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의 Angiopoietin-1과 -2 mRNA 발현

        유민영,문혜성,박한뫼,정혜원,김승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목적 : angiopoietin-1, 2는 최근 연구되어지고 있는 혈관내피성장인자로, 자궁경부암과 정상자궁경부조직에서의 Ang-1과 -2 mRNA 발현을 연구함으로서 자궁경부암의 암화과정에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자궁경부암에서의 Ang-1과 -2 mRNA 발현의 상호연관성과 다른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와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34예의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와 14예의 정상자궁경부 조직에서 07-PCR을 이용하여 Ang-1과-2 mRNA 발현을 비교하였다. 결과 : 자궁경부암과 정상자궁조직에서 Ang-1과 -2 mRNA가 발현되었으며 자궁경부암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과발현되었다 Ang-1 mRNA는 임상병기와 관련이 있었으며, Ang-2 mRNA는 임상병기가 진행될수록, 종괴의 크기가 클수록, SCC-Ag 농도 및 임파절 전이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 Ang-1과 -2 mRNA는 자궁경부암의 진행 및 전이와 관련이 되고, 특히 Ang-2 mRNA가 예후인자와 더 많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향후 자궁경부암의 예후인자로 가능성이 제시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ngiopoietins (Ang) are recently described as one of growth factors for vascular endothelium.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ng-1 and Ang-2 mRNA expression between in cervical cancer and in normal cervix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s among their expression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of cervical cancer. Patients and Methods : Ang-1 and Ang-2 mRNA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by quantative competitive PCR between in cervical cancer of 34 cases and in normal cervix of 14 cases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March 1998 to June 2000. Results : Both in cervical cancer and normal cervical tissue, 612 bp sized Ang-1 mRNA and 518 bp sized Ang-2 mRNA were expressed. In comparison to normal cervix, their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cervical cancer (p<0.05). A definit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g-1 mRNA expression and clinical stage of cervical cancer (p<0.05).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ng-2 mRNA expression and clinical stage, tumor sizes, SCC-Ag levels, lymph node metastasis of cervical cancer (p<0.05). Conclusion : The expression of Ang-1 & -2 mRNA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progression and metastasis of cervical cancer and might have a role as a prognostic parameter in cervical cancer.

