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김수진,정대영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 적용이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과 자기결정 관련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설계이며, 집단 간 평점의 차이에 대한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고, 자기결정력의 사전 사후 효과를 좀 더 상세히 연구하기 위해 반구조화 면담법을 사용한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 20명이었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 3회, 매회 50분씩 총 30회기에 걸쳐 실시되었다.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Field와 Hoffman(1996)의 "자기결정 향상을 위한 5단계 프로그램"에서 제시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우리 실정에 맞게 그 활동 내용을 재구성하였고, 구성요소는 자기인식, 자신의 가치 및 존중, 계획, 실행, 결과에 대한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의 적용은 경도 발달 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은 자기결정 관련 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자기결정력 향상 프로그램은 경도 발달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on promoting the self-determinat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test-posttest trial group design. In proceeding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ntitative survey in which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then a qualitative survey in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used to analyze in detail the pre-and post-tests of self-determination. Middle schools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having 10 members. As a result, first,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effectively increased the self-determinat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measurements of self-determination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ere compared to find that the surveyed students' self-determination level were positively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Second,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effectively and positively changed the surveyed students' behaviors in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In this researcher's interviews with par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those parents responded that their children as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ed positive behavioral changes in relation to self-determination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us,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was effective in positively changing those students' behaviors related to self-determination. In conclusion, the Self-Determination Improvement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the self-determination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전이기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류숙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3 특수교육 Vol.2 No.1

        학습 · 심리 · 적응행동 등에 심각한 어려움을 갖는 장애를 가진 학생에게는 학교이후에 요구되어지는 교육성과를 최대화하고 학령기에서 성인기로 전이되는 결정적 시기에 있어서는 더욱 특별하고 종합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이렇게 전이기에 있는 장애학생들에게 독립성과 자율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자기결정은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제공과 교육프로그램에 있어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으며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향상을 지원하는 개념적 모델에 기초한 교육과정개발 및 교수전략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전이기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프로그램인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은 자기결정의 구성요소와 자기조정의 문제해결과정 및 학생 중심 학습활동을 기초하는 자기결정 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자기탐색, 목표설정하기, 계획하기, 실행 및 조정하기의 4단계로 구성하고 이에 따라 자기-기록하기, 선택하기, 문제해결하기, 자기-시간 계획하기와 같은 다양한 자기결정 활동을 편성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장애 학생들의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전이기 전이 교육 및 서비스의 계획과 실행의 일환으로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성인생활의 적응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Transition from school to the world of post secondary education, employment and all other adult activities can be one of the most critical aspects in the lives of young peop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learning difficulties, psychological or behavioral problems, effective transition can only be achieved when comprehensive, systematic and concrete supports are planed and provided. As an educational approach regarding independence and self-efficacy is in great need, self-determination came to the center of attention especially including the issue of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and community living. Promoting the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came a central part of the issues regarding transition service programs. In specific, development of effective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self-determination was a major task of the previous researches and still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 Based on this need for investigation,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determination activity program for improving level of self-determination of special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s. The program for self-determination activity as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in the current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which was composed of self-determination, self-regulated problem-solving process,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activities.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current study consisted of 4 steps: self-exploration, goal setting, planning, action and adjusting. The program for self-determination activity suggest that one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for facilitating self-determination and can apply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transition from school to adult lives that are independent and self-efficient.

      • KCI등재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의 자기결정 행동 평가에 미치는 효과

        박성우,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5 특수교육학연구 Vol.40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n parent and teacher's recognition level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of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self- determination and students' behaviors evaluation on self-determ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s who received information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demonstrated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not. Also, the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ey possessed the higher their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were. Secondly, teachers who received information about self-determination program demonstrated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an the others who did not. Also, the higher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they possessed the higher their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evaluation were. Thirdly, there were no direc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and students' self-determination behaviors. 이 연구는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이 부모와 교사의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의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부모들이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부모들보다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에 대한 평가 또한 높다. 둘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교사들이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대해 어떠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한 교사들보다 자기결정력에 대한 인식이 높으며,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에 대한 평가 또한 높다. 셋째, 자기결정력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수준과 경도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 행동 간에 직접적인 상관은 없다.

