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숙아로 태어난 음악치료사의 자기가치감 회복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김숙경,김동민,장효진 한국음악치료학회 202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나 낮은 자기가치감을 경험한 음악치료사가 자기성찰을 통하여 자기가치감을 회복하는 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예술자료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예술기반 연구와 연구자의 자기가치감 회복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미숙아로 태어나 미숙아가 겪는 신체적․정서적인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엄마의 과보호 양육으로 인해 스스로 홀로서기의 어려움과 가족과 친척들 사이에서 비교와 평가를 받으며 낮은 자기가치감을 형성하였다. 둘째, 나는 음악치료사로서 훈련 과정을 통해 낮은 자기가치감을 통찰하게 되었다. 셋째, 나는 다시 도전한 음악치료 학위과정에서 예술작업과 성찰 과정을 통해 낮은 자기가치감의 회복과정을 경험하며, 개인적 성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낮은 자기가치감의 회복 경험은 자 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사랑하며, 인정하는 긍정적 경험이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작업을 기반으로 한 자기성찰 과정을 통해 개인적 성장을 이루어 나가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고, 미숙아의 더딘 발달과정으로 인한 낮은 자기가치감의 회복과정을 보다 실체적으로 안내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process of recovering self-worth through self-reflection by a music therapist who was born prematurely and experienced low self-worth. To this end, art-based research, which analyzes art data in various ways using art data as research data, and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researcher’s self-worth were analyzed and described as research methods in auto-ethnograph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was born premature and experienced the phys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at premature babies experience, and due to my mother’s overprotective upbringing, I formed a low sense of self-worth by being compared and evaluated among my family and relatives. Second, as a music therapist, I gained an insight into low self-worth through the training course. Third, I was able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restoring low self-worth through art work and reflection in the course of a music therapy degree that I challenged again, and grow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restoring low self-worth by music therapis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self-worth by accepting, loving, and acknowledging themselves as they a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pecific and vivid information that achieves personal growth through a self-reflection process based on art work and guiding the process of restoring low self-worth due to the slow development of premature babies more substantially.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가치감 수반성 타인승인과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상태자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성원,하정희,정은선 한국발달지원학회 2022 발달지원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tingencies of self-worth with other’s approval and self-regulation whether these variables can be explained by state self-esteem as moderating factor. For this study, 464 college students data were asked to complete contingencies of self-worth, self-regulation scale and state self-esteem sca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state self-esteem.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tingencies of self-worth with other’s approval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ion and state self-esteem. Second, state self-esteem was moderated the relation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 with other’s approval and self-regulation. Finally,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implication to college students counseling and education strategies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가치감 수반성 요인 중 타인승인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상태자존감에 따라 이러한 영향이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강원 소재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가치감 수반성 타인승인, 자기조절능력, 상태자존감을 측정하였고, 최종적으로 464부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은 자기조절능력과 유의한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상태자존감과도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낮아지며 상태자존감도 낮은 것을 의미한다. 둘째, 상태자존감은 자기가치감수반성 타인승인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태자존감의 높고 낮은수준에 따라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데, 특히 상태자존감이 낮은 경우에는 자기가치감 수반성 타인승인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및 상태자존감 수준에 따른 연관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대학생 지도교육 현장에서 자기조절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 상담시 고려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가치감 수반성(우월성, 타인승인)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정은선,하정희,이성원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40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ntingencies of self-worth(superiority and others’ approval), depress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cognitive flexibility in these relations. For this study, 460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tingencies of self-worth (superiority and other's approv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econd, contingencies of self- worth(super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ed to depression. Third, cognitive flexibility was moderated the relation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others' approval) with depression. Even though contingencies of self-worth(other's approval) was high, if cognitive flexibility was higher, depression can be relieved. Finally, meaning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and implication to counsel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were discussed in detail. 