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요국의 첨단기술 보호 정책과 투자규제의 대상

        김민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25 No.4

        주요국에서 경제 안보를 중시하는 정책이 강화되고 있다. 주요 선진 국가들은 경제안전보장 정책으로 공급망의 확보, 첨단기술의 유출 방지, 중요 인프라와 데이터의 보호, 첨단기술의 개발 강화·지원 등을 실시하고 있다. 미국은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중국의통제를 목표로 경제 안보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미국에 대한 직접투자를 규제하고있다. 미국뿐만 아니라 주요국은 외국 자본에 의한 첨단기술 보유 기업의 매수 금지와투자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미국의 「수출관리개혁법」과 「외국투자위험심사현대화법」, 영국의 「국가안보투자법」, 일본의 「경제안전보장추진법」, 캐나다 「투자법」 등이 대표적인 관련 법령이다. 우리나라도 「산업기술보호법」과 「방위산업기술보호법」 등을 통해 73개의 국가핵심기술과 123개의 방위산업 기술에 대한 보호와 투자규제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이 내세우고 있는 첨단기술 보호 정책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첨단 기술보호 정책과 연계된 법령과 제도를 검토하고, 어떤 첨단기술에 대해 투자규제를 실시하고 있는가를 비교하고자 한다. 주요국의 규제 대상인 최첨단 기술은 미래의 기술 패권을 좌우하는 핵심이다. 주요국의 투자규제 대상과 첨단기술 분야를 비교하여 보면 우리나라와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국의 투자규제대상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첨단기술보호 정책이 나아가야 할 시사점을제시하였다. 첫째, 미중 대립이 주는 시사점으로는 미국이 어느 첨단기술을 보호하고 통제하는지그리고 어느 분야에 대한 투자를 규제하는지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주요국 법령과 제도가 주는 시사점으로는 경제안보 차원에서 첨단기술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령과 컨트롤 타워의 재정립 등이 필요하다는점을 제시하였다. 셋째, 주요국 투자 규제가 주는 시사점으로는 심사대상의 탄력성과 외국에 대한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해 직권 심사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넷째, 주요국 투자 규제 대상이 주는 시사점으로는 세계적 기술동향에 따라 첨단핵심기술을 개별 기술 단위 및 분야별로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일본의경제안보추진법처럼 비밀연구와 비밀특허제도 도입 및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Major countries are strengthening policies that emphasize economic security. Major countries are implementing the following policies as economic security policies; Securing supply chains, protecting critical technologies, protecting critical infrastructure and data, and developing emerging technologies. The U.S. is promoting economic security with the aim of China’s control over critical technologies fields. For this reason, direct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 is regulated. Major countries are strengthening investment regulations and banning the purchase of high-tech companies by foreign capital. The U.S. Export Control Reform Act, the Foreign Investment Risk Review Modernization Act, the U.K. National Security Investment Act, Japan’s Economic Security Promotion Act, and the Canadian Investment Act are laws to regulate investment. The purpose of foreign investment regulation is to protect critical technologies, secure supply chains, and secure important mineral resources. Korea also designates 73 critical technologies under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The Defense Industry Technology Protection Act designates 123 defense critical technologies. In this study, I’d like to review the critical technologies protection policies promoted by major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d like to review laws and systems related to critical technologies protection policies. And I’d like to compare which critical technologies are being regulated for investment. In particular, I’d like to consider technologies that are subject to investment regulations in major countries. Emerging and critical technology determines the future and economy of the country. However, if you compare investment regulations in major countries with critical technologies, we can see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Korea. In this study, through a comparative review of investment regulation targets in major countries, it presented implications for Korea’s critical technologies protection policy. First, the implications of the U.S.-China confrontation are as follows. Which emerging technologies are protected and controlled by the United States. And which areas of investment are regulated. It should be tracked in real time,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implications of laws and systems in major countries are as follows. In order to protect critical technologies in terms of economic security, related laws and control towers need to be reestablished. Third, the implications of investment regulations in major countrie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ex officio examination system to secure responsiveness to foreign countries. And fourth, the implications of investment regulations in major countrie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emerging technologies by individual technology units and fields according to global technology trend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ecret research and patent system like Japan’s economic security promotion law.

      • KCI등재

        기술유출 방지를 위한 비밀특허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 일본 경제안전보장추진법 및 기타 주요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용순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39 No.3

        Only ‘inventions necessary for national defense’ are subject to secret patents in Korea. However, as major countries prohibit the disclosure of technologies that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scope is broader than that of Korea. In particular, Japan re-introduced the secret patent system by enacting the Economic Security Promotion Act in May 2022, expanding the scope to specific important technologies. In the case of Korea, it is necessary to target the scope of national core technologies and strategic technologies such as semiconductors, biotechnology, secondary batteries, and displays.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method of classifying technologies invested in national R&D budgets as objects of confidential patents in the first place among technologies corresponding to national security. The designation and cancellation of secret patents should be reviewed at least once a yea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flexibly in conjunction with those who frequently designate and release national core and strategic technologies. In order to guarantee the effectiveness of the secret pat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principle of first country application to the KIPO. For this to be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nalty provision. 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cedure for the designation of a secret patent and to check in advance whether the patent is subject to a secret patent,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dedicated organization or unify the confirmation window in the KIPO to inquire whether the patent is subject to a secret patent or not. When the secret patent system is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 institution that will prepare a compensation system, evaluate the reasonable compensation amount, and calculate the compensation amount accordingly. In addition,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standards for information leakages prevention measures such as confidentiality for applicants and related businesses, prepare penalties for securing their effectiveness, distribute manuals for security management, and support education. 우리나라는 ‘국방상 필요한 발명’에 한하여 비밀특허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주요국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되는 기술의 공개를 금지하고 있어 우리나라보다 그 대상이 넓다. 특히 일본은 2022년 5월 경제안전보장추진법의 제정으로 비밀특허제도를 재도입 하면서 그 대상을 ‘특정중요기술’로 확대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반도체, 바이오,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국가핵심기술 및 전략기술의 범위까지 그 대상이 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가안보에 해당하는 기술 중에서도 국가연구개발 예산이 투입된 기술의 경우 우선적으로 비밀특허의 대상으로 분류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비밀특허의 지정 및 해제에 있어서는 연 1회 이상 검토하되 국가핵심기술, 전략기술의 지정・해제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바 이들과 연동하여 탄력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비밀특허제도의 실효성 담보를 위해서는 우리나라 특허청에 먼저 출원하도록 하는 제1국 출원주의를 도입할 필요가 있고, 이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벌칙규정을 둘 필요가 있다. 그리고 비밀특허의 지정절차의 원활화 및 비밀특허 대상인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특허청에서 비밀특허의 대상인지 관련기관에 조회할 수 있는 전담조직의 신설 또는 확인창구의 일원화가 필요할 것이다. 비밀특허제도가 도입되는 경우 보상체계의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할 것이며 합리적인 보상액 평가를 수행할 기관을 지정하고 이에 따른 보상규모 산정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출원인 및 관련 사업자 등에게 비밀유지 등 정보유출 방지조치의 기준 마련, 이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벌칙규정 마련, 보안관리를 위한 매뉴얼 배포, 교육지원 등도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후출원자의 통상실시권, 비밀특허를 기초로 한 국내우선권등과 관련된 규정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