      • KCI등재

        자궁경부암에서의 Telomerase 활성도

        이경아(Kyung Ah Lee),장태기(Tae Kee Jang),장영진(Young Jin Jang),이영기(Young Gi Lee),이두진(Doo Jin Lee),이승호(Sung H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우리 나라 여성암 중 수위를 차지하는 자궁경부암의 조직과 자궁경부 상피내암 조직, 그리고 정상 자궁경부 조직에서 텔로머라제의 활성을 조사하고, 자궁경부암의 임상 병기와 림프절 전이, 그리고 화학요법 감수성에 따른 텔로머라제 활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고위험 여성에서 자궁경부암을 조기에 진단하고 예후를 추정할 수 있는 표지 인자로서의 임상적 가치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암의 조직 21례와 전암 단계인 자궁경부 상피내암 조직 10례, 그리고 자궁 근종의 자궁경부 조직 10례를 대상으로 하여 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로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에 따라 텔로머라제 활성도의 발현 정도를 관찰하였다. 결과: 1. 자궁경부암 조직 21례 중 16례(76.2%)에서 강도의 차이는 있지만 텔로머라제 활성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자궁경부 상피내암 조직 10례 중 5례(50.0%)에서 텔로머라제 활성을 보였고 대조군인 정상 자궁 경부 조직에서는 10례 중 3례(30.0%)에서 미약한 텔로머라제 활성을 보여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2.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을 실시한 10례 중 8례가 항암 화학요법에 반응이 좋았으며, 이 중 2례가 강한 텔로머라제 활성을, 2례가 중등도의 활성을, 1례가 약한 활성을 보였다. 항암 화학요법에 반응이 없었던 2례 중 1례에서 약한 텔로머라제 활성을 보였다. 수술 전 항암 화학요법에 대한 반응과 텔로머라제 활성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골반 림프절 전이가 나타났던 5례에서 모두 텔로머라제 활성도가 중등도 이상의 양성으로 나타났고 전이가 없었던 16례 중 11례에서 텔로머라제 활성이 나타났지만 두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자궁경부암 환자의 임상 병기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Ia기의 경우 1례가 중등도의 활성을 보였고, Ib1기는 8례 중 5례가 중등도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Ib2기의 경우 6례 중 5례가 약한 활성 이상의 활성을 보였고, IIa기 4례 중 3례가 중등도 이상의 활성을, IIIb기 1례와 IVb기 1례는 모두 중등도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나 병기 진행에 따른 텔로머라제 발현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텔로머라제는 자궁경부암의 암화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이미 암화 초기에 조기에 그 활성이 시작되어 양성 병소라 할 수 있는 자궁경부 상피내암에서도 활성이 관찰되는 바, 종양 표지 인자로서도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elomerase is a ribonucleoprotein that synthesizes TTAGGG repeats onto chromosome ends. The expression of telomerase is thought to be required for cellular immortality and carcinogene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elomerase activation occurs in cervical carcinogenesis. Methods: The standard telomeric repeat amplification protocol(TRAP) was used to examine telomerase activity in tissues of 10 normal cervix, 10 carcinoma in situ, and 21 invasive cervical carcinoma. Results: Telomerase activity was detected in tissues of 16/21(76.2%) invasive carcinoma, in 5/10(50.0%) carcinoma in situ, and in 3/10(30.0%) normal cervix. But the degree of telomerase activity in normal cervix was weak.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3 groups(p<0.05). The results of neoadjuvant chemotherapy in 10 invasive cervical carcinoma were as follows. In 8 cases of which tumor size decreased more than 50%, 5 were positive for telomerase. In 2 cases that didn't respond to chemotherapy by tumor size, 1 was positive for telomera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2 groups. All of the 5 cases that had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revealed positive telomerase activity, and the 11 cases of 16 cases that didn't have pelvic lymph node metastasis were positive for telomer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2 groups. The positivity of telomerase activity in clinical stage of invasive cervical carcinoma was 73.3% in stage I(11/15), 75.0% in stage II(3/4), 100% in stage III(1/1), and 100% in stage IV(1/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stages. Conclusion: Telomerase seems to be uniquely associated with malignant transformation of cervix and can be used as a tumor marker.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better clarify the biological significance of telomerase expression in cervical tumorigenesis.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 및 난소암에서 세포자멸사 억제인자인 c-IAP1과 c-IAP2의 발현 양상

