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취업관련 교재분석

        조은영(Cho, Eun-Young)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동서인문학 Vol.0 No.57

        본 연구는 일본취업을 위해 시판된 일본취업관련 교재를 분석하여 장점과 단점 등 특징을 밝힌 것이다.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일본으로의 취업활동을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학생들과, 일본취업관련 교과목을 운영하는 교수자에게 교재선정과 학생지도에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교재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밝힘으로써 향후 출판될 취업관련 교재에 대하여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1) 일본취업관련 교재의 성격은 ‘일본취업 장려’, ‘일본취업 정보전달’, ‘기존의 비즈니스일본어 교재’, ‘면접’ 등으로 나눌 수 있다. (2) 일본취업관련 교재는 일본에서 출판된 책이 한국에서 그대로 출판된 것, 약간만 번역된 것과 일본취업에 힘을 쏟고 있는 대학교에서 출판된 것이 있다. (3) ‘일본취업의 흐름-기업분석-자기분석-이력서와 엔트리시트 작성-면접’ 에 대하여 기술된 교재는 『실무』 뿐이었으나 내용이 IT직종에 치우친 경향이 있다. (4) 대학에서 취업관련 교재로 사용가능할 내용으로 편집된 것은 취업이나 학생개인이 준비하기에는 일본어로만 설명이 되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나가누마』는 교재의 제목과 같이 취업일본어와 비즈니스일본어 수업에 사용가능할 것으로 보이나, 학생 개인이 준비해서 취업활동을 해 나가기에는 정보가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5) 일본취업관련 교재에서 추가되어야 할 것은 일본어로 일본기업에 질문할 수 있는 어학 능력과 적극성, 입사 후의 목표와 커리어 향상에 관한 구체적인 고민, 일본기업문화의 이해, 일본한자어 습득, 부모와의 사전 상의, IT직종에 치우치지 않는 내용 등이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ooks published to help employment in the Japanese marke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mployment-related books can be divided into ‘encouraging employment in Japan’, ‘delivering information on employment in Japan’, ‘the existing Japanese textbooks’, and ‘interview’. (2) The employment-related books are either Japanese books that are published in Korea intact, or those that are translated partially, or published by universities that are focusing on encouraging employment in Japan. (3) The only book that described the process of ‘the Japanese employment trend - self-analysis - writing entry sheet and resume - interview’ was <Japanese Employment Practice>, but the content was heavily focused on the IT industry. (4) One that is edited in a way that could be used as a textbook for employment-related classes in universities is <Japanese Language for Employment>. However, the book is in Japanese which is not very accessible for Korean students. 〈Naganuma School Employment & Business Japanese〉 is viable for the class settings as the title indicates, but would be insufficient for an individual student alone to prepare for employment with the book. (5) The topics that need to be mentioned in the textbooks related to the employment in Japan would be language skills and a proactive attitude to ask questions during the interviews with Japanese companies, specific plans to improve career after employment, understanding the Japanese working culture, acquiring Chinese characters used in Japanese, prior discussions with parents, and not to focus heavily on IT industry alone.

      • KCI등재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일본취업 동향에 관한 연구

        이현승 ( Lee Hyeon-seung ),송정현 ( Song Jung-hy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2

