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치료사의 개인적 변인과 자기돌봄행동의 관계 연구

        남궁지숙,최병철 한국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2

        이 연구는 국내 음악치료사의 자기돌봄행동 현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개인적 변인들 간의 다양한 연관성을 탐구한 것이다. 연구는 자기돌봄행동의 설문지를 구성하고, 구성된 설문지로 음악치료사의 자기돌봄행동 현황을 조사하고, 자기돌봄행동과 개인적 특성 및 개인적 경험의 관 계를 분석하는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음악치료사들은 비 록 근소한 차이지만 개인적 자기돌봄행동을 전문가적 자기돌봄행동 보다 더 많이 실행하고 있 으며, 직업정체성 강화행동, 자기조절행동, 음악적 역량 강화행동, 자기자각행동, 균형행동 그리 고 전문적 지원행동의 순으로 자기돌봄행동을 실행하고 있었다. 둘째, 상처입은 치유자와 직업 환경적 특성이 증가할수록 개인적 자기돌봄행동은 감소하였으며, 개인의 심리적 취약성, 직업정 서적 특성이 증가할수록 전문가적 자기돌봄행동은 감소하는 반면 직업역할적 특성이 증가할수 록 전문가적 자기돌봄행동은 증가하였다. 셋째, 임상경력이 15년 이상인 집단과 개인치료, 집단 치료, 슈퍼비전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은 개인적 자기돌봄행동과 전문가적 자기돌봄행동 모 두 높게 실행하고 있었다. 국내 음악치료사들에게 있어 전문적 지원행동과 균형행동이 다른 자 기돌봄행동에 비해 더 필요한 것임을 주목하게 되었으며, 임상경력, 개인치료 경험, 집단치료 경험, 슈퍼비전 경험이 자기돌봄행동을 실행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variables and self-care behaviors in music therapists from Korea.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defined personal variables as including self-awareness, self-regulation, and balance. Furthermore, self-care behaviors were divided into having either professional or personal qualities. After analyzing a two part survey collected from 238 music therapists, we found that music therapists in Korea demonstrate slightly more personal self-care behaviors compared to professional self-care behaviors. The frequency of behaviors most commonly reported in decreasing order included occupation identity reinforcing behavior, self-regulation behavior, musical ability reinforcing behavior, self-awareness behavior, balanced behavior, and professional supporting behavior.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music therapists who identified as having psychological vulnerabilities related to their work showed decreased personal self-care behavior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Finally, individuals with extensive clinical experience (≥15 years) as well as those who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therapy for themselves or had supervised practices reported more frequent personal and professional self-care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recommends that music therapists in Korea should engage in activities that may increase self-care behaviors and that some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said behaviors may include clinical experience, engagement with individual or group therapy, and practice with supervision.

      • KCI등재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임상희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2

        This study aims to help child counselors reveal their self-care experience as it is, and realize the meaning of self-care and actually put it into practice b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hat they have experienced, ultimately increasing the quality of child counseling. To accomplish such goals,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What are the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and what it means?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adopted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and collected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child counselors to explore the essential meaning of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our themes were extracted; ‘difficulty of self-care’, ‘self-care in everyday life’, ‘self-care as experts’ and ‘continuous self-care for growth’, particularly as essential themes for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Through these themes, the meaning of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was concluded as ‘a process of finding an appropriate and healthy equilibrium in self-care by recognizing alienation of oneself from their own self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self-care from others to oneself.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t substantially revealed self-care experience of child counselors, which is not easy to disclose in quantitative research. Secondly, it exposed what difficulties child counselors have in self-care and stated what they need. Thirdly, it provided basic data that child counselors can effectively use when developing self-care programs. Lastly, it specifi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y proposals. 이번 연구의 목적은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self-care) 체험을 생생히 드러내고, 그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여 아동상담자들이 자기 돌봄의 의미를 성찰하고 실제로 자기 돌봄을 실천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아동 상담의 질을 높이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연구자는 질적 연구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이 지니는 본질적인 의미를 찾기 위해 아동상담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의 본질적인 주제는 ‘낯설고 힘든 자기 돌봄’, ‘일상에서의 자기 돌봄’, ‘전문가로서의 자기 돌봄’, ‘성장을 위한 계속된 자기 돌봄’으로 총 4개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아동상담자의 자기 돌봄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나로부터 소외된 나를 깨닫고, 타인에서 나에게로 돌봄의 방향을 조절하여 자기를 돌봄에 있어 적절하고 건강한 균형을 맞추는 과정’으로 귀결되었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첫째, 양적 연구에서 밝히기 어려운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 체험을 보다 실체적으로 드러냈다는 점이며 둘째,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에 있어 어려움이 무엇인지 드러내고 이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 언급했다는 점, 셋째, 아동상담자들의 자기 돌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데 있다.

