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4시간 주기의 독거노인 생활 패턴 모델링 및 이상 검출 방법

        이선우(Seon-Wo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7

        본 논문에서는 독거노인의 주택에 설치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이 감지하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상 활동을 인식하고, 이 정보에 기초하여 일상 활동의 반복성을 반영하는 24시간 주기의 모델을 만드는 방법과 이 모델에 기초하여 이상(anomaly)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독거노인의 일상생활 패턴을 구성하는 특징성분(각 방에서의 체류, 외출, 수면 등)의 시간 반복성을 반영하는 퍼지집합으로 생활 패턴을 모델링한다. 이와 함께 구축된 생활 패턴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하루의 일상 활동이 평상시와 얼마나 다른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를 이상정도(degree of anomaly)라 함-를 정의하고 이값을 계산하는 방법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3명 독거노인의 실제 주택에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고 3개월 이상 운영 실험을 수행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circadian life pattern model and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by using a remote monitoring system. The proposed circadian model is composed of a set of fuzzy sets from time information of features such as staying of each room, going-out event, sleep behavior. The feature can be considered as components of daily living pattern of a resident. The fuzzy sets represent a statistical repetition of the components. Based on the derived life pattern model we propose a measure called the degree of anomaly that can indicate behavioral deviations from usual habits.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we installed the remote monitoring system into three houses and collected data during over three months, then analyz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 일상생활 감지용 센서를 위한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구현

        이상민(Sangmin Yi),장신열(Shinyeol Jang),조승호(Seungho Cho),조석향(Seokhyang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C

        선진각국에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령친화 산업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 요양 또는 복지 시설내 노인들의 거주 환경 변화 및 거주자의 활동 양상을 측정하는 노인케어 유비쿼터스 시스템 knu-SCS(KangNam Ubiquitous Senior Care System)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nu-SCS 시스템은 조도, 습도, 온도 센서, 웹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센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저장, 가공, 분석하기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센서 웹을 구현하였다. 센서 웹에서 제시하는 데이터들은 일상적인 노인 행동 및 생활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자료가 되므로, 이를 기초로 노인들이 겪을 수 있는 건강상 문제나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노인 케어에 활용될 수 있다.

      • 노인의 편안한 생활을 지원하는 센서 통합 관리 시스템: knu-SCS

        이상민(Sangmin Yi),진평수(Pyungsu Jin),조승호(Seungho Cho),김형태(Hyoungtae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Vol.15 No.1

        선진각국에서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령친화 산업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 요양 또는 복지 시설 내 노인들의 거주 환경 변화 및 거주자의 활동 양상을 측정하는 유비쿼터스 노인케어 시스템 knu-SCS(KangNam Ubiquitous Senior Care System)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knu-SCS 시스템은 조도, 습도, 온도 센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센서들이 감지한 데이터를 저장, 가공,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을 하고 저장된 데이터들을 사용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센서 웹을 구현하였다. 센서 웹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들은 일상적인 노인 행동 및 생활환경을 인지할 수 있는 자료가 되므로, 이를 기초로 노인들이 겪을 수 있는 건강상 문제, 갑작스런 생활의 변화감지,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등 노인케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