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가정 상호작용과 참살이(well-being)와의 관계

        이명신(Myung Sin Yi)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활성화, 맞벌이 가족의 확대, 삶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으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뿐만 아니라 촉진의 측면까지 고려하여 어떻게 하면 구성원들이 겪는 갈등은 최소화하고 촉진은 극대화하여 삶의 질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갈등을 중심으로 한 부정적 관점의 연구 편향성을 보완하기 위해 POB(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관점에서 일-가정 상호작용의 긍정적인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금융 및 제조업에 종사하는 8개 조직의 남녀 화이트 칼라를 대상으로 일-가정 상호작용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정서는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갈등(Work-to-Family Conflict: WFC)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갈등(Family-to-Work Conflict: FWC)은 감소시키고,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촉진(Work-to-Family Facilitation: WFF)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촉진(Family-to-Work Facilitation: FWF)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의 경우 차별적 기능론에 따라 일영역에서의 조직지원은 WFC를 감소시키고 WFF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이외의 영역에서의 가족지원은 FWF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FWC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도 차별적 기능론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직무만족, 가정만족, 생애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FWC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줄어들고, FWF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졌다. 반면, WFC는 가정만족을 감소시키고 WFF는 가정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FC와 FWC가 높으면 생애만족은 감소하였다. WFF는 생애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FWF와 생애만족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work-family balance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as an area for serious academic study. Governments and institutions are wrestling with how best to adapt to a growing female labor force and the prevalence of dual income families, along with the related life value changes brought about by these socio economic shifts. Spurred on by these trends, research on work-family balance, defined as low levels of work-family conflict in combination with high levels of work-family facilitation, tends to focus on addressing quality of life issues as they affect employe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o improve employees’ quality of life and performance through minimizing conflict and maximizing facilitation, by considering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facilitation in detail. After two decades of work–family literature dominated by the conflict perspective, there is increasing impetus for exploring the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Recent research in the emerging fields of positive psychology and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POB) reflects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positive aspects of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Fredrickson’s (2001) broaden-and build theory states that experiences of positive emotions broaden people’s momentary thought-action repertoires, which in turn serves to build their enduring personal resources, ranging from physical and intellectual resources to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In an effort to redress the balance of organizational research toward a POB persp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positiv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the work-family interface. This study further used the discriminant function in evaluating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because for each direction of conflict and facilitation, antecedents exist in the originating domain of the conflict whereas the outcomes exist in the receiving domain (Frone et al., 1997; Wayne et al., 2004).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hypotheses, marking antecedents and outcomes as work family conflict (WFC), family work conflict (FWC), work family facilitation (WFF), and family work facilitation (FWF): H1: Positive Affectivity is negatively related to WFC and FWC and positively related to WFF and FWF. H2: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WFC and positively related to WFF. H3: Social Support (Family Support) is negatively related to FWC and positively related to FWF. H4: FWC is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FWF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H5: WFC is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Satisfaction and WFF is positively related to Family Satisfaction. H6: WFC and FWC are nega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WFF and FWF are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survey dat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life interface and its antecedents and outcomes collected from ____ white collar workers from eight banking and manufacturing companies, the study results generally supported our theoretical predictions. First, positive affectivity was related to less work-family conflict (WFC, FWC) and greater work-family facilitation (WFF, FWF). Positive affectivity significantly predicted the degree of conflict and facilitation experienced. Thus, employees’ levels of conflict and facilitation are not only a function of work and family circumstances, but also reflect individuals’ contributions. Second, organizational support at work was related to less WFC and greater WFF. Family support outside of work was related to greater FWF, whereas family support outside of work was not related FWC contrary to expectations. It seems that family support still does not help resolve FWC in Korean workers’ experience. Howev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organization or family-led social support is helpful in reducing work-family conflict and enriching work-family facilita

