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부의 임신 중 음주 발생 관련 요인

        도은영 ( Do Eun Young ),홍연란 ( Hong Yeon R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3

        본 연구는 최근 여성음주자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임신 중 음주가 문제시 되고 있어서 임신 중 음주정도와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해보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2008년 5월 7일부터 20일까지 광주시에 거주하고 산부인 과와 보건소를 방문한 임신부 총 17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AS version9.1.3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부의 14.45%가 임신 중 음주를 하고 있었으며, 모친의 음주문제, 첫음주 시기, 임신전 음주, 임신 중 음주에 대 한 태도, 산전 음주예방교육의 필요성, 음주기대가 임신 중 음주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최종 확인한 임신 중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임신 중 음주에 대한 태도(OR=0.15, p<.02), 산전 음주예방교육의 필요성(OR=.365, p=.01), 임신전 음주정도(OR=2.18, p=.0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 초로 임신 중 음주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임신 중 음주 관련 요인들을 고려 해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임신 중 음주실태와 관련 변인에 대해 다른 지 역의 임신부들을 대상으로 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가임기여성과 임신부를 대상으로 임 신 중 음주에 대한 관련 지식 및 태도를 포괄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임신 중 음주를 예방하기 위한 대중매체 등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및 홍보의 필요성이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some scopes that are need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ng drinking during pregnancy. Specifically, the factors affecting on pregnant women`s alcohol use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between May 7 and May 20 of 2008 wit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sample consisted of 173 pregnant women in G city. Among the respondents, 14.45% were found to have used alcohol during pregnancy. Alcohol dependancy in mothers(r = .20, p<.01), drinking during pre-pregnancy (r = .37, p<.01), first drinking time(r = -.17, p = .02), attitude towards drinking during pregnancy(r = -.36, p=<.01), necessity of drinking-prevention education during pre-pregnancy(r=.23, p<.01), alcohol expectancy(r = .14, p = .04)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edictors are the attitude towards drinking during pregnancy(OR=.15, p<.01), necessity of drinking-prevention education during pre-pregnancy(OR=.37, p<.01), and frequency of drinking during pre-pregnancy(OR = 2.18, p = .02). To effectively prevent drinking of pregnant women, surveys should be carried out repeatedly and policies such as education for prohibiting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on public broadcasting program need to be installed.

