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과 모.부의 애착관계 지각에 따른 진로탐색 자기효능감 차이

        김인기,이제경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difference between Career Search Self-Efficacy in the group of the parents'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and the attachments' relation of Maternity and Paternity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their children among them. Most researches show their children's attachment about their parents now. So there is no research to make their parents cognize the attachment of the relation to their children. In order to study this research, We should ask children and their same parents to put a sincere answer to my research step by step, and We should also use the suitable attachment scale for parents to measure thi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port tells this is the first case which is studied the cooperative relation of the attachment in relation to the knowledge of parents and the attachment relation of maternity, paternity to knowledge of their children. From this research above mentioned, Our opinion is that the attachment is formed by the cooperative behavior with their parents and offsprings. As a result, Each of attachments has a considerable meaning, which has college students are conscious of the attachment of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s cognize that of their college students' attachment. Maternity and paternity become a crucial factor which makes their children widen Career Search Self-Efficacy. Career Search Self-Efficacy is conformed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lation of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and parents. As the relation of maternity and paternity about children in family gets to become more crucial to the Career Search Self-Efficacy, the research of maternity and paternity needs to be studied. Above all the researches of paternity need to be significantly studied. From this point of view We hope that this report will be available for parents' counselling and parents'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 애착과 부모의 자녀 애착관계를 대학생․모․부의 상호관계의 조합에 따라 집단 간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애착 연구는 자녀가 부모에게 지각한 부모애착만이 연구되었고, 부모가 자녀에게 지각한 애착관계와의 상호 관련성과 진로발달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대학생과 부모를 동일하게 매칭 하여 설문하였으며, 부모용 애착척도를 연구 목적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남 천안에 있는 4개의 대학교에서 진로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과 그들의 동일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09년 4월 2일부터 5월 21일까지 약 8주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애착이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볼 때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과 부모가 자녀에게 지각한 애착관계의 상호관계를 밝힌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대학생의 모․부 애착이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요인이며, 자녀가 부모에게 지각한 애착과 부모가 자녀에게 지각한 상호 애착관계의 조합에 의한 집단 간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부모-자녀 간 상호 형성 된 애착관계가 대학생의 진로탐색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자녀 상담과 함께 부모 상담 및 부모 진로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가족 내에서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뿐 아니라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도 진로탐색 자기효능감에 관련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자녀의 진로발달에 아버지의 영향에 관한 연구가 좀 더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부모 상담과 부모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의 아버지 원가족 부모애착 경험과 자녀양육참여의 관계에서 역할신념의 매개효과

        김기완,최지영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his parents, their role commit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e subjects were 195 fathers of 3-5 years old infants enrolled in thre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N district, Seou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dows 20.0 and the Pearson's associat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d the association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general tendency in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his parents, their role commit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e attachment to their father was shown to be higher one to mother, the role commitment was relative lower. The subjects perceived their role as parent to be more important compared to one as worker and their participation level in rasing children was shown to be low. For the sub-factors, leisure activity was highest and was followed by life instruction, household activities, and learning instruction. Second, for the association among father's experiences of attachments to his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role commitment, and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it was shown that father's experiences of attachments to his parents had direct effects on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where more secure attachment had association with more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s to his parents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excluding household activities, had positive association. Third, it was shown that the father's attachments to his father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importance of parents' role from role commitment, a mediating variable. and, it was shown that the father's attachments to his mother also had indirect effects on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through the importance of parents' role from role commitment, a mediating variable. The strength of this study is that the mediating role of father's experience of attachment to his parents in relationship between their role commit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was investigated using associations among integrating variable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in raising children, fathers education to inspire belief in their role as parents and efforts to build parents-children relationships are important. It is also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fathers' participation raising children and is used as a base information in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o increased their participation in raising children. 본 연구는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경험과 역할신념, 자녀 양육참여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시 N구에 위치한 3개의 유아교육기관의 만 3세∼만 5세의 유아를 양육하는 아버지 195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SPSS Windows 20.0을 사용해 분석하였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원가족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역할신념을 통해 자녀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때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도는 Sobel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인 경향은 원가족 부애착보다 모애착이 높게 나타났고, 역할신념은 다소 낮았고 부모 역할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직업 역할 중요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양육참여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으로 여가활동이 제일 높았고, 생활지도, 가사활동, 학습지도순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지도는 다른 하위요인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 원가족 부애착 경험, 아버지 원가족 모애착 경험, 역할신념, 자녀 양육참여간의 상관관계에서 아버지와 원가족 부모의 애착은 양육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원가족 부모에 대한 애착이 안정적인 경우의 아버지가 자녀양육에 더 많은 참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 애착과 양육참여 간에는 가사활동을 제외하고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원가족 부와의 애착은 매개변인인 아버지의 역할신념 중 부모 역할 중요도를 통해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의 원가족 모와의 애착은 매개변인인 아버지의 역할신념 중 부모 역할 중요도를 통해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 참여도가 아버지 원가족 애착과 역할신념간의 관계가 있음을 변인간의 관계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신념을 고취시킬수 있는 아버지 교육의 필요성과 긍정적인 부모-자녀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은 자녀양육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