      • 일-가정 상호작용과 참살이(well-being)와의 관계 : 긍정의 역할

        이명신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 활성화, 맞벌이 가족의 확대, 삶에 대한 가치관 변화 등으로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일-가정 갈등뿐만 아니라 촉진의 측면까지 고려하여 어떻게 하면 구성원들이 겪는 갈등은 최소화하고 촉진은 극대화하여 삶의 질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갈등을 중심으로 한 부정적 관점의 연구 편향성을 보완하기 위해 POB(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관점에서 일-가정 상호작용의 긍정적인 영향요인과 결과변수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금융 및 제조업에 종사하는 8개 조직의 남녀 화이트 칼라를 대상으로 일-가정 상호작용에 대해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정서는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갈등(Work-to-Family Conflict: WFC)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갈등(Family-to-Work Conflict: FWC)은 감소시키고, 일이 가정생활에 미치는 촉진(Work-to-Family Facilitation: WFF)과 가정생활이 일에 미치는 촉진(Family-to-Work Facilitation: FWF)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의 경우 방향성을 고려하여 일영역에서의 조직지원은 WFC를 감소시키고 WFF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이외의 영역에서의 가족지원은 FWF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FWC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은 지지되지 않았다.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도 방향성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직무만족, 가정만족, 생애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FWC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줄어들고, FWF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졌다. 반면, WFC는 가정만족을 감소시키고 WFF는 가정만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FC와 FWC가 높으면 생애만족은 감소하였다. WFF는 생애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FWF와 생애만족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과제를 제시하였다. As female labor market grows, dual income families increase, and life values change, work-life balance is becoming a major issue. This study considered not only work-family conflict but also work-family facilitation and studied how to improve employees' quality of life and performance through minimizing conflict and maximizing facilitation. From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POB) perspective, it was explored the positive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interface. It is aimed to rectify skewed traditional organizational research toward negative aspects of organizational phenomena and solving. Using white-collars working for 8 banking and manufacturing companies, it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interface and its antecedents and outcomes.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ositive affectivity was related to less work-life conflict(WFC, FWC) and greater work-life facilitation(WFF, FWF). Secondly, organizational support at work was related to less WFC and greater WFF. Family support at nonwork was related to greater FWF, whereas was not related FWC contrary to expectations. Thirdly, in general, conflict and facilitation between work and family had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s' well-being(i.e., job satisfaction, family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FWC was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FWF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FC was negatively related to family satisfaction and WFF was positively related to family satisfaction. WFC and FWC were nega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nd WFF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FWF did't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Conflict and facilitation were shown, however, to be orthogonal rather than opposite constructs. It is important not only for organizations to develop means to reduce conflict but also to enhance facilitation. Discovering the role of positive affectivity and social support, and facilitation of work-family interface does not reduce the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s or public policy in helping employees balance their work and family lives. Organizational interventions and structural changes are still very important. It is effective that person and structure are changing simultaneously. Corporate organizations should build family-friendly policy and culture for less conflict and greater facilitation considering work-to-family much more than family-to-work influe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손영미(Young-Mi Sohn),박정열(Cheong-Yeul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가치관 변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0대-50대 기혼여성근로자 311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지향성과 외재적 일가치는 일-가정 갈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지향성과 가족지향성은 일-가정 촉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지향성은 일지향성과 일-가정 촉진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일지향적이면서 가족지향적인 가치관은 일-가정 촉진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 변인들이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촉진을 설명하는 총 설명변량을 비교해 본 결과, 일-가정 갈등보다 일-가정 촉진을 2배 이상 더 많이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 변인이 일-가정 촉진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인이며, 학문적 관심이 더욱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article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lue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Participants were 311 married working women, who were in the thirties fifti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rk-orientation and extrinsic work value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work-family conflict. Second, in addition that both of work-orientation and family-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facilitation, it was revealed that family-orientation showed moderating effect on work-orientation and work-family facilitation. Third, the varia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work-family facilitation was twice as much as on work-family conflic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values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were important factors as well as were worthy of notice when it comes to work-family facilitation.