      • KCI등재

        낙태죄 ’폐지’를 말하는 이유

        김정혜(Kim, Jeong-Hye) 한국여성연구소 2019 페미니즘 연구 Vol.19 No.1

        국가는 임신중단을 범죄화하고, 대부분의 임신중단이 불법화되는 현실을 외면해왔다. 낙태죄를 유지함으로써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한편 낙태죄를 적용하지 않음으로써 법과 현실의 괴리를 우회하고자 하였다. 그러는 와중에 낙태죄는 다양한 차원에서 여성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사실적 규범력을 발휘하였다. 낙태죄가 여성들에게 실질적 위협이 되면서 사회적 인식은 질적 전환기를 맞았다. 과거처럼 인공임신중절의 규제 ‘완화’에 그치지 않고 임신중단의 비범죄화, 재생산권 보장, 재생산 정의 실현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확대되었으며, 이러한 여론 변화에 힘입어 헌법재판소는 낙태죄의 위헌성을 인정하는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이 논문은 헌법재판소 결정 이후 법 개정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법과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임신중단권 보장의 법적 근거와 임신중단권의 내용을 살펴보고, 임신중단권이 평등 보장을 위해 필요한 권리임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낙태죄와 「모자보건법」 상 ‘인공임신중절수술의 허용한계’ 조항을 분석하여 국가가 선별하는 허용 사유, 허용 사유 및 기한의 협소함, 제3자의 의사에 좌우되는 처벌, 혼인 관계내의 임신만을 전제, 허용 사유 및 기한 등 입증할 수 없는 요소를 근거로 한 처벌이라는 측면에서 법의 한계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그간 논의되어온 법 개정 대안들을 검토하였다. 사회•경제적 사유, 일정 기간 내 임신한 여성의 요청만으로 인공임신중절을 허용하는 기한규제 방식의 도입, 인공임신중절 금지 기간, 허용 사유 확인 등 절차적 요건의 한계를 분석하고 배우자, 태아의 친부 또는 미성년자의 보호자 등 제3자에게 동의권을 부여하는 것의 문제점을 검토함으로써 인공임신중절 허용 범위의 확장을 넘어 낙태죄 폐지와 임신중단권 보장의 필요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가가 임신중단의 범죄화로부터 안전한 임신중단 보장, 원치 않는 임신의 감소, 여성의 건강 보장 강화로 정책의 방향을 돌려야 하며, 이후 개정법은 ‘임신한 여성의 결정권을 인정하고, 재생산 건강 보장과 몸의 완전성의 권리를 위하여 안전한 임신중단을 지원한다’는 이념에 따라 마련되고 해석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In South Korea, most cases of abortion had been considered illegal. Government criminalized abortion to justify the morality and has not punished women who have committed abortion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law and reality. Meanwhile, anti-abortion law has negative impacts on women’s health and practical normative power. Women had to take care of themselves, having no support or interest from government. The anti-abortion law has long been criticized for allowing abortion only under exceptional circumstances. In the meanwhile, jurisprudence has defined abortion as a conflict between the fetus’ right of life and a pregnant woman’s right of self-determination. In such conflict, the issue of abortion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because the fetus’ right of life has been considered more significant. Recently, however, social awareness of abortion rights is undergoing a qualitative change.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e criminalization of abortion unconstitutional as of April 11th, 2019. Additionally, among the civil societies, not only the request to mitigate restriction but also calls for the abolition of anti-abortion law, the guarantee of reproductive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reproductive justice are rising. After this decision, anti-abortion law must be revised by the end of 2020. This article criticized the Korean anti-abortion law for the reasons that the fetus’s right of life is over-emphasized, that the reason for abortion is narrow and time period is short, that all pregnancies are considered within the marriage relationship, that the punishment of women depends on a third party, and that the reason of abortion and the duration of pregnancy cannot be objectively demonstrated. I looked into the critical points of alternatives that have been discussed for revising anti-abortion law so far: social and economic reasons, trimester limitations, prohibition of postviability abortion, procedural requirements, and third-party(spouse or parents) consent requirements. Then I insisted the need of complet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and guarantee abortion rights. Finally, I argu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the direction of abortion policy to safe abortion, reducing unwanted pregnancy, and ensuring women’s health from criminalization of abortion, also should observe the principle that ‘government should admit women’s right to decide and support safe abortion for the right to bodily integrity and reproductive health of women’.

      • KCI등재

        한국 유배우 여성의 인공임신중절의 실태 및 결정요인

        은기수(Ki-Soo Elun),권태환(Tai-Hwan Kwon) 한국인구학회 2002 한국인구학 Vol.25 No.1

        이 연구는 한국의 인공임신중절의 실태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한 2000년 전국 출산력 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의 유배우 여성들의 인공임신중절율 및 인공임신중절경험율을 여러 독립변수에 따라 분석하고 있다. 한국의 유배우 여성들이 인공임신중절을 행하는 가장 큰 이유는 원하지 않는 임신을 한데서 시작된다. 그러나 원하지 않는 임신이라고 모두 인공임신중절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인공임신중절은 한국 사회에서 단산이나 터울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임신중절을 택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해서 첫 인공임신중절을 택한 가장 큰 이유는 혼전임신으로 밝혀지고 있고, 그 다음으로 중요한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인공임신중절을 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current situation and determinants of induced abortion in Korea. Using 2000 National Fertility Survey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is study finds that induced abortion rate is rapidly declining so that the role of induced abortion in determining the level of fertility has disappeared. The fundamental reason for resorting to an induced abortion for Korean women is to avoid unwanted birth. Thus, we find that induced abortion is usually taken by Korean women for the purpose of limiting family size and spacing births as in any other countries. Premarital pregnancy and economic hardship are also important reason for taking an induced abortion, especially for the first time abortion.

      • KCI등재

        임신 개월별 정상 임신부의 체중증가에 관한 연구

        임재희 ( Jae Hi Ihm ),김화원 ( Hwa Won Kim ),김영신 ( Young Sin Kim ),나혜영 ( Hae Young La ),강창성 ( Chang Seong Kang ),박성철 ( Sung Chul Park ),김영제 ( Young Jae Kim ),박종규 ( Jong Kyou Park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2