        한 자녀 가정 아동의 삶과 권리

        이완정 한국아동권리학회 2005 아동과 권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everal hypothesis about only child's devel- opmental characteristics.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children.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items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ttachment to parent and peer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child's attachment to par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pared groups a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attachment to peers between only children and children who had siblings. This study supported that process variables such as parent and child relationship were more important than variables like number of sibling. 본 연구는 근래 우리 사회의 저출산 경향에 따라 한 자녀만을 둔 가정이 증가추세에 있는 점에 주목하여 한 자녀 아동의 가족관계와 생활특성 및 한 자녀아동의 발달특성에 대한 선행연구결과를 알아보고 한 자녀 아동의 발달에 대한 이론적 기제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통해 한 자녀 아동의 애착특성을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 및 또래와의 애착변인을 조사하여 이들 변인이 한 자녀아동과 형제아 집단간, 가족크기,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해 본 결과, 한 자녀 아동은 비교집단의 아동보다 부모와의 애착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친구관계의 질을 나타내는 또래와의 애착은 집단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울러 한 자녀 아동인가의 여부나 형제 수와 같은 가족의 구조적 특성 보다 부모자녀의 질과 같은 과정변인이 아동의 발달에 더욱 중요하다는 가설도 일부 지지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한 자녀 아동이 순조롭게 발달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에서 한 자녀 아동이 무언가 결핍되었거나 부족할 것이라는 편견을 갖지 말고 이들의 고유성을 보다 긍정적이며 바람직한 방식으로 배려해 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어머니-걸음마기 자녀 간 갈등과 걸음마기 자녀의 기질 및 애착과의 관계

        김현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연구 Vol.3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ther-child conflict during toddler years ,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a child’s temperament. A total of forty mother-toddler pairs between 24 and 36 months of age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flicts between mother and child during free play session and clean-up time were observed, and mother-child attachment and the child’s temperament were measured using parent re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the more frequent and longer the conflict occurred in clean up tim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conflict due to disagreement about information or current situation in free play context, and more toddlers used the mitigation strategy in both free play and cleanup time, and when the conflict occurred, children used mitigation strategies and mothers tried to resolve conflict. Second, the lower the child's ability to self-regulate, the more frequent conflict occurred between mother and child, the higher the frequency of conflict related to the rules, and worse strategies were used when solving problems. Meanwhile, the higher self-control capacity,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the child being the conflict initiator in clean up tim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amount of conflict between mother and child and improving the quality by considering the context of conflict, attachment in children, and child's tempera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걸음마기 자녀 간 갈등, 어머니-자녀 간 애착, 자녀의 기질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24개월-36개월 사이의 걸음마기 자녀-어머니 40쌍이었다. 어머니와 자녀 간에 놀이와 정리 중에 나타나는 갈등을 관찰하였고 어머니와 걸음마기 자녀 간 애착과 걸음마기 자녀의 기질은 어머니가 보고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와 자녀 간 애착의 정도가 낮을수록 정리정돈 중 갈등이 빈번히 발생하고 길게 이어졌다. 반면 어머니와 자녀 간 애착의 정도가 높을수록 놀이 상황에서 정보나 현 상태에 대한 의견 불일치로 갈등을 겪는 경우가 많았고, 갈등 발생 시 자녀가 완화전략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어머니가 협상으로 갈등이 해결되도록 기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자녀의 기질 중 조절능력이 낮을수록 어머니와 자녀 간에 갈등이 빈번히 발생했고, 규칙과 관련된 내용으로 갈등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갈등의 해결과정에서 악화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반면, 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정리정돈 맥락에서 자녀가 갈등을 시작하는 빈도가 낮았다. 본 연구는 갈등의 맥락과 자녀와의 애착이나 자녀의 기질을 고려함으로써 걸음마기에 발생하는 어머니와 자녀 간 갈등의 양을 줄이고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

