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가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장정수,양지웅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신들의 삶의 만족도와 상대방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 우울 간의 구조적 관계 및 부모와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자녀 우울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가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의 3차년도 자료를활용하여, 총 2,276명의 청소년 자녀와 보호자(부 또는 모)를 쌍으로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에 기초하여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와 부트스트랩을 통한 매개효과를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자녀 스마트폰 과의존은 부모-자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부모-자녀 스마트폰과의존이 상대방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자기-상대방효과 간 크기 비교에서는 자기효과는 자녀간의 자기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는 자녀 스마트폰 과의존이 부모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스마트폰 과의존이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삶의 만족도가 매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는 부모-자녀 스마트폰 과의존과 부모-자녀 삶의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청소년 자녀의 우울을 낮추기 위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 교육과 함께 삶의 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교육이 필요하며,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어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부부의 내현적 자기애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유진,심은정 한국상담학회 2021 상담학연구 Vol.22 No.4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aths from the husband’s and the wife’s covert narcissism to marital satisfaction,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to understand differences by actor and partner effects among married couples. For this purpose,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for the collected data from 142 married couples to confirm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actor and partner effects among the variables. Additionally, phantom variables were created and the bootstrapping tes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ctor effect of covert narcissism directly on marit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 wife. The partner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directly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 either among husbands or among wives. Second, the internalized shame of the husband and the internalized shame of the wife fully mediated the actor-effect of the husband’s covert narcissism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the internalized shame of the wife partially mediated the actor-effect of the wife’s covert narcissism on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ird, the wife’s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d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covert narcissism on the wife’s marital satisfaction; the wife’s internalized shame fully mediated the partner effect of wife’s covert narcissism on the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42쌍의 기혼부부 자료를 대상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변인들 간의 직․간접 효과 및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팬텀변수를 생성하여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아내의 경우만 유의하였다. 남편과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남편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완전매개 하였고,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남편의 내현적 자기애가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 하였고, 아내의 내현적 자기애가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에서도 아내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부모가 지각한 부부갈등이 온정적 양육태도와 가족유연성을 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적용한종단 매개효과 분석

        박새롬,노보람,박혜준,이순형 육아정책연구소 2017 육아정책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아버지가 지각한 부부갈등과 온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유연성 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각각 검증하고, 부부갈등이 온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유연성을 매개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5차 연도(2012년)~7차 연도(2014년) 부모 1,352쌍의 자료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부부갈등(2012년)이 온정적 양육태도(2013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고, 상대방효과는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만이 유의하였다. 자기효과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부부갈등(2012년)이 가족유연성(2013년)의 지각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효과 크기 비교 결과, 부부갈등이 가족유연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는 어머니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부부갈등은 온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유연성을 매개로 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2014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아버지의 경우에는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관계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a) actor-partner effect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affective parenting and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family flexibility and (b) longitudinal effects of marital conflict, affective parenting, and family flexibility on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within dyadic interactions of parents.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352 couples and their children using Actor-Partner Independence Model (APIM). Samples were originated from 5th (2012) to 7th (2014) waves of PSKC collected by KIC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ctor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affective parenting was significantly negative in both mothers and fath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or effects. The partner effect was significantly negative only in fathers. Secon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marital conflict on family flexibility were significant negatively in both mothers and fathers. Third, mothers' affective parenting and family flexibility evaluation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the path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The results emphasize that marital conflict can cause a long-term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adjustment when i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positive parenting or family adaptability.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mutual dynamism of marital conflict, affective parenting, family flexibility of mothers and fathers and their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n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 KCI등재

        구분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방정식 APIM의 이해

        김민재,심미경,김수영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3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은 쌍자료(dyadic data)의 비독립성을 모형에 포함시켜 구성원이 서로 주고 받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하고 대인관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방정식 접근법을 이용한 APIM에 대한 연구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 모형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쌍자료의 정의와 성격, 쌍자료 분석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는 구분가능성(distinguishability)을 설명하였다. 이후 기본적인 APIM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용어들과 조건을 기술하고,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하는 방법인 동등제약과 표준화를 구분가능성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APIM에서 제3의 변수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조절모형(APIMoM)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매개모형(APIMeM)을 소개하고, 구분가능성을 기준으로 경우를 나누어 분석방법을 설명하였다.

