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포지엄 논문(論文) : 한국의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의 실태

        주정진궁 ( Sakai Mayum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18

        한국에서의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은, 1973년에 제2외국어로 추가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교육과정과 대학 입시제도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2001년에는 그 당시까지 학습자가 가장 많았던 독일어를 웃돌았으며, 현재는 60만 명이 넘는 고등학생이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다. 그리고, 이 60만이라는 학습자는 한국내 일본어학습자의 68%, 세계 일본어 학습자의 20%를 차지하고 있다. 고등학교의 일본어교사는 최근 10년 동안 1,000명 이상이 증원되어 현재 2,025명이 되었지만, 교사 1인당 학생수가 다른 외국어에 비해 많기 때문에, 향후에도 증원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질 높은 일본어 교사의 양성이 시급한 상황이다. 고등학교 일본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사는 수업시간에 해석·회화·문법에 많은 힘과 시간을 쏟고 있었으며, 듣기에 있어서는 이를 중요시하는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 두 부류로 나뉘어져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교사의 기대만큼 예습과 복습을 하지 않기 때문에, 교사는 학습 효과를 올리기 위해 숙제나 쪽지시험으로 보충하려 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제7차교육과정에서는 적극적인 학습태도가 요구되고 있으며, 의사소통 능력 및 정보검색 능력의 양성과 일본문화의 이해가 학습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일본어교사들은 학생의 흥미를 끄는 내용의 교재 채택과, 어려운 문법이나 어휘를 줄인 기능 중심의 회화연습 도입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최신 일본문화·일본사회를 소개하는 영상이나 인터넷을 활용한 학습도구 등, 교사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부교재도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향후 일본어 교육과 관련된 연구자 및 기관은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지고, 교재개발이나 부교재의 확충, 일본어교사 양성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 韓國における高校日本語敎育は、1973年に第2外國語に加えられたことによって始まった。その後、敎育課程や大學入試制度の影響を受けながらも、增加の傾向を見せ、2001年にはそれまで履修者數が最も多かったドイツ語を上回り、現在では60萬人を超える高校生が日本語を勉强している。この數字は韓國の日本語學習者の68%、世界の日本語學習者の20%を占めている。高校日本語敎師數は、この10年間で1000人以上增員され、現在2025名となっているが、敎師一人當たりの學生數が他言語よりも多いため、今後も增員の必要がある。したがって、質の高い日本語敎師の養成が急がれる。高校日本語敎師を對象としたアンケ―ト調査によると、敎師は敎室活動で解釋·會話·文法に力を入れており、時間もかけ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聽解に關しては重要視している敎師とそうでない敎師とに分けられる。また、敎師が期待しているほど、學生が予習·復習をしていないため、敎師は學習效果をあげるために、宿題や小テストによって補充しようとする傾向が見られる。7次敎育課程では、積極的な學習態度が求められ、意思疎通能力および情報檢索能力の養成と、日本文化の理解が目標として揭げられている。敎師は、學生の興味をひく內容を敎材に取り入れ、難しい文法や語彙を減らして、機能中心の會話練習を導入することを望んでいる。また、最新の日本文化·日本事情を紹介する映像や、インタ―ネットを活用した學習ツ―ルなど、敎師が選擇して使用できるような副敎材も求められている。今後、日本語敎育關連の硏究者および機關が、高校日本語敎育により大きな關心を持ち、敎材の開發や副敎材の擴充、日本語敎師の養成に努力して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ものと思われる。

      • KCI등재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한자 사용의 변천 -제2, 3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혜정 ( Hye Jung Choi ),오현정 ( Hyun Jung Oh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8

