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투자조약중재에서 임시적 처분 결정의 사례에 관한 연구

        최성수(Choi, Sung S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연구 Vol.59 No.2

        투자조약중재를 포함하여 중재절차도 소송절차처럼 그 개시부터 종료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그 기간 동안 권리관계의 변동이나 물건의 형상의 변화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한다. 이 과정에서 당사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방법이 임시적 처분이다. 대부분의 각국의 중재법과 중재관련 협약, 중재규칙 등에서 임시적 처분을 규정한다. 투자조약중재에 관한 ICSID 협약 제47조와 중재규칙 제39조에서 임시적 처분을 규정한다. 여기서 임시적 처분의 형태를 규율하지는 않고 중재판정부는 사정상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임시적 처분을 권고할 수 있다고 한다. 본고에서는 담보제공의 임시적 처분을 신청한 사건에서 이를 기각한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협약과 중재규칙의 임시적 처분에 관한 규정의 해석론을 살펴보았고, 개선점도 검토하였다. 투자조약중재에서 임시적 처분을 인정한 사례는 기각한 사례에 비하여 적다. 특히 이 사건에서 문제되는 중재비용 담보제공을 허용한 사례는 드물다. 이 사건에서 소송비용이 지급되지 않을 것이라는 막연한 가설적인 전제에 근거한 담보제공 신청은 기각되었다. 이 사건의 중재판정부는 담보제공을 허용하기 위한 필요성, 긴급성, 비례성 등 조건을 정치하게 제시하고 있고 투자자의 투자조약중재제도의 이용을 원만하게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타당하다. 협약의 규정상 임시적 처분을 권고하는 수준으로 규정이 되어 있는데 구속력을 명확하게 하는 의미에서 명령 등으로 표현된 다른 입법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협약에 임시적 처분의 형태를 열거하여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제고하는 방안과 아울러 임시적 처분의 집행에 관한 규정도 다른 입법례에 따라서 신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rocedures of arbitration including investment arbitration take time from beginning to end. During that time, there are a variety of variables, including changes in the relationship to rights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goods. In this process, one of the institutional methods to protect the rights of the parties is a provisional measures. The provisional measures are defined in most countries’ arbitration laws, the relevant conventions and arbitration rules. ICSID Convention Article 47 and ICSID Arbitration Rule 39 deals with the power of a Tribunal to recommend provisional measures. But ICSID Convention and Arbitration Rule does not regulate the types of provisional measures. This article reflected the case where the application for the provisional measures of security for costs was denied. In this process,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47 of the ICSID Convention and ICSID Arbitration Rule 39 was reviewed, and the improvement of ICSID Convention related to provisional measures also considered.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the arbitral tribunal of the investment arbitration granted provisional measures is fewer than those of the rejected. In this case, application for a security for costs based on the vague premise that the costs will not be paid was denied. The tribunal in this case provides the concrete conditions to permit the provisional measures just like necessity, urgency and proportionality. Under the rules of ICSID Convention, it is prescribed to recommend provisional measures by the tribunal, but it is necessary to refer to other arbitration rules which is expressed just like ordering provisional measures in the sense that the binding of the tribunal’s decision is more clarified. We need to consider to list the types of provisional measures in ICSID convention for enhancing th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and to put the clauses of enforcement of provisional measures in ICSID convention in accordance with other arbitral law and rules.

