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조상호,강대옥,김성철 한국보육학회 2018 한국보육학회지 Vol.18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on their psychological burnout. Methods: This study was 329 educare teachers working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self-encouragement scales, social support scales, a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s) was conducted and t-test, F-test, Turkey post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Research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e difference of self-encouragement of educare teachers was remarkable according to age group and that of social support noticeable according to age group and career while tha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noticeable according to age group and marital status. Second,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psychological burnout. Third, educare teachers’ self-encouragement and social support affect their psychological burnout in negative manner. In particular, self-encouragement functions, more than social support, as a main factor i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Conclusion/Implicatons: These results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s designed to provide emotional stability for educare teachers and help them give more positive child-care service.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고,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329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자기격려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심리적 소진 척도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기격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소진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격려는 연령대에서, 사회적 지지는 연령대와 경력에서, 심리적 소진은 연령대 및 결혼유무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을 나타내어,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소진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기격려와 사회적 지지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자기격려의 하위 요인 중에서는 인지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가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격려는 사회적 지지보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을 고려한 자기격려 및 사회적 지지 증진 전략과 심리적 소진 감소 방안과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의 효과적인 완화와 예방을 위한 자기교수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상담적 접근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 증대와 심리적 부적응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복합적인 문제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기 열등감과 자기격려간의 관계 연구

        김수정,임경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 inferiority and self - encouragement.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iority and self-encourag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inferior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 self-encouragement? This study is a total of 370 students from B middle school and K high school in Jido city from September 20, 2016 to October 5, 2016. Research instruments are self-encouragement measures used by Noan-young and Jung-min(2007) to measure self-encouragement (cognitive self-encouragement, behavioral self-encouragement, emotional self-encouragement). In addition, we used the measurement tools produced by Kim, Eung-Man(1995) to measure inferiority(physical inferiority, social inferiority, domestic inferiority, academic inferiorit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ncouragement and inferiority, and the higher the self-encouragement score, the lower the inferiority. Self-encouragement had negative effects on the inferiority of the family, followed by academic, physical, and social inferiority. In other word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nferiority and self-encourag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suc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mature physically, but emotional yet mature, so encouragement is needed in the process of forming self-identity. 본 연구는 청소년기 열등감과 자기격려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열등감과 자기격려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중·고등학생의 열등감이 자기격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본 연구는 2016년 9월 20일부터 2016년 10월 5일까지 J도 S시에 소재한 B중학교와 K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370명이다. 연구도구는 자기격려(인지적 자기격려, 행동적 자기격려, 정서적 자기격려)를 측정하기 위하여 노안영·정민(2007)이 사용한 자기 격려 척도와 열등감(신체적 열등감, 사회적 열등감, 가정적 열등감, 학업적 열등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응만(1995)이 제작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격려와 열등감에 부적인 상관이 나타나 자기격려 점수가 높을수록 열등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격려는 가정적 열등감에 부적인 영향을 있었으며, 학업적, 신체적, 사회적 열등감 순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등학생의 열등감과 자기격려간에 상관이 있었다. 이처럼, 중·고등학생은 신체적으로는 성숙하지만 정서적으로 아직 덜 성숙한 상태이므로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격려는 매우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관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안영민,김원중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2017 교류분석상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심과 불안 간의 관계에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H군에 소재하고 있는 3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임의 표집 을 하여 각 고등학교 1, 2학년을 대상으로 2017년 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한 분석방법은 t-test,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이며,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랐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통계로 고등 학생의 사회적 관심과 자기격려, 불안의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았으며, 성별에 따른 차이검 증 결과, 사회적 관심과 불안이 차이를 보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사회적 관심이 강하며, 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사회적 관심, 자기격려, 불안의 변인간의 상 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사회적 관심은 자기격려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불안과는 부 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기격려는 불안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사회적 관심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자기격려는 완전 매개역할을 보여, 사회적 관심은 자기격려와 함께 작용 을 할 때는 자기격려를 거쳐 불안을 낮추는 간접적인 효과만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적 관심이 행동적 자기격려 및 정서적 자기격려와 함께 작용을 할 때는 불안을 낮추는 직접적인 영향과 행동적 자기격려와 정서적 자기격려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것이다. 후속연구로 자기격려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다중회귀분석으로 검 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자기낙담과 심리적 안녕감이 아동의 자기격려에 미치는 영향