        우리나라 중·고등학교의 일본어 교육은 1973년 2월 14일에 공포된 문교부령 제310호에 따라서 제2차 교육과정이 부분 개정되면서 고등학교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제2차 교육과정이 실시된 1973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40여년 동안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되었던 일본어 교과서에는 당시의 교육정책 및 교육목표 등과 더불어 그 시대의 시대상이 반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일본어 교과서는 일본어 교육의 역사적 증거물이며 교육과정을 가장 체계적으로 반영한 교재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서를 연구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일본어교육사 연구에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과서의 내용 중 교육과정별 한자의 사용과 그 변천 과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2차 교육과정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일본어 교육에서 한자어 취급은 많은 변화를 겪어왔는데 본고에서는 우선제2, 3차 교육과정기의 일본어 교과서 上, 下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자와 한자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2차 교육과정에서는 우리나라, 계절, 지역, 인물, 문화, 경제적 발전으로 단원이 구성되어 한국에 관한 내용이 두드러졌으며, 제3차 교육과정에서는 일본어의 가장 초보적인 어법 및 문법 습득과 같이 2차에 비해 일본어에 관한 내용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2) 제2, 3차 교육과정 下권에서는 上권보다 적은 단원 수에 비해 다양한 한자를 사용하였으며, 제3차 교육과정보다 제2차 교육과정에서 더 많은 한자를 다루고 있었다. (3) 제2, 3차 교육과정의 품사별 분류에서는 각각 명사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어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부사, 연체사 등이 많이 쓰였다. (4) 제2, 3차 교육과정의 단원별 신출한자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단원의 주제에 따라 신출한자의 출현수가 상이하였으며, 당용한자에 포함되지 않은 한자는 2차 86字, 3차는 16로, 당용한자 외의 한자들은 주로 한국과 일본의 지명과 이름 등의 고유명사에 해당하는 한자들이었다. (5) 제2, 3차 교육과정의 사용한자 빈도를 조사·비교한 결과, 제2차 교육과정의 上권에서는「日, 國, 一, 體, 二, 十, 三, 課, 第, 形」등의 한자와「日體, 體, 行く, 韓國, 先生, わが國, 運動, 文化, 日體語, 學校」등의 한자어를, 下권에서는「國, 一, 人, 生, 十, 二, 大, 日, 體, 見」등의 한자와「人, わが國, 日體, 見る, 國, 生産, 先生, 趣味, 生活, 人間」등의 한자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제3차 교육과정의 上권에서는「日, 十, 一, 二, 月, 何, 行, 時, 三, 五」등의 한자와 「行く, 私, 學校, 練習, 先生, 何, 一, 二, 變化, 問題」등의 한자어를, 下권에서는「言, 文, 詞, 次, 日, 一, 動, 國, 二, 語」등의 한자와「次, 言葉, 文, 一, 漢字, 動詞, 日體, 問題, 韓國, 二」등의 한자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1973年2月14日文敎部令第310號の公布により第二次敎育課程の部分改訂が行われ、日本語敎育が高等學校(以下、高校)において始まった. これに伴い、高校で使用される初の日本語敎科書「日本語讀本(上·下卷)」が作られた. その後、2009年の改訂敎育課程實施までの間、8回の敎科書改訂がなされ現在に至っている. 1973年から現在までの40余年間、敎育現場で使用された日本語敎科書には、その時代の敎育政策や敎育目標、世相が反映されていると言える. 日本語敎科書は、日本語敎育の變遷を反映した歷史的證據物であり、これを分析することは、日本語敎育史硏究において非常に意味のある作業であると考えられる. そこで、このような敎科書分析の一環として本稿では、第2,3次敎育課程の日本語讀本(上·下卷)で使用されている漢字および漢字を使用した語彙(以下、漢字語彙)の調査を行ったその結果は、次の通りである. (1)第2次敎育過程では我が國、季節、地域、人物、文化、經濟的發展などを現わす單元構成で韓國に關する內容が多くみられた. 一方、第3次敎育過程では第2次に比べて日本に關する內容の比率が增加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2)第2次、第3次共に、下卷は上卷より單元數が少ないにもかかわらず多樣な漢字が使われており、第3次敎育過程より第2次敎育過程においてより多くの漢字を扱っ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3)第2, 3次敎育過程のにおける漢字語の品詞別分類ではそれぞれ名詞の比率が最も高く、續いて動詞、形容詞、形容動詞、副詞、連體詞などの順に現れた. (4)第2, 3次敎育過程の單元別新出漢字について調べた結果、單元の主題における新出漢字の出現數が相異でおり、當用漢字に含まれなかった漢字は2次86字、3次は16字であった. また、當用漢字以外の漢字は主に韓國と日本の地名と名前などの固有名詞に該當する漢字であった. (5)第2, 3次敎育過程の上、下卷で使用されている漢字のうち、使用頻度のたかいものを調査·比較した結果、第2次敎育過程の上卷では「日, 國, 一, 本, 二, 十, 三, 課, 第, 形」などの漢字と「日本, 本, 行く, 韓國, 先生, わが國, 運動, 文化, 日本語, 學校」などの漢字語が、下卷では「國, 一, 人, 生, 十, 二, 大, 日, 本, 見」などの漢字と「人, わが國, 日本, 見る, 國, 生産, 先生, 趣味, 生活, 人間」などの漢字語が多く使用されていた. また、第3次敎育過程の上卷では「日, 十, 一, 二, 月, 何, 行, 時, 三, 五」などの漢字と「行く, 私, 學校, 練習, 先生, 何, 一, 二, 變化, 問題」などの漢字語が、下卷では「言, 文, 詞, 次, 日, 一, 動詞, 二, 語」などの漢字と「次, 言葉, 文, 一, 漢字, 動詞, 日本, 問題, 韓國, 二」などの漢字語が多くみられた. これらの結果から、第2, 3次敎育過程共に敎育目標に沿った語彙を多く使用していることがわかった.