        강도희(Kang, Do Hee),장경은(Jahng, Kyung Eu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만 5세에서 만 6세 사이의 학령 전기에 해당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어머니-자녀 애착에 관련된 배경 변인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자녀 애착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수준의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어머니-자녀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의 관계를 어머니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더라도 자기지향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거부민감성이 어머니-자녀 애착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심리·성격적 특성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의 적응적 기여를 동시에 고려하여 어머니-자녀 애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면담을 통한 개입방법을 설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To this end, in this study, 279 mothers with children aged from 5 to 6 yea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fter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mother-child attachm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higher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resulted in a lower level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High levels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other-child attachment.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others’ self-oriented perfectionism moderat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ir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That is, even if the level of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was high, it was found that a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tendency resulted in a lower negative effect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mother-child attac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to improve the mother-child attachment by simultaneously considering mothers’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 adaptive contribution of their self-oriented perfectionism.

      • KCI등재

        초등학생의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 반응특성과 부모-자녀 애착에 관한 연구

        정영인(Chung, Young 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2

        본 연구는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이 부모-자녀간의 애착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초등학교 2개교 5학년 203명(남 111명, 여 92명)이었으며,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PSCD)과 부모-자녀 애착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대응표본 t-test와 일원변량분석으로 사후검정은 Scheffé-test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학생의 부·모와의 애착은 남·여학생 모두 아버지보다 어머니와의 애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SCD 아버지상의 반응특성에 따른 아버지와의 애착은 얼굴 표정, 긍정 상징, 부정 상징, 인물간 거리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셋째, PSCD 어머니상의 반응특성에 따른 어머니 애착정도를 보면 긍정 상징, 인물간 거리에서 남․여학생 모두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여학생은 얼굴 표정, 부정 상징에서도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PSCD 자기상 반응특성에 따른 부․모 애착의 차이에서 남․여학생 모두 얼굴 표정, 부정 상징, 인물간 거리에 따라 부․모 애착의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 검사는 부모-자녀간의 애착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f Parent-Self-Centered- Drawing(PSCD) could be a good measurement of parent-child attachment.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attachment theory was experimented using Parent-Self-Centered-Drawing(PSCD) among 203 5th graders(111 males, 92 females) in 2 elementary schools in Seoul. Those data was analyzed with a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s post-hoc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n elementary students, the parent-child attachment tended to be higher with mothers than fathers regardless of their gender. Secondly, they had shown different responses to father-child attachment depending on facial expression, positive symbols, negative symbols, and distance between parent-child in PSCD. Thirdly, they also had shown different responses to mother-child attachment depending on positive symbols, and distance between parent-child in PSCD. Besides that, in females, facial expression, negative symbols had affected their responses as well. Lastly, PSCD had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t responses to parent-child attachment regarding facial expression, negative symbols, and distance between parent-child in both genders. Consequently, it has proven that parent-self-centered-drawing(PSCD) can be a good measurement of parent-child attachment.

      • KCI등재

        부모의 문제음주가 청소년 자녀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 부모애착과 학대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명숙,조혜정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본 연구는 부모의 문제음주가 청소년 자녀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애착과 학대경험요인이 조절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문제음주는 자녀의 음주행위를 유발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알코올중독 가정의 부모-자녀 애착정도,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은 자녀문제음주의 직. 간접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지역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에 재학 중인 704명이며 연구모형검증방법으로는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COA집단과 non-COA집단을 비교한 결과 COA 집단의 경우 부 애착이 낮고, 학대경험과 음주경험율이 더 높고 폭음횟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문제음주는 자녀의 음주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애착과 모 애착이 부모의 문제음주와 자녀의 음주행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로부터 학대경험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문제음주가 자녀의 음주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부모와의 애착 및 학대경험 등 부모자녀와의 관계의 질이 자녀의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 또는 강화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알코올중독가정 자녀들에 대한 실천적 개입근거를 제시하였다. Children of alcoholics are the population most at-risk for becoming alcoholics and exhibiting other indicators of poor psychosocial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violence experi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problem drinking and alcohol use in adolescence. A total of 704 samples are collected from 5-6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1-3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buk provinc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Result Showed that the group of COAs showed more higher violence experience, alcohol use and lower father attachment than the group of non-COAs. Parent attachment and violence experi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of parents and alcohol use of children of alcoholic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reinforce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family environment and suggest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임재연,김지현 한국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6 No.4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ward children on anxiety about aging for middle-aged adults. For this research, the data from 364 people having a child were analyzed. The findings in the study showed th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and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about aging. Meanwhile,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positively correlates with anxiety toward aging. Additionally, attachment avoidance to children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anxiety toward aging. Findings in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for middle-aged adults to develop intangible exchange resources(i.e. marital intimacy and attachment to children) to reduce anxiety toward aging and prepare their stable older age. 본 연구는 자녀가 있는 중년기 성인들의 부부친밀감, 자녀애착과 노화불안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교환이론에 의하면 부부간, 부모-자녀 간에 교환자원의 부족과 가치 저하로 노화불안이 경험된다. 노화불안은 노년층뿐 아니라 노년을 대비하는 중년층에서도 나타난다. 노년기 교환자원 부족과 가치 저하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요소가 부부친밀감과 자녀와의 애착이다. 다양한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를 자녀애착회피가 매개한다는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중년기 성인 36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부친밀감은 자녀애착회피, 노화불안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녀애착회피는 노화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부부친밀감과 노화불안과의 관계에서 자녀애착회피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중년기 성인의 부부친밀감이 노화불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부부친밀감이 자녀애착회피를 낮추어 간접적으로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노년기의 노화불안을 줄이며 안정적인 노년기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 중년기 성인으로 하여금 부부친밀감, 자녀애착을 잘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정여진(Jeong, Yeo-Jin),안정신(An, Jeong-Shin) 한국노년학회 2012 한국노년학 Vol.32 No.1

