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목회교육(CPE) 집단수퍼비전 프로그램 및 평가서 연구

        김규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1 No.-

        CPE(Clinical Pastoral Education) is usually carried out in hospitals, and has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general ministry or Christian counseling. For this reason, practical counselor education is required for CPE training counselors. This study examines the specificity of CPE in which counseling and theology are applied together, and intends to study programs and evaluation report that apply this to group supervision. The development of the group supervision program is based on the ADDIE model, which is a gener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system, and investigates the procedures in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In the analysis stage, after investigating the needs of professional counselors currently conducting counseling at the clinical pastoral counseling field, relate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peculiarity of the CPE group supervision is self-awareness in the face of an existential situation, the technique of writing a verbatim for pastoral counseling, and the posture of the group supervision. In the design stage, the performance goals of the group supervision program were set by synthesizing the specificity of CPE learned from the analysis results. Finally,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final group supervision program components were presented, and a total of 12 group supervision programs were developed. It also proposes evaluation report for supervisor, counselor, and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group supervision program was developed utilizing the specificity of CPE. Second, the needs of CPE were examined through field experts. Third, evaluation report for supervisors, counselors, and supervisions were developed so that practical training c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This study aims to help the field of CPE by studying group supervision programs and evaluation report for CPE. 임상목회교육은 1960년대에 세브란스 병원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임상목회교육은 목회실천으로 기독교 상담사들에게 중요한 목회상담교육이긴 하지만 막상 구체적이거나 세부적인 프로그램 및 평가서를 사용한 교육 진행이 현장에서는 미흡하다. 임상목회는 일반적인 목회나 일반적인 기독교 상담과는 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임상목회교육을 수련 받는 기독교 상담사는 감독인 수퍼바이저에게 수퍼비전을 받는다. 이때, 수련 상담사들을 위한 임상목회교육은 대부분 집단수퍼비전의 형태로 진행되는데, 수련 상담사나 수퍼바이저는 집단으로 이뤄지는 수퍼비전에 대한 적응과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임상목회교육의 특수성을 발견하여 적용하고 임상목회교육의 수퍼바이저를 위한 집단수퍼비전 프로그램과 수퍼비전 평가서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목회교육 집단수퍼비전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수퍼비전 목표를 제시하며, 두 회기씩 6번(총 12회기)의 집단수퍼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앞에서 언급된 집단수퍼비전의 프로그램과 연관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평가되는 수퍼바이지를 위한 평가서, 수퍼바이저를 위한 평가서, 수퍼비전을 위한 평가서를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임상목회교육을 위한 집단수퍼비전의 프로그램 및 평가서를 연구하여 임상목회교육의 현장에 도움이 되려는 목적을 가진다.

      • KCI등재

        임상목회교육의 목회상담적 자원 및 활용

        이두경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본 연구는 교과과목으로서 임상목회교육이 목회자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점검하고 목회자가 목회현장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수업 내용을 설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임상목회교육이 목회자가 목회현장에서 실천적 역량을 높이고,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목회교육이 신학생들의 목회돌봄 방법 향상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 한 항목으로, 신학생들의 자기이해, 자기관리 및 자기평가, 상담실습과 정체성 인식, 목회자 역량 인식, 그리고 관계에 대한 수용성과 개방성 등으로 분류하여, 그 효과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임상목회교육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참여자들은 목회상담자로서 고난을 겪는 내 담자를 잘 돌보고 있는지 평가하고, 내담자의 심리사회적 및 영적인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점검받았다. 그 과정은 학습목표에 성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매 주 목회적 돌봄에 관련된 강의를 듣고 내담자와 상담한 내용을 축어록의 형태로 기록 하고 기록한 축어록을 발표한다. 또한 질문, 공감, 내담자 이해와 분석과 목회상담자 자신의 이해 및 신학적인 통찰을 학습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전 조사는 수업 신청의 동기와 기대 및 수업과 관련한 자기 이해, 정체성, 전문성에 관한 항목으로 작성하였고, 작성된 항목은 다중응답형과 주관식 서 술형 문항을 기술하며 Likert 5점 척도형으로 제시했다. 사후 조사는 수업목표 달성도 와 수업 만족도, 임상교육의 역할인식에 관하여 Likert 5점 척도형, 선다형, 자유 기술 형으로 제시했다. 연구자는 본 연구가 목회자의 정체성을 이해함과 더불어, 대인관계 및 전문적인 상담목회 기술 향상을 통해, 신학과 목회활동을 통합하고, 신학적인 성찰 을 돕고 건강한 목회자 양성에 이바지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aimed to design the curriculum and analyze the results of clinical pastoral education as a subject in pastoral ministry, examining its impact on the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of pastors and its potential to be implemented in the field of ministry. The author assumed that clinical pastoral education could enhance practical skills and provide essential support for pastors to effectively address various situations. To explore the potential for improving pastoral care methods among theology students, the study categorized the effects of clinical pastoral education into self-understanding, self-management and self-evaluation, counseling practicum and identity perception, pastoral competence perception, acceptance, and openness in relationships. To achieve the goals of clinical pastoral education, participants evaluated their ability to care for struggling counselees as pastoral counselors and examined whether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growth of counselees was progressing effectively. The process involved attending weekly lectures on pastoral care, conducting counseling sessions with counselees, and recording the content of these sessions in the form of case reports. Participants presented their case reports, learning question techniques, empathy,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counselees, and their own theological insights. For the research, a pre-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motivation, expectations, self-understanding,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related to course enrollment using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on a Likert 5-point scale. A post-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degree of course objectives achieved,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and perception of the role of clinical education using Likert 5-point scale,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pastoral identity, developing professional counseling skills, integrating theology and ministry, facilitating theological reflection, and fostering the training of healthy pastors.