        조준형,조치흠,권상훈,백원기,권건영,박준철,이정호,김종인,윤성도,차순도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목적 : 처음 baculoviruses에서 동정된 세포자멸사 억제단백들(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IAPS)은 바이러스가 복제하는 동안 숙주 세포의 생존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다양한 자극에 의한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 것이 보고 되었으나 암화 과정에 관여하는 기전은 아직까지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난소 암 및 자궁경부암과 그들의 정상조직에서 IAPS의 발현을 비교하여 암화과정에서의 역할을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 : 난소 암 10예와 자궁경부암 10예를 대상군으로, 정상 난소 및 양성 난소 낭종 10예, 정상 자궁 경부조직 10예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c-lAPl, 2의 mRNA에서의 변화를 보기 위해 RT-PCR을 시행하였고 RNA의 변화를 단백질에서 검증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 c-lAPl, 2단백질의 발현은 난소 암에서 정상 난소 조직에서 보다 높은 발현이 있었고, 정상 자궁 경부조직에서는 c-lAPl 2단백질이 전 예에서 높게 발현되었다. RNA의 변화를 단백질에서 검증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시행한 결과 c-lAPl,2 단백질이 난소암에서 일관되게 높게 발현되었다. 자궁경부 조직에서의 c-lAPl 단백질의 발현은 정상 자궁경부에서 자궁경부암보다 일관된 증가를 보여 주었고, c-lAP2 단백은 RT-PCR에서 보여준 일관된 정상 자궁경부에서의 증가가 없이 자궁암에서도 증가가 나타났다. 조직에서의 정확한 발현부위를 알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난소 암에서 c-lAPl 단백은 암세포의 세포질에 정확히 침착되나 정상 난소에서는 발현이 일어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c-lAP2단백은 난소암과 양성 난소 낭종인 자궁내막종과 황체에서 발현을 보였다. c-lAPl 단백은 자궁경부암에서 암세포에서는 발현이 없었으며 주위 정상 조직에서는 발현을 나타내었고, 정상 자궁경부 조직에서도 상피세포에서 발현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lAP2 단백은 자궁경부암이나 정상 조직에서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난소 암에서는 c-lAPl,2의 증가가, 자궁경부암에서는 c-lAPl의 감소가 암화 과정에 관여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Objective : The inhibitor of apoptosis proteins (IAPs) constitutes a family of highly conserved apoptosis suppressor proteins that were originally identified in baculoviruses. Although IAP homologs have recently been demonstrated to suppress apoptosis in mammalian cells, their expression and role in human gynecologic cancers are unknown. In this study auther used ovarian and cervical cancer tissues to examine the role of IAP in the regulation of apoptosis in cervical and ovarian cancers compared with normal tissues. Methods : Fresh tissues were retrieved from 10 cases each with ovarian cancers, cervical cancers and 4 normal ovarian tissues, 6 benign ovarian tumors, and 10 normal cervical tissues. Expression of mRNA was determined by RT-PCR. Western blot analysis was also used for asseessment of protein expression. Results : The overexpression of c-IAP1,2 was identified in ovarian cancers compare with normal ovaries. All cases of cervical cancer tissues were negative and normal cervical tissues were positive for c-IAP1,2 by RT-PCR assay. Using Western blot analysis, the overexpression of c-IAP1,2 was observed in ovarian cancer tissues compared with normal ovarian tissues and overexpression of c-IAP1 in normal cervical tissues. However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with expression of c-IAP2 in cervical cancer tissues. On immunohistochemical results, the expression of c-IAP1,2 was observed in ovarian cancer tissues, normal corpus luteum, and normal cervical tissues, whereas c-IAP1 was not shown in cervical cancer tissues. There was no correlation in c-IAP2 expression between cervical cancer and normal cervical tissu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c-IAP1,2 are important elements in growth of ovarian cancers, whereas c-IAP1 may play role of down regulation to cervical carcinogenesis.

