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36권6호 영문부록 : Fentanyl과 Ketorolac을 사용한 술 후 통증조절 환자에서 지속주입법 첨가에 대한 평가

        김대우(Dae Woo Kim),강유진(Yoo Jin Kang),정동석(Dong Suk Chung),인장혁(Jang Hyeok In),이상수(Sang Su Lee),임용걸(Yong Gul Lim) 대한마취과학회 1999 영문부록 Vol.- No.-

        서론 : 정맥내 자가통증조절법(PCA; Patient Controlled Analgesia)은 환자가 수술 후 통증을 느낄 때 주입 펌프를 이용하여 환자 스스로 투여되는 진통제의 용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주입방법에 대하여 환자가 수면중이거나 예상치 못한 갑작스런 동작 등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경우에 대비하여, 이론적으로 약물의 평균 유효 진통농도 유지를 위한 지속적 주입법의 추가가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이론적인 면과 달리 약물의 부작용 증가 등의 이유로 그 사용 여부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 주입법이 부가되는 지속 주입 자가통증조절 방법과 자가통증조절 단독방법을 비교하여 fentanyl 총 사용량을 줄이고 ketorolac의 진통제 절감효과를 높여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술 후 진통과 환자의 만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방 법: 미국 마취과 학회 분류상 전신상태 1급 및 2급에 해당되는 제왕절개술 환자 120명에서 잠금시간(lockout time) 6분, 기본 지속 주입 속도 0.5 ml/h, 자가통증조절 일회 주입량 0.5 ml인 Home pump (I-Flow ) PCA 기구를 이용하였다. 1군은 수술 종료 10∼15분전에 fentanyl 2μg/kg의 초회량 후, 환자의 요구에 따른 자가통증조절 일회 주입량은 fentanyl 10μg을 사용하였고, 2군은 1군 방법에 fentanyl 20μg/h의 지속 주입을 첨가하였다. 3군은 fentanyl 2μg/kg과 ketorolac 30 mg의 초회량 후, fentanyl 5μg와 ketorolac 1 mg의 자가통증조절 일회 주입량을 사용하였고, 4군은 3군 방법에 fentanyl 10μg/h와 ketorolac 2 mg/h의 지속주입을 첨가하였다. 각 군에서 visual analogue scale (VAS)에 의한 통증점수, 진정점수(sedation score), 환자의 만족도, fentanyl과 ketorolac의 총 사용량, 부작용의 정도 및 빈도 등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결과: 전체적인 VAS에 의한 통증점수는 3군과 4군이 1군과 2군에 비하여 의의 있게 낮았으며, 2군과 4군에서는 다른 군에 비하여 통증점수상 향상이 없었다. Fentanyl의 총 사용량은 3군이 1군에 비해 64%, 4군이 2군에 비해 43% 감소하였고, 지속 주입의 추가가 없는 1군과 3군은 2군과 4군에 비하여 의의 있게 사용량이 적었다(P<0.05). 술 후 오심은 가장 흔한 부작용이었으며, 3군의 오심 발생빈도는 1군과 2군에 비하여 의의 있게 낮았다(P<0.05). 결론 : 술 후 환자 통증관리에서 자가통증조절 단독방법은 자가통증조절 방법에 부가적인 지속 주입법에 비하여 fentanyl의 사용량이 적었으면서도 통증점수상 별 차이가 없었으며 만족도도 거의 비슷하였다. 술 후 자가통증조절 단독방법의 사용과 ketorolac의 진통제 절감효과는 아편양제제의 사용량을 줄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orean J Anesthesiol 1999; 36: S 1∼S 8)

      • KCI등재

        정형외과 수술에서 정맥 주사를 통한 환자 자가 통증 조절법의 효용성과 조기 중단의 원인

        이봉주(Bong-Ju Lee),이철형(Chul-Hyung Lee),고종진(Jongjin Go)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1