        연구목적:임신개월별 체중증가의 평균, 표준 편차 및 백분위수를 구하고, 임신전 신체질량지수군 및 출산력의 영향을 평가한다. 방법:2001년 7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한일병원에서 만삭 분만한 건강한 단태임신 산모 876명의 임신 개월별 체중 자료를 임신전 신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3개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과:임신 개월별 체중증가의 평균, 표준 편차 및 백분위수는 Table 2와 같았고, 임신 개월별 체중증가는 "Sigmoid(S)"형 성장곡선을 나타냈다. 임신 5개월 및 7개월 이후에서 경산모군에서 초산모군 보다 체중증가가 적었고, 임신 4개월 이후에서 임신전 신체질량지수 군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출산력 및 나이에 의한 요인을 보정하더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임신전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주의 깊은 산전관리를 통해 적정한 임신체중 증가를 유도하여 비정상적인 임신체중 증가와 관련된 여러 가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Mean weight gains,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for each gestational months and the 10th, 25th, 50th, 75th, and 90th percentiles were determined. And the influence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or parity on monthly weight gain was investigated. Methods:We analyzed the monthly weight gain data from 876 women who had healthy sigleton term pregnancy in Han-il Hospital(Jul 2001-Jun 2002). Data were categoriz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Results:The monthly weight gain table has been determined and `Sigmoid(S) shaped` monthly weight gain curve was presented. Primipara and multipara have less weight gain than nullipara in the 5th and the 7th-11th months. Monthly weight gains adjusted for parity and a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groups from the 4th month. Conclusions:More careful prenatal care according to the monthly weight gain-gestational month tables is needed to prevent a lot of complication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abnormal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 KCI등재

        임신차별금지의 포괄성의 실효성

        이숙진(Lee Sook-jin) 한국여성학회 2003 한국여성학 Vol.19 No.3

        ‘임신’차별은 여성에게만 발생하는 ‘임신’이라는 행위에 의한 직접적인 성차별의 대표적 유형이다. 본 연구는 여성노동관계 법률이 ‘임신’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법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임신ㆍ출산이 여성고용의 지속에 가장 큰 장애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임신차별 해소가 어떻게 가능할지에 대한 답을 찾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논의는 먼저, 고용상의 직접적인 임신차별에 대한 논의의 확장을 목적으로 임신차별에서의 개념적 포괄성과 간접 차별 적용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이러한 논의를 적용하는 호주의 사례를 통해 그 실효성을 찾아보았다. 임신차별은 남성과의 비교가 가능하지 않은 직접적 성차별이기도 하지만, 차별판단에 요구되는 비교의 기준을 충족하는 간접 차별일 수 있다. 중립적 대우가 불균등한 결과를 가져오는 간접차별 개념에 근거하여 특정한 요구(special needs)를 돌보는 것에 대한 실패로 결과되는 차별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임신차별 금지의 실효성은 육아휴직으로 인한 불이익과 비정규직의 모성보호 문제의 해결을 모색해야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잠재적 임신을 포함하여 비정규직에 대한 임신차별금지의 구체적인 정보와 판례들을 제시하는 호주는 실질적인 임신차별금지의 주요 사례가 되고 있다. Pregnancy discrimination is one of the common types of direct sex discrimination applying only to women based on the pregnancy. This study aimed to answer and resolve the problem of pregnancy discrimination. Ironically, the Labor Law in Korea prohibits such discrimination, fostering doub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law. Towards this end, this study considered the conceptual comprehensiveness of 'pregnancy' and the applicability of indirect discrimination. Examples from Australia where indirect discrimination is openly discussed were then reviewed to determine its applicability. In this study, pregnancy discrimination was described as a direct sex discrimination that is not applicable to males. It also considered indirect discrimination, which satisfies the criteria for discrimination. In other words, pregnancy discrimination can be explained as discrimination resulting from the failure to take care of special needs based on indirect discrimination, since unequal consequences may be brought about by the neutral treatment of both sexes. Even though the mother can pass on some of her responsibilities to a caregiver, the predominant social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require that a child be nurtured by his or her mother. Therefore, unless there is a dramatic change in the social norms, the social obligation and duty of raising children still lie with women. The social obligation of raising children, in addition to pregnancy and childbirth, usually result in the discontinuance of employment. If reproduction is assigned to women only, and they are at a disadvantageous position because they have the responsibility of raising children, indirect discrimination is said to occur. Of course, if there is any sexual distinction or disadvantage for men in using the maternity leave for childcare, this shall be treated in the same manner.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has brought in plenty of temporary female employees. It is unfavorable enough for women to be temporary workers as well. Thus, maternity protec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a great number of temporary female workers. Only then can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law systems be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pregnancy and childbirth as a prohibited discrimination type, sever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one, the nationwide situation of distinction against pregnancy and childbirth should be accurately grasped. At the very least, a concrete guide that can tell what kinds of behaviors will fall under discrimination should be established. Likewise, cases of indirect discrimination, i.e., treating people unfairly based on gender-sensitized standards, which are gradually getting obscure and complicated, should be identified. Naturally, those standards of judgment should be made more precise. Thus, research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maternity leave for childcare and the situation of temporary female workers should be conducted beforehand. Australia has published guidelines on the application of such indirect discrimination and the prohibition of pregnancy discrimination. It also offers concrete information and judicial precedents on the prevention of pregnancy discrimination against irregular female workers including potential pregnancy. Indeed, the country practices the actual prohibition of pregnancy discrimin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임신한 교사와 함께 생활하는 교사, 원감, 원장의 어려움