      • KCI등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및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bcl-2 및 c-myc 암유전자 발현과 세포증식 및 apoptosis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김병기(Byoung Gie Kim),이효표(Hyo Pyo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bcl-2 암유전자는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한 apoptosis를 차단함으로써 유전자 이상을 가진 세포가 계속 생존하면서 유전자 변이가 누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c-myc 암유전자는 세포증식과 apoptosis를 유도하는 이중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생존 신호가 결여될 경우에는 오히려 세포의 apoptosis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c-myc과 bcl-2가 동시에 발현되면 bcl-2는 c-myc의 세포증식 작용은 영향을 주지 않고 apoptosis만을 선택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유전자 변이 세포의 생존 뿐만 아니라 증식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궁경부암에서 c-myc과 bcl-2 발현에 관한 개별적 보고는 있었으나 이들 두 유전자의 동시발현 및 이들 유전자들이 실제 암조직상에서 세포증식 및 apoptosis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것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 발생 과정중에서 bcl-2 및 c-myc 발현과 세포증식, apoptosis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정상 자궁경부조직, 30개의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조직, 20개의 자궁경부암조직에서 bcl-2와 c-myc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세포증식과 apoptosis는 각각 Ki-67 면역조직화학적 방법과 TUNEL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도 알아보았다. 정상 자궁경부,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자궁경부암조직 중 자궁경부암조직에서만 bcl-2와 c-myc 단백이 각각 35%와 50%에서 관찰되었으며, 또한 bcl-2와 c-myc의 동시발현이 25%에서 관찰되었다. 세포증식 지수(상피세포 100개중 Ki-67양성 세포수)는 정상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면서 10.2, 24.1, 59.7, 71.2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p<0.01), apoptosis 지수(상피세포 100개중 apoptosis 세포수)도 0, 0.33, 1.85, 3.89로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p<0.01). 또한 세포증식 지수와 apoptosis 지수와는 높은 상관관계(r=0.7451, p=0.0002)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자궁경부암 조직중 bcl-2 발현군과 비발현군간에 apoptosis지수에는 차이가 없었으며(p=0.4765), c-myc 발현군과 비발현군간에도 세포증식 지수에는 차이가 없었다(p=0.6891). 또한 bcl-2와 c-myc의 동시 발현군과 나머지 군간에도 증식지수와 apoptosis 지수에 차이가 없었다(각각 p=0.6311 및 p=0.7600). 한편 bcl-2와 c-myc의 동시 발현과 잘 알려져 있는 자궁경부암의 임상병리학적 예후인자들(종양 크기, FIGO 임상병기, 림프절 전이등)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자궁경부암발생 과정에서 세포증식과 apoptosis는 병변의 등급과 비례하여 증가하고 apoptosis는 세포증식과 관련된 변화로 사료되었다. 한편 bcl-2와 c-myc과 발현은 자궁경부암에서만 관찰되는 유전자 변이로서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의 발생과 진행과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또한 자궁경부암 조직에서도 암조직 전체의 세포증식 및 apoptosis와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bcl-2 prevents cell death from a wide variety of stimuli and provides survival of cells with accumulated genetic alterations and c-myc can promote both cell proliferation and cell death through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arget genes.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on the expression of bcl-2 or c-myc separately,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role of coexpression of bcl-2 and c-myc to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as well as the frequency of these coexpression in cervical cancer specimens.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expression of bcl-2 and c-myc in cervical cancer specimens an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CIN) to determine the role of coexpression of bcl-2 and c-myc during progression into cervical cancer. Proteins and transcripts of bcl-2 and c-myc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60 clinical specimens(20 cervical cancer, 30 CIN, and 10 normal cervix). In addtion, we evaluated kinetic indices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simultaneously. The cell proliferation index was determined by detection of the Ki- 67 in immunohistochemistry. Apoptotic index was determined by the detection of apoptotic cells with TUNEL staining. Medical records including pathologic reports were reviewed. Overexpression of bcl-2 and c-myc was identified in 7(35%) and 10(50%) of 20 cervical cancer specimens respectively, but none in normal cervix and CIN samples. In addition, coexpression of bcl-2 and c-myc was found in 5(25%) of 20 cervical cancer specimens. The cell proliferation index increased with progression from normal to CIN and invasive cancer(normal cervix, 10.2; CIN 1, 24.1; CIN 2/3 59.7; cervical cancer, 71.2; p <0.01). The apoptotic index also increased with grade of lesions(normal cervix, 0; CIN 1, 0.33; CIN 2/3, 1.85; cervical cancer, 3.89; p <0.01) an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oliferation index(r=0.7451, p=0.0002).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poptotic index between bcl-2 positive and bcl-2 negative group in cervical cancer(p=0.4765). In addition,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 proliferation between c-myc positive and c-myc negative group(p=0.6891).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between bcl-2 and c-myc positive group and others in cervical cancer(p=0.6311 and p=0.7600 respectively). The well-known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including tumor diameter, FIGO clinical stage, lymph node metastasis, did not correlate with simultanuos positive immunoreactivity for bcl-2 and c-myc proteins in cervical cancer. In conclusion, the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crease with increasing lesion grade of cervical neoplasia and apoptosis correlates with cell proliferation. In addition, overexpression of bcl-2 and/or c-myc may be genetic alteration found only in cervical cancer and may not play a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CIN. However, neither bcl-2 nor c-myc immunoreactivity correlated with the proliferation index or apoptotic ind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other factors may also play a role in controlling the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cervical cancer.