      • 임상목회교육의 효과적인 슈퍼비전을 위한 성인교육방법 활용

        김도봉 성결심리상담연구소 2010 성결심리상담 Vol.2 No.-

        본 논문의 목적은 목회임상교육에 있어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그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성인교육방법론을 적극 추천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함이다. 임상목회교육 슈퍼비전을 수행하는 과정에 성인교육 방법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이론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는 학습자들이 설정하는 학습서약서 작성, 신청서 작성, 인생이야기 나눔을 준비하는 과정과 성인교육에서 학습자 자기주도형 방법론과 연관을 지었다. 둘째 영역은 이론과목 교과과정구성에 참여하여 슈퍼바이저와 동등한 대화를 나누며 동료들과 함께 민주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를 확장, 형성하게 되는 몸에 배는 교육과정과 연결 지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는 상호인간관계나 중간 평가 그리고 기말 평가를 통해 개인과 사회적 확대 변화를 체득할 수 있는 경험교육과 서로의 상관성이 있음을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인교육방법론을 사용하는 슈퍼비전이 학습자가 목표하는 학습 성과를 잘 성취하게 뿐 아니라 학습자가 성장하는 길이라는 것과 슈퍼바이저가 해야 할 슈퍼비전에 있어 성인교육 방법론이 꼭 필요한 내용이며 효과를 증진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아울러 국내에서 임상목회교육을 원하는 학습자와 학습의 장은 점차 커지고 있으므로 임상목회교육 전문 지도자 발굴 및 교육이 시급하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지도자 양성을 위해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alking about a role of supervisor in clinical pastoral education and finding out the rationale of strong recommendation for utilizing an adult learning methodology in clinical pastoral education process. The writer classifies three parts how various adult learning theories are relevant with supervision skills of clinical pastoral education. Firstly, the writer attempt to make a fair both CPE student’s learning covenan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ory. Secondly, to reaffirm the other pair between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sign of input theories in CPE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mode or egalitarian relationship for somatic approach theories in adult education. Lastly, to explain relevance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id & end point evaluation in CPE and collaborative-experiential learning as well as transformative learning individually and the socially in adult education. The writer presents that Gerald O. Grow’s adult learning theory is so applicable to CPE and there is so similar transition. In conclusion, the writer found out that utilizing of adult learning methodology is so helpful for CPE student’s learning goal achievement and their maturity during CPE program. Supervisor’s job is so effective and promotive his/her supervision too. The writer suggests that uprearing of CPE supervisor is more urgent matter than anything in Korea. Candidate of CPE and context are enough to be prepared on time. All of reader needs paying attention to do the task collectively.

      • 주제강연 : 상담목회를 위한 도전

        정정숙 ( Chung Sook Chu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09 성경과 상담 Vol.9 No.-