      • KCI등재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소진의 매개역할 및 여가활동의 조절역할

        조영삼(Cho Young Sam),신종식(Shin Jong Sik) 한국인사관리학회 202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 행위가 부하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의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부하의 직무소진을 고려하고, 직무소진과 일-가정 갈등 및 촉진 관계에서의 조절변수로서 부하의 여가활동에 주목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부하의 다양한 태도 및 성과 변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고, 몇몇 연구자들은 비인격적 감독이 가정 영역에 미치는 전이 효과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일과 가정 양립의 중요성과 상사 갑질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증대됨에 비해 이를 고찰한 국내 연구는 거의 드물고, 일-가정 갈등 및 촉진이 한 연속선상의 극단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일-가정 촉진에 대한 비인격적 감독의 영향력 검증은 간과되어 왔다. 특히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으로 인한 여파가 부하의 가정 영역에 이르는 과정에서 그 부정적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한 연구는 아직까지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자원 모형 관점에서 자원보존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 가지 교차 영역 즉, 직장 영역에서 비인격적 감독과 직무소진을 자원 손실의 원인과 과정으로 간주하고, 가정 영역에서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이 자원 손실의 결과이며, 개인 영역에서의 여가활동이 직무소진으로 인한 자원 손실의 보충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기혼 근로자 15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인격적 감독은 일-가정 갈등과는 정의 관계, 일-가정 촉진과는 부의 관계를 보였다. 아울러 직무소진은 비인격적 감독과 일-가정 갈등 및 촉진 각각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소진에 대한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는 일-가정 촉진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도가 낮은 그룹에서는 직무소진과 일-가정 촉진이 부의 관계를 나타낸 반면 여가활동 참여도가 높은 그룹에서는 그 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비인격적 감독과 일-가정 갈등 및 촉진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여가활동을 함께 고려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결과도 일관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과 가정 간의 교차 영역에 대한 의미 있는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mediating role of job burnout and moderating role of leisure activity in the relation. Previous studies have confirmed the negativ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subordinate’s attitude and outcome variables. Several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the spillover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to subordinate’s home domain. Nevertheless, few domestic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Furthermore, verifying the effect of abusive supervision on work-family facilitation has overlooked. We have especially limited knowledge about the solution alleviating subordinate’s job burnout resulted from abusive supervision. Thus,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we suggest and test an integrated research model. We regard abusive supervision and job burnout in work domain as source and process of resource lo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in home domain as results of resource loss, and we expect that leisure activity in personal domain would serve as a supplement to the resource loss due to job burnout. Survey results from 150 married subordinates show that abusive supervis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while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facilitation. Also, job burnout significantly mediated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respectively.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y with job burnout was significant only for work-family facilitation. The results for moderated mediation model considering both job burnout and leisure activity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show consistency. Drawing upon these research findings, we discussed informa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저성과자와 잡크래프팅 간의 관계