        이서연,은혁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4 교육치료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자기낙담과 심리적 안녕감이 아동의 자기격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5, 6학년 253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아동용 자기낙담, 심리적 안녕감, 자기격려 검사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낙담 전체는 아동의 자기격려에 부적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자기격려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낙담의 각 하위요인마다 다르다. 인지적 자기낙담과 행동적 자기낙담은 아동의 자기격려에 부적인 유의한 영향력을 크게 미치지만, 정서적 자기낙담은 아동의 자기격려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안녕감 전체는 아동의 자기격려에 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만이 아동의 자기격려에 정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율성/개인적 성장은 아동의 자기격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자기격려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인지적·행동적 자기낙담을 줄이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사례연구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discourage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For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a survey targeting 253 fifth and sixth graders at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si, Jeollabuk-do. In order to measure each variable, we construc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related to self-discouragemen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ncouragement.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as analyzed via the SPSS/WIN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whole self-discouragement has greatly a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But, each of the sub-factors of self-discouragement has a different P-valu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Cognitive self-discouragement and behavioral self-discouragement has a considerable negative influenc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While emotional self-discouragement has no influenc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Second, the whole psychological well-being has greatly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Among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r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acceptance, power of the environment and the purpose of life. These sub-factor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On the other hand, self-regulation/personal growth has no influence on children’s self-encouragement. Therefore, this study serves to demonstrate that various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reduce cognitive self-discouragement and behavioral self-discouragement in children and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hildren.

      • KCI등재후보

        부모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자기격려

        기채영 ( Chae Young K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아동의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자기격려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1,008명이었다. 아동의 자기격려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ronbach α를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연령에 따라 대부분의 아동의 자기격려 하위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직업에 따라 아동의 자기격려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가 전문직일 때 아동의 자기격려가 가장 높았다. 셋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아동의 자기격려에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기격려가 높았다. 넷째, 부모의 종교에 따라 아동의 자기격려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가 기독교, 불교, 천주교를 제외한 다른 종교를 가지고 있을 때 아동의 자기격려가 가장 낮았다. 자기격려에 관한 연구와 자료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자기격려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간의 연구에 앞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상담이나 놀이치료에서 부모상담, 부모교육, 교사 지도에 효율적인 이론적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differences in tje child`s cognitive, behavioral,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by the par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articipants were 1008 students (507 boys. 501 girls) in 4th to 6th grades. The Self- Encouragement Scale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a α,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st of the variables of the child`s self-encouragement. Second, according to the parents` occupation, there were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child`s delf-encouragement was the most high when the parents were professionals. Third, according to the education of par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mostly in the variables of the children`s self-encouragement. When their parents were highly educated, the child`s self-encouragement were the highest. Fourth, according to the parents` religion, there were part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variables of the children`s encouragement were the most lowest when the parents had other religion except Protestant, Buddhism, and Catholic.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effective materials for parent counseling, parent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in the fields of child counseling and play therapy.

      • KCI등재후보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정현희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7 임상미술심리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의 자기격려 및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를 밝히 는 것이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격려의 조절효 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술치료사 214명으로, 조사는 2016년 4월 첫 주부터 6월 둘째 주까지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 미술치료사의 자기격려는 노안영과 정민(2007)의 질문지, 직무스트레스는 김지연(2003)의 질문지, 그리고 심리적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의 질문지이다. 자료분석은 미술치료사의 자기격려 및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효과를 보기 위해 중다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 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격려와 심리적소진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격려와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소진을 설 명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격려가 심리적소진의 감소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therapist's self encouragement and psychological burnout,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subjects were 214 art therapists. Self encouragement scale by No and Jeong(2007), job stress scale by Kim(2003), and psychological burnout scale by Maslach and Jackson(1981)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 encouragement was nega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job stress and self encouragement predicted psychological burnout. In addition self encourag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se results showed that self encouragement was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psychological burnout.

      • KCI등재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과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간의 인과분석

        김성훈(Sung-Hoon Kim),신종훈(Jong-Hoon Shi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 의지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자기격려-낙담을 외생변인으로 설정하고, 자기관리,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운동지속의지를 내생변인으로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남․여 고등학교, 대학교 농구선수들을 전수조사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자기평가기입법을 통해 총 4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387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자기격려-낙담 척도, ASMQ 자기관리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EAQ 운동지속의지 척도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Cronbach"s a 검사,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검증, 상관분석, 중회귀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농구선수들의 성별, 소속별, 경력별, 팀 역할별, 시작동기별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 변인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격려와 자기낙담, 자기낙담과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부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외의 모든 변수들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기격려는 대인관리, 훈련관리, 긍정적 자아존중감 요인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며, 자기낙담은 대인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훈련 관리는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몸관리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운동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농구선수들의 자기격려-낙담, 자기관리,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지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운동선수들의 경험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의지의 수준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a causal relationship among male · 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self encouragement discouragement, self management, self 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s for the subjects of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survey targeting male․female high school, college basketball players throughout the nation and for data collection, this study collected total 450 questionnaires through self-report method and used 387 sheets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First, variables of self-encouragement-discouragement, self-management, self-esteem,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differed significantly by basketball players’ gender, team they are belonging, career, one’s role in team, motive of star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elf-encouragement and self-discouragement,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and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re showing a negative(-) correlation, and a positive(+) among all other variables. Third, selfencouragement affects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and positive self-esteem exerts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and self-discouragement turned out to have an impact on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body management and negative self-esteem. And training management affects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and body management was revealed to have an impact on negative self-esteem. Lastly, negative self-esteem turned out to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exercises adherence.