      • KCI등재

        그림책 속 자기 감정 돌봄과 돌봄 관계 양상

        정성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동화와번역연구소 2024 동화와 번역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돌봄의 다양한 층위 중에서 돌봄관계 관점에서 그림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돌봄관계에 있어서는 에바 키테이의 의존관계 개념과 텐 하브의 취약성 개념, 돌봄 소통의 구체적 방법인 휴머니튜드의 네 가지 기법을 중심으로 그림책을 분석하였다. 돌봄 관계를 통해서 블랙 독 에서는 자기 소통을 통한 돌봄 관계를, 내 모자 어디 갔을까 에서는 실패한 돌봄 관계를, 샘과 데이브가 땅을 팠어요 에서는 소통을 통한 돌봄 관계를, 이럴 수 있는 거야??! 에서는 타자의 상처에 응답한 돌봄 관계를 분석하였다. 돌봄의 관점에서 그림책을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은 돌봄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면, 첫째 자기 감정 돌봄은 타인과의 돌봄 관계를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둘째 돌봄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 돌봄 관계는 갈등이 악화되고 더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좋은 돌봄은 돌봄 수혜자가 자기의 문제, 자기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게 돕는 것이다. 셋째 돌봄 관계에서 소통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문제 해결에 이르지 못할 수 있지만, 의미 있는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 넷째 돌봄 관계에서 돌봄 수혜자가 자기의 문제, 자기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 수 있게 할 때, 문제 해결과 의미 있는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caring relationships across the various layers of care. In terms of care relationships, the analysis focuses on Eva Kittay's concept of dependency, Ten Haub's concept of vulnerability, and Humanitude's four techniques, which are specific methods of care communication. This paper analyzed following aspects through the lens of care relationships: self-communication in Black Dog , a failed care relationship in Where Did My Hat Go?, care through communication in Sam and Dave Dig the Ground, and responding to others’ wounds in Oh My God Is it possible??!. By analyzing these picture books from the care perspective, conclusions about caregiving can be drawn. First, self-care is also important for car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Second, a relationship lacking adequate care can escalate conflicts and cause bigger problems. Good care can help care recipients to develop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s and themselves. Third, communication is very important in a caring relationship. It may not always lead to a solution to the problem, but it can facilitate meaningful relationships. Fourth, in caring relationships, when care recipients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s and themselves, problem-solving and forming meaningful relationships become possible.

      • KCI등재

        자기표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경험과 의미 - 초등돌봄교실 저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

        윤라미,박윤미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아동 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 시 지역 연계형 초등돌봄교실 1, 2학년 아동 7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 회, 총 12회에 걸쳐 60∼80분씩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했다. 연구 자료는 기관(원장, 담당 교사)과 학부모 면담자료, 전문가 3인의 자기표현 관찰목록에 따른 평가자료, 회기별 미술치료 일지와 녹취자료, 연구자 개인연구일지를 통해 수집했고, 자기표현 관찰목록 조작 적 정의에 따른 행동 변화 및 Krippendorff(2004) 분석 과정에 따른 결과로 경험의 의미를 도출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자료를 통해 자기표현 변화과정을 분 석한 결과, 자기표현 경험에 대한 만족감 및 행복감을 확인했으며, 긍정적 자기표현 향상 과 부정적 자기표현 및 긍정적, 부정적 타인표현의 감소를 확인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 저 학년 아동의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낯선 환경 속에서 시작하는 미술 활동’, ‘호기심과 자기표현의 작은 시작들’, ‘그동안 표현하지 못했던 답답함을 고백함’, ‘함께 표현 하는 과정에서의 마찰과 수용’, ‘내가 가장 원하는 욕구를 마음껏 표현함’, ‘미술 활동 속 나 를 표현하는 즐거움’ 6개의 의미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심리적 지원을 위한 현실요법 미술치료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and process of change of a c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self-expression on the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The participant were 7 in lower grade students in P city at a c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12 sessions, 60~80 minutes each, from September and December in 2018. The data of this study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the agency and parents, the evaluation data according to the self-expression observation list of 3 experts, the therapy note and recording data, and the personal research journal. It drew a experience and meaning base on behavioral varia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definition of self-expression observation list and results of Krippendorff (2004)'s content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t confirmed th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children’s self-expression experience was confirmed and positive self-expressions were increased and negative expressions toward others were decreased. Second, experience and meaning of this study is categorized into six. 'Art activities that start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Small beginning of curiosity and self-expression', 'Confessed to the frustration I couldn't express', 'Friction and acceptance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together', 'Expressing the desires i want the most' and 'Pleasure to express myself in art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the basis for intervention in reality therapeutic group art therapy for healthy growth of primary care classroom children and psychological support.