      • KCI등재

        중재인의 임시적 처분 및 이에 대한 법원 역할의 비교법적 분석

        이규호(Lee, Gyooho) 한국국제사법학회 2017 國際私法硏究 Vol.23 No.1

        2016년 중재법과 대한상사중재원의 국제중재규칙 및 국내중재규칙이 개정되었다. 2016년 개정된 중재법, 중재규칙 및 국내중재규칙의 주요 내용중 하나는 중재인의 임시적 처분에 관한 것이다.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과 법원의 보전처분이 경합하는 경우 또는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을 법원이 집행해야 하는 경우 등에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에 대한 법원의 역할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2016년 개정된 중재법 및 중재규칙이 시행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쟁점 중 하나가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에 대한 법원의 역할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 여부다. 이 글은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에 대한 법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비교법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2016년 개정 중재법의 모델이 된 UNCITRAL 모델법 및 UNCITRAL 중재규칙을 고찰한다. 그런 다음, 영국, 미국, 싱가포르, 홍콩, 독일 등 각국의 중재법상 임시적 처분을 살펴본다. 아울러 이 글은 주요 국제중재기관이 적용하는 중재규칙상 임시적 처분에 대한 법원의 역할도 같이 분석한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중재협회의 중재규칙, ICC 중재규칙, LCIA 중재규칙을 중심으로 중재판정부와 법원의 권한 배분을 집중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한다. 이 글은 이 규칙들에서 임시적 처분을 내릴 중재판정부의 권한, 비용담보제공에 대한 규정, 임시적 처분의 방식, 중재인과 법원 간 권한 배분(특히 중재절차를 조력하여 임시적 처분을 명할 법원의 권한) 등을 살펴 본다. 이러한 비교법적 분석을 토대로 이론 및 실무상 고려할 사항을 제시한다. Arbitration Act of Korea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bitration Rules of KCAB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were amended in 2016. One of main revisions of the Korean Arbitration Act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Arbitration Rules of KCAB of 2016 regards interim measures of arbitrators. In cases where an interim measure of an arbitration board competes with a preliminary disposition of a court in the same case or in cases where the interim measure of the arbitration board needs to be enforced, the court’s role in effectuating the interim measure of the arbitration board should be stressed importantly. How the courts deal with the interim measures of the arbitration board is one of important issues which may occur while the revised Arbitration Act and Arbitration Rules of 2016 are effective. This Article focuses on a comparative study on interim measures of arbitrators to delve into the courts’ attitude or position toward interim measures of arbitrators. For this purpose, at the outset, this Article explores UNCITRAL Model Law, which the Korean Arbitration Act was modelled after, and UNCITRAL Arbitration Rules. Afterwards, It discusses interim measures under Arbitration laws of several countries such as UK, USA, Singapore, Hong Kong, and Germany. Also, it analyzes the courts’ role in dealing with interim measures under Arbitration Rules of major international arbitration institutions. In this context, it examines allocation of power between courts and arbitration boards under AAA Arbitration Rules, ICC Arbitration Rules, and LCIA Arbitration Rules. It scrutinizes the power of an arbitration board to issue an interim measure, provision of security for costs, the method of interim measures, allocation of power between arbitrators and courts.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 theoretical and practical legal matters based on the foregoing comparative analysis.