        코로나 팬데믹 사태에 따른 고용규모의 축소는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취업난을 야기하고 있으며 청년층의 취업활동 또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2021년에도 코로나 사태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바, 일본취업 또한 코로나 사태를 고려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직면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취업의 동향과 한일 채용시장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일본취업 전략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일본취업에 관한 문헌자료 분석과 관련 전문가 및 현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조사 분석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코로나 사태 이후 일본기업은 대면 면접의 비율을 낮추는 동시에 채용과정의 비대면화를 확대시키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한국에서 온라인 면접을 통하여 일본 면접에 응시할 기회가 확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번째, 한국에서는 신속한 실무 투입이 가능한 인재를 선호하기에 직무역량과 스펙 위주의 평가를 시행하는 반면, 일본기업에서는 오랜 기간 근속이 가능한 인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에 한국과 인재 평가 기준이 상이한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본취업의 지원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서류 작성, 면접 등 채용과정 전반에 대한 핵심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포스트코로나 시대 일본취업에 필요한 전략을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에 대해 본 연구는 일본취업에 대한 종합적ㆍ실증적 분석을 시행했다는 점, 문헌 조사와 현직자 및 전문가 인터뷰 조사를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일본취업의 동향 분석 및 향후 실질적인 취업전략 수립까지 도출했다는 점, 그리고 취업난이라는 국가적 문제의 시급성에 주목했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경제적ㆍ사회적 구조가 유사한 일본의 고용시장을 파악하고 이를 논의한 본 연구의 의의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The reduction in employment due to the Corona pandemic is causing serious job shortages around the world. Young people are also struggling with employment activities. Corona situation is expected to continue in 2021. Therefore, employment in Japan also needs to be further reviewed in consideration of the Corona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employment in Japan and differences in the employment market between Korea and Jap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mployment strategies in Japan. For the purpose, literature analysis on employment in Japan and interview survey analysis of relevant experts and incumbent worker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Corona crisis, Japanese companies were expanding their non-face-to-face interviews by lowering the ratio of face-to-face interviews in the hiring process. This was judged to have expanded the opportunity to apply for interviews in Japan through online interviews in Korea. Second, in Korea, we prefer talent who can make quick practical use, and conduct job competency and specification-oriented evaluations. On the other hand, because Japanese companies prefer talent who can serve for a long tim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alent were different from Korea. Finally, key strategies were reviewed for the overall recruitment process, including factors to consider in the application process for Japanese employment, paperwork, and interview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closely understand the strategies necessary for employment in Japan during the post-corona er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a comprehensive and empirical analysis of Japanese employment, analyzed trends in Japanese employment and established practical employment strategies by conducting both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incumbent and exper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significant in identifying and discussing Japan’s job market with similar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 배재대학의 “일본취업IT인력” 송출 현황 및 과제

        강철구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4 사회과학연구 Vol.36 No.1

        최근 한국의 대학환경이 급변하면서 대학을 평가하는데 있어 대졸자들의 취업이 중요한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대학들이 대졸자 취업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도입하고는 있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대졸자들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취업을 선택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따라서 대졸자들은 맹목적인 취업활동을 하기 보다는 자신의 전공과 흥미 등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취업준비활동을 해야 하고, 대학 역시 그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환경 하에 본 연구는 배재대학교 일본학과 졸업생들이 전공지식을 살려 한국과 지리적 환경이 비슷하고 또 대학 4년간 습득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특정 국가에 취업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한편, 학교에서 외부연수기관과 협력하는 프로그램을 통해 취업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의 현황 및 과제 등을 통해 향후 일본으로의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재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취업준비를 할 수 있는 방안을 새롭게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는 일본이 20여 년 간의 장기 경기침체에서 벗어난 이후 최근 IT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일본으로의 취업 전망이 밝은 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의 인력시장은 블루오션시장(blue ocean market), 아니 어쩌면 틈새시장(niche market)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일본 취업과 관련하여 향후 해결해야 할 문제 등을 정확히 진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할 경우 한국 대졸자들의 대일본 인력 송출에 대한 평가를 올바르게 받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On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is an important variable when evaluating the university. Accordingly, most universitie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programs for employment, but, in reality, not all graduates will have it that the best job for them. Therefore, graduates will be considered for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and university also needs to provide an appropriate program for graduat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s for seeking new ways to effectively prepare for the job they want to work in Japan after graduate PaiChai University. This is Japan's increasing demand for IT resources away from long-term recession last 20 years because employment prospects are bright side of Japan. Thus, the labor market in Japan may be a blue ocean market, or a niche market. However, it is necessary to be solved the problem in related to the recruiting in Japan and to accurately diagnose for the remaining problems.