      • KCI등재후보

        목회 윤리에서의 자기 관리 방안으로써 목회자의 상호 돌봄

        양병모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9 복음과 실천신학 Vol.19 No.-

        현대 목회자는 윤리적인 어려움에 빠지기 쉬운 여러 가지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목회자가 직면하는 어려움들을 해결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이 중 목회자의 상호돌봄을 통한 자기 관리의 방법은 여러 가지 유익이 있다. 먼저, 상호돌봄의 방법은 성서적인 가르침에 순종하는 것이다. 둘째, 목회자 집단이 주는 동류의식과 이로인한 안전감이다. 셋째, 고결성 유지에 효과적이다. 넷째,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가장 효과적으로 상처 입은 목회자를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상호돌봄의 자기관리가 필요한 목회적 상황은 여러 가지가 있다. 첫 담임 목회지에서의 적응, 개인영적생활의 어려움 극복, 스트레스와 탈진의 예방과 극복, 사역위임을 통한 평신도와의 나눔의 사역이 가능하며 이를 통한 교회의 활성화가 그것이다. 목회자 자기관리를 위한 상호돌봄을 위해서는 두 가지 기본 요소가 필요하다. 그것은 자조집단의 구성과 그 집단을 위한 멘토의 선택이다. 상호돌봄의 모임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구성원들의 헌신적태도, 함께하는 시간의 필요, 목회성공에 대한 건강한 피드백, 확신에 따르는 목회의 어려움과 자기혐오 극복의 필요, 그리고 권면과 충고의 필요가 그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목회자의 자기관리를 위한 상호돌봄의 유익에도 불구하고 상호돌봄을 저해하는 어려움과 방해들이 있다. 목회자들의 바쁜 일정, 무관심, 자기노출의 위험부담, 신뢰의 결핍 등과 함께 목회자의 건강하지 못한 자아상과 이로 인한 불필요한 권위의식, 그리고 한국교회의 양극화와 이로인한 경쟁이 대표적인 방해요소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목회자 자기관리를 위한 상호돌봄을 실천해갈 경우 개인과 교회 모두에게 건강한 성장과 함께 하나님의 사역자로서 자신의 사명과 역할에 충성할 수 있다. In terms of pastoral ethics, today’s ministers are vulnerable to temp-tation and dangers in the context of pastoral ministry. There are vari-ous approaches to manage those problems which ministers experience.The mutual caring approach has several benefits for ministers’self-management. Firstly, the mutual caring approach fits into the biblicalteaching. Secondly, ministers are usually very comfortable in the cir-cle of fellow ministers and the mutual caring approach become func-tioning well for them. Thirdly, it is very effective in keeping integrityfor minister’s inner life. Finally, as a wonded healer, a minister couldbe a very effective helper for healing the wounded ministers.There are many ministerial occasions which need the mutual caringapproach such as becoming the first full-time pastor in the church,struggling for spiritual life, preventing and overcoming stress andburnout in the ministry, delegation to lay ministers, etc.Mutual caring for the ministers’self-management requires two foun-dations, organizing ministers’self-supporting group and choosing thementor for the group. To make the support group effective includes mem-bers’commitment, spending time together, sound feedback in the caseof ministerial success, monitering the confrontation related to the min-ister’s strong stands and self-defeating behavior, and healthy exhorta-tion and admonition. However, there are some obstacles and difficultiesto plant the mutual caring system despite the several benefits of mutualcaring. For instances, busyness, indifference, aversion of vulnerability,lack of trust, deflated self-image and authoritarianism, polarization betweenbig churches and small churches, and competitiveness are those. In spiteof those, ministers who practice the mutual caring approach could befaithful and successful in their mission and ministries.

