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역할지향성과 양성평등의식, 일희망 관계 분석

        안윤정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10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role orientation and their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work hope. For this purpose, 543 students attending 4 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urvey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role orientation, university students showed higher spouse role and parent role than worker role, and their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were generally high. In addition, the mean score of work hope was high in order of goal, agency, and pathway. Second,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role orientation,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work hope according to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spouse role and parent role among the sub‐factors of role orientation, and in all the sub‐factors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b‐factors of work hope. Third,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role orientation,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work hope according to maj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worker role and parent role among the sub‐factors of role orientation, in all the sub‐factors of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and in goal among the sub factors of work hope. Fourth, i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gency of work hope was in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spouse role of role orientation, pathway was with parent role of role orientation, and goal was with spouse role and with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school life. In addition, spouse role and parent role were in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home life, and worker role was with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sociocultural life. Fifth,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role orientation and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on work hope, worker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thway and goal among the sub factors of work hope, and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in school life had on goal of work hope, but they were not recognized as material variables because of their low explanatory power. Through this study, we explored relationships among changed gender consciousness, valued roles, and motives inducing positive power of execution for work in young people in their 20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역할지향성과 양성평등의식, 일희망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권 4년제 대학생 54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상관분석, 차이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이 역할지향성에서 작업자역할보다 배우자와 부모역할에 대한 지향이 높았고, 전반적으로 높은 양성평등의식을 보였으며, 일희망은 목표, 주체성, 경로 순으로 평균값이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역할지향성과 양성평등의식, 일희망의 차이는 역할지향성의 배우자역할, 부모역할, 모든 영역의 양성평등의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일희망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전공에 따른 역할지향성, 양성평등의식, 일희망의 차이는 역할지향성의 작업자역할과 부모역할, 양성평등의식의 모든 하위요인, 일희망의 목표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상관분석에서 일희망의 주체성은 역할지향성의 배우자역할, 경로는 역할지향성의 부모역할, 목표는 배우자역할과 학교생활의 양성평등의식과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배우자역할과 부모역할은 가정생활의 양성평등의식과 작업자역할은 사회문화생활과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역할지향성과 양성평등의식이 일희망에 미치는 영향은 작업자지향이 일희망 중 경로와 목표에, 학교생활의 양성평등의식은 일희망의 목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설명력이 낮아 중요한 변수로서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20대들의 변화된 젠더의식, 가치를 두는 역할과 일에 대한 긍정적 실천력을 이끄는 동기와의 관계를 탐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0년차 대학교수의 역할갈등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일에서의 영성을 중심으로

        김영석(Kim, Young Sek)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수가 교육, 연구, 대학행정의 역할 수행 중 경험하는 역할갈등을 이해하고, 일에서의 영성이 대학교수의 역할갈등을 해소하는데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립대 소속 교육학 전공의 경력 10년차 한 대학교수의 역할수행을 자전적 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가 1년 동안 작성한 일기가 주 자료로 분석되었으며, 그 이외에 강의성찰일지, 이메일, 강의평가 결과 등이 보조 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자는 교육관련 역할갈등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불편한 행동으로 인한 강의의 두려움 그리고 동일한 과목을 가르침으로 인한 교만함 및 성장이 없는 데서 오는 정체감(停滯感)을 경험하였다. 또한 연구와 관련해서는 대중과 멀어지는 연구수행에 대한 회의감과 연구발주기관의 과도한 개입으로 인한 역할갈등을 경험했다. 그리고 대학행정으로 인해 교육과 연구를 위한 시간이 줄어들고 예상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인한 역할갈등을 경험했다. 본 연구자는 일에서의 영성의 하위요소인 일 수행 중 자기 지키기, 일을 통한 조직 및 사회와의 연결성 인식과 실천, 일을 통한 자신과 조직의 새로운 가치 추구를 통해 이러한 역할갈등들을 해결하였다. 본 연구는 일에서의 영성이 대학교수에게 역할갈등을 해결하는 데 어떻게 작용하며, 대학교수가 일에서의 영성을 통해 역할수행 중 성장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rofessors’ role conflicts while performing the roles of education, research, and in-school service, 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pirituality in work on resolving their role conflicts. For the purpose, role conflicts and spirituality in work of a professor of ten years experience working at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a rural area were studied through self-narrative inquiry. The diary written by the researcher for one year was analyzed as the main data, and lecture reflection diary, e-mails, and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were used as auxiliary research data. Regarding educational role conflict,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e fear due to students uncomfortable behaviors and had both feeling of stagnation and arrogance because of teaching the same subjects. The researcher also experienced skepticism about his research because of being far from the public and experienced conflicts due to excessive intervention by the research ordering institution. In addition, taking campus volunteering roles reduced his time for teaching and researching; and unexpected situations made role conflicts for the researcher. The researcher attempted to resolve these role conflicts through self-protection, practice of connection with organization and society, and pursuit of new values of oneself and organization through work. This study showed that spirituality in work can solve professors role conflicts and professors can develop through their work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직업관련 변인들이 부모역할 참여와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도금혜(Do, Kum-Hae),전귀연(Jeon, Gwee-Yoen),김수경(Kim, Sue-K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7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직업관련 변인들이 부모역할 참여와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버지의 직업관련 변인으로는 일-가정역할 갈등, 직업융통성 및 직업만족도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D지역에 거주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와 백분율 및 Cronbach ? 계수를 산출하였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일-가정역할 갈등이 생활지도 참여와 여가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었고, 아버지의 직업만족도가 생활지도 참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아버지가 일과 가정역할에서 갈등을 적게 느낄수록 아버지는 자녀의 생활지도와 여가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직업에 만족할수록 자녀의 생활지도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아버지의 일-가정 역할 갈등과 직업만족도가 부모역할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버지가 일과 가정역할에서 갈등을 적게 느낄수록, 직업에 만족할수록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occupational variables on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satisfaction of the father with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187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measures of work-family role conflict, occupational flexibility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enting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1) Work-family role conflict had effects on life guidance involvement and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had effects on life guidance involvement. 2) Work-family role conflic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had effects on parenting satisfaction.