      • KCI우수등재

        문화적 도전과 경제적 곤란이 다문화부부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영향

        현경자(Hyun, Kyoung-Ja),김정화(Kim, Jeong-Hw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2

        이 연구는 부부의 상호의존성을 고려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으로 문화적 도전과 경제적 곤란이 다문화부부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자기 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조사하고, 이 두 효과의 조합을 비율로 측정하여 양자관계의 패턴을 살펴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 부부표본 415쌍(n=830)의 자료로 APIM에 대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인 남편의 문화적 도전에 대한 높은 인식은 자신과 배우자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했고, 결혼이민자인 부인의 그런 인식은 자신의 이혼의사에 기여하는 자기효과만 유의했다. 반면 남편의 경제적 곤란 인식은 자신과 부인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했고,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지각된 경제적 곤란은 자신과 배우자의 이혼의사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유의했다. 붓스트랩을 이용하여 APIM 효과들의 관계패턴을 검정한 결과, 남편의 이혼의사는 문화적 도전의 자기중심패턴이, 그리고 부인의 경우는 커플패턴이 지지되었다. 경제적 곤란은 효과크기의 비교로 남편과 부인의 이혼의사가 각각 상대방중심패턴과 자기중심패턴에 가까움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한국인 남편이 배우자와의 문화차를 포용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을 키우고 여성결혼이민자가 경제적 자립에 대해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이들과 가족의 경제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부부의 화합과 다문화가족의 해체방지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끝으로 이를 논의하였다. Given the interdependence of a marital coupl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oth cultural challenge and economic hardship on intention to divorce among the multicultural couple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and explored dyadic patterns of actor and partner effects. 415 couples(n=830) participated in thi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Results of path analyses based on APIMs revealed that for Korean husbands perceived cultural challenge contributed positively to divorce intention of the couple showing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whereas for immigrant wives such perception showed only an actor effect. In contrast, perceived economic hardship among the husbands had little effect on divorce intention of both husbands and wives, whereas such perception by wives had both actor and partner effects on divorce intention. Results of dyadic pattern analyses performed by Bootstrap indicated the actor-only pattern and the couple pattern of perceived cultural challenge on divorce intention of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In case of perceived economic hardship comparison of the effect size suggested the partner-only pattern and the actor-only pattern for divorce intention of husbands and wives respectively. These findings implied that in order to promote conjugal harmony and to prevent the multicultural family from being dissolved, Korean husbands need to develop greater cultural competence so as to tolerat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couple, whereas immigrant wives and their families need to develop greater economic competence so as to foster a hope for economic reliance.

      • KCI등재

        미혼커플의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적용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방초아 ( Choa Bang ),신희천 ( Hee Cheon Shin ) 한국심리유형학회 2016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17 No.-

        본 연구는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이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enny, 1996)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총 115쌍의 20-30대 커플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수준이 적응적 갈등해결전략 및 관계만족과 관련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의 자기자비는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성의 자기자비는 남녀 모두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남녀 모두의 관계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여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여성 자신의 관계만족에만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남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남녀 모두의 자기자비와 남녀 모두의 관계만족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은 자신의 자기자비와 관계만족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ssibl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us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Kenny, 1996). For the purpose, Researche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levels, relationship satisfactions and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f 115 couples. Results are as followed. While the male self-compa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men``s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female self-compa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men and women``s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 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n both men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le the fe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positive effects only on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ally, the 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fully mediated both men and women``s self-compass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 other hand, the female adap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the full mediation between women``s self-compassion and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 상대방효과

        임승희(Seunghee Lim),유금란(Kumlan Yu) 한국가족치료학회 2020 가족과 가족치료 Vol.28 No.4

        본 연구는 부모의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매개 모형(APIMeM)을 활용하여 5∼13세 자녀가 있는 부모 220쌍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자기분화와 부부친밀감의 경로에서, 부모 모두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분화와 양육태도와의 경로에서, 부모 모두 자기효과가 나타났으며,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의 자기분화만이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친밀감과 양육태도와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부부친밀감이 자신의 양육태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모의 자기분화는 아버지의 부부친밀감을 매개로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부모가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과 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상담, 부모교육 등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elf-differentiation and parenting attitude by using the standard APIMeM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ediation Model). Methods: A total of 220 pairs of parents with a child (children) aged from 5 to 13 were recruited for participation in the study. Result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of parents affected not only themselves but also the marital intimacy of the partner. Second, the self-differentiation of parents affected their parenting attitude, and the mother’s self-differentiation also affecte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ird, the father’s marital intimacy only affected his parenting attitude. Fourth, the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ffected the father’s parenting attitude through the medium of the father’s marital intimacy.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d opportunities to understand how both parents influence their own and their partner’s parental attitude differently based on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 KCI등재

        유아부모의 가족 상호작용,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양진희(梁賑姬),김영철(金暎鐵)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아시아교육연구 Vol.17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간 관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 1,662명의 자료를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상호작용이 양육분담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자기효과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방효과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 상호작용은 양육스트레스에 대체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기효과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분담은 양육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버지는 상대방효과에서, 어머니는 자기효과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상호작용과 양육분담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부부가 서로에게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구제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young children-parents’ family interaction, child care activities, and parenting stress by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In this study, the data of 1,662 samples from the 6th year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for analyzing.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interaction for both the actor and the partner effects of parents coupl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on their child care activities and on their parenting stress. Second, couples’ family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s of the husband and wife’s parenting stress. Third, couples’ child care activities had a statistically meaningful actor effect on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s of the husband and wife’s parenting stress. In the concluding chapter, the researchers discussed 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ith regard to couples’ family interaction, young children care activities, and their parenting stress, and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 precedent studies.