      • KCI등재

        The Util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TIMP-2 as tumor markers in cervical cancer

        Park, Dong Choon,Yoo, Jin Young,Lew, Young Ok,Kim, Dae Ho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과 기저막 (basement membrane)의 분해는 악성 종양의 침윤과 전이에 중요한 과정이다. 자궁경부암 환자의 조직과 혈청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와 억제인자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2, TIMP-2)의 발현을 조사하고 이들의 발현과 임상상태를 비교하여 자궁 경부암 환자에서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본다. 방법 :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6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얻은 암조직에서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MMP-2와 TIMP-2의 발현을 조사하고 MMP-2와 TIMP-2의 mRNA 발현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 이용하여 확인한다. 또한 각각의 환자에서 치료 과정 중 채취한 혈청에서의 MMP-2와 TIMP-2의 양을 효소결합 면역 흡착검사 (ELISA)로 측정하여 이들의 발현정도와 환자의 임상상태와의 연관성 여부를 알아본다. 결과 : 면역화학조직염색법을 이용한 MMP-2와 TIMP-2의 발현 비교에서 MMP-2는 정상 자궁경부조직에서는 부분적 양성을 포함하여 46% (28/60), 자궁경부암 조직에서는 75% (45/60)에서 양성으로 나타났으며 발현 정도도 정상 자궁경부조직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났다. TIMP-2는 정상 자궁경부 조직과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각각 23% (14/60)와 27% (16/60)에서 양성을 보였고 그 발현정도는 미약하였다. MMP-2의 mRNA는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정상 자궁경부조직에서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TIMP-2의 경우는 정상 자궁경부조직과 자궁경부암 조직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 ELISA를 이용한 혈청에서의 MMP-2와 TIMP-2의 양성 반응율은 정상 대조군과 자궁경부암 환자군에서 각각 12% (7/54)와 76% (46/60), 22% (12/54)와 98% (59/60)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치료경과에 따른 혈청내 변화를 비교한 연구에서 MMP-2는 57.5%에서 임상 상태를 반영하였고 TIMP-2는 35%에서 임상 상태를 반영하였다. 결론 : MMP-2와 TIMP-2는 자궁경부암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으며 MMP-2는 임상상태를 반영하는 종양표지인자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여대생들의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캠페인에 대한 인식

        장안리(Ahnlee Jang),김유정(YooJ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자궁경부암은 국내 여성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질병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4천여 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 진단을 받고, 하루 평균 3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으로 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생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군에 해당되며 2차 접종 대상인 14~26세 여성에 포함되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과 관련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19명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암 예방접종과 관련 되어서는 확산되지 않은 정보로 인해 자궁경부암이 중요하지 않다는 인식, 자궁경부암 관련 정보 접근의 우연성 및 부족, 발병원인이 여성들에게만 있다고 강조하는 정보의 편향성 및 용어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이유로는 사회적 편견, 비용, 부작용 및 막연한 두려움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은 자궁경부암 및 예방접종과 관련되어 실질적이고 팩트 위주의 매세지, 또래 여성 및 남성도 포함된 메시지, 접근성과 노출 빈도수 높은 캠페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15-35세 군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예방교육을 실시할 경우 도움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emales in the 2nd vaccination group(that is, women between the ages of 14-26) perceive cervical cancer, HPV vaccine, and the current campaign on HPV vaccine. In-depth interviews with 19 female college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20-26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ive the cervical cancer and vaccine as unimportant due to limited information; they were exposed to related information at random and there were lack of importan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vided were viewed as gender-biased. Moreover, social taboo-ness, cost and fear of its side-effects were found to influence women from getting vaccinated.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want more fact-based and practical information, information that includes peers and men, as well as a campaign that has more frequent contact and accessibilit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HPV prevention education in the future targeting women between the ages of 13-35. The study provides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nd changes needed in HPV vaccine campaign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궁경부암 지식과 태도