      • KCI등재후보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전이기 경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유숙열 한국특수교육학회 2003 특수교육학연구 Vol.38 No.1

        .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전이기 장애학생들의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학생중심의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ㆍ실행하여 그 적용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경도장애학생 30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중재프로그램인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은 자기결정의 구성요소와 자기 조정의 문제해결과정 및 학생 중심 학습활동을 기초하는 자기결정 학습 모델에 근거하여 자기탐색, 목표설정하기, 계획하기, 실행 및 조정하기의 4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자기-기록하기, 선택하기, 문제해결하기, 자기-시간 계획하기와 같은 다양한 자기 결정 활동을 편성하고 3개월간 총 30회기에 걸쳐 시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결정 활동 프로그램 중재를 통하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력이 향상되었음이 검증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자기결정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시도가 전이기 전이 교육 및 서비스의 계획과 실행의 일환으로서 장애학생의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성인생활의 적응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 KCI등재

        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영미(Young Mi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1

        본 연구에서의 자기결정은 실천윤리로서의 자기결정개념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장애인의 삶에 통제력을 행사하는 권리이며 사회복지개입의 성과로서 획득되는 자기결정력을 의미한다. 장애청소년들은 신체활동 범위의 제한으로 인해 사회화 습득의 장이 제한적이고 부모의 과보호로 인해 독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제한을 받아 자기결정능력이 제한되기 쉽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청소년들을 위한 자기결정력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천하여 효과성을 검증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집단프로그램의 내용은 자기탐색, 목표설정, 계획, 실행 및 조정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11명을 대상으로 총 14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사후, 추후검사에서 자기결정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결과의 타당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평가방법을 사용하였는데, 특수 학교 교사와 재활원의 생활교사들이 대상 학생의 자기결정력을 사전, 사후에 평가한 결과 자기결정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목표성취척도와 관찰자에 의한 관찰평가 점수를 병행한 결과에서도 자기결정력에 있어 전반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Promoting self-deter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come a central part of issues in disability studies. Self-determination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affects adult outcom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skill training on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During fourteen session, self-determination skill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for eleven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a welfare institution.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as the intervention in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learning model and `steps to self-determination` curriculum.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steps: self-exploration, goal setting, planning, action and adjusting.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pre and 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for the testing of effectivenes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re used. The main result is following. First, according to the Self-determination Student Scale and Self-Determination Teacher Perception Scale, improvement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applied. Second, two social workers collected observation data on a each session. Agreement data across observers were calculated across of the session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nd Self-Determination Observation Checklist showed that behaviors associated with being self-determined are increased. Third,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level of goal attainment after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applied. Findings from the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group program to promoting self-determination had an effect on improving self-determin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dditionally, social validation data obtained from the teachers and direct care staff. The ability to self-determine is critic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terventions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should be a focus of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practitioners charged with providing servi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uld develop next program, considering our cultural characteristics. Second, this group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another social work settings.

      • KCI등재

        경도 정신지체 청소년의 자기옹호 및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권회연,이미애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5 재활복지 Vol.19 No.3

        본 연구는 자기옹호와 의사소통 훈련을 기반으로 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의 자기결정능력과 자기옹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일반 중학교나 고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18명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들로 그중9명은 자기결정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나머지 9명은 전형적인 언어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시행하기 전 연구대상 학생들과 부모를 사전면담 한 결과, 자기표현력과 자신감증진에 대한 요구가 강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자기결정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자기결정기술을 교수하기에 적합한 교수전략을 활용하고, 예비특수교사들에게 자기결정능력과 자기옹호행동의 모델을 보여주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자기결정력은 연구대상자의 부모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자기옹호행동과 의사소통 행동은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보인 대상학생의 행동을 관찰 기록하였으며,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특수교사들과의 회의록, 연구자 성찰일지를 통해 자료를 보완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결정프로그램 적용 후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자기결정기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면서 향상되었으며, 전체 9회기 동안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지며 자기옹호 행동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self-advocacy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9 students attended self- determination program and the others attended typical language therapy program. Before the program,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parents were checked out. Therefore the program was formed to reflect their needs faithfully and applied carefully. Self-determination skills were evaluated by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self-advocacy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recorded carefully during the all session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conference attending the researches and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the self-determination program was effective on the self- determination skills and self-advocacy skills was improved for the 9 session too. Finally, discussion on the future study were presented. To generalize this study’s conclusion, the self determination programs should be lasted for long time and the participants should be various on the degree of the disability.

      • KCI등재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철 ( Young Chul Lee ),신은희 ( Eun Hui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0 지적장애연구 Vol.1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 의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한 J특수학교와 K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초등학생 5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25명씩 배치하여 연구자의 교실에서 매주 4회기씩 8주간에 걸쳐 총 32회기를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교과내용(국어, 사회, 실과)을 토대로 한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이며, 프로그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결정 능력 척도를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장애정도(경도, 중등도), 연령(만 10세, 11세, 12세)에 따른 차이에 대한 사후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과 각 실험대상 변인들의 수준 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과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과중심의 자기결정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과중심의 자기 결정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능력의 하위요소(자기인식, 자기관리, 자기옹호, 선택하기, 목표설정, 문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at purpose, 25 students were sampled from each J Special School in J City and K Special School in K City by considering chronological age, intelligence, and social quotient. The 50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performed according to pretest-mediation-posttest in order and a total of 32 sessions was performed for 8 weeks by every 4 sessions a week in the researcher`s classroom of the J School for handicapped school. This study used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curriculum of the basic educational courses of the school for handicapped children for mediation. The post-test results were treated for descriptive statistics(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examin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isability(mild and moderate) and age(10, 11, and 12), and thre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interactive effects of mean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 level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positive impacts on the self-determination skill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curriculum-based self-determination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ub-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skills(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elf-advocacy, choice making,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 KCI등재