      • KCI등재

        ICSID 중재의 임시적 처분 구속력과 미준수 효과에 관한 연구

        하현수 한국중재학회 2020 중재연구 Vol.30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binding power of the interim measures of the arbitral tribunal in ICSID arbitration and the effects of non-compliance. Upon consideration of the intentions of those who made these rules, give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of Article 47 of the ICSID Convention and Article 39 of the ICSID Arbitration Rules, it was found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interim measures made by the arbitral tribunal in ICSID arbitration were not binding. However, in actual ICSID arbitration, most arbitral tribunals approve the binding power of the interim measures based on the purpo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m measures. As such, there is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legislative intention for interim measures in ICSID arbitration and the judicial practice, but considering the demand for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the arbitration procedure,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interim measures are binding.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interim measures have binding power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that the party will comply with the interim measures. Thus, the binding power of interim measures not only encourages voluntary compliance to the interim measures of the party, but can also cause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party if it is not met. In other words, the arbitral tribunal will be able to form negative inferences against the party who does not comply with it in a procedural side, and in the practical side, the party who does not comply with the interim measures will be compensated for the additional damages for non-compliance. 본 연구는 ICSID 중재에서 중재판정부가 내린 임시적 처분의 구속력과 임시적 처분을 준수하지 않음에 따른 효과를 중심으로 하여 관련 내용을 살펴보았다. ICSID 협약 47조와 ICSID 중재규칙 제39조에 규정된 내용을 해석하고 이들 규정을 입안한 입안자들의 입안 의도만을 살펴본다면, ICSID 중재에서 중재판정부가 내린 임시적 처분은 구속력이 없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ICSID 중재에서 대부분의 중재판정부는 임시적 처분의 목적과 임시적 처분이 가지는 속성에 기초하여 임시적 처분의 구속력을 인정하고 있다. 이처럼 ICSID 중재에서의 임시적 처분에 대한 입법 의도와 사법 실무 간에는 일정한 거리가 존재하고 있으나, 중재절차의 완전성 유지에 대한 요구 등을 고려한다면 임시적 처분은 구속력을 가진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임시적 처분이 구속력을 가지는 것은 해당 당사자가 임시적 처분을 준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임시적 처분의 구속력은 해당 당사자의 임시적 처분에 대한 자의적 준수를 장려할 뿐만 아니라 이를 준수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 당사자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중재판정부는 절차적 측면에서 이를 준수하지 않는 당사자에게 불리한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실체적 측면에서는 임시적 처분을 준수하지 않은 당사자가 이를 준수하지 않음으로써 추가된 손해를 보상해야 한다는 판정을 나올 수 있다.

      • KCI등재

        2016년 중재법에 따른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민사집행법에 따른 보전처분과의 정합성에 대한 문제 제기를 포함하여-

        석광현 국제거래법학회 2017 國際去來法硏究 Vol.26 No.1

        Whether a party may seek interim measures from an arbitral tribunal varies from one country to another. While the Arbitration Acts of Korea before 1999 were silent on interim measures, the Arbitration Act of 1999 expressly provided that an arbitral tribunal may render interim measures pursuant to the request of a party by introducing the UNCITRAL Model Law adopted in 1985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Model Law”). In order to improve the regime of interim measures of arbitral tribunals, the UNCITRAL had amended the Model Law in 2006 and introduced Chapter IV A entitled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s” (“Amended Model Law”). The current Arbitration Act of Korea which took effect on November 30, 2016 (“Arbitration Act of 2016”) has accepted all the provisions from Article 17 to Article 17 J of the Amended Model Law except the provisions on preliminary orders. By accepting the Amended Model Law, the Arbitration Act of 2016 expanded the scope of interim measures, made concrete the types of interim measures, clarified various issues surrounding interim measures, and improved the enforceability of interim measures which had been regarded as a weak point of interim measures under the Arbitration Act of 1999. The reason Korea has introduced such amendment is to include arbitration friendly content in the Arbitration Act in order to make Korea more attractive to the partie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Such rationale should be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in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Arbitration Act of 2016. More concretely, the author deals with the issues in the following order: change of the Arbitration Act of Korea on interim measures (Chapter Ⅱ), the power of an arbitral tribunal to order interim measures and the scope and the types of interim measures (Chapter Ⅲ), conditions for granting interim measures (Chapter Ⅳ), whether ex parte interim measures are permissible (Chapter Ⅴ), modification, suspension or termination of interim measures (Chapter Ⅵ), provision of security (Chapter Ⅶ), costs and damages resulting from interim measures (Chapter Ⅷ), change of circumstances and the disclosure obligation of the applicant (Chapter Ⅸ),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terim measures (Chapter Ⅹ),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t-ordered interim measures and the interim measures of arbitral tribunals (Chapter Ⅺ) and the closing remarks. 당사자들이 중재판정부에 보전처분에 상응하는 잠정적 구제를 신청할 수 있는가에 대한태도는 입법례에 따라 다르다. 1999년 이전 중재법은 임시적 처분에 관하여 침묵하였으나, 1999년 중재법은 UNCITRAL이 1985년 채택한 “국제상사중재에 관한 모델법”(“모델법”)을수용함으로써 중재판정부가 임시적 처분을 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중재판정부의 임시적처분제도를 개선하고자 UNCITRAL은 2006년 모델법을 개정하고 제4장의2(Chapter IV A) 로 ‘임시적 처분과 사전명령’이라는 장을 신설하였다(“개정 모델법”). 2016. 11. 30.부터 시행된 현행 중재법(“2016년 중재법”)은 임시적 처분에 관한 개정 모델법 제17조부터 제17조J까지 조문 중 사전명령에 관한 조문을 제외한 나머지 조문을 수용하였다. 2016년 중재법은 개정 모델법을 수용함으로써 임시적 처분의 대상을 확대하고 종류를구체화하였으며, 임시적 처분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을 명확하게 하였고, 임시적 처분의 약점이던 집행의 문제를 개선하였다. 이러한 개정을 한 이유는, 국제거래에 참가하는 당사자들에게 한국을 중재지로서 더욱 매력적인 곳으로 만들자면 중재친화적인 내용을 중재법에담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16년 중재법의 해석과 적용에서도 그런 취지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구체적 논의순서는 아래와 같다. 임시적 처분에 관한 우리 중재법 조문의 변천(Ⅱ.), 중재판정부의 권한과 임시적 처분의 범위와 유형(Ⅲ.), 임시적 처분의 요건(Ⅳ.), 일방적 임시적 처분(ex parte interim measures)의 허용 여부(Ⅴ.), 중재판정부의 임시적처분의 변경, 정지와 취소(Ⅵ.), 임시적 처분에 대한 담보(Ⅶ.), 임시적 처분으로 인한 비용과손해배상(Ⅷ.), 사정의 변경과 신청 당사자의 고지의무(Ⅸ.), 임시적 처분의 승인 및 집행(Ⅹ.), 법원의 보전처분과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의 관계(Ⅺ.)과 맺음말(Ⅻ.).