본 연구는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과 타인승인이 우울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소재 대학의 학생 4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불성실한 응답을 한 19명을 제외하여 총46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은 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도 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보이는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인지적 유연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타인승인에 기반한 자기가치감이 높을지라도 인지적 유연성이 높으면 우울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자기가치감이 타인의 승인을 기반으로 한 것일지라도 상황과 사건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다고 조력한다면 우울을 낮춤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적응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유익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성과 타인승인이 우울에 미치는 과정을 정교하게 이해하고, 학교와 청소년 상담복지기관 같은 임상장면에서에서 우울을 호소하는 대상자들을 조력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으로서 인지적 유연성의 중요성과 실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양육행동과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설경옥,경예나,박지은 한국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4 No.1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Korean mother’s tendency to base their feelings of worth contingent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i.e., child-based self-worth),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hypothesis is that Korea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s more of a cultural phenomenon and child-based self-worth itself would not be nega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psychological functioning. Yet, when Korea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was associated with maladaptive parenting behavior (i.e.,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it was detrimental to their children. In other words, the hypothesis is that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based self-worth of mothers’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of children’s. The hypothesis was tested among 315 children from 4~6 grade (M=11.02, SD=.83), and their mothers. Mothers reported child-based self-worth. Mothers and children reported mothers’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Children reported on their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heir school teachers reported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The hypothesis was confirm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predicted,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itself was not related to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and psychologically controlling parenting in turn, predict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자녀의 성취를 중시하고 이로부터 자신의 가치를 확인받는 한국 어머니들의 특성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어머니가 자기가치감을 자녀에게 수반시키는 경향(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양육행동 그리고 자녀의 심리적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의존적인 집단주의 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 어머니가 자녀의 성취로부터 자존감을 느끼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은 이와 관련이 높은 부정적 양육방식인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 어머니 심리적 통제 → 자녀의 심리적 적응의 완전매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4-6학년 315명과 어머니 315명을 대상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은 어머니보고를,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은 어머니보고와 자녀보고를 사용하였고, 내재화 문제는 자녀보고, 그리고 외현화 문제는 자녀의 담임교사보고를 통해 측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연구모형 검증 결과, 예상대로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체가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심리적 통제를 매개로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즉,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을 더 빈번히 사용하였고, 어머니가 심리적 통제 양육방식을 더 사용할수록 자녀는 더 높은 수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체 종사자의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가치감 수반성 타인승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심혜진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In the rapid changing modern society, a lot of stress increase the psychological pain of business workers. However, many corporate workers avoid receiving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lthough it is necessar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ne’s self-stigma mediates the effect of social stigma on the intention of seeking for professional help, and whether other’s approval of self-worth contingencies controls the mediating effect in this process, caring about corporate workers’ pursuit of professional help. In this research, the data from 221 employees of domestic companies were collected, and were analyzed as follows;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verification of adjusted mediating effect, proposed by Hayes (2017).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social stigma affected the intention of seeking professional help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self-stigma.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tigma and seeking for professional help,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in which the others’ approval accompanied with a sense of self-worth further strengthened the negative effect of self-stigma. Third, the adjuste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s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stigma on the intention of seeking for professional help through self-stigma diff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other’s approval of self-worth contingencies. In other words, the stronger the other’s approval, the more indirect negative effect of social stigma lowering the intention of pursuing professional help. increased,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stigma.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actual consultation were described.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현대사회에서는 많은 스트레스로 인해 기업체 종사자의 심리적 고통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상담 및 심리치료 등을 통한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하지만 많은 기업체 종사자들이 상담 및 심리치료를 받기를 기피한다. 본 연구는 기업체 종사자의 전문적 도움추구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적 낙인이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 낙인이 매개하는지, 이 과정에서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이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 기업체 종사자 221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Hayes(2017)가 제안한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순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을 매개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낙인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 간 관계에서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타인승인이 자기 낙인의 부적 영향을 더욱 강화하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을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자기가치감 수반성 타인승인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자기가치감 수반성 타인승인이 높을수록, 사회적 낙인이 자기 낙인을 매개로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를 낮추는 부적 간접효과가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자기지각 검사에 대한 자기개념 연구(1) : 대학생의 우울 및 자기상과 관련하여