      • KCI등재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다문화가정아동의 자기격려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장경희 한국코칭학회 2012 코칭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자기격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으로 하여금 자기격려를 통하여 아동기의 발달과 적응뿐만 아니라 가정 및 사회환경으로부터 오는 다양한 어려움을 잘 극복하여 긍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며, 청소년기를 앞두고 자기정체성을 긍정적으로 확립할 수 있도록 아동이 자기 성장을 스스로 주도함으로서 자긍심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의 구성요인을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존중, 자기칭찬, 자기표현, 자기확신의 6가지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개발준거로 사용하였으며, 에니어그램을 활용하여 머리형, 가슴형,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세 집단의 다문화가정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10회의 프로그램을 주 2회로 5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머리형 중심에너지, 가슴형 중심에너지, 배형 중심에너지를 가진 각각의 다문화가정아동이 자기격려프로그램의 효과에서 프로그램 적용 전의 자기격려 평균보다 프로그램 적용 후의 자기격려 평균이 높게 나타나 각 중심에너지별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격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arried out to develop self-encouragement program and to evaluate its effects ton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sing Ennea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ist thenchildhood development and adaptation by self-encouragement of those children, to form anpositive self-concept overcoming diverse difficulties of familial and social environment, and tonenhance self-esteem through initiating self-growth.nFirst of all, I set the configuration factors of self-encour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nchildren as 6 kinds-self-understanding, self-acceptance, self-esteem, self-praise, self-expression,nself-confidence and used them as programs developing standards. And utilizing the enneagramn10-times program was conducted twice for 5 weeks for the 2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nwhich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groups with head-oriented type of energy,nbreast-oriented type of energy, and stomach-oriented type of energy.n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appeared that the children of each group withnhead-oriented type of energy, breast-oriented type of energy, and stomach-oriented type ofnenergy respectably showed higher self-encouragement average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annthe self-encouragement average before applying the program in the effect of program for thenself-encour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So it was shown that program for thenself-encour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has the effects on the self-encouragementnof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인지, 행동, 정서적 자기격려 연구: 성과 학년별 차이를 중심으로

        기채영 ( Chae Young Kee ),홍경자 ( Kyung Ja Hong ) 한국놀이치료학회 200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아동변인에 따라 인지, 행동, 정서 자기격려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6학년 1008명이었다. 아동의 자기격려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Cronbach α를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첫째,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전체적으로 인지적, 행동적, 정서적 자기격려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월에의 추구, 내적 보상에 대한 기대, 언어적 강화, 도전과 문제해결적 시도, 이완활동, 존귀감의 자기격려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인지적 자기격려 하위변인 중,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에서만 6학년이 5학년에 비해 더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자기격려 전체 변인들의 경우 인지적, 정서적 자기격려 전체에서 6학년이 5학년에 비해서 더 높았다. 하위범주별로 살펴보면,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 내적 보상에 대한 기대, 불완전에 대한 수용, 이완활동, 대인활동에서 6학년이 5학년에 비해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differences in cognitive, behavioral, emotional self-encouragement by gender and grades. The participants were 1008 students (boy: 507, girl: 501) in 4th, 5th, and 6th grades. The Self- Encouragement Scale was administered to t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irls showed higher total scores of cognitive, behavioral, and affective self-encouragement than boys. Look at sub-variables, the girls used more in the pursuit of superiority, the expectations for internal compensation, verbal strengthen, challenge and attempt on solving the problem, relaxation activities, and sense of honor than boys. Second, for boys, 6 grades was higher than 5 grades in positive thinking about his own out of cognitive self-encourage only. For girls, six grades was higher total scores in cognitive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than grade 5. Look at sub-variables, 6th grades was higher in positive thinking about her own, the expectations for internal compensation, acception for imperfection, relaxation activities, and personal relation activities than 5th grades.

      • KCI등재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이현주(Lee Hyun Ju)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197명(남: 92, 여: 105)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스트레스 요인들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성격스트레스와 학업 스트레스는 학교생활적응 간 상관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격려는 학교생활적응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 정서적 자기격려는 위계적 회귀분석에서도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행동적 자기격려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는 행동적 자기격려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적 자기격려는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격려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적 자기격려를 통해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스트레스 요인들의 부정적 효과를 완화함으로써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을 선행연구들과의 논의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정서적 자기격려에 대한 모델링과 긍정적인 자기인식으로의 상담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level. 197 undergraduates were participated to analyze th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hierarchical methods).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personality-related stress and academical stress associated negatively with school life adaptation, but self-encouragement styles positively with school life adaptation. This results meaned that less stress and more self-encouragement makes students higher school life adaptation. Especially, it was showed that emotional self-encouragement positive influenced on school life adaptation in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econd, personality-related stress, academical stress, an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were meaningful predictor of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emotional self-encourage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eeking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level.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adaptation and academical stress level differs with the level of emotional self-encouragement. Therefore high emotional self-encouragement acts as a weakening factor of the effects of academical stress. Consequently,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self-encouragement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