      • 중국의 중재절차상 임시적 처분에 관한 연구

        이정선(Jungsun Lee),성성(Cheng Cheng)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5 아태경상저널 Vol.7 No.2

        임시적 처분이란 일반적으로 당해 분쟁이 종국적인 해결에 이르기까지 당사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구제수단이다. 예컨대, 중재절차의 진행 중에 패소당사자가 중재대상의 목적물을 처분하거나 재산을 도피시킨다면 중재판정은 실효성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나 긴급한 처분을 하지 않으면 회복할 수 없는 손해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므로 중재절차에서 당사자들의 지위를 보호하고 중재판정의 결과를 기다리는 동안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임시적 처분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현행 법제에 따라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 권한을 인정하지 않거나, 판정의 형태로 내려지더라도 이러한 잠정판정에 대한 승인 및 집행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다. 중국의 경우에는 임시적 처분의 권한을 중재판정부에 부여하지 않고 법원전속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중국의 중재절차상 임시적 처분과 관련한 특징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중국의 중재절차상 임시적 처분제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국내 기업들에게 유의사항 등을 제시하였다. The interim measure is a corrective measure aiming for protection of one party’s rights until the dispute settlement. For example, if party defeated get rid of or evade the object of arbitration under arbitration proceeding, the effectiveness of arbitral award is lost. However, because the irreparable loss will be occurred if the party won’t be able to do emergency disposition,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interim disposal in order to protect the position of the parties during period waiting for results of arbitral award. Nevertheless, the rights for interim disposal of arbitral tribunal won’t be allowed according to current legislation of each country. Moreover, even though the judgment is made, it often occurred that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terim awards won’t be allowed. In case of China, China adopts the exclusive of a court system without authorizing the rights for interim disposal to arbitral tribunal.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feature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interim disposal on the arbitral proceeding in China.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precautions related to interim disposal to Korean companies.