        안유리,이대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vice-directors, and directors working with pregnant teachers in the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o analyze their effort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in the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in developing the ways to support pregnant teachers. Six teachers, 5 head teachers, 2 vice-directors, and 3 directors who worked with the pregna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s. The first difficulty teachers and directors working with pregnant teachers was that they felt a sense of burden because their workload increased by helping pregnant teachers. Second, they were concerned about pregnant women miscarrying. Third, in particular, the non-married teachers felt the limitation of helping because they did not have an experience with pregnancy. Fourth, as pregnant teachers tended to be sensitive in body and mind, there were both small and big conflicts among the pregnant teachers and the other teachers, principals. Finally, recruiting instructors to replace pregnant teachers was also perceived as a difficulty when the pregnant teachers went on maternity leave. The other teachers also made various efforts to cope with the difficulties of working with the pregnant teachers. First, they helped the pregnant teachers in many ways, and second, they tried to understand the pregnant teachers' position by changing their own positions. Third, they tried to change their schedule to help the pregnant teachers with the information about pregnancy. Fourth, they felt pity for pregnant teachers who carried on working despite their changing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Finally, they tried to care for the pregnant teachers by making regulations for pregnant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임신한 교사들과 함께 생활하는 교사, 원감, 원장들이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해 나가고 있는지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으며, 궁극적으로 임신한 교사들을 위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임신한 교사와 함께 생활하는 교사 6명, 부장교사 5명, 원감 2명, 원장 3명 총 1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임신한 교사와 함께 생활하는 교사, 원감, 원장의 어려움으로는 첫째, 임신한 교사의 일까지 돕게 되면서 자신에게 부가되어지는 일이 늘어나게 것에 대한 부담감, 둘째, 임신한 교사의 유산에 대한 두려움, 셋째, 처녀 교사들이 임신 경험이 없어 임신에 대한 지식이 부족함으로 인해 임신한 교사를 돕는 데 한계를 느끼고 있었다. 넷째, 임신한 교사의 몸과 마음이 예민해짐으로 인해 그들과의 관계에서 크고 작은 갈등도 겪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임신한 교사들이 출산 휴가를 가게 되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강사를 구하는 것에도 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임신한 교사와 함께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노력으로는 첫째, 몸과 마음으로 열심히 도와주고 있었으며 둘째, 임신한 교사의 입장과 자신의 입장을 바꾸어서 생각하며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였으며 셋째, 임신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수집하여 그들의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스케줄을 조절하여 임신한 교사들을 효율적으로 도와주려고 노력하였다. 넷째, 무겁고 힘든 몸을 이끌고 일을 해나가는 교사들을 불쌍하게 여기기도 하였으며 다섯째, 기관 내에서 임신한 교사를 위한 규정을 만듦으로써 임신한 교사들을 최대한 배려해 주려는 노력 또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임신부의 임신개월 수에 따른 체형변화와 특징( I )