      • 일본의 여성정책과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동향

        문소정(So-Jeong Moon)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1 젠더와 사회 Vol.22 No.-

        이 연구는 일본의 중고령층 여성, 즉 50-60대 연령층의 취업동향과 취업활성화 정책을 살펴보고, 나아가 한국의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활성화를 위한 정책수립에 대한 함의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일본 정부기관에서 발행하는 백서, 통계자료 등 문헌연구, 관련 기관에 대한 홈페이지 검색과 이메일 인터뷰, 전화 인터뷰 및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과 직업교육 프로그램 등에 대한 총체적인 기획과 구체적인 실태를 알고 있는 동경도 산업노동국 취업추진과 고령자 취업담당자에 대한 면담 인터뷰를 활용한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1990년대 이후 지속되는 일본의 경기후퇴 속에서, 특히 2000년대 남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극히 불안정해지는 추세를 배경으로 할 때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의 점진적 증가는 눈에 띄는 현상이었다. 특히 여성의 노동시장동향에서 중고령층 50-60대 여성의 고용 증가에는 남녀공동 참획기본계획과 여성정책, 효율적인 취업활성화 기구 그리고 해당 지자체의 인력수요와 구직요구의 조직적 연계가 뒷받침되어 있었다. 특히 일본에서는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활성화를 위하여 해당 지역의 중고령자의 인력수요에 기초하여 산업체 관련 단체, 조직과 협력하고 연계하는 시스템을 통해 적합한 직종 개발, 직업교육과정에 대한 위탁교육,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직업교육과정을 수강한 구직자의 대략 70% 정도를 취업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한국에서도 일본처럼 중고령층 여성의 구직 요구를 산업체 관련 단체와 조직의 현실적인 구인 수요에 바탕하여 직종개발, 교육, 취업 등에서 조직적으로 연계시키는 것은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2000년대, 특히 2005년 일본 여성정책의 초점이 30-40대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에 두면서, 이 연령대 여성의 취업이 점진적으로 향상되면서 반사적으로 보육, 고령자 개호 헬퍼 등 돌봄 영역의 일자리가 늘어나서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상승이라는 선순환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않았나 추론된다. 따라서 이 두 연령대의 경제활동참여율 상승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에서도 30-40대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을 지원하는 것이 50-60대 중고령층 여성의 취업을 상승시키는 동반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mographic trend that Korea is destined to be an aged society needs new policies for them. To maintain their working life and improve life quality, both employability improvement and vocational competence education system to support them are definitely necessary. Therefore this research tries to explor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olicies to strengthen the employability of middle-old aged women in Japan. In Japan,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many policy programs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iddle-old aged women to the labour market. And these programs give very practical help to middle-old aged women. These Japanese policies is strongly recommendable to Korea in order to help middle-old aged women to become more productive generation. And the government should try to create diverse decent jobs in communities, provide one-stop services and training opportunities for employment of middle-old aged women.

      • KCI등재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인

        성혜영 ( Sung Hea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실태를 고찰하고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상시 또는 파트타임과 같은 취업형태를 결정하는 요인을 일본 내 전국 수준의 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는데 있다. 일본 기혼여성취업의 특징은 파트타임 취업 비율이 특히 높다는 것이며 이에 취업 여부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취업자 내부에서 상시 취업과 파트타입 취업을 구분하는 요인이 서로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분석을 위해 일본가족사회학회의 `제2회 가족에 관한 전국조사(NFRJ03)`와 `제3회 가족에 관한 전국조사(NFRJ08)`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 석대상을 유배우 여성 중 배우자가 현재 일하고 있는 주부, 상시 취업자, 파트타임 취업자로 정하여 최종적으로 NFRJ03에서는 1,520케이스가, NFRJ08에서는 1,257케이스가 활용되었다. 그 결과 연령, 6세미만의 자녀 유무, 성역할 의식, 남편의 수입, 부모 또는 시부모와의 동거와 준 동거는 취업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학력, 성역할 의식, 남편의 취업형태, 결혼 및 출산으로 인한 일 중단 경험은 취업형태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6세미만의 자녀가 있고 성역할 의식이 강하며 남편의 수입이 높은 경우 전업 주부일 경향이 높았으며 취업자 내부에서는 학력이 낮고 성역할 의식이 강하며 가사 및 육아 원조자가 없고 일 중단 경험이 있는 경우 파트타임 취업자일 가능성이 높았다. 일본 기혼여성의 취업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은 국내 선행연구들과 전반적으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단지 취업자 내부에서의 학력차이는 일본의 경우 상시 취업과 파트타임 취업을 구분하는 요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임금의 차이를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 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married women`s employment and employment status in Japan. The data came from NFRJ03 (National Family Research of Japan 2003) and NFRJ08 (National Family Research of Japan 2003) of the National Family Research Committee of the Japan Society of Family Sociology.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I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 (1) Age, having a child aged less than 6 years, gender role attitudes, husband`s income and living with parents or parents in law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 (2)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status (full-time or part-time) were education, gender role attitudes, husband`s employment form, career interruption caused of marriage or childbirth ; (3) The women have a child aged less than 6 years, strong gender role attitude and higher incomes husbands tend to be housewives ; and (4) The women have lower education history, strong gender role attitude and career interruption experience tend to be part-time employer.