      • KCI등재

        박완서 소설 속 돌봄 인식 방식 연구

        김미영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2 No.-

        The Study focuses on women’s caring labor described in Park WanSeo’s novel 『Beginning of Alive Days』, 「She knows, I know, and Heavenknows」 and 「The Trance of Falling Sun」, 「Kindhearted Bokhee」. Untilnow, women’s caring labor has been recognized natural. However, whenit comes to women being subjected to receive caring, they tend to berejected. Main characters of aforementioned novels are dedicated to caringwhen they are “provider”, in the name of love, and when they become“receiver” of such care, they are rejected due to family power structure. This serves as an momentum for the female characters to become awareof their identity, questioning their caring relationship.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experienced by women in carrying outtheir care labor can be examined from Carol Gilligan's perspective onethics of care. Gilligan says moral judgments centering around care,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to make a determination of actions. Inaddition, she goes further even to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atwomen are not such the being having obligations only to provide care,but they themselves are also supposed be the object of care. Thissuggests that the ethics of self care could be an alternative whenwomen try to overcome the viol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they aresuffering while carrying out their care labor and seek for the possibility of gender dissolution.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ways of care perception expressedin Park Wan Seo novels by classifying them into periods. In her novelsin the 1970s, female characters are expressed as the ones who becomeconscious of the duplicity inherent in the patriarchal system whilefeeling suppression, anger under their distorted and interdependent caringsituations. And in the 1980s, female characters show a change in theirperception of that they enter into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ir caredependents based on a trust and recognize themselves as a personentitled to be cared in such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t this moment,the candidness inherent in the personal integrity emphasized by Gilliganworks as a counterstrategy to restore the identity damaged in the processof care labor. Lastly, this study sorted her novels out of the ones in the2000s as the works showing similar in terms of structure to the contentscovered in the ones in the 1970s and not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with the passage of the time. Female characters attempt to recover theiridentity by choosing self-reliance through some changes in theirperception to embrace their life positively. Thus, this study was able to find out that those female charactersexpressed in Park Wan Seo novels acquire the possibility of self care bymeans of a gender dissolution attempted under their caring situations. Park Wan Seo novels suggest that women can realize the ethics of selfcare while acknowledging their own existence in their caring process andcarrying out interdependent care ethics.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 「살아있는 날의 시작」과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 「저물녘의 황홀」,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친절한 복희씨」속여성인물들의 돌봄 노동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여성이 돌봄을 수행하는 것은당연하게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여성이 돌봄의 의존자가 되는 것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작품 속 여성인물들은 돌봄의 수행자일 때는 ‘사랑’이라는 명목으로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의존자가 되었을 때는 돌봄을 거부당한다. 이는 여성인물들이 돌봄 관계에 의문을 품고, 자신의 정체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된다. 돌봄 노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인식의 변화는 캐롤 길리건의 돌봄 윤리 관점으로 규명할 수 있다. 길리건은 “돌봄”, “관계”, “책임”을 중심으로 한 도덕적인 판단이 행동을 결정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여성이 돌봄을 제공해야하는 의무만 지닌 존재가 아니라 자신도 돌봄의 대상이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으로까지 나아간다. 이는 여성이 돌봄 노동을 수행 할 때 겪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을 극복하고, 젠더 해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할 때 ‘자기 돌봄’의 윤리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돌봄 인식 방식을 시대별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했다. 1970년대 작품에는 여성인물이 왜곡된 상호의존적인 돌봄 상황 속에서 억압, 분노를 느끼면서 가부장제에 내재된 이중성을 ‘자각’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그리고 1980년대에 이르면 여성인물이 돌봄 의존자와 신뢰를 기반으로 공생관계를 맺고, 상호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자신을 정당한 돌봄 의존자로 ‘인정’해나가는 인식 태도를 보인다. 이때 길리건이 강조한 “개인적인 성실성”에 내재된 솔직함이 돌봄노동 과정에서 훼손된 정체성을 회복할 대응 전략으로작동한다. 마지막으로 2000년대 작품에서는 1970년대 작품에서 다룬 내용과구조적인 측면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작품을 선별해 시대적 경과에 따른 인식의 변화에 주목했다. 여성인물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인식의 변화를 거쳐 ‘자립’의지를 선택함으로써 자기 정체성의 회복을시도한다. 이로써 여성인물들이 돌봄 상황에서 시도한 젠더 해체 방식으로 자기 돌봄의 가능성을 획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박완서 소설은 여성이 돌봄과정에서 자기 존재를 긍정하고, 상호의존적인 돌봄 윤리를 수행하면서 자기돌봄의 윤리를 실현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자기돌봄 경험에서 찾아보는 인성교육적 의미