        정혜숙,최소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knowledge for prevention and early of cervical cancer detection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cervical cancer in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targets 223 married immigrant women have lived in a J city. The average score of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is 11.53 (±2.55). The average score of the attitude of cervical cancer was 3.67 (±0.57). The knowledge of the cervical cancer depending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as shown relevant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age, original nationality and the age of their spouse. Also the attitude of the cervical cancer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age, original nationality, job, and the type of the medical social security. The knowledge of the cervical cancer depending on health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as shown relevant differences exercise while the attitude of the cervical cancer has shown relevant differences experience of cancer screening and pap smear screening. On the basis of this result, it is needed to provide fundamental knowledge of nursing intervention and specific plans to increase cervical cancer screening behavior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o prevent the disease themselves.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자궁경부암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여 자궁경부암의 조기발견 및 예방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 J, C, G시에 거주하는 이주 3년 이상 된 필리핀, 베트남, 캄보디아출신의 여성결혼이민자 2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궁경부암 지식의 문항별 정답률은 53.6%이었으며, 평균점수는 11.53±2.55점이었다. 자궁경부암 태도점수는 평균평점 3.67±0.57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은 연령, 원·국적, 배우자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궁경부암 태도는 연령, 원 국적, 본인의 직업, 의료보장의 종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은 운동여부, 자궁경부암 태도는 암 검진경험, 세포진 검사 수검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대상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자궁경부암의 지식은 낮은 수준이며 자궁경부암의 태도는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자궁경부암의 지식을 제공하고 스스로 자궁경부암의 예방행위를 할 수 있는 간호중재의 기초자료 및 이들의 조기검진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인의 자궁경부암과 상피내종양에서 E-cadherin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

        강혜주 ( Hye Ju Kang ),문혜성 ( Hye Sung Moon ),정혜원 ( Hye Won Chu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본 연구는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자궁경부암, 정상 자궁경부에서 E-cadherin promoter -160C>A 유전자 다형성 발현양상을 관찰하여 비교함으로써 이러한 유전자 다형성과 자궁경부암 침윤 및 전이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9년 9월부터 2003년 12월 사이 이화여자대학 부속 목동병원을 내원하여 수술 받았던 338명의 환자 중 자궁경부암 107예,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119예, 그리고 정상 자궁경부 112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Peripheral blood lymphocytes로부터 추출된 genomic DNA를 사용하였으며,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제한효소 절편길이 다형성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을 사용하여 E-cadherin promoter -160C>A 유전자 다형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E-cadherin promoter -160C>A의 heterozygous variant type 유전자형 (C/A genotype)발현이 정상 자궁경부조직에 비해 자궁경부암 (p=0.904)과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p=0.535)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homozygous variant type 유전자형 (A/A genotype)발현 또한 정상 자궁경부조직에 비해 자궁경부암 (p=0.953)과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p=0.985)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 allele에 대한 A allele의 자궁경부암 (p=0.941)과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p=0.645)에서의 위험도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E-cadherin promoter -160C>A 유전자 다형성은 자궁경부암의 임상병기 (p=0.413)나 인유두종 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 HPV) 감염 (p=0.634)과도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여성에서 E-cadherin promoter -160C>A 유전자 다형성과 자궁경부암의 감수성과 침윤성 사이에 유의한 연관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과로 자궁경부암의 감수성과 침윤성에 관련하는 숙주의 유전자 다형성 인자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고, 현재까지 국내 문헌뿐만 아니라 해외 문헌 검색상에서도 자궁경부암이나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과 관련된 E-cadherin promoter -160C>A 유전자 다형성의 양상은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향후 관련연구의 상호비교를 위한 최초의 기준을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E-cadherin promoter -160C>A polymorphism and the risk of cervical cancer and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m (CIN) in a Korean population. Methods: We investigate 107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cervical cancer, 119 patients with histopathologically confirmed CIN and 112 control group women who were surgically proven to have normal cervices. The genetic distribution of E-cadherin promoter -160C>A polymorphism were analyz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PCR products. Results: We found no overall association between each individual E-cadherin promoter -160C>A genotype and the risk of cervical cancer and CIN. In the cervical cancer group, the allele frequency of C was 83.6%, in the control group 83.5%,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p=0.941). Similarly, in the CIN group, the allele frequency of C was 81.9%, in the control group 83.5%,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p=0.645). A subgroup analysis of the clinical parameters in CC, CA, AA genotype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suggesting the lack of an association between E-cadherin promoter -160C>A polymorphism and cervix cancer stages (p=0.413), then its polymorphism and HPV infection (p=0.634).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Korean women with specific polymorphism in E-cadherin promoter -160C>A are neither more susceptible to develop the cervical cancer or CIN nor more valuable for the cancer progression.