      • KCI등재

        투자중재기관과 법원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성숙(Jeong, Seong-Suk) 한국법학회 2022 법학연구 Vol.86 No.-

        중재절차가 진행되는 도중에 당사자가 대상목적물을 처분하거나 재산을 처분 내지 은닉시킨다면 중재판정은 아무 실효성이 없게 된다. 이에 중재판정부는 증거를 보전하거나, 자산을 보호하거나 또는 계류 중인 중재 자체 결과의 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각종 명령들을 내릴 필요가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재판정의 실효성과 집행가능성 그리고 중재절차의 신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조치의 하나로서 중재에서도 임시적 처분이 인정되며, 중재판정부의 구성전에 긴급한 보전 및 임시적 처분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위해 긴급중재인제도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중재판정부는 임시적 처분을 통하여, 긴급중재인은 긴급처분을 통하여 법원에 대한 잠정적인 명령을 내릴 수 있고, 그렇다면 국가의 핵심권능인 사법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재절차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임시적 처분을 통하여 성급하게 국가의 재판절차에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를 떨칠 수 없다. 그러한 이유로 본 논문에서는 중재판정부가 국가의 재판절차에 개입하기 위해 임시적 처분을 남용할 우려는 없는지, 임시적 처분에 의해 법원을 뛰어넘는 권한을 가지게 되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바, 임시적 처분의 근거와 전제조건을 언급한 후, 국가의 재판절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긴급중재인의 예를 들어 중재판정부와 법원 간의 관계가 검토된다. A state has the power to initiate legal proceedings in its territory. Under the temporary legal protection, it is nevertheless possible for investment courts to influence domestic legal proceedings. For example, they can order national court proceedings to be suspended by means of an anti-suit injunction. In doing so, they often justify provisional measures in relation to national courts, protecting the integrity of their own arbitration proceedings. They do not want to give national courts the opportunity to influence the arbitration procedure. Theoretically, the Member States do not have to comply with the provisional measures. However, if they refuse, for example, higher compensation payments in the award result in a de facto obligation. This alone gives cause for concern that arbitration courts are exploiting temporary measures to increase their supremacy over national courts. However, it should be borne in mind that states can also use national judicial procedures to make arbitration more difficult for the investor or the tribunal. It is precisely in the case of national criminal proceedings that the courts of arbitration often have doubts about the very purpose of a national procedure.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test points of prima facie consistency and proportionality. It also achieves a high level of protection for the jurisdiction of the Member States in the area of temporary legal protection. This ensures that the Court does not over-intervene national court procedures. Unfortunately, however, the Court does not examine these important conditions uniformly and does not always take adequate account of them. If they do not examine them at all, however, they will intervene in national courts under lower standards of protection. However, a more superficial examination by the Court is not necessarily harmful, depending on the condition. On the contrary, a close prima facie review of the liability of the company corresponds to the idea of effective provisional legal protection and is generally accepted by the Member States. This test point must not become a time barrier, particularly for the new emergency arbitrator.