        김선혜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인격교육 Vol.10 No.2

        This study aims to search the significance of character education on children’s self edu-care. For this aim, this study has considered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edu-care children have a lot of free after-school time that enabled them to accomplished many things. This includes assignments, reading a book, free study, etc. Through this process, they have cultivated satisfaction and self-efficiency through self-reinforcement. Second, self edu-care children put character virtues into high practicum. For example, self-love, respect and care for friends, good manners, responsibility, and organization. Their characters developed by learning these virtues. In conclusion, self edu-care children have lots of free after-school time and autonomy of time utilization. These factors brought positive results through high practicum of character virtues. Therefore, this study will offer opportunity of consideration on significance of self edu-care and various ways of self edu-care. 본 연구는 돌봄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아동들이 자신들의 방과후 일과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들여다보고, 이들의 자기돌봄 경험에서 인성 계발의 가능성을 찾아봄으로써 자기돌봄 경험의 인성교육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초등학교 2학년 아동들 가운데 돌봄서비스 대상 아동들과 자기돌봄을 하는 아동들을 각각 4명씩 임의 선정하여 2주 동안 관찰과 면담을 통해 방과후 일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이들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인성 덕목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실천 여부를 4주 동안 관찰과 면담을 통해 비교·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돌봄은 돌봄서비스가 가져다주는 유용성 못지않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돌봄 아동들은 인성 덕목으로 추출한 자기 사랑, 타인 존중/배려, 인사 예절, 책임 완수, 정리 정돈의 영역에서 돌봄서비스를 받는 아동들에 비해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돌봄 아동들이 자율적으로 방과후 시간을 관리하면서 성취감을 맛보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행하여 내면화한 것이 인성 덕목을 실천하는 기반이 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돌봄서비스를 받지 못하여 자기돌봄을 해야 하는 아동들에게 자기돌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하는 방식을 제공하거나, 자기돌봄의 유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자기돌봄 방법을 연구하는 기초 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섭식장애와 목회적 돌봄 - 자기의 결핍(deficits in the self)의 관점에서 -

        홍이화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8

        본 논문은 심리장애로서의 섭식장애의 증상들과 심리적 원인을 Heinz Kohut의 정신 역동적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 그 치료와 목회적 돌봄에 대하여 고찰한다. 코헛은 섭식장애를 자기애성 행동장애의 하나로 분류하였다. 특별히 코헛은 중독을 보는 것과 같은 관점으로부터 중독적 행동의 범주 안에서 섭식장애를 논하고 있는데, 이러한 중독적 행동은 자기의 구조적 결핍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즉 자기애성 행동장애로서의 섭식장애는 자기대상으로 기능하는 부모의 심각한 공감적 실패로 인해 자기의 자기애적 발달과정을 통한 자기 구조의 내면화 과정에 어떤 결핍이 생겼을 경우 결과하는 것이다. 따라서 섭식장애 증상들은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채워보려는 필사적인 노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자기심리학의 이론의 틀 안에서 자기애성 행동장애로서의 섭식장애를 치유하고 돌볼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방법은 바로 자기의 구조적 결핍을 메울 수 있도록 돕는 것이며, 그것은 섭식장애자들이 가지는 거울 자기대상욕구와 이상화 자기대상욕구 혹은 쌍둥이 자기대상욕구에 공감적으로 응답하여 자신들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스스로 긴장을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회복하도록 돕는 것이다. 이는 바로 그들의 건강한 자기구조가 새롭게 다시 구축되도록 돕는 것이 된다. 따라서 섭식장애에 대한 기독교 공동체의 돌봄의 역시 섭식장애의 외적 증상들 자체에 대한 변화 보다는 자기구조를 튼튼히 다시 세울 수 있는 심리내적 기능과 힘이 생기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symptoms and causes of Eating Disorder as one major form of self pathology and explores its treatment and ways for a pastoral care for it from a self-psychological perspective. Heinz Kohut takes "addictive behavior" as a major symptom of narcissistic behavior disorders and puts the eating disorder into the category of narcissistic behavior disorders relating to the addictions. Eating Disorder as one of the narcissistic behavior disorders results from the deficits of self structure in the narcissistic development of the self, which occur due to serious empathetic failure of the selfobjects. Parents' empathic failure prevents the internalization of certain soothing and tension-regulating structures, and the resulting structural deficits in the self becomes the childhood anlage of eating disorder. It is the primordial foundation for their attempt to fill in the structural deficits within the symptoms of anorexia and bulimia. Kohut's self psychology provides an excellent framework for understanding deficit phenomena and the explication and treatment of these defects that self psychology facilitates. The role of the therapist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growth and healing of the self by offering her/himself as a selfobject. It is not so much to change the anorexic and bulimic person, but to accept and understand who the person is and how s/he came to be that way. This can also be selfobject functions, which are critical to a pastoral ca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total self.