        한국교회의 목회형태는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한국의 초대교회는 사경회 중심의 독특한 목회모델이 정착되었고. 1960년대에는 은사중심의 목회모델, 1970년대 이후는 교회성장중심의 목회모델이 주류를 이루었고, 그 이후에는 제자훈련중심의 목회모델, 가정사역중심의 목회모델, 선교사역중심의 목회모델 등의 다양한 모델들이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모델들의 장점과 한계성을 체험한 한국교회는 그 종합적 대안으로 상담목회를 시도해야 한다. 그 이유는 한국교회가 삶의 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로 인하여 고민하고 방황하는 성도들을 위하여 바른 목양의 방안을 제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상담목회는 교육목회와 함께 말씀을 선포하고 가르치며 치유하는 선포와 교육과 치유라는 예수님의 삼중사역을 집약한 총체적 치유사역의 한 분야로 조명되어야 하며, 여기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상담목회의 필요성과 가능성, 역사적 모델, 현실적 방안 등을 탐구하였다. The ministry style of the Korean church has transformed over time, since the early days of church father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through the tumultuous historical periods of twentieth century, reflecting the changing historical and social norms. Such ministry styles included revival-centered models, church growth centered models, disciple training models, family ministry models, and foreign missions models. Despite many successes, all of the above ministry models have shown limitations. This article suggests the counseling ministry as an alternative ministry model for the Korean church. It first explores the theoretical principles of counseling, and the possibilities it poses for the Korean church. Why is Biblical counseling needed in the Korean church? By examining the historical models of biblical counseling ministry, this article offers practical suggestions for counseling ministry, from training to practicing. Biblical counseling ministry is a key to minister to the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like.

      • KCI등재

        목회상담에서의 영성통합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효주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2

        Just as the Bible teaches that human beings cannot live by bread alone, humans are spiritual beings. We may feel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well, but still feel empty and struggle to find meaning in our lives. The spiritual aspect is indispensable for human understanding, and it has been understood that religion is responsible for this spiritual aspect. However, in the field of psychology that aims to understand human beings, religion and spirituality have long been regarded as one of the subjects to be avoided. When the disease treatment model of psychology pushed religion and spirituality to the margins of clinical psychology,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emerged and flourished in the United States. And it also failed to become a defender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creasing interest in integrating spirituality into psychotherapy over the last 20 years. Additionally,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ffectively integrating spirituality into the process of pastoral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hope is that this increasing interest will lead to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s of abundant Christian spiritual resources, such as attending worship services, prayer, reading and memorizing the Bible, on mental health.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Korean Association of Korean Christian Counseling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Pastoral Counselors will actively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hat promote the integration of spirituality into mental health treatment. To this end, I will begin by presenting two cases from the fields of psychology and social wokr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growing interest in spirituality. I will then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pastoral counseling and why the discussion of spiritual integration has not been actively pursued. Additionally, I will discuss the efforts made by American pastoral counselors to prepare for a new phase as the Association of American Pastoral Counselors faced a crisis of disappearing in 2019. Finally, I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ctively integrating spirituality into psychotherapy in Korean pastoral counseling. 사람이 떡으로만 살 수 없는 존재라는 성경의 가르침에서와 같이 인간은 영적인 존재다.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하지만, 여전히 공허함을 느끼고 삶의 의미를찾지 못해 힘들어할 수 있다. 인간 이해를 위해 영적 측면은 빼놓을 수 없으며 종교가이러한 영적 측면을 담당한다고 이해해왔다. 그러나 인간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심리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 종교나 영성은 피해야 할 주제 중 하나로 여겼다. 목회상담은미국에서 질병치료 모델 심리학이 번영할 당시 태동하고 꽃피우게 되면서 임상심리학의 변두리로 몰렸던 종교와 영성의 적극적인 수호자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 이 연구는 최근 20 년 심리치료에서의 영성통합에 대한 왕성한 관심의 증가를 살펴영성을 한국 목회상담과 목회심리치료 과정에 효과적으로 다루고 통합해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관심이 예배 출석, 기도, 말씀 읽기 또는 성경 암송 등의 풍성한 기독교 영적 자원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향후 연구로 이어질 수 있기를 희망하며, 목회상담에서 주체적으로 상담과정에서 영성통합을 해 나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 먼저 영성에 대한 관심의 변화를 알리는 심리학과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두 사례로 글을 시작해보고자 한다. 이어 목회상담에서 영성 통합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이유를 목회상담의 발전을 역사적 맥락에서살피고, 2019 년 미국 목회상담협회가 없어지는 위기를 맞으면서 미국 목회상담자들이재도약을 준비하는 노력을 소개한다. 한국 목회상담에서 영성을 심리치료에 적극적으로통합해 갈 수 있도록 필요성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가족의사소통의 목회상담학적 고찰