      • KCI등재

        일-가정 상호작용에 대한 역할요구-역할자원의 접근

        김옥선(Kim, Ockson),김효선(Kim, Hyosun)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Voydanoff의 역할요구-역할자원 접근이론(Demand-Resource Approach)을 기초로 하여 근로자들이 경험하는 일-가정 상호작용인 일-가정 갈등과 촉진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역할요구 요인과 역할자원 요인들을 파악하고 검증하였다. 병원조직원들을 대상으로 의료기관 직무의 상황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그에 따른 일-가정 상호작용의 결과를 가정하고 그 관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국내의 22개 병원에 종사하는 기혼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병원에서의 역할요구 요소인 업무협조로 인한 스트레스, 업무의 불예측성, 연장근무가 직장에서 가정으로의 갈등을 증가시켰으며, 가정에서의 역할요구로서 6세 이하의 자녀의 존재가 가정에서 직장으로의 갈등을 증가시켰다. 한편, 역할 자원요인으로서 자율성과 외재적 보상만족이 병원 조직원들의 직장에서 가정으로의 촉진을, 가정의 기능 및 정서적 지원이 가정에서 직장으로의 촉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역할요구 요인들은 일-가정 촉진을 방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역할자원요인들 가운데 직장에서의 자율성과 가정에서의 기능적 및 정서적 지원이 종업원들의 일-가정 갈등을 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가정 조화에 있어서 이제까지 관심의 대상이었던 갈등을 유발하는 역할요구 요인 뿐 아니라 각 영역에서의 역할 자원 요인이 중요함을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인력을 많이 포함하는 인력중심의 전문가 집단인 병원조직의 직무특성을 고려한 실증연구로써 조직의 상황과 맥락(context)을 함께 생각한 연구라는 점과, 일-가정 촉진의 과정을 가져오는 역할자원 요인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With the rise of female workers and dual earner employees, issue of balancing work and family lives and the challenge of integrating multiple roles are receiving more attentions from both academic researchers and business firms. In this research, we apply the model of ‘Demand and Resource Approaches’ of Voydanoff(2005) to the work-family interface of workers in Korean hospitals. Both demand factors that cause work-family conflict and resource factors that lead to work-family facilitation were considered. Moreover, work characteristics as well as families context were examined to decide which characteristics work as demands or resources in work-family interface. The data is collected by surveying 740 married employees who belong to 22 hospitals in Korea. As analytical tools,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4.0. The results show that stress caused by job cooperation, unpredictability of work, long overtime hours are demands in work-family interface and that job autonomy worked as a resource.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family, having a child under 6 worked as demand and both instrumental and emotional family supports worked as resources. Also, we found that resources such as job autonomy and family supports reduced work-family conflict significantly, while none of demand factors affects on employees’ work-family facilitation. This result shows the importance of resource factors for workers’ work-family balance. The research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work-family studies. First, the research expands the literature by exploring the mechanism dealing with the work-family interface and related variables. Second, the studies here concern the contextual elements of the organization and jobs performed in it. Hospital is one of the highly professional service industries which has a high proportion of female workforce and is highly depending on high skilled labor. The results show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nected with the hospital workers’ work-family interface, and call for careful management of these issues at hospital for the hospital management. The limitation of current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일 플로우와 역할갈등요인의 관계