        김장현(Kim, Jang Hyun),차윤석(Cha, Yun Suk)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내 저성과자의 인적자원 관리 방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해군 내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잡 크래프탕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성과인식과 잡 크래프팅 간에 일-가정촉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해군 중령의 진급 경과자인 132부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연구방법 및 절차는 SPSS 19.0과 AMOS 22.0을 사용하였고, 인구통계분석,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모형인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잡 크래프팅 간의 구조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둘째,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은 잡 크래프팅에 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세째, 진급경과자의 성과인식과 잡 크래프팅 간에 일-가정 촉진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 연구의 연구모형은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 일-가정 촉진 및 직무만족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데 적합하도록 설정되었다. 둘째, 진급경과자의 성과인식이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해군 부대에서는 잡 크래프팅에 성과인식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성과인식이 보다 향상 될 수 있도록 본인의 성과인식 향상, 동료 및 상사가 진급 경과자가 성과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급 경과자의 일-가정 촉진이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끼침으로 일-가정 촉진 요인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한다. 넷째, 진급 경과자의 성과인식이 잡 크래프팅간에 일-가정 촉진이 조절함이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변수는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과인식과 일-가정 촉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부(-)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요인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연구의 제언으로 첫째, 진급 경과자의 대상을 확대하는 것이다. 계급 간 또는 다른 부대나 군 및 기관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급 경과자의 일-가정 촉진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를 확인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성과인식과 일-가정 촉진의 상호작용이 부(-)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또한 왜 상호작용이 부(-)로 나타나는지 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craftsmanship of low-performing individuals in the Navy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the effect of work-family promotion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job crafting. The study used part 132 of the questionnaire, which was promoted to lieutenant colonel.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used SPSS 19.0 and AMOS 22.0, followed by demographic analysis,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study found, first, that there i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models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crafting, second, performance recognition of promotion transie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and thirdly, work-promotion control between promotion recognition and job craft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is well established to describe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work-family promotion and job satisfaction of promotional transients. Second, because the recognition of achievements by promotion officers has a positive impact on job crafting, naval units need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wareness and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ir colleagues and bosses can increase performance awareness. Third,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work-family promotion factors as the work-family promotion of the promotion transi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Fourth, the performance recognition of the promotion progressor was controlled by the work-family promotion between job crafting. However, interaction variables have been shown to be negatively regulated.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factors that prevent negative effects in the interaction between performance recognition and work-family promotion. At the suggestion of this study, the first is to expand the scope of successful promotions. It needs to be applied between classes or to other units, military and instituti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affect the work-family promotion of promotion transients, third, ensure that performance recognition and work-family promotion interactions do not have negative effects, and why interactions appear negative.