        허정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08 복음과 실천신학 Vol.17 No.-

        1990년 이후 한국사회는 극변적인 산업사회화로의 전환으로 전통적 가지관이 무너지고 새로운 형태의 가치관의 가족 문화가 도래되었다. 특히 서구가 수백 년의 세월을 통하여 변화된 가치와 제도를 한국은 너무나 짧은 시일에 받아 드려 정체감의 혼란이 극대화 되었고, 사회분열상과 더불어 인성의 상실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각종 심리적 불안이 증대되어 정신건강의 병리적 증상들이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중심이 되어 치유함이 시대적 사명으로 본다면 현대교회의 패러다임(paradigm)은 “치유목회”가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한국교회는 전문적 심리치료에 대한 관심과 공감대를 확장시켜 나가야 하리라 본다. 교회가 중심에서서 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목회상담의 위상을 높이고 발전을 위한 연구와 투자를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목회는 성도가 가족과의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여 가정에 어려운 일이 생기지 않도록 돌보아야 할 책임도 있는 것이다. 에베소서 5장 22절부터 6장 4절까지를 보면 바울 사도가 에베소교회의 성도들에게 권면하고 있는 말씀을 볼 수 있다. 즉 목회는 교회에 나온 성도들만이 대상이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이 근 본적으로는 기능적 가정이되며, 구원받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따라서 교회 내에서 뿐 아니라 가정에서 자족간의 삶에 대하여 가르치고 돌봐 주어야 한다. 현대 가족의 가장 큰 문제가 역기능적 의사소통이라면 목회상담학에 가족의사소통은 당연히 포함됨으로 목회상담이란 용어 속에 가족의사소통이란 개념을 포한 것임을 전재로 써도 무방하리라 본다. After 1990, the Korean community was transformed into a revolutionary industrialized society. As a result, new types of values in family culture appeared, following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Because Korea has accepted western culture too quickly, it has aggravated the confusion over one’s own identity and loss of human nature, along with the division of society. Because of such problems,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mental health have been expanded explosively due to increases in various forms of psychological unrest. If we consider healing as the periodical mission of Korean churches, the paradigm of modern churches would be “pastoral healing.”Thus, I believe that Korean churches should expand concern and understandings over professionalized psychotherapy. We should not be satisfied just to raise the status of pastoral counseling, but also to commit study and investment on the subject so that Korean churches can stand stably at the center of psychotherapy. One of the Pastoral duties is to prevent believers from having difficulty due to lack of communication with other family members. According to Ephesians 5:22 ~ 6:4 Paul, an apostle, encouraged the Christian of the Ephesians that Pastoral duties must concentrate on saving all other family members besides the believers that attend the church because they are the basis of building one’s family. Thus, the church must take care of the life of the family and teach its members how to live wisely within their unit, in addition to the life in the church. If the main problem of modern families is reverse functional communication, then pastoral counseling should naturally include care for family communication.

      • KCI등재

        임상목회교육 수퍼비전과 영성에 관한 고찰

        문영주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2008 신학논단 Vol.54 No.-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in what form and through what process changing of spiritual understanding of supervisee appears, and argues for its causes and factors. This paper also shows what form and content of supervision as well as what supervisory acts influences change of spiritual understanding of the supervisee.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I aim to supply basic data to prepare for a plan that can promote changing of spiritual understanding of supervisee in Pastoral counseling supervi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I try to see and understand changing of spiritual understanding from a supervisee's perspective, I choose to use the 'Grounded Theory Method' of Strauss and Corbin (2001) out of some other methods of the Qualitative Study to express the experience of a special and private changing of spiritual understanding of supervisee and the experience of their supervision. Data a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investigation'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method'. The total number of supervisees is 15; 3 supervisees in their twenties, 6 in their thirties, 4 in their forties, and 2 in their fifties. Four of them are Roman Catholics, and the other 11 are Protestants, all of them being seminary students and clergymen. In this study, I observe 'narrow-minded understanding on death and disease' and 'bitter experiences of inhospitality' as major igniting factors of changing of spiritual understanding, and present 'supervisor's way of treating supervisees' and 'experience of holiness' as major strengthening factors.

      • KCI등재

        CPE 경험분석에 따른 자기인식의 장(Field)

        최정헌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18 No.-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elf-awareness of those who experienced CPE program.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ose who completed elementary course of CPE program.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ppl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approach to understanding self-awareness of those who experienced CP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ll persons who experienced CPE had selforiented motivation and others-oriented motivation. Especially, their otheroriented motivation is agreed commonly, whereas self-oriented motivation did not. Second, they were experienced as a care-giver, peer group member, supervisee and clinical staff. The role of care-giver is the most meaningful of all in self-awareness. Third, they also experienced rounding, verbatim seminar, supervision, IPR, guidance of a prayer meeting and preaching. Above all, rounding was the most meaning work awareness. Fourth, they had both negative and positive self-awareness about themselves through these experiences. But they had more negative selfawareness than positive self-awareness. Fifth, they stated many positive changes(results) in spite of their many negative self-awareness. Sixth, they stated the positive changes even though they had negative self-awareness. The reason why they stated so is because they found the meaning of selfawareness through CPE program. Meaning of self-awareness was interinternal, inter-external and inter-transcendent. Consequently CPE experience comes self-awareness without regard to various theological perspectives, supervisors’techniques and other social workers’help. By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one can find sufficient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