      • KCI등재

        부모의 가족 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 아동 문제 행동과 행복 간 관계에 대한 종단연구

        기쁘다 ( Ki Ppudah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과 양육효능감의 관계 모형에서 자기 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 정도가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아동의 문제 행동 내재화와 외현화, 그리고 아동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조관계를 종단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년), 7차년도(2014년), 8차년도(2015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7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2013년 자녀가 6세 때 가족 상호작용이 2014년 자녀가 7세 때 양육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가 나타났다. 효과의 크기 비교 결과, 가족 상호작용이 양육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크기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경우 모두 자기효과가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모형에서 매개효과 검증 결과, 2013년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이 2014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2015년 아동이 8세가 되었을 때 아동문제의 내재화와 외현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2013년 아버지의 가족 상호작용이 2014년 아버지의 양육효능감을 매개하여 2015년 아동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아동 문제 행동과 행복에 미치는 어머니의 영향 영역과 아버지의 영향 영역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on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which both mothers and fathers perceived,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Al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on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child problem behaviors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and child happines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and three waves from 6th in 2013 to 8th in 2015 were analyzed (n = 1,709).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the actor effect and the partner effect of both mothers and fathers for the influence of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on the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In the final model,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were mediated by mother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Also, the relation between fathers’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nd children’s happiness was mediated by fathers’ parental sense of competence. The different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on child development and related matters are discussed.

      • KCI등재

        연인관계의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김지수 ( Jisu Kim ),고재홍 ( Jaehong Ko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論叢 Vol.52 No.-

        친밀관계의 유지와 종결에 관한 Rusbult(1983)의 투자모형은 세 가지 독립변인(관계만족도, 대안의 질 및 투자크기)이 관계에 대한 헌신에 영향을 주고, 다시 헌신은 관계의 지속성에 영향을 준다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인들을 대상으로 연인관계의 지속여부를 관계 지속의사로 측정하여, 투자모형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헌신이 투자모형의 세 가지 독립변인 중 어떤 변인과 관계 지속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 Kenny, 1996)을 사용하여 세 가지 독립변인이 헌신에 미치는 효과와 헌신이 관계 지속의사에 미치는 효과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크기를 남녀별로 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81쌍의 연인을 대상으로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관계만족도, 투자크기, 헌신 및 관계 지속의사를 측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중다 매개분석결과 세 가지 독립변인 중, 관계만족도가 헌신과 관계 지속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또한 헌신은 관계만족도와 관계 지속의사 및 투자크기와 관계 지속의사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헌신은 대안의 질과 관계 지속의사를 매개하지 않았다. 둘째, 연인들은 헌신크기에서는 상호적이지 않았지만, 관계 지속의사에서는 상호적이었다. 셋째, 관계만족도와 투자크기에 따른 헌신, 그리고 헌신에 따른 관계 지속의사에서 전체적으로는 자기효과가 상대방효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자기효과에서는 남녀별 큰 차이가 없었으나, 헌신이 관계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자의 상대방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tested the Rusbult’s investment model with dyadic couples in romantic relationships, measuring the persistence of romantic relationships as an behavioral intention of persistence. First,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investigated if commitment to a relationship mediates which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mong intention of persistence and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investment model. Second, using the APIM, the present research not only explored the impacts of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n commitment, but those of commitment on persistence intentions in terms of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To analyze the magnitude of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by gender, data was collected from 81 couples both online and offline that measures satisfaction with and commitment to associations, investment size, and persistence intent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i) satisfaction with associations turned out to a variable influencing intention of persistence in and commitment to relationships most among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And commitment to associations proved to a mediator between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intentions as well as between investment size and persistence intentions, respectively while it did not mediate between quality of alternatives and intention of persistence; (ii) couples showed reciprocity in the intention of persistence, but not in the commitment; (iii) Regarding satisfaction, commitment by investment size, and persistence intentions due to commitment, the actor effect was overall larger than the partner effect. Particularly, men and women remained about the same in actor effect, but females’ partner effect turned out to be larger concerning the effect of commitment on persistence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