      • KCI등재후보

        語育と文化 : ネイティブ師の立場から

        小澤康則(Kozawa Yasunori)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20 No.-

        語育と文化 : ネイティブ師の立場から 한국에는 한국의 일본어교육이 있어야 한다. 필자가 한국의 교단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면서 느낀 점이다. 일본의 일본어교육 현장과 한국의 일본어교육 현장은 크게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그래야 하는데 사실 현실은 그렇지가 못하다. 그 이유는 한국과 일본 양국 모두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일본어교육의 일본화를 들 수 있다. 일본어교육의 저변이 확대되면 확대될수록 일본어교육이 글로벌화 되어 가야 하는데 오히려 일본화 되어 가는 경향이 있다. 여기에는 일본어교사를 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시장은 일본이라는 ‘시장 논리’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 논리를 일본어교육계가 강력하게 뒷받침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이른바 ‘원어민 교사 최신 최선론’이라는 의식이 존재한다. 원어민교사로는 최신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젊은 네이티브 스피커가 좋다는 식의 사고방식이다. 인터넷이 일상생활이 되어버린 현대사회에서는 분명 설득력 있는 생각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언제나 최신 경향의 일본어를 가르칠 수 있고, 인건비 상승도 억제할 수 있다. 그야말로 일석이조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원어민교사를 일회용으로 여기는 발상에 지나지 않으며 원어민은 한국을 단지 중계지역쯤으로 생각해버리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한국이 단지 중계지역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한국에 맞는 교육법이나 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기울이지 않고 일본 것을 그대로 차용하게 된다. 그 결과 한국의 일본어교육은 일본의 일본어교육시장에 종속당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필자의 현장 경험담을 소개하며 상기의 사실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KCI등재

        JF 일본어교육Standard를 활용한 수행평가 방안의 모색 -일본어국제센터의「대한민국 중등일본어교사연수」를 사례로-

        김효경 ( Hyo Gyung Kim ),하마카와유키요 ( Hamakawa Yukiyo ),기타무라다케시 ( Kitamura Takesh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1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0