        이경화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s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flow at work (i.e., absorption, work enjoyment, and intrinsic work motivation) and role conflict causes (i.e., teacher's belief, teaching and interaction for young children, comradeship, relationship with parents, workload, supervision, and social job awareness).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from a sample of 217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fered (1) the significant reciprocal relationship of two sets of variables which teachers' role conflict causes as predictive variables impact on their work flow; (2) the canonical function 1 shows that absorption and intrinsic work motivation are strongly associated to teaching and interaction for young children; and (3) the canonical function 2 shows that work enjoyment has relatively strong relationship with several role conflict causes including comradeship.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for kindergarten teachers to have sufficient job resources available in their flow at work.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for investigation of teacher's flow at various work state. 본 연구에서는 Csikszentmihalyi의 플로우 개념을 일의 상황에 적용한 Bakker의 WORF를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일 플로우를 측정하고, 이러한 일 플로우가 유아교사의 직업적 역할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몰입, 즐거움, 내재적 동기의 3개 변수로 구성된 일 플로우 변수군과 역할갈등 변수군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개별변수들 간의 상호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경기도 및 부산 소재 공․사립유치원의 217명 교사들로부터 수집한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 플로우와 역할갈등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교호적이며, 역할갈등 변수군이 일 플로우 변수군의 예측변수로 작용하는 인과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 플로우의 변수 중 몰입과 내재적 동기는 유아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예측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즐거움은 조직구성원관련, 교사개인관련, 유아관련,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예측력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다양한 직무환경에 따른 교사들의 일 플로우에 관해 후속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혼여성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 -일만족도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장유나(Jang, Yoona),윤미리(Yoon, Miri),홍세희(Hong, Se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아시아여성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병렬다중매개 모형을 활용하여,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인식이 일만족도를 매개로 일-가정양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 패널의 6차 및 7차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 여성 근로자의 성역할 인식은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9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고용의 안정성, 하고 있는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복리후생, 성과에 대한 인정) 각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역할인식과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일-가정양립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 만족도의 하위 항목 4개(임금 또는 소득수준, 하고 있는 일의 내용, 직장 내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성과에 대한 인정)는 성역할인식이 일-가정양립 촉진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크기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간접경로 모두 일-가정양립 촉진의 주요 경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 만족도를 하위 항목으로 나누어, 각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 촉진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on the promotion of work-life balance.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satisfaction using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Data from the sixth and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were examined. The analysis found that the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rried female workers positively impacted nine sub-variables related to work satisfaction (wage or income level, employment stability, work content,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welfare benefit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Four of these sub-variables (wage or income level, work content, workplac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recogn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moting the work-life balance of married female workers. In addition, these sub-variables mediated the effect of gender role perception on promoting work-life bal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and an indirect mediation path appeared as the main one promoting work-family compatibility. Becau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each work satisfaction sub-variable, it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ograms promoting work-life balance among married female workers.

      • KCI등재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이 일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

        이경화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Mihaly Csikszentmihalyi가 제시한 인지적, 정의적, 동기적 차원의 플로우 개념을 바탕으로, 어린이집 교사가 직업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일 플로우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 플로우가 어린이집교사의 역할갈등의 다양한 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4명의 어린이집 교사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일 플로우 변수군(몰입, 즐거움, 내재적 동기)과 역할갈등 변수군(교사개인, 유아, 조직구성원, 학부모, 행정 및 업무지원, 장학, 사회적 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각 개별변수들의 상호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와 역할갈등 변수군 간의 관계는 상호교호적인 한편, 일 플로우의 예측변수로서 역할갈등을 설정하는 인과관계모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린이집교사의 일 플로우의 변수 중 몰입과 즐거움은 교사개인 및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고, 즐거움은 행정 및 업무지원과 장학관련 역할갈등과의 상호영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국내·외 연구와의 비교 및 이론적 논의점을 기술하였고, 어린이집교사의 개인적, 조직적 맥락의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플로우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하고 일하고 또 일했어요” ― 재일한인 1세 여성의 노동경험과 그 의미