      • KCI등재후보

        원격 수업에서 자기 경험 말하기 교육의 효과 연구-중학교 학습자의 자기 인식 및 우울감 개선을 중심으로-

        신지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7 No.-

        This study suggests instruct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speak in non-face-to-face situations, while talking about their own experiences, and shows how it can enhance the level of students’ self-care. A quasi-experimental method i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peaking with other students in online classes. It proves that instructions in online classes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students’ self-awareness and lowering students’ depression levels. Thes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that relationship-oriented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self-awareness by sharing their experiences with other students. The adolescents’ self-awareness and their self-healing capacity show improvement as well. Thus, it is suggested that it can also cultivate the students’ self-care. Findings reveal that talking about their own experience with other adolescent students is important to identify their self-image and heal the mental ordeal they experienced during the pandemic. The limitations of talking without actual listeners can be overcome considerably if the instructional media can evoke an illusion of the existence of other students in the same learning space. 본고는 원격 수업 상황에서 자기 돌봄 역량을 함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경험 말하기 수업을 설계하고 준실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기대한 효과는 자기 돌봄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 인식과 자기 돌봄의 도착점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 치유 능력의 향상이었다. 따라서 본고는 자기 인식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형 설문 검사를, 자기 치유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우울 측정 검사를 실시하여 경험 말하기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말하기 수업은 과제 제시형과 실시간 쌍방향형을 혼합하여 설계하였고, 실험 집단은 공감적 듣기를 수행하는 청자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비교 집단에서는 청자가 없는 상황에서 말하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험 말하기를 처치한 모든 집단의 자기 인식 수준이 높아지고 우울감이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경험 말하기 교육이 자기 인식적 사고를 자극하고 상황에서 오는 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자기 돌봄 역량을 높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의 자기 인식 수준과 우울감 개선 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원격 수업 플랫폼의 매체 특징을 잘 활용한다면 독립된 공간에서 행해지는 개별적인 경험 말하기의 한계점을 상당히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원격 수업을 등교 수업과 동일하게 만드는 노력보다 상황에 맞게 적절한 형태로 재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 KCI등재

        신체적 질환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

        서홍란(Hong Lan Seo),정윤경(Yun Kyung Jung),김희년(Hee Nyon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1

        본 연구는 신체적 질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돌봄행위가 신체적 질환과 우울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K시에 위치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1,000명의 재가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중 516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노인들의 건강상태와 우울수준을 우선 살펴보았고, 이어 노년기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 신체적 질환과 자기돌봄행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우울과 신체적 건강상태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돌봄행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만성질환이 있다고 응답한 노인이 만성질환이 없다고 응답한 노인보다 우울점수가 높았고, 질병의 수가 많을수록 우울점수가 높았으며, 자기돌봄행위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질환의 수와 자기돌봄행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질병의 수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노인들의 자기돌봄행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돌봄행위를 증진하고 노년기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cal health condition on depression and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performance between those two variables. Analysis utilized 516 elderly subjects selected from 1,000 older adults who are 65 years and over currently using community service agencies for elderly in K city, Gyoung Sang Nam Do. Health condition and depression of study subjects were examined. Then,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ch could affect depression in old age, the effects of physical health condition and self-care performance on depression were analyzed. Finally,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performance between two variables described above was examined. Presence of chronic illness and the numbers of illness were proved to be the factors which g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It was turned out that as the degree of self-care performance increased, the score of depression decreas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performance i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number of illness and depression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depression intervention related with physical illness and self-care performance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