        일본국제교류기금의 JF일본어교육Standard가 제시하는 일본어 교수, 학습 방법, 학습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활용하여, 제7차 교육과정을 기반으로하는 일본어과 2007개정교육과정과 수행평가에 대한 활용 방안으로 자율적, 협동적 학습평가를 위한 포트폴리오 설계와 그 활용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논문은 JF일본어교육Standard의 개요와 JF일본어교육Standard를 활용한 수행평가의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상호이해를 위한 일본어를 이념으로 하는 JF일본어교육Standard와 이를 구체화 한 『JF일본어교육Standard2010』의 내용을 개관하였다. 다음으로, JF일본어교육Standard의 중등일본어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일본어국제센터의 「대한민국 중등일본어교사연수」에 참가한 일본어교사를 대상으로 수행평가의 실시 상황과 현행 수행평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조사하고, 해당 연수에서 JF일본어교육Standard를 활용한 평가활동과 수행평가의 설계에 관한 연수내용을 제공했다. 본 논문에서는 질문지조사의 결과와 연수참가자의 평가를 바탕으로, JF일본어교육Standard를 활용한 수행평가의 하나인 포트폴리오 설계에 관해서 3가지 관점을 제시하였다.(1)언어행동 중심의 단계별 목표설정을 돕는 자기평가(self-assessment) 체크리스트의 작성,(2)통합적인 수행과제와 평가기준의 설계,(3)언어와 문화이해의 과정을 돕는 평가방법에 대해서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과제로써 JF일본어교육Standard의 활용을 위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本論文の目的は、國際交流基金の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が提示する日本語の敎授、學習方法、學習成果を評價するためのツ―ルを活用し、大韓民國の第7次敎育課程を基盤とする日本語科2007改訂敎育課程と遂行評價に關する活用方法として、自律的·協동的學習評價を可能にするポ―トフォリオの設計とその活用方法を示すことである。本稿では、まず、相互理解のための日本語を理念とする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の槪要とそれを具體化した『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2010』の內容を槪觀した。次に、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の中等敎育現場での活用方法を檢討するために、日本語國際センタ―の「大韓民國中等敎育日本語敎師硏修」に參加した日本語敎員を對象に遂行評價の實施狀況と現行の遂行評價に對する問題意識を調べたうえ、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を活用した評價活動及び遂行評價の設計に關する硏修內容を提供した。實態調査と硏修アンケ―トの結果を踏まえ、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を活用した遂行評價の方法として、ポ―トフォリオの設計について3つの觀点を提示した。(1)言語行動中心の段階別目標設定を助ける自己評價(self-assessment)チェックリストの作成、(2)統合的な遂行課題の設定と評價基準の作成、(3)言語と文化の理解過程を助ける評價方法について述べた。最後に、JF日本語敎育スタンダ―ドの活用について今後の課題を述べた。

      • KCI등재

        日本語学と日本語教育の関係について

        庵功雄(이사오 이오리)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40

        일본어학의 최대 목적 가운데 하나는 일본어교육에 도움이 되는 성과를 올리는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실은 일본어학의 연구성과와 일본어교육에서 요구하는 것 사이의 괴리가 커서 일본어교육에서 일본어학에 대한 불신감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일본어학의 성립에서 현재까지의 연구사를 개관한 다음 일본어교육과 일본어학 사이에 큰 괴리가 보이는 현상을 근거로 진정으로 일본어교육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일본어교육의 니즈에 맞춘 연구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일본어모어화자에게 있어서 문법과 일본어학습자에게 있어서 문법은 질적으로 다른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후자를 위한 문법은 특히 산출에 특화한 것이어야 함을 지적했다. 그와 더불어 산출을 위한 규칙은 “(규칙의 커버율) 100%를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것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나아가 “100%를 목표로 하지 않는다”는 것의 내실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본어학, 일본어교육이 함께 일종의 “위기”에 있는 현재 일본어학 연구자가 일본어학의 건학 정신인 1)일본어교육을 위한 문법, 2)일반언어학 안에서의 일본어연구라는 2가지의 이념으로 되돌아갈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One of the main purposes of Nihongogaku is to supply useful knowledge to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teaching. In this paper, I discussed researches needed for teaching Japanese by pointing out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grammar for native speakers and the one for non-native speakers. I also proposed a new way of description for grammatical synonyms based on markedness.