      • SCIESCOPUSKCI등재

        한국 여성 자궁경부 종양 환자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유전자형 분석

        박태철,김찬주,이근호,윤주희,김지훈,고영미,남궁성은,박종섭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1

        인유두종 바이 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자궁경부암의 발생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에 대해 보조적인 방법으로 HPV 진단법의 효용성이 확인되었다. HPV 백신의 개발이 예상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여성에서 HPV 유전자형 분포도에 대한 지식은 자궁경부암의 진단과 치료와 예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001년 1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강남 성모 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한 외래 및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궁경부 세포진 또는 병리 조직 검사 소견에 따른 HPV 유전자형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43.4세이며, 21세에서 91세의 범위에 있었다. 자궁경부 세포진 또는 병리 조직 검사 소견에 따라 정상 세포진 소견을 보이는 여성(n=290), LSIL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세포진 검사와 일치하는 조직 검사 결과로 HPV 감염 또는 경증 상피이형증으로 나타난 환자(n=68), HSIL (high-grade squamousintraepithelial lesion) 세포진 검사와 일치하는 조직 검사 결과로 중등도 상피이형증, 중증 상피이형증 또는 상피내암으로 나타난 환자(n=51), 자궁경부암 환자(n=55)로 분류하였으며, HPV DNA chip을 이용하여 각 군에서 채취한 자궁경부 세포에서 HPV의 존재를 파악하고 유전자형 분포와 복합 감염을 관찰하였다. 각 군당 HPV 발견율은 정상군 290명 중 51명(17.6%)에서 HPV 양성이었으며, LSIL에서 68명 중 50명(73.5%),HSIL에서 51명 중 47명(92.2%),자궁경부암에서 62명 중 59명(95.1%)에서 HPV 양성이었으며, 그 중 편평세포암환자 55명 중 53명(96.4%)에서, 선암 환자 7명 중 6명(85.7%)에서 HPV 양성 소견이 관찰되었다 HPV-16형은 정상군에서 7.9% (23/290), LSIL에서 24.2% (16/68), HSIL에서 33.3% (17/51), 자궁경부암에서 75.8% (47/62) 검출되었으며, 자궁경부 병소의 중증도가 진행됨에 따라 HPV-16형의 발견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β<0.01). 그 외 HPV-18, -58형들은 자궁경부암 환자와 HSIL에서 높게 검출되었으며, HPV-18, -51, -52, -58, -68형들은 LSIL에서 높게 검출되었다(β<0.05). 여러 종류의 HPV들이 검출되는 복합 감염의 경우는 정상군에서 19명(37.3%), LSIL에서 21명(42.0%), HSIL에서 13명(27.7%), 자궁경부암에서 17명(28.8%)에서 바이 러스가 발견되 었다한국 여성의 자궁경부 정상 세포진에서 HPV 감염, 자궁경부 상피이형증을 거쳐서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는 상태에 따라 HPV 감염률의 차이와 HPV 유전자형의 분포도 및 복합 감염 여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자궁경부병소를 가진 여성에서 HPV를 탐색한 본 연구 결과로서 HPV감염과 자궁경부 상피 이형증의 예후를 결정할 수있는 분자 생물학적 지표로 사용하거나 자궁경부 상피내 암과 자궁경부암을 조기 진단하기 위한 보조적 인 방법으로 가능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자궁경부암의 예방을 위하여 향후 개발될 HPV 백신을 사용하기위한 한국 여성에서의 기초 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human papillomavirus (HPV) i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ervical carcinoma, and the HPV DNA test has been proved as an effective adjuvant to Pap smear. As the development of HPV vaccine is now at the planning stage, the role of HPV genotype profile has become very important in early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ervical neoplasia. Methods : Analysis was made on the HPV genotype profile of a number of the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visited at the Department of Gynec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between November, 2001 and May, 2002, based on the Pap smear test and tissue pathology. The age range of the patients covered in this study was between 21 years and 91 years and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43.4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ap smear and tissue pathology, the patients were broken down into the following 4 groups; the women with normal cytology (n=290), the patients with LSIL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koilocytosis and mild dysplasia (n= 68), the patients with HSIL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moderate and severe dysplasia, or carcinoma in situ (n= 51), and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n=55), respectively and a