        권숙인 ( Kweon Sug-in ) 한국사회사학회 2017 사회와 역사 Vol.0 No.113

        이 연구는 재일한인 1세 여성의 삶과 경험을 일과 노동에 초점을 맞추어 조망해 본다. 최근 학계에서 재일한인에 대한 연구관심이 급증했음에도 `여성` 혹은 `젠더`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런 상황에서 재일한인 여성들은 다중적 억압을 받은 희생자이거나 온갖 시련을 극복하고 가족과 자식을 지켜낸 숭고한 어머니로 찬양되거나 재일한인 공동체의 문화적 기표처럼 재현되곤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일하는 존재로서의 여성`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재일 1세 여성들의 노동 양상을 드러내 보이는 데 초점을 맞춘다. 나아가 재일여성의 일에서 나타나는 특징이 여성노동의 성격과 관련해 제기하는 이론적 함의도 살펴 본다. 이를 통해 민족차별과 가부장제에 의한 이중차별의 현실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재일여성들의 삶을 좀 더 다각도에서 검토할 수 있는 시각을 모색한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주요 자료는 43건의 재일여성 생애사 자료로, 이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도출된 재일한인 1세 여성의 일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돈벌이 일을 하지 않는 경우가 없으며 그 돈벌이가 모두 가족의 생계를 위한 것이었다. 나아가 실질적인 생계부양자 역할을 한 사람이 적지 않다. 둘째, 일을 한 기간이 굉장히 길다. 십대 초에 일을 시작하여 물리적으로 힘들어질 때까지 계속되는 경우가 많다. 셋째, 여러 종류의 일 경험을 갖고 있지만 커리어로 이어진 일을 한 경우는 거의 없다. 넷째, 생계 노동을 하지만 가사 일도 병행한다. 특히 자영업이나 집안에 작업장을 두고 제조나 내직을 할 경우 일터와 가정의 경계가 불분명하며 가사와 돌봄으로 인해 `일`이 반복적으로 중단된다. 다섯째, 재일한인 1세 여성이 했던 일의 종류는 굉장히 다양하다. 특히 밀주 제조와 판매, 고물상, 암시장에서 장사, 작은 식당이나 술집 운영 등이 빈도가 높게 나타난다. 여섯째, 시기별 변화와 남성과의 차이도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사례가 제기하는 몇 가지 이론적 지점, 특히 여성노동의 특징, 한국적 가부장제의 성격, `여성의 일`에 대한 개념화, 여성의 일과 주체성 형성 등과 관련해 본 연구사례가 함의하는 것을 살펴보고, 일과 노동에 초점을 둔 재일한인 1세 여성에 대한 연구가 당사자들과 재일한인 공동체의 재현과 관련해 갖는 의미를 강조한다. In this study, I focus on paid and un-paid labors of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While the general interest in the topic of ethnic Koreans in Japan has increased significantly recently, studies that focus on the issue of `women` or `gender` are few. In this context, ethnic Korean women in Japan have often been depicted either as multiply-oppressed victims or as laudable mothers who defend families and children while surviving hardships. Otherwise, these women are presented as `cultural markers` attached to `folksy` practices, including shamanism and antiquated traditions such as ancestral worship. In contrast to these predominant representations, this study highlights ethnic Korean women as `laboring subjects`. It draws on statistical data about ethnic Korean women`s labors and occupations, collections of life stories, and in-depth interview data from my own fieldwork. Contrary to the dominant images of the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as devoted mothers and pitiful victims, individual life-history narratives are full of their working experiences. These women started to work beginning in their early teens and took on breadwinner roles in place of their deceased or incompetent partners. In many cases, men devoted themselves solely to `organizational activities for national causes` while having their wives support their families. Some major points of my analysis of the narratives are as follows. 1) few have not engaged in lucrative work, and this work was for the sake of family survival, with many serving as practical breadwinners for their families; 2) they worked for a prolonged period of time with many starting in their early teens and continuing until they became physically incapable; 3) the first generation Korean women in Japan rotated through various labors and jobs with some pursuing professional careers, while some did hard physical labor including ship water-proofing, welding, and construction―jobs typically associated with men; 4) some women worked for the family`s subsistence, while also doing housework; 5) first-generation Korean women were engaged in extremely diverse forms of work and labor, which included brewing and selling of rice wine at home (illegally), junk collecting and dealing, trading in (post-war) black markets, and running small restaurants and bars were the most common work. Concluding this study, I reflect on several theoretical issues that my analysis raises and underline women`s active engagement in the making of the Korean ethnic community in colonial and postcolonial Japan.