      • KCI등재

        국제투자중재에서 임시적 처분과 국내절차와의 관계

        이재우 (사)한국국제경제법학회 2022 국제경제법연구 Vol.20 No.1

        Interim measures are any temporary measures ordered by the arbitral tribunal to preserve the rights of the parties and maintain the status quo pending the issuance of the award by which the dispute is finally decided. The authority of arbitral tribunals to order interim measures comes from the agreement of the parties as provided in the applicable investment treaty, or the relevant arbitration rules including ICSID arbitration rules and UNCITRAL arbitration rules. These rules generally set out conditions for the granting of interim measures. Under the jurisprudence of the investment arbitration cases, two general requirements are often invoked for rendering of interim measures; urgency and a threat of substantial or irreparable harm. In the meantime, in recent years, a number of investment arbitral tribunals have issued interim measures to suspend or dismiss pending litigation proceedings or criminal proceedings in order to protect the tribunals’ jurisdiction to decide the parties’ dispute or the parties’ procedural right to access to witness. Although international law generally recognizes the binding nature of interim measures, arbitral tribunals lack the coercive power of state courts.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efficiency of interim measures, it needs to be considered that investment arbitration treaty incorporate relevant provisions on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interim measures as provided in UNCITRAL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투자중재가 진행되는 중에 일방당사자가 절차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하여 상대방의 정당한 절차적 권리를 침해하거나 판정의 집행 대상인 재산을 임의로 처분하는 등, 중재를 통한 권리구제를 방해하는 경우 중재판정부가 이를 적절히 규율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중재절차 내에서 자주 활용되는 수단이 임시적 처분이다. 중재판정부가 당사자의 요청에 따라 임시적 처분을 내릴 수 있는 권한은 적용될 투자협정 또는 중재규칙의 관련 규정에 근거한다. 이들 절차규범에서는 임시적 처분의 요건에 대하여 대략의 기준만을 정하고 있는데 실제 사건에서 가장 빈번하게 인용되는 요건은 사안의 긴급성과 회복할 수 없는 손해의 발생 가능성이다. 한편 임시적 처분이 요구되는 상황은 다양한데, 오늘날 투자중재에서 임시적 처분과 관련하여 종종 문제되는 것은 중재의 대상과 동일한 사안을 두고 국내절차 예컨대 투자유치국의 법원을 통한 소송이나 또는 형사절차를 진행하는 경우이다. 중재판정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당사자가 요청하는 임시적 처분에 대하여도 앞서 언급한 요건을 적용하면서도, 투자자의 손해와 임시적 처분으로 인해 피신청국이 입게 될 피해 간에 비교형량을 고려하고 또한 피신청국의 정당한 법집행과 관련한 주권 행사를 침해하지 않도록 신중을 기하였다. 다만 중재판정부가 내린 임시적 처분을 당사자가 자발적으로 이행하지 않는 경우 문제될 수 있는데, 중재절차 내에서 중재판정부가 이를 강제할 수 있는 권한은 없고 법정지 법원의 협조를 구하여야 한다. 따라서 임시적 처분의 승인․집행에 관한 모델중재법의 관련 규정과 각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투자협정 또는 적용될 절차규범에 이를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중재절차상 보전처분에 관한 연구: ‘중국과 홍콩 법원의 중재절차상 상호 보전처분에 관한 규정’을 중심으로

        하현수 현대중국학회 2022 現代中國硏究 Vol.24 No.3

        본 논문은 중국 영토이기는 하지만 독립된 사법권을 가지고 있는 홍콩과 중국 간에 합의로 제정된 ‘중국과 홍콩간 보전처분규정’과 중국의 보전처분관련 법규를 확인하여, 중국이 외국중재판정부가 내린 임시적 처분에대해 어떠한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중국과 홍콩간 보전처분규정’은 중재절차중에 당사자는 직접 법원에 보전처분을 신청할 수 있으며, 또한 중재판정부를 통해 법원에 보전처분을 신청할 수있다고 규정하였고, 그리고 중국 중재법 및 관련 사법해석은 중재절차가진행되는 동안에 중재 당사자는 중재판정부를 통해서만 법원에 보전처분을 신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였다. 이처럼 상기 법규 모두는 당사자가 법원에 직접 보전처분을 신청할 수있는지와 관련한 차이를 제외하고 중재절차중에는 법원만이 보전처분을내릴 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UNCITRAL 모델중재법을 포함한 대부분의 중재관련 법규는 중재절차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당사자는 중재판정부에 임시적 처분을 신청할 수 있으면, 또한 법원에도 보전처분을 신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는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이 비록 법원의 보전처분에 비해 실효성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을 지라도, 두 기관 모두에게 보전처분 권한을 부여하여 피해가 예상되는 당사자를 중첩하여 보호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규정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은 보전처분의 집행권이 법원에 있고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은 중재판정부가 구성된 이후에나 이용이 가능하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 권한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나, 이는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의 실효성을 과소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과 법원의 보전처분의 관할의 충돌