        곽금주,김근영 한국인간발달학회 1996 人間發達硏究 Vol.- No.3

        본 연구는 어린 아동에서 성인에 걸쳐 6개의 도구로 구성된 barter의 자기지각 검사를 사용한 일련의 자기개념 연구 중 하나로 대학생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대학생 732명이 조사대상자였으며 평균연령은 19.5세였다. 지각한 자신의 능력을 측정하는 barter의 자기개념과 정서, 사회성측면에서의 자기개념을 측정하는 자기상검사(OSIQ)를 실시하였고, 동시 에 우울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자기지각 검사의 하위영역 중 자기가치감 영역이 다른 영역들을 가장 잘 대표하는 영역이었으며, 자기상 검사 하위 영역과도 상관이 높았으며, 또 우울에 가장 설명력이 큰 영역이었다. 그러나 자기지각 검사개념보다 자기상의 하위영역이 우울을 더 잘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 KCI우수등재

        대학생의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최선아,김성봉,박재우 한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자 기 자비의 독립적.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 로 한국판 자기가치감 수반성 척도(K-CSWS), 한국판 우울 증상 척도(K-CES-D), 한국어판 수용 -행동 질문지-II(K-AAQ-II), 한국판 자기 자비 척도(K-SCS)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주요 관심 영역인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감과 타인 승인을 분석에 사용하였 고, 분석 결과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자기 자비가 유의 미한 독립적.순차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외적 자기가치감 수 반성이 우울로 이어지는 과정을 매개하는 정서 조절의 역할을 정서의 인식과 수정이라는 차 원으로 구분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dependent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data was collected about Korean Version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K-CSWS),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 Depression Scale(K-CES-D),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K-SCS) and Korean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K-AAQ-II) from 300 college student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2.0 and AMOS 22.0. In the analysis process, priority and other's approval are the sub-variable of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which is the central area of interest of the study and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independent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confirmed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which mediates the process of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leading to depression, by dividing it into the dimension of emotional recognition and correc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존감, 자기가치감 및 사회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

        백은주(Baik, Eun-Joo)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존감과 자기가치감,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이 어떠하며, 자기가치감과 자존감의 관계 및 자존감과 사회적 문제해결기술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세종, 대전의 5개 4년제 유아교육과 학생 총 489명이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세 변인 간 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존감과 자기가치감은 보통 이상이었으며,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은 보통 수준이었다. 둘째, 자존감과 자기가치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존감에 대한 자기가치감의 하위 척도의 영향력으로는 가족의 지지, 학업 성취는 정적 예측 관계이고 타인의 승인과 외모는 부적 예측 관계가 있었다. 셋째, 사회적 문제해결기술과 자존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에 대한 자존감의 하위 척도의 영향력으로는 자기결정‧주장과 관계 속 자기가 정적 예측 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업 성취를 높이고 다른 사람과 더불어 협력하며 자기 주장 및 결정의 기회를 다수 경험하여 사회적 문제해결기술을 높일 수 있는 교원양성교육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worth, self-esteem and thei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worth and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esteem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To this end, a total of 489 students from 5 four-yea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Chungnam, Sejong, and Daejeon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mong the three variabl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elf-worth were above the average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were moderat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elf-worth. The predictive factors that positively affect the subscale of self-worth on self-esteem were family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the negative predictive factors were others’ approvals and respondents’ physical appearance.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roblem solving skills and self-esteem. As a subscale of self-esteem on social problem solving techniques, self-determination and assertion had a positive, predictive associ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can help teachers increase their senses of academic achievement, cooperate with others, and enhance their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by experiencing various opportunities to assert and make decisions their selves.

      • KCI등재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매개효과

        정현주(Joung, Hyunju),김영근(Kim, Youngkeun) 한국재활심리학회 2020 재활심리연구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 주요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산·경남 지역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이 연구대상이었고, 401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을 검증하였다. 독립변인에서 종속변인에 이르기까지 영향력 있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각 변인간의 경로를 하나씩 지우는 방식으로 경쟁모형1, 2, 3을 제시하였다. 최종모형으로는 주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난 경쟁모형 3이 채택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는 부적상관을,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은 부적상관을,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사회불안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자기자비와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을 경유하여 사회불안으로 이르는 경로에서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나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Participants were 401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Correlation and structura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Competitive models 1, 2, and 3 were determined by erasing the paths one-by-one between each variable in order to identify influential paths from independent variables to dependent variables. The final model included the adoption of competitive model 3, with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main path. The results indicated that evaluative concerns and perfectionism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leading to social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and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지지적 음악심상(SMI)기법을 통한 내담자의 자기가치감 증진에 대한 사례연구

        박지은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2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17 No.2

        As a case study of the application of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SMI),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SMI in helping clients establish greater self-worth. Sense of self-worth was defined as trust and respect for the self as evidenced by understanding of one’s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wo adults in need of help with psychological challenges arising from low self-worth. Each of them participated in SMI sessions once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Participants’ statements on the imagery drawn by them during SMI session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components of the sense of self-wo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MI sessions helped both clients recognize their internal resources and gaining insight into the value of their internal resources increased their evaluation of their own self-worth. Specific factors of SMI sessions that impacted the clients’ self-worth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지적 음악심상(SMI)기법을 적용한 사례연구로써 연구의 목적은 음악과 심상이 어떻게 내담자의 자기가치감 형성에 도움을 주었는지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자기가치감은 자기의 본질인 자신의 개별성과 독특성을 알고 전반적인 자신의 모습을 신뢰하고 존중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연구 참여자는 자기가치감이 낮아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두 명의 성인이었으며, 각각의 연구 참여자는 주 1회, 총 6회 SMI세션에 참여하였다. 사례 분석에 있어 연구자는 참여자들이 SMI세션과정에서 서술한 음악심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가치감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자기가치감 형성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음악심상은 참여자들의 내적자원을 인식하도록 도왔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원에 대한 가치를 통찰하며 자기가치감을 확립해 나갈 수 있었다. 결론에서 SMI과정이 자기가치감을 형성시킬 수 있었던 추가적인 요인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