      • KCI등재

        여성 진로 상담 관점에서 본 다중역할(일-가족) 균형의 구성개념 및 측정에 관한 경험적 연구 고찰

        최윤정,김계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서 인식되어 왔던 다중역할 균형에 대해 여성의 진로발달과 상담 관점에서 고찰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에서 출판된 학술지 50여 편과 단행본을 중심으로 다중역할 균형에 대한 구성개념과 측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첫째, 다중역할 균형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크게 진로발달이론과 역할이론을 바탕으로 역할중요도,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일-가족 갈등, 일-가족 향상 그리고 일-가족 균형의 구인들에 대한 연구들로 이루어져 왔다. 둘째, 진로발달 이론을 근거로 개발된 도구들은 역할 중요도 척도(SI: Salience Inventory; Super & Nevill, 1985), 다중역할계획에 대한 태도척도(ATMRP: Attitudes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생애 역할 중요도 척도(LRSS: Life Role Salience Scale; Amatea et al., 1986)들이 있었다. 역할이론을 바탕으로 수행된 일-가족 다중역할 연구들은 일-가족 갈등, 일-가족 향상, 일-가족 균형의 구성개념들을 통해서 이루어져 왔으나 그러한 구인들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가족 다중역할의 균형의 구인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일-가족 다중역할 균형의 구성개념은 개인과 부부, 가족, 조직, 나아가 사회와 문화적 맥락까지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개념이었다. 끝으로 일-가족 다중역할 균형에 대한 구성개념과 측정에 관한 기초정보를 바탕으로 여성 진로상담의 실제와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basic knowledge regarding construct and measurement for multiple-role balance with perspective o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A review of about fifty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nd America including three handbooks of work-family integr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review are as following. First, the theoretical approaches were career developmental theory and role theory to assess the constructs such as role salience, attitudes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balance. Second, the measurements based on career developmental theory were Salience Inventory(Super & Neveill, 1985), Attitudes Towards Multiple Role Planning(Weitzman, 1994) and Life Role Salience Scale(Amatea et al., 1986). Work-family literature based on role theory have researched on constructs such as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enhancement and work-family balance. However, development of measurement for those constructs left much to be desired. Third, when synthesizing empirical results with regard to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 of multiple-role balance and other related variables, the construct of multiple-role balance needed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individual level including a person, couple and organization as well as in society and cultural context level for full understanding of the complicated construct. Fi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review, implications in practice and research o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were provided.

      • KCI등재

        예비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에 대한 연구: 남녀 인식의 차이검증

        전세경,어성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role preception of th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practical arts subject. To meet the goal, a data set drawn from the 810 self-administered survey instrument developed by the authors was collected and analyzed with SPSS 21 in terms of the descriptive and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evidenced the gender divide in marital gender role definitions. Male students inclined more toward traditional gender role definition while female students did toward egalitarian gender role definitions. In terms of parenting role definitions, both gender agreed the importance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and female students showed stronger agreement with the father's involvement than male students. Being a parent valued by both gender. But child birth as a personal choice was strongly hold by female students whereas child birth as the virtue of family reproduction was still remained among the male students. In conclusions, author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very urgent to enlighten and educate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flexible gender role definition and work-family balanced transi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이 인식한 가정에서의 성역할을 부부 성역할, 부모 성역할 그리고 자녀관으로 세분하여 살펴보고 성별에 의한 인식수준의 차이여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8개 교육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810부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부 성역할에서 남녀 교육대학생들의 인식의 괴리가 극명하게 나타났는데, 고정적 성역할태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반면에 양성평등적 성역할인식은 여학생집단이 유의하게 높았다. 부모 성역할에 관하여는 남학생들의 인식이 부부간 성역할에 대한 인식보다 훨씬 더 유연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으나 여전히 육아에 있어 남성참여에 대한 인식수준은 여학생집단이 남학생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높았다. 부모 됨에 관하여 남녀학생 모두 가치 있는 일이라고 응답하고 있었고 사회존속이라는 공적가치관에서는 남녀 유사한 수준의 인식을 보이고 있었으나 사적수준에서의 가계계승에 대한 인식은 여학생집단에서 유의한 수준에서 낮게 나타났다. 자녀의 필요성 역시 여학생보다 남학생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혼의 교육대학생들 집단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극명하게 존재함을 보여주었고, 연구자들은 그 괴리를 메울 수 있는 교육적 중재방안으로 유연한 성역할에 대한 인식전환과 의식개혁과 더불어 균형적 일-가정전이를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