      • KCI등재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를 둘러싼 언어교육사적 특징

        황영희(黃永熙)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39

        본고에서는 제4차(1981∼1988년) 및 제5차(1988∼1992년) 교육과정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이하, 각각 (H)(J)라 한다)를 집필한 일본인 저자와의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집필을 둘러싼 언어교육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당 시기는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가 1종으로 한국인 저자에 의해서만 제작된 제2차(1963∼1974년) 및 제3차(1974∼1981년) 교육과정에 이어 5종으로 확대되고 최초로 일본인 저자가 집필에 가담하게 되는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30여년이 지나) 이러한 과도기적 상황에 있었던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에 대해 해당 일본인 저자와의 인터뷰 및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해 일본어교육사의 흐름 속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교과서 집필의 과정과 관련한 문제<영역Ⅰ>를 살펴보면, 집필 시의 역할 분담, 본문의 선정, 일본어 체크, 발음 연습의 추가, 다양한 화제의 선정, 문체의 결정에 있어서 (H)는 한국인 저자가, (J)는 일본인 저자가 담당하였다. (2)교과서 집필에 영향을 끼친 교수 내용상의 문제(교과서 내적 요인)<영역Ⅱ>를 살펴보면, 회화, 독해, 참고문헌, 내용, 구성 기준, 어휘, 삽화(사진&그림), 문형, 배경의 선정, 교과서 집필의 문제점이라는 측면에서 (H)에 비해 (J)는 기존의 독해 위주에서 벗어난 회화 중심의 교재 구성에 대한 신념을 가지고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 선정, 기존 교재와 차별화된 문법 설명, 많은 삽화의 도입을 통해 학습자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3)교과서 집필에 영향을 끼친 사회 환경적 문제(교과서 외적 요인)<영역Ⅲ>와 관련해서는 (H)(J) 모두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이론과 현장교육 사이의 괴리감, 미디어 자료의 부족, 단일 교재를 통한 단순화된 읽기와 쓰기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기성세대를 중심으로 일본어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거부감이 컸음을 말하고 있다. 한편, 일본인 저자의 교육현장 경험,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요소의 실질적 반영, 한국인 교사와의 교류, 영어 전공 및 교수 경험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H)는 대부분 불가능했던 반면, (J)는 인식하고 경험하여 교과서에 반영·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상, 일본인 저자가 최초로 참여한 제4차 교육과정에 비해 제5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일본어교과서 집필이 발전적이고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하였고 거기에는 일본인 저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일본어교육콘텐츠 공유시스템에 관한 고찰 -다문화공생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일본어교육-