        목적: 본 연구는 정형외과 수술 후 사용되는 정맥 주사를 통한 환자 자가 통증 조절법(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PCA)의 조기중단 빈도를 구하고, 수술 부위 및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여 조기 중단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0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정형외과 수술 후 IV-PCA를 사용한 2,915명의 환자의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성별, 연령, 흡연 상태, 수술 부위, 수술명, 마취 방법, PCA 사용 시간, 만족도, 부작용, 조기 중단 및 조기 중단 이유를 확인하였다. 정형외과 수술은 대수술과 소수술로 분류되었고 수술 부위는 상지, 하지, 척추로 분류되었다. 조기 중단 사유는 부작용, 환자의 단순거부, 퇴원으로 분류하였다. 단변수 분석을 통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정도를 확인 하였다. 결과: IV-PCA의 조기 중단률은 6% (상지 8.3 %, 하지 5.7 %)였다. 단변수 분석에서 연령, 수술 부위, 수술 분류, 마취 방법, PCA사용 시간, 만족도 및 부작용이 조기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상지 수술의 조기 중단이 하지 수술보다 높았고(p=0.005, odds ratio [OR]=1.78), 소수술이 대수술보다 높았다(p=0.002, OR=2.029). 하지 수술에서 조기 중단의 가장 흔한 이유는 부작용(71.5%)이고, 상지 수술에서는 환자의 단순 거부(41.7 %)로 확인되었다. 결론: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한 IV-PCA의 조기 중단이 하지 수술보다 상지 수술에서 더 빈번하며, 상지 수술의 경우 환자의 단순거부 또는 퇴원으로 인한 조기중단의 비율이 하지 수술보다 더 높았다. 상지 수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IV-PCA 외에 더 적절한 신경차단(neuroaxial anesthesia)와 같은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of early cessation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after orthopedic surgery, and the difference in frequency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and type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early cessation of IVPCA. Materials and Methods: Based on the medical records of 2,915 patients using PCA after orthopedic surgery from October 2018 to February 2020, sex, age, smoking status, surgical site, operation name, anesthesia method, PCA usage time, satisfaction, side effects, early discontinuation and the reason of early discontinuation were assessed. Orthopedic surgery was classified into major surgery and minor surgery, and the surgical site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limb, lower limb, and spine. The reasons for discontinuation were side effects, patient rejection, and discharge. The factors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were identified by univariate analysis, and the degree of each factor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was confirm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early discontinuation rate of IV-PCA was 6% (upper limb: 8.3%, lower limb: 5.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age, surgical site, surgical classification, anesthesia method, PCA usage time, satisfaction, and side effects as factors affecting early discontinuati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arly discontinuation of the upper limb surgery was higher than the lower extremity surgery (p=0.005, odds ratio [OR]=1.78). Moreover, that the early discontinuation of minority surgery was higher than that of major surgery (p=0.002, OR=2.029). The most common reason for early discontinuation in lower extremity surgery is the side effects (71.5%), whereas patient rejection was the major reason in upper limb surgery (41.7%). Conclusion: Early cessation of IV-PC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was more frequent in upper extremity surgery than lower extremity surgery. The rate of early discontinuation due to simple rejection or discharge of patients was higher in the upper extremity surgery than lower extremity surgery. Therefore, methods such as neuroaxial anesthesia should be considered for pain control after upper limb surgery rather than IV-PCA.

      • KCI등재

        편도적출술 후 회복에 자가통증조절법은 효과적인가?

        권중근,정혜수,서병삼,박기철,양진석,남정권,김재광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5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8 No.7

        Background and Objectives: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on post-tonsillectomy pain for the first two weeks of operation, and its effects on the postoperative bleeding and the pain duration. Subjects and Method:In a prospective group study, 43 patients with tonsillectomy were studied. PCA was applied for 48 hours after surgery. Pain scores, postoperative bleeding, and pain duration were compared. Results:PCA reduced postoperative pain during the time it was appled but pain was worse after disconnec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garding postoperative bleeding and recovery time. Conclusion:PCA could effectively control the post-tonsillectomy pain only during its application period. It was not helpful for long term pain control, pain duration, or post-tonsillectomy bleeding. Other long lasting and effective pain control method should be administered to reduce post-tonsillectomy pain during the recovery period.

      • KCI등재

        수술 후 첫 48시간 동안의 수술후 통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윤신,손재순,윤혜상 기초간호학회 2014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6 No.3

        Purpose: This p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acute postoperative pain (APP) ≥4 and the risk factors of APP≥ for the first 48 hours after surgery. Methods: Data from 531 surgical patients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09 to May, 2010. APP was assessed from the time of arrival at the Post Anesthetic Care Unit (PACU) to the end of the post-operative 48 hours. Risk factors of APP≥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incidence of APP ≥4 was 58.8% for the first postoperative 4 hours; 33.5%, 24 hours; 11.1%, 48 hours. The score of pain was 5.55, the highest on arriving at PACU; 5.03 at postoperative 30 minutes; 4.03 at 1 hour; 3.96 at 4 hours; 2.76 at 24 hours; 1.44 at 48 hours Risk factors for APP ≥4 were females (Odds ratio [OR], 1.94; p=.013), general anesthesia (OR, 4.29; p<.001) and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OR, 2.83; p<.001) at 4 hours after operation; body mass index (BMI) ≥25 (OR, 1.80; p=.009), duration of surgery ≥1 hour (OR, 2.87; p=.037), general anesthesia (OR, 3.99; p<.001) and PCA (OR, 6.23; p<.001) at 24 hours; general anesthesia (OR, 3.53; p=.003) and PCA (OR, 3.01; p=.013) at 48 hours. Conclusion: Surgical patients with BMI ≥25, PCA and general anesthesia seem to have a higher incidence of pain ≥4 through the first postoperative 48 hours.

      • KCI등재후보

        성인 편도수술 환자에서 정맥 내 자가 통증 조절법의 유용성

        문지승,정성훈,구수권,문미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5 임상이비인후과 Vol.26 No.2

        Background:Post-tonsillectomy pain control is clinically important in otolaryngologic fiel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he safety of intravenous patients-controlled analgesia (IV PCA) after tonsillectomy in adults compare to non 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s (NSAIDs). We also evaluate sexual differences in severity of postoperative pain and in response toward analgesics. Methods:In total, 40 patients underwent tonsillectomy due to frequent tonsillitis were enrolled. After subdivide patients into IV PCA group (Remifentanil 1 mg, 10 men and 10 women) and NASIDs group (Diclofenac sodium 75 mg, 10 men and 10 women), we compare postoperative pain during postoperative 3 days. Results:IV PCA group had significantly less pain at postoperative first, second and third day compared to the group using the NSAIDs (p<0.05). In IV PCA group, postoperative pain decreased more rapidly than NSAIDs group. Women complained more severe pain compared to men in both groups (p<0.05). Conclusions:IV PCA is more effective to control pain compared to NSAIDs in adult tonsillectomy patients. Women felt more intense pain than men. It is important find a suitable postoperative pain contro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