        이헌묵 법조협회 2016 法曹 Vol.65 No.1

        Article 18 of the Arbitration Act provides that the arbitral tribunal has authority to grant interim measures unless otherwise agreed by the parties. On the other hand, Article 10 of the Arbitration Act gives a court power to grant interim measures notwithstanding the existence of an arbitration agreement. As a result, the arbitral tribunal and the court can both have jurisdiction over the interim measures in arbitration proceedings. However, the Arbitration Act does not contain provisions regarding priority when there are conflicts between the jurisdiction of the arbitral tribunal and the jurisdiction of the court. To solve this problem, this article suggests when the arbitral tribunal should have exclusive jurisdiction over the interim measures and when the court should have it. In the case of parallel jurisdiction,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arbitral tribunal should have priority of jurisdiction and that the court should have jurisdiction only when the arbitral tribunal is either unable to grant interim measures or is unable to grant them quickly enough. 중재법 제18조에서는 당사자가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interim remedies)을 허용하지 않기로 하는 합의를 하지 아니한 이상 중재판정부에게 임시적 처분을 할 수 있는 권한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중재법 제10조에서는 중재합의가 있는 경우에도 법원의 보전처분을 허용하고 있다. 따라서 중재절차에서의 임시적 처분에 관하여 중재판정부의 권한과 법원의 권한이 병존한다. 하지만 중재법은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의 권한과 법원의 보전처분의 권한 사이의 우열에 대하여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아니하여 양자가 충돌할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글에서는 중재판정부 또는 법원이 임시적 처분에 대하여 전속관할을 갖는 경우를 제시하고, 양자 모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중재판정부에게 우선적으로 관할이 있고, 중재판정부가 임시적 처분을 할 수 없거나 적정한 시간 내에 할 수 없는 경우에만 법원의 관할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상사중재에서의 임시적 처분 조치에 관한 연구

        탕칭,김해주,박은옥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4

        국제상사중재에서 중재판정을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중재판정부가 중재판정을 내리기 전에분쟁 당사자의 권리 혹은 재산을 즉각적으로 보호해주는 임시적 처분조치는 반드시 필요한 제도이고많은 국가에서 중재판정부가 임시적 처분조치를 내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중국상사중재에서도 임시적 처분조치를 인정하고는 있으나 중국의 경우에는 그 절차상 법원의 개입이 반드시 필요한데 이는 국제중재의 발전 방향과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도 중재활성화 측면에서주요 중재기관들의 규칙을 개정함으로써 임시적 처분조치 부분에서 법원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상사중재에서 임시적 처분의 국제적 추세를 먼저 살펴보고 중국 상사중재에서 임시적 처분조치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는지를 관련 사례와 법규를분석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 기업이 중국기업과 상사중재로 분쟁을 해결하고자 할 때 어떤 방식으로 임시적 처분 제도를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interim measures play a crucial role in enforcing arbitral awards by prohibiting a party from hiding assets or destroying any evidence which are critical during arbitral proceedings before the arbitral tribunal renders a final award. While Chinese commercial arbitration system acknowledges interim measures, it has faced criticism for perceived deviations from the evolving international arbitration trends. Nevertheless, recent developments indicate that China is actively aligning itself with the global trend in promoting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leading to notable changes in interim measur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evailing international trends of interim measures in commercial arbitration and conduct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interim measures in Chinese commercial arbitration by analysing some relevant cases and regulations. By doing so, it can provide practical insights to Korean companies on how to effectively utilize interim measures when they settle their disputes by arbitration with Chinese counterpa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