으로까지 연결해 내지는 못했지만 이 시기 자성 찾기의 수행적 기초를 마련하는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학명과 용성은 선농일치운동을 통해 노동하면서 수행하는 새로운 수행법을 개발하고, 경제적 자립을 통해 불교적 가치의 건강한 실현을 추구하였다. 만공은 민족불교의 확립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용성과 한암은 불경번역을 통해 불교적 진리의 대중화에 앞장섰다. 21세기 물질주의와 경쟁지상주의가 삶을 압도하는 숨막히는 현실에서 불교적 전통인 ‘자성 찾기’야말로 이 시대의 혼란과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이 연구에서 시사 받을 수 있다. 참된 개인의 자성을 발견함으로써 건강한 사회적 자아의식을 발달시키고, 그것을 사회적 실천으로 확대시키는 모델을 위의 연구를 참조하여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Korean Peninsula went through enormous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nfus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century, when Zen Masters Gyeongheo and Hakmyeong, who were leaders of Buddhist community, insisted on true self search through Zen meditation study instead of belief in the Pure Land and faith in Maitreya that were the old mainstream traditions. They employed "Gasa," one of representative styles of popular literature in Joseon, and spread the true self search training method among the public. Living in almost the same times as him, Zen Master Hakmyeong presented the theories and practices to change the reality and society. The vogue initiated by Zen Masters Gyeongheo and Hakmyeong was spread to Zen Masters Yongseong, Mangong, and Hanam and developed into social transformation and practice movements based on true self search through Zen meditation study such as the oneness movement of Zen and agriculture, independence movement, and translation project of Buddhist scriptures into Korean. The Gasa style was also used actively in those movements. The true self search and social change movements during the times evolved into the movements of people rather than those of intellectuals and Buddhist leaders through the active utilization of Gasa style, thus holding huge significance. Moving those movements forward, they earned an insight into what kind of efforts the Buddhist community should make during the confusing transition period betwee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and translated their insights into popular movements through the awakening of people as well as leaders. Those movements represent the new intellect and movement of Buddhism completely different from 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