        김현순 대한미용학회 2014 대한미용학회지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pregnant women bodies around pregnant month, whose month undergoes physicalalterations on their body shapes, and to reveal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measurements. Thirtyone women from three to fifth month were measured using Martin’s anthropometric instrument on 49 items. The measures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statistical analyses used in this study was SPSS. This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follows. The items which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were bust width, under bust width, bust depth under bust depth, sittingwaist depth, sitting omphalion depth, bust girth, under bust girth, waist girth, sitting waist girth, sitting omphalion girth. The anterior part of waist and abdominal sections projected forward gradually, so remarkably as to become to look like around, at fifth month. Pregnant women change special alteration, which is depends on period of the pregnancy in physicalphase. The early period of pregnancy, which is from first month to 3 months, do not show significant alteration. However,pregnant woman’s body has been changed in the half period of pregnancy, which is from 4 to 5 months. Accordingly,management of Maternity has been increased after 5 months period of pregnancy, which period reveals information aboutphysical alteration of pregnant woman’s body shape. 임신부의 임신개월 수별 신체변화에 따른 체형특성을 임신 3개월부터 임신 5개월까지의 임신전반기 초임부를 대상으로 인체 측정하여 임신부 체형변화와 특성을 분석하고제시하였다. 임신 3개월부터 임신 5개월까지의 임신부는 임신에 의한생리학적 변화뿐만 아니라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된다. 이 시기의 임신부가 경험하는 체형변화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높이항목 중 젖가슴아래높이, 앞허리높이, 배꼽높이, 복부높이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났으며, 너비항목은 젖가슴너비, 젖가슴아래너비, 허리너비, 복부너비 항목에서 유의한증가가 나타났다. 두께항목은 젖가슴두께, 젖가슴아래두께,허리두께, 앉은허리두께, 배꼽수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두께, 복부두께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둘레항목은 젖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둘레, 앉은허리둘레, 배꼽수준허리둘레,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복부둘레, 엉덩이둘레, 앞허리호, 복부호, 엉덩이호 항목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길이항목은 등길이와 샅위앞뒤길이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특히, 임신 4개월에 젖가슴너비, 젖가슴아래너비, 젖가슴두께, 젖가슴아래두께, 앉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둘레, 복부둘레, 엉덩이둘레 항목에서 현저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임신 5개월에는허리두께, 앉은허리두께, 배꼽수준허리두께, 앉은배꼽수준허리두께, 젖가슴둘레, 젖가슴아래둘레, 허리둘레, 앉은허리둘레 항목에서 현저한 증가가 나타났다. 이는 임신에 따른 체형의 변화로 젖가슴, 허리, 복부부위의 임신에 의한 전반적인 비만화의 시작으로 볼 수 있으며, 젖가슴 부위의 현저한증가는 임신 개월 수 경과에 따른 유방크기의 증가와 체중증가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임신 5개월에 두께와둘레 항목에서 항목 간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임신의 경과에 따른 태아의 성장에 의한 모체의 변화로 젖가슴, 허리, 배 부위의 돌출은 임신 5개월부터 체형의 후신화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 KCI우수등재

        저출산 시대의 혼전임신 현황과 사회경제적 결정요인

        김근태 비판사회학회 2023 경제와 사회 Vol.- No.138

        지난 수십 년 동안 한국 사회는 저출산·고령화로 대표되는 급격한 인구 구조의 변화를 겪고 있다. 동시에 가족 형성과 관련된 문화도 빠른 속도로 변화해 왔는데, 그중에서도 혼전임신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혼전임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특히 사회경제적 자원의 차이에 따른 혼전임신 가능성의 격차에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이 연구에서는 통계청 「인구동향」 조사 자료를 활용해 혼전임신의 현황과 변화 추이를 파악했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1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를 이용해 혼전임신의 결정요인을 분석했다. 결과에 의하면 혼인 건수와 혼전임신 비율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지만, 교육수준별로는 고졸 여성이 가장 높은 혼전임신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2010년 이후 고졸 여성과 대졸 여성의 혼전임신 비율 격차가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20대 초반에 혼인한 여성들의 혼전임신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지만, 30대 후반 이후에 혼인한 여성들 중 혼전 임신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산시간 사건사 분석 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교육수준이 증가할수록 혼인 후 임신 가능성이 단선적으로 감소하지만, 혼전임신의 가능성은 대졸 여성에서만 유의미하게 낮아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출산 시대에 혼전임신의 메커니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인구학적 행위들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임신 흰쥐 콩팥에서 HCO₃- 조절에 관한 연구

        마양래(Yang Rae Ma),이송은(Song Eun Lee),조혜정(Hye Jung Cho),남광일(Kwang IL Nam),배춘상(Choon Sang Bae),김백윤(Baik Yoon Kim),박성식(Sung Sik Park),안규윤(Kyu Youn Ahn) 대한해부학회 2006 Anatomy & Cell Biology Vol.39 No.3