      • KCI등재

        문형을 활용한 일본어 작문 교육의 제안 ― 엔트리시트 작성을 중심으로 ―

        김태희 한국일어교육학회 2022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8

        This study aims to offer formalized writing patterns of Japanese Entry Sheet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are looking for job opportunities in Japan. Their Japanese learning ability is above the intermediate level. Now, Writing Japanese Entry Sheet needs strategic writing practice. This paper shows to them how to write effective and practical Entry Sheet in Japanese and also how to appeal their opinions and appropriate response at the job interview. For this, this paper analyzes validity of writing patterns, sentence structures, grammatical usages and related vocabulary. Eventually most students who took this new lectures could write Japanese Entry Sheet. Further, teachers can als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correction work compared to free-writing style entry sheet correction. In addition, I hope this study will be the first trial at strategic and efficient writing education to think in Japanese and start writing in Japanese. 본 연구는 구체적이며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일본어 엔트리시트 작성에 관한 교수법과 교재의 필요성에서 출발한다. 일본으로의 취업을 준비하는 일본어 학습자 (비전공자를 포함)를 위한 엔트리시트 작성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종래 학생들의 엔트리시트 작성 과정을 보면, 한일번역작업에 가깝다. 상급레벨의 어휘 및문형으로 이루어진 한국어 자기소개서를 일본어로 옮기는 과정에서 글의 내용은 난해해지기 쉽고 완성도도 떨어진다. 교사 입장에서는 첨삭 과정의 수고와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 기업은 취업준비생이 구직 시 제출하는 엔트리시트에 현란한 문장력이나 학술적인 논리력을 요구하지 않는다. 일본어 엔트리시트 작성에서 중요한 것은 지원하는 기업의 엔트리시트 구성에 맞춰서 간결 명료하게 성실한 내용으로 채워 쓰면 충분히 좋은 결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일본어 능력 JLPT N2~N3 레벨의 문형으로 작성할 수 있는 엔트리시트의 매뉴얼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생들은 제시된 엔트리시트 매뉴얼에 맞춰서 자신의 경험이나 의견을 써 넣는 작업을 통해 글을 완성할수 있다. 이런 일련의 작문 과정을 통해, 형식 없이 추상적인 내용을 나열하는 종래의 작문습관을 사전에 방지할수 있고, 이로써 교사의 첨삭 작업 과정 또한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나아가, 자신의 일본어 학습력을 바탕으로 작성된 「書きやすい」 엔트리시트는 면접 시 「話しやすい」 일본어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書きやす い・話しやすい・読みやすい・分かりやすい」 엔트리시트 작성 교수법의 유익한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고등교육기관에 있어서의 JLPT 강좌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남득현(南得鉉)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3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과 2·3년제 대학의 일본어능력시험 강좌의 개설현황을 비교·분석하고、강좌의 개설여부가 해당 일본관련 학과의 취업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수집(蒐集)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과 2·3년제 대학 모두에서 일본어능력시험 강좌가 개설된 대학 쪽이 그렇지 않은 대학에 비해 취업률이 높았으며, 일본관련 학과를 개설한 대학의 학과 평균 취업률을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일본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에서는 재학생들이 변화해가는 일본어능력시험 제도에 적절히 대응하고 졸업예정자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서 진력해야 하며, 2·3년제 대학도 보다 적극적인 강좌의 개설과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대학을 평가하는 평가지표의 30% 가까이를 차지하는 취업률 향상에 유익한 자료가 될 객관적인 데이터를 도출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며,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중국어와 그 외의 제2외국어 능력평가시험 강좌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는 비교자료로서 활용하여, 제2외국어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와 같은 실태파악 연구를 희망하는 연구자와 고등교육기관 관계자의 강좌개설 결정에도 중요한 기e자료로써 사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일본 취업을 위한 유통 분야 어휘 분석 ―『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의 어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하주영,한원형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1 일본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analyzed the vocabulary appearing in “Retail and distribution books”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primer of distribution sector, by using KH-Coder and then compared the major word classes of noun, verb, NA adjective, I adjective and adverb to the vocabulary of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Guidebook” through reanalysis in order to promote Japanese vocabulary learning of job seekers wishing to be employed in the Japanese distribution sector. Moreover, by examining the proportion of using vocabulary and using vocabulary per level for each class, it contemplated how much vocabulary of the Japanese distribution sector is contained, as well as which vocabulary should be learned further.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ing vocabulary up to JLPT Level 1 in addition to vocabulary including foreign words related to distribution was required for noun and NA adjective, and learning vocabulary up to Level 1 allowed one to understand 80.94% ofdistribution sector vocabulary for verb, and compound verb used in daily conversation was needed to be learned together. Furthermore, the outcome indicated that one could understand 76.27% of distribution sector vocabulary when learning up to Level 1 for I adjective and 84.69% when learning up to Level 1 for adverb, and other daily conversation vocabulary was needed to be learned together. 본고는 일본 유통 분야로의 취업을 희망하는 취업 준비생의 일본어 어휘 학습을 도모하고자 유통 분야의 기본서라고 할 수 있는 『小売・流通の本』에 나오는 어휘를 KH-Coder 를 사용해서 분석한 후, 재분석을 통해 주요품사인 명사, 동사, ナ형용사, イ형용사, 부사를 『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의 어휘와 비교하였다. 또한, 각 품사의 급수별 사용어휘 비율과 사용어휘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일본 유통 분야의 어휘가 얼마큼 수록되어있는지와 더불어 어떤 어휘를 더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명사, ナ형용사는 1급까지의 어휘와 더불어 유통 관련 외래어를 포함한어휘를 학습해야 하며, 동사는 1급까지의 어휘를 학습하면 80.94%의 유통 분야의 어휘를이해할 수 있으며, 일상회화에서 사용되는 복합동사도 함께 학습해야 한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イ형용사는 1급까지 학습하면 76.27%를 부사는 1급까지 학습하면84.69%의 유통 분야의 어휘를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외의 일상회화 어휘도 함께 학습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일본취업과 대학의 역할 -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본취업 시스템을 중심으로 -

