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정서행동문제 청소년의 자기표현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두진영 (Du, Jin-Young) 지역사회정신보건학회 2008 지역사회정신보건 Vol.14 No.-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외래진료를 이용하는 정서행동문제 청소년들의 자기표현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입증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정서행동문제 청소년 6명이었으며, 연구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20일간의 기초선 단계(A)와 50일 동안 주1회씩 총8회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B)으로 구성된 AB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가장 큰 어려움인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 검사와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관찰자 척도로 확인하였고, 6명의 서로 다른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해 가족의 욕구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목적을 세우고 이를 평가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가족들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문제행동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의 분석은 사전사후검사와 관찰자의 시각적 분석과 통계적 분석이 사용되었다.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6명 모두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이 향상되었고, 의사소통훈련 개입에 따른 반응턱도에서 2-4배 향상되는 시각적 효과가 나타났으며, 연구대상자의 개별화된 평가에 따른 비율/빈도 분석과 효과크기에서 31~50% 이상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긍정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모습이 관찰된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보건 임상현장에서 신속한 개입 때문에 비교집단을 모집하기 어려운 한계로 인해 임상실천의 효과성 검증을 포기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실험집단만으로도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을 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또한 정서행동문제 청소년들에게 의사소통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표현과 공감능력이 향상된 결과 이는 학습과 훈련으로 의사소통능력 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한 것으로 향후 임상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는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성 향상에 맞춘 개입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청소년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의 효과성 평가

        황순길(Soon Gill Hwang),두진영(Jin Young D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는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의 인터넷사용시간 조절 및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 문제 해소를 위해 생태체계적인 접근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정신보건 임상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한 연구이다. 개입대상은 고위험군 인터넷중독 청소년 18명이었으며, 연구 설계는 단일체계설계로 3주간의 기초선 단계(A)와 12일간의 인터넷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 개입단계(B), 그리고 2개월간의 프로그램 사후단계(C)로 구성된 ABC설계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 청소년의 심리내적 어려움인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을 표적문제로 규정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입에 따른 연구대상의 변화를 가족들과 멘토의 도움을 받아 연구대상 청소년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였다.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은 사전-사후-추후검사의 일요인 반복측정설계를 SPSS 16.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관찰자의 통계적 분석은 SING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기상관(Autocorrelation)의 여부를 확인하고, 비율/빈도 분석과 t-test, 효과크기를 통해 통계적인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 18명 중 추후 연락되지 않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인터넷(게임) 중독관련 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터넷사용시간을 측정하는 개별화된 평가에서 18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220분을 사용하였지만, 개입이후 사후단계에서 17명의 청소년들은 1일 평균 99분까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인터넷(게임)사용시간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청소년들에게 실시한 11박 12일간의 인터넷중독기숙형치료학교 프로그램은 인터넷(게임) 중독 관련변인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생태체계적 접근을 활용한 단기간의 기숙형 치료개입이 인터넷사용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how appropriate ways to asses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using ABC Design and present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The target client of this study is patient having Internet Addiction problem eighteen teenagers. The ABC design includes a 3weeks of the baseline phase, (A) and 2weeks of the intervention phase, (B) with Residential Treatment Program for Internet Addicted, and 2mouths of the following services, (C). The target problem is the increase time of the internet using problem eighteen teenagers mostly complain. We compared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2 months following test in which the adolescents. In resulted in the positive changes among the belief of internet using, K-scale, G-scale, depression, wellness, and the self-controlability scale. Visual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aken for analyzing of results. Visual analysis demonstrate Line graph, correlation line by SINGWIN Program and evaluates the tendency of measurable values. First, autocorrelation analyzes if each values does not have reciprocal effects and work independently in baseline phase and intervention phas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y of the changes between the baseline phase and following services phase is assessed by Proportion/Frequency. Additionally, in this analysis, there in the d-index for assessing the effect size. Both analyses have efficient results and shows that the social workers` interventions bring a positive reduction, 76%. Finally, we propose those suggestions in order to accelerate the using of this study. First, we need the future studies to consider the trend of occurring in a younger age and the different social environmental traits and develop the programs separated by the age and the participants. Second, we suggest to establish the permanent residential system and raise the fund in order to deal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the internet addiction treatment.

      • KCI등재

        근거기반 심리평가의 기본 개념과 국내 적용에 대한 논의: 공황장애와 우울장애의 예시와 함께

        김빛나,김지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4 No.3

        Evidence-based assessment(EBA) is defined as psychological assessment that uses the best available evidence drawn from research and theory to guide the selection of constructs to be assessed, methods/measures to be used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assessment unfolds (Hunsley & Mash, 2007). EBA is one of the major cornerstones of what constitutes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EBPP). However, the emphasis has been on the evidence-based treatment(EBT) component since the beginning of EBPP. Thus, EBA has remained underappreciated and it is a rarely discussed topic especially in Korea. Therefore, our primary goal of this review article is to introduce from which backgrounds EBA has emerged and what is the basic concepts of EBA are. Also, we would like to illustrate how the concepts of EBA can be applied to psychological evaluation of panic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in adults. Lastly, we discussed necessary steps to disseminate and expand EBA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