        임신모체의 장기에 생리학적 변화가 온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콩팥에서는 혈역학, 수분 및 산-염기 평형에 변화가 예상된다. 산-염기 평형장애나 전해질의 불균형은 신요세관에서 HCO₃- 재흡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흰쥐 콩팥에서 임신기간에 따른 Na+/H+ exchanger-3 (NHE-3), Na+/HCO₃- -cotransporter (NBC) 및 Carbonic anhydrase (CA) I과 II 단백의 콩팥내 발현 및분포의 변화를 Western 분석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관찰하고자 한 것이다. Western 분석 소견에서 NBC 단백은 110 kDa 정도이고, 임신 12일에 최대의 발현을 보였고 그 외 시기에서는 비임신보다 약간 증가하였다. NHE-3 단백은 83 kDa 정도이고, 임신 12일과 14일에 최대의 발현을 보였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으나 비임신 보다는 약간 증가하였다. CA I 단백은 30 kDa 정도이고, 임신중에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14일에 가장 적게 발현되었고 임신 19일에는 비임신과 유사하게 발현되었다. CA II 단백은 30 kDa 정도이고, 비임신이나 임신 시기와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현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소견에서 NBC 단백은 비임신 콩팥의 토리쪽세관 S1과 S2 부위에서는 강하게 발현되었으나, S3 부위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각 임신시기의 면역반응 부위는 비임신과 차이가 없었으나 면역반응성은 임신 12일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 외 시기에서의 면역반응성은 비임신보다 약간 증가하였다. NHE-3 단백은 비임신 콩팥의 토리쪽세관 상피세포 중 S3 부위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S1과 S2 부위에서는 중등도로 발현되었다. 각 임신시기의 면역반응 부위는 비임신과 차이가 없었으나 면역반응성은 임신 12일과 14일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 이후 감소하였으나 비임신 보다는 약간 증가하였다. CA I과 II 단백은 비임신 콩팥의 겉질집합관, 바깥속질집합관 및 속속질집합관의 상 1/3에서만 발현되었다. 집합관에서의 면역반응성은 A형 사이세포가 가장 강했으며 B형 사이세포는 중등도였다. 각 임신시기의 CA I과 II에 대한 면역반응 부위는 비임신과 차이가 없었다. CA I의 면역반응성은 임신중에 겉질집합관에서만 감소하였는데 임신 14일에 가장 미약하였고 임신 19일에는 비임신과 유사하였다. CA II의 면역반응성은 비임신이나 임신 시기와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이상의 소견으로 임신기간 중 혈액내 HCO₃- 농도유지는 콩팥 토리쪽세관에서의 NBC와 NHE-3 단백발현과 겉질집합관에서의 CA I 단백발현의 조절에 의해서 이루어 질 것으로 생각되었다. The marked hemodynamic and hormonal changes of normal pregnancy are associated with striking alterations in renal physiology involving structure, dynamics, tubular function, and volume homeostasis. A number of acid-base or electrolyte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decreased or increased HCO₃- reabsorption in the renal tubules.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alterations of expression and distribution of Na+/HCO₃- cotransporter (NBC), Na+/H+ exchanger-3 (NHE-3), and carbonic anhydrase I and II (CA I, II) proteins in the kidneys of non-pregnant (NP) and pregnant rat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Sprague-Dawley female rats were studied on days 10 (P 10), 12 (P 12), 14 (P 14), 17 (P 17), and 19 (P 19) of pregnancy. Western blo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of NBC, ~110 kDa at molecular mass, was increased in pregnant rats, particularly P 12, compared with NP rat. The expression of NHE-3, ~83 kDa at molecular mass, was increased in pregnant rats, particularly P 12 and P 14. The expression of CA I, ~30 kDa at molecular mass, was decreased in pregnant rats, particularly P 14, but, CA II protein, ~30 kDa at molecular mass, was similar NP rat. In immunohistochemistry, strong immunoreactivity of NBC of NP rat was exclusively detected in the basolateral membranes of S1 and S2 segment of proximal tubules whereas not in S3 segment. In pregnant rats, the pattern of cellular labeling of NBC was identical to that of NP rat, but signal intensity was increased, particularly P 12. In NHE-3, strong immunoreactivity was detected in apical membranes and brush borders of S3 segments and moderate in S1 and S2 segments. In pregnant rats, the pattern of cellular labeling was identical to that of NP rat, but the signal intensity was increased, particularly P 12 and P 14. Expression of CA I and II proteins was detected in entire collecting duct. Signal intensity was prominent in type A intercalated cells and moderate in type B intercalated cells. In pregnant rats, the pattern of cellular labeling of CA I and II proteins was identical to that of non-pregnant rat, but the signal intensity of CA I was decreased in cortical collecting duct, particularly P 14 and CA II was identical to that of NP ra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gulation of NBC and NHE-3 expressions in the proximal tubules and CA I expression in cortical collecting duct may maintain HCO₃- concentration during the pregnanc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