      • KCI등재

        일-가정 상호작용에 대한 역할요구-역할자원의 접근

        김옥선(Kim, Ockson),김효선(Kim, Hyos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Voydanoff의 역할요구-역할자원 접근이론(Demand-Resource Approach)을 기초로 하여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일-가정 상호작용인 일-가정 갈등과 촉진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요구 요인과 역할자원 요인들을 파악하고 검증하였다. 병원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직무의 상황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그에 따른 일-가정 상호작용의 결과를 가정하고 그 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국내의 22개 병원에 종사하는 기혼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병원에서의 역할요구 요소인 업무협조로 인한 스트레스, 업무의 불예측성, 연장근무가 직장에서 가정으로의 갈등을 증가시켰으며, 가정에서의 역할요구로서 6세 이하의 자녀의 존재가 가정에서 직장으로의 갈등을 증가시켰다. 한편, 역할 자원요인으로서 자율성과 외재적 보상만족이 병원 조직원들의 직장에서 가정으로의 촉진을, 가정의 기능 및 정서적 지원이 가정에서 직장으로의 촉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할요구 요인들은 일-가정 촉진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역할자원요인들 가운데 직장에서의 자율성과 가정에서의 기능적 및 정서적 지원이 종업원들의 일-가정 갈등을 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가정 조화에 있어서 이제까지 관심의 대상이었던 갈등을 유발하는 역할요구 요인 뿐 아니라 각 영역에서의 역할 자원 요인이 중요함을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인력을 많이 포함하는 인력중심의 전문가 집단인 병원조직의 직무특성을 고려한 실증연구로써 조직의 상황과 맥락(context)을 함께 생각한 연구라는 점과, 일-가정 촉진의 과정을 가져오는 역할자원 요인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ith the rise of female workers and dual earner employees, issue of balancing work and family lives and the challenge of integrating multiple roles are receiving more attentions from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business firms. In this research, we apply the model of ‘Demand and Resource Approaches’ of Voydanoff(2005) to the work-family interface of workers in Korean hospitals. Both demand factors that cause work-family conflict and resource factors that lead to work-family facilitation were considered. Moreover, work characteristics as well as families context were examined to decide which characteristics work as demands or resources in work-family interface. The data is collected by surveying 740 married employees who belong to 22 hospitals in Korea. As analytical tools,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4.0. The results show that stress caused by job cooperation, unpredictability of work, long overtime hours are demands in work-family interface and that job autonomy worked as a resource.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having a child under 6 worked as demand and both instrumental and emotional family supports worked as resources. Also, we found that resources such as job autonomy and family supports reduced work-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while none of demand factors affects on employees’ work-family facilitation. This result shows the importance of resource factors for workers’ work-family balance. The research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work-family studies. First, the research expands the literature by exploring the mechanism dealing with the work-family interface and related variables. Second, the studies here concern the contextual elements of the organization and jobs performed in it. Hospital is one of the highly professional service industries which has a high proportion of female workforce and is highly depending on high skilled labor. The results show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nected with the hospital workers’ work-family interface, and call for careful management of these issues at hospital for the hospital management. The limitation of current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미취학 자녀를 둔 치과위생사의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윤성욱,정미애,오나래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ork stress on work stress, work-family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194 dental hygienists with preschool children in K area. On average, the work-family balance was 3.36, and in case of low child support (3.43), family help was as high as 3.54, job stress averaged 2.82, with a low household income (2.94), high child support (3.19), and family help was bad (3.66). The average home-work facilitation was 3.47,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3.55). The average quality of life was 3.19 and the family help was good (3.55). Regression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work-family promotion, and quality-of-life effects on work-family balance showed low child support (p = .037), low job stress (p = .002), There was a high level of work-family promotion (p = .000) and a high quality of life (p = .000). In order to improve the work-family balance, work-family promo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seeking ways to reduce the family's help and job stress for the satisfactory job and family life of working married dental hygienists. 본 연구는 K지역의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기혼여성인 치과위생사 194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가정 균형 평균 3.36이며, 양육비가 적은 경우(3.43), 가족 도움은 ‘좋다’ 3.54로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82로 가구소득이 적은 경우(2.94), 양육비 많은 경우(3.19), 가족도움은 ‘나쁘다’(3.66)가 높았다. 가정-일 촉진 평균은 3.47이며, 경력은 10년 초과(3.55)가 높았고. 삶의 질 평균이 3.19, 가족도움은 ‘좋다’(3.55)가 높았다. 일반적인 특징, 직무스트레스, 일-가정 촉진, 삶의 질이 일-가정 균형에 미치는 영향력 검정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양육비가 적은 집단(p=.037), 직무스트레스 낮은 집단(p=.002), 일-가정 촉진 높은 집단(p=.000), 삶의 질 높은 집단(p=.000)으로 나타났다. 총괄적으로 취업한 기혼치과위생사들의 만족한 직장 및 가정생활을 위해서 가족들의 도움과 직무스트레스를 줄이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일-가정의 균형과 일-가정 촉진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혼여성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 -일만족도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장유나(Jang, Yoona),윤미리(Yoon, Miri),홍세희(Hong, Se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아시아여성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병렬다중매개 모형을 활용하여,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만족도를 매개로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 패널의 6차 및 7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 인식은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9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고용의 안정성, 하고 있는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복리후생, 성과에 대한 인정) 각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역할인식과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일-가정양립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경로 모두 일-가정양립 촉진의 주요 경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 만족도를 하위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촉진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on the promotion of work-life balance.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satisfaction using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Data from the sixth and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were examin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positively impacted nine sub-variables related to work satisfaction (wage or income level, employment stability, work content,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elfare benefit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Four of these sub-variables (wage or income level, work content,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th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addition, these sub-variables mediated the effect of gender role perception on promoting work-life bal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and an indirect mediation path appeared as the main one promoting work-family compatibility. Becau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each work satisfaction sub-variable, it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promoting work-life balance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