        성윤아 ( Sung Yun-a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9

        일본에서는 `다문화·다언어사회`가 형성되어 있는 곳이 적지 않아 각 지역자치단체에서는 행정관청이나 지역주민들이 힘을 합쳐 다양한 대책을 시행해 왔으며, 국가도 적극적인 정책 대응 및 일본정착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효율적인 `생활중심의 일본어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지역에서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국으로 발신하고, 보다 체계적이며 효율적인 일본어 교육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해 2013년부터 일본 문화청(文化廳)에서는 일본 전국의 관공서, 일본어교육기관, 일본어교육 봉사단체 등이 개발하고 작성한 교재, 커리큘럼, 논문, 자료 등의 다양한 일본어교육콘텐츠를 `일본어교육콘텐츠공유시스템(NEWS)`에 등재하여 관리·운영하고 있다. 일본어교육콘텐츠공유시스템의 일본어교육콘텐츠는 초급레벨의 회화교육에 치중되어 있고 카테고리 분류가 중복되어 있으며 자료업데이트가 자주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생활자로서의 외국인`의 니즈 및 레디네스를 고려하여 회사와 생활에 필요하며, 소속사회와의 연대감이 형성될 수 있는 `소셜 스킬(Social Skill)`을 양성할 수 있는 목적별·단계별· 수준별· 기능별·방법별의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관점에서 다문화공생 사회에서의 시민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시스템 활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언어는 물질과 사람, 사람과 사람, 개인과 사회를 이어주는 고리이기도 하며, 스스로 내재하는 힘에 의해 그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임파워먼트(Empowermemt)를 극대화 시켜줄 수 있으며 이는 다문화공생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일본어교육콘텐츠공유시스템이 단점을 보완하여 향후 다문화공생을 위한 일본어교육에 크게 기여하리라 기대해 본다. A significant increase of `multi-lingual, multi-cultural communities` in Japan prompted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citizens of each community to take effective measures against foreigners settling in Japan. The Japanese government especially put much effort on efficient `education of the Japanese language for everyday life.` In order to share efficient Japanese education contents, Japanese Agency of Cultural Affairs (ACA) established “Nihongo Education Contents Web Sharing System (News)” that provides to the foreigners settling in Japan. Japanese education contents such as new curriculum, thesis, and sources from public offic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Japanese education volunteering groups. However, slow update and repetition of contents overly focusing on elementary level speaking needs improvement. Therefore, to meet the needs and readiness of `foreigners living in Japan,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different levels, objectives, and processes are needed so that they can help foreigners form solidarity with the local community. In addition, the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to pursue civic education between educators and learners in a multi-cultural society. Language is a link between matter and people, between individuals, and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Language is a key factor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maximize `Empowerment` through internal power. Therefore `Nihongo Education Contents Web Sharing System (New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Japanese education systems for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高等学校の日本語教育に関する研究

        金義泳(김의영)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일본어교사인 L교사의 생애사(Life History)를 인터뷰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일본어교육현장의 문제, 현장의 문제에 대처하고 있는L교사의 자세와 경험, 거기에서 보여지는 L교사의 실천과 교육관의 특징에 대해서 분석, 고찰하고, 앞으로의 일본어교육에 시사할 수 있는 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그 결과. 현장의 문제로는, 일본어과목의 지위의 저하에 따른 일본어교육의 축소, 교사의 재교육의 부재, 수업연구자료의 부족, 학교 내 일본어과목의 불안정한 위치로 인해 수업에 열심을 낼 수 없는 상황 등의 문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L교사는 타과목과의 통합수업, 그룹활동 등과 같은 통합적이고 협동적인 배움이 가능한 실천을 연구하고 갱신하면서 그 성과를 다른 교사들과 공유함으로써 대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교사의 실천을 뒷받침하는 교육관의 특징으로는, 언어지식이나 스킬의 습득을 일본어교육의 목적으로 삼지 않고, 학습자와 사회와의 연결고리, 가치관 형성, 사고력 양성과 같이 일본어교육을 통해서 인간형성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내용과 같이, 현장의 문제에 대처하는 L교사의 자세, 종래와 다른 L교사의 언어교육관과 실천의 내용들은,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고 실천을 계획하고 있는 각 개인이 처한 상황과 비교, 해석할 수 있는 시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본어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기대된다.