        나유정 일본어문학회 2019 일본어문학 Vol.84 No.-

        本稿は釜山外国語大学の就職システムを実例にあげて、日本での就職の活性化のための大学の役割について論じた。まず、大学では就職の入口から事後管理までの就職統合システムが必要である。その流れに沿って語学及び職務の教育、就職キャンプ、メンタリングなどの実践教育プログラムの充実が必要である。 次に、政府と自治体、そして大学が連携する日本就職合同博覧会の開催において、大学は最も大事な役割を果たすべきであり、内定率と直結する博覧会の成功のためには、インフラの構築、求人を求めている企業の新規開拓及び企業の管理が大事である。 日本での就職と関連する先行研究があまりない現状において本稿で提示した日本就職システムに関する事例は日本就職を目標にしている学生たちのための就職教育に役に立つであろう。 In this paper I discuss the employment system of Busan Foreign Language University as an example and analyze the role of universities to activate Japanese employment. First,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build a job integration system from the entrance to employment to follow-up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make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such as education of languages and duties, employment camp, mentoring and to seek methods on an internalization along this trend. Secondly, the university should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holding a joint employment exhibition held by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For the success of the exposition directly linked to the employment rate, it is important to build infrastructure, to discover companies seeking recruitment and to manage companies.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are not so many selection studies related to Japanese employment, the case on Japanese employment system presented in this paper will be useful for employment education for students aiming for Japanese employme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