        본 연구는 부부친밀감, 자녀에 대한 애착불안 그리고 애착회피가 성공적 노화와 구조적으로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고자 주관적 건강과 경제 상태를 통제하여 이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와 인근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노인 509명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노인 집단은 부부친밀감과 자녀에 대한 애착회피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친밀감은 자녀에 대한 애착불안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애착회피와 애착불안은 부부친밀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 집단은 부부친밀감과 자녀에 대한 애착회피가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부친밀감은 자녀에 대한 애착회피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애착회피는 부부친밀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rital intimacy and an attachment to children on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let alone look into the mediating effect of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to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der. 509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0 years old, have a spouse and do not live with their children were considered for this study. The main findings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tudy of the research model show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elderly. Marital intimacy and avoidance attachment to children without a subjective health and an economic status affect successful aging and marital intimacy only affects anxiety attachment to children in the male group. Therefore,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to children do not mediate the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 successful aging. Besides that, both the subjective health and the economic status do not affect marital intimacy in the male group. Marital intimacy and avoidance attachment to children without a subjective health and an economic status affect successful aging and marital intimacy only affects anxiety attachment to children in the female group. Avoidance and anxiety attachment to childre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marital intimacy on successful aging. The subjective health only affects marital intimacy.

      • KCI등재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 애착의 매개효과

        김선영 ( Sun Young Kim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5

        This research takes a comprehensive view of the relationships found among toddler temperament, the degree of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oddle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 an effort to determine if and how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serves as mediator between toddlers` temperament and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Forty mother-child dya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struments used were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ECBQ) to measure temperament, The Attachment Behavior Q-set for assessing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Early Social Communication Scales (ESCS) for toddle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alyses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toddler temperament relationship to toddle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 nega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oddler negative affectivit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a posi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extraversion and effortful control; 2) regarding toddler temperament and the degree of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toddler temperame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affectivity, positively correlated with effortful control, and did not correlate at all with extraversion; 3) a positive 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and the toddler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Initiating and responding to Joint Attention Behaviors/Initiating and responding to Behavioral Requests/Responding to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Thus, 4) the mo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served as mediator between temperamen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and it was found that when the attachment to the mother was secure,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f the toddler would also be good even if the toddler had a negative temperament. These results have strong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conducting workshops and conferences aimed at assisting parents in developing strong secure attachments which would enable good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 어머니-자녀 간 애착,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어머니-자녀 간 애착이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생후24개월∼30개월까지 영아와 그들의 어머니 40쌍이었다. 영아의 기질을 알아보기 위해 ‘걸음마기 기질 질문지(ECBQ)를, 어머니-자녀 간 애착을 알아보기 위하여 ‘애착 Q-set’를,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평정하기 위해 ‘초기 사회적 의사소통 척도(ESCS)’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아의 부적정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과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고, 외향성과 조절능력은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둘째, 영아의 부적정서는 어머니-자녀 간 애착과 부적상관 관계가 있었고, 조절능력과는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외향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자녀 간 애착과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공동주의의 시도와 반응, 요구행동의 시도와 반응, 사회적 상호작용의 반응)은 정적상관 관계가 있었다. 넷째, 어머니-자녀 간 애착은 영아의 기질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여 부정적인 기질을 가진 영아라도 어머니와의 애착이 안정적인 경우에는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