      • KCI등재

        6名の高校日本語教師の語りからみられる教育観

        金義泳(김의영) 한국일본어학회 2014 日本語學硏究 Vol.0 No.41

        본고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일본어를 가르치는 6명의 교사들의 개인사에 주목하여 인터뷰조사를 실시하고 그 인터뷰 내용에 나타나는 6명의 교육관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우선, 6명의 교육관이 중등교육기관의 교육자로서의 교육관(본고에서는「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라고 한다)과 일본어를 가르치는 수업실천자로서의 교육관(본고에서는「일본어교육관」이라고 한다)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6명의 일본어교사의「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의 특징은, 교직에 대한 긍지와 정열을 가지고 있고, 학생들에게 애정을 갖고 교류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신을 학생들의 전인격적 케어를 하는 사람으로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6명의 일본어교사의「일본어교육관」의 특징은, 일본어교육의 목표를 단순히 일본어라는 말의 습득에만 두는 것이 아니라, 일본문화이해,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 학생의 미래에 연결되는 일본어교육과 같이, 발달단계에 있는 고등학생의 인간형성교육에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으로부터 고찰할 수 있는 것은「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가「일본어교육관」에 영향을 주며「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는「일본어교육관」의 토대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교사로서의 아이덴티티」와「일본어교육관」은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 중등교육의 커다란 목표인 인간형성교육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to carry out an interview survey focused on the life history of 6 teachers who teach the Japanese language at the high school,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6 teachers" educational views appearing in the content of the interviews. As a result, first, it was known that 6 persons" educational views are categorized as the educational view of the educators of the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in this research, called as「Identity as a teacher」) and the educational view of a class executor teaching the Japanese language (in this research, called as 「Educational view on the Japanese language」). The characteristic of 「Identity as a teacher 」of 6 Japanese teachers lies in that they have pride and passion on teaching profession, and they interact with students with affection. Therefore,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a person presenting the whole personal care for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 of 「Educational view of the Japanese language」of 6 Japanese teachers, has its objective of Japanese education not simply in acquiring the speech of the Japanese language, but in executing the human formation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ers in the stage of development such as understanding of Japanese culture, student"s building of values, students" Japanese education connected to the future. What is considered from this content is the fact that 「Identity as a teacher 」affected「Educational view on the Japanese language 」and 「Identity as a teacher」becomes the foundation of「Educational view on the Japanese language」. That is to day, 「Identity as a teacher 」and「Educational view of the Japanese Language」affect each other closely and pursue the human formation education which is a great objective of the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

        PBL 기반 일본어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수업사례 연구

        조대하 ( Cho Dai-ha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8

        한국의 일본어교육 관련 연구는 주로 일본어 학습자에 대한 직접적인 일본어교육 및 지도방안에 대한 연구였으며, 일본어교육을 직접 담당하는 교원의 일본어지도 능력 제고에 관한 연구, 특히 예비 일본어 교사인 사범대학 일어교육과 학생 및 4년제 대학의 일본어 일반교직과정 학생의 일본어지도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학생들의 외국어 학습자의 니즈(needs)가 다양해지고 이에 따라 학습자들은 다양한 교육 및 학습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어교육 현장도 예외는 아니어서 일본어 교수법 다양화 및 새로운 교재에 대한 요구가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PBL)을 적용한 수업사례연구의 일환으로 교직과정 교과목 중에서 교과교육학 교과목의 하나인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수업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PBL을 기반으로 먼저 중학교생활일본어 및 고등학교 일본어 교육과정을 분석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재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각각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한 이상적인 교재를 창안해 보았다. 그리고 제작한 교재를 가지고 효과적인 일본어지도법에 대해 서로 논의해 보고 일본어로 실제 수업을 해 보는 과정으로 운영하였다. PBL 프로젝트를 통해 수강 학생들은 현행 일본어교재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일본어 교재가 어떻게 설계되고 내용이 구성되는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 The study on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Japanese in Korea is a new area compared to other languages, and that research is needed for this field. Although the study of direct Japanese education and guidance plan on Japanese learner has been the mainstream, a study on improving Japanes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especially the preliminary Japanese teacher at Japanese education department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 students in Japanese teaching education at university, to develop the ability for Japanese teaching is not done much. Recently, `the needs` of student in learning have been diver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learners requi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oo, the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up-to-date teaching materials are needed. As a part of case study of class that employed PBL,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which are one of the curriculums in subject-matter education. Firstly, this study derived issu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 school Japanese textbook 1 based on investigation of Japanese subjective course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then discussed about the effective Japanese teaching method with making a complemented ideal textbook and progressed a real class using the textbook. Through PBL project, the students could be clearly recognized how Japanese text book is designed and composed, while identifying the problems of current Japanese textbook and solving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