study was made on the HPV genotype profile of cervix of each of the above 4 groups by utilizing HPV DNA chip. Results : The proportions of the detected HPV-16 in the individual groups were 7.9% (23/290) for women with normal cytology, 24.2% (16/68) for the patients with LSIL, 33.3% (17/51) for HSIL, 75.8% (47/62) for those with cervical cancer, respectively and it was noticed that detection rat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accordance with advancing the severity of cervical lesions (P<0.01). Of the rest of the HPV types, HPV -18, -33, -35, -39, -52, -56, -58 were related with cervical cancer (P<0.05); HPV-18, -58 were related with HSIL (P<0.05); HPV -18, -39, -51, -52, -58, -68 were related LSIL (P<0.05). In the case of multiple HPV infections, 19 (37.3%) were detected in women with normal cytology, 21 (42.0%) were detected in patients with LSIL, 13 (27.7%) were detected in HSIL, and 17 (28.8%) were detected in those with cervical cancer,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HPV genotype profiles and multiple infections by pathological severity can be obtained for the Korean female patients groups ranging from normal cervical cytology through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to cervical carcinom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tilized as a molecular biological index to determine prognosis of HPV infection and cervical dysplasia or as an adjunctive diagnostic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carcinoma in situ and cervical carcinoma, and that the results can also become very valuabl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developing HPV vaccine for prevention of cervical carcinoma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 유형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의 융합적 연구

        임영숙,조해련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 를 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21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 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여성의 33.9%가 HPV 예방접종을 시행하였고 7.9%가 Pap test를 시행 하였다. Pap test와 HPV 예방접종을 모두 시행한 그룹은 6.7%, Pap test 또는 HPV 예방접종을 시행한 그룹은 28.5%이었다.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라 자궁경부암 가족력,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 하며,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건강 전문가가 가장 의미 있는 지원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혼 여성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convergence study is to understand the knowledge of cervical cancer and its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in unmarried women. 216 women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SPSS program. In result, human papilomavirus vaccination was performed in 33.9%, pap test was performed in 7.9%. The human papilomavirus vaccination and pap test group were 6.7% and human papilomavirus vaccination or pap test group were 28.5%. According to the cervical cancer prevention activities, several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the family history of cervical cancer, subjective norms of cervical cancer preventio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crease susceptibility of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in unmarried women, and it is important for the health professionals to perform the most meaningful support system preventing cervical cancer in unmarried women. In addition, various policie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hat unmarried women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of cervical cancer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