        성적 자기결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성적 자기결정에 미치는 효과

        최종순,최은영,공마리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성적 자기결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성적 자기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D시 거주 지적장애 성인들 가운데 본인과 보호자가 본 연구의 목적에 동의하여 동의서를 제출한 지적장애 성인 24명을 실험집단, 대기통제집단에 12명씩 무선배치하여 2016년 1월 20일∼2월 26일까지 매주 2회, 6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강둘순(2005)이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구성한 성적 자기 결정능력 척도를 김연주(2006)가 재구성한 척도를 경도 지적장애 성인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적 자기결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의 성적 자기결정능력 및 하위요인(성 자기인식 및 성적 권리, 성적 자기가치존중, 성적 자기표현, 성적 상대존중과 거부, 성적 행동)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성적 자기결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성인의 성적 자기결정 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what effect a sexual self-determin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on the sexual self-determination abilit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wenty fou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D City who consented(or whose guardians consent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12 and the control group of 12.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2 sessions from January 20, 2016 to February 26, 2016 with two sessions performed per week and with each session taking 60 minutes. The research tool was, the scale of sexual self-determination for the general youth prepared by Kang Dul-Soon(2005), which was then properly amended by Kim Yeon-Ju to be applied to the adults having light intellectual disabilities. Repeated measure ANOVA was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exual self-determin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all the sub-factors(sexual self-awareness and sexual rights, sexual self-respect, sexual self-expression, respect and refusal of sexual partner, and sexual behavior) for the adult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exual self-determina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xual self-determination ability for adults hav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발달장애 학생 부모의 경험 및 지원요구 고찰

        이숙향 ( Lee Suk-hyang ),안혜신 ( An Hye-sin ),정정은 ( Jung Jung-eun ),송명숙 ( Song Myoung-su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14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과 경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지도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한 부모를 3개 소그룹별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면담을 진행하였고, 5개월 후 유지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10명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모든 면담자료와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수집된 질적자료를 지속적 비교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이 7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프로그램 참여 이전 양육태도, 2) 유용한 프로그램 내용 및 구성요소, 3) 자기결정 지도방법 및 팁, 4) 자기결정지도 및 유지의 어려움, 5) 부모의 양육태도 및 지도방법의 변화, 6) 자녀 및 가족의 변화, 7) 프로그램 개선방안 및 자기결정 관련 지원요구. 도출된 대주제 및 하위주제를 바탕으로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교수 지원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이 제시되었다: 1) 양육태도의 변화를 통한 교수 기회의 증가 및 자녀 변화, 2) 자녀의 특성 및 요구중심의 수준별 특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3) 학교 및 지역사회 연계를 위한 전문가 연수 강화, 4) 장기적인 미래계획 수행을 위한 협력 및 제도적 지원.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14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Support Program for Instruction of Self-Determination at Home.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participants across three groups after program was terminated, and then five month later,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during maintenance test.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seven themes emerged as follows: (a) parenting attitudes before program participation, (b) useful program contents and components, (c) methods and tips for teaching self-determination, (d) difficulties in teaching self-determination and its maintenance, (e) changes in parenting attitudes and teaching methods, (f) changes in children and families, and (g) ways to improve program and support needs regarding promoting self-determination.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home and to facilitate future research such as (a) increased opportunities for promoting self-determination and children’s development by changes of parenting attitudes, (b)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rogram based on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needs, (c) enhancement of in-service training for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home, and (d) collabo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long term future plan.

      • KCI등재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남희,이태희 한국관광연구학회 2019 관광연구저널 Vol.33 No.3

        본 연구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화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동기군과 외재적 동기군, 부과된 동기군, 확인된 동기군, 내재적 동기군 모두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이 높아졌으며, 특성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에는 동기군 중에 특히 내재적 동기군이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에 자기결정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결정성이론에 따른 특성화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며, 특성화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자기결정성이 점차 내면화되어 자기결정성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따라서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특성화 프로그램 실시에 있어 자기결정성이론의 통합적 적용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특성화 프로그램 설계시 방